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김일성종합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김일성종합대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종합대학으로, 공산주의 사회 건설에 필요한 지식인과 권력 엘리트를 양성하기 위해 1946년 10월 1일에 설립되었다. 15개 학부, 60여 개 학과로 구성되어 사회과학 및 자연과학 분야의 기초 학문을 중심으로 교육하며, 12,000여 명의 학생과 6,000여 명의 교직원이 재직하고 있다. 대학은 1950년대부터 외국인 유학생을 받아왔으며, 북한의 주요 간부 양성 기지로서 김정일, 김정은 등 북한 지도자를 비롯한 많은 저명인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일성종합대학 - 평양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는 일제강점기 평양에 설립되어 해방 후 남북한 여러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한 교육기관이다.
  • 김일성종합대학 - 평양사범학교
    일제강점기에 평양에 설립된 평양사범학교는 초등 및 보통학교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심상과와 특과를 두고 운영되었으나, 1945년 일본 패망과 함께 사실상 폐교되었으며 북한 주요 정치인들을 배출하였다.
  • 사람 이름이 붙은 교육 기관 -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은 1949년 국립음악학교로 시작하여 김정일의 지시로 김원균의 이름을 부여받았으며, 평양음악학원과 금성학원 예술반을 흡수하여 종합대학으로 확장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 교육 기관이다.
  • 사람 이름이 붙은 교육 기관 - 김형직사범대학
    김형직사범대학은 1946년 평양교원대학으로 개교하여 김형직의 이름을 따서 변경되었으며, 6년제 교육 과정을 통해 교원과 교육 관료를 배출하고 정치사상 과목을 강조하며 조선에서 유일한 교육학부를 두고 있다.
  • 평양시의 학교 - 김정일정치군사대학
    김정일정치군사대학은 북한 평양에 위치한 간첩 양성 기관으로, 무력 적화통일을 위한 핵심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해외 침투 공작원을 양성하며, 군사 훈련과 주체사상 교육을 실시한다.
  • 평양시의 학교 -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는 1901년 마포삼열이 평양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장로회 신학교로, 한국인 목회자 양성을 목표로 초기에는 평양연합신학교로 불리며 한국 개신교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로 폐교된 후 해방 이후 여러 신학교가 그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김일성종합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김일성종합대학
김일성종합대학 전경
한국어 표기김일성종합대학
한자 표기金日成綜合大學
로마자 표기Gim Ilseong Jonghap Daehak
설립일1946년 10월 1일
유형국립대학, 종합대학, 중앙대학
위치평양시 대성구역 룡남동
캠퍼스도시적 지역
웹사이트www.ryongnamsan.edu.kp
교직원2,800명
교수진1,200명
학생 수16,000명
총장김승찬
조직
학부15개 학부
학과60개 학과
교육
외국어 교육일본어 전문 과정 운영
기타
모토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는 영원히 우리와 함께 계신다
관련 시설전자 도서관

2. 성장과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해방 이후 공산주의 사회 건설에 필요한 새로운 지식인과 권력 엘리트를 양성하기 위해 '민족간부 양성'이라는 기치 아래 여러 교육기관을 설립하였다.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군사 및 정치간부 양성을 위한 평양학원, 당 간부 양성을 위한 중앙당학교, 행정경제간부 육성을 위한 중앙고급지도간부학교, 그리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대학교인 김일성종합대학 등이 있다. 1948년에는 만경대혁명학원을 비롯한 혁명유자녀학원도 설립되었다. 김일성종합대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새로운 지식인 집단과 권력 엘리트를 양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며, 그 성장 과정은 창립 시기부터 현재까지 다섯 시기로 나눌 수 있다.

2. 1. 대학의 설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해방 이후 공산주의 사회 건설에 필요한 새로운 지식인과 권력 엘리트를 양성하기 위해 '민족간부 양성'을 목표로 교육기관을 설립하였다. 일제 식민통치의 결과, 해방 직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고등교육을 받은 인텔리가 매우 부족했고, 주민 대다수가 문맹 상태였다.[25]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여러 분야의 인재를 양성할 대학들을 한꺼번에 설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종합대학을 먼저 창립하는 방침을 결정하였다. 1945년 11월 대학건설기성회를 결성하였고, 1946년 5월 25일 종합대학 창립준비위원회가 구성되어 전 주민의 운동으로 창립 사업이 전개되었다.[25]

1946년 7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는 '북조선에 대학을 설치하는 결의'(법령 40호)를 채택했다. 김일성은 '진보적 민주주의 원리에 입각하여 인민경제와 문화를 건설할 지도력 있는 고등기술인들을 발달시키는 것'을 목표로 1946년 10월 1일 김일성종합대학 창립을 선포하였다.[25]

김일성종합대학은 평양의과전문학교와 대동공업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승격, 학부로 편입시켜 설립하였다. 창립 당시 7개 학부, 24개 학과, 68명의 교원, 1,50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1개 예과가 있었다. 학부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25]

학부학과
문학부사학과, 문학과, 교육학과
법학부법학과, 경제학과
공학부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금속공학과, 응용수학과, 토목공학과, 광산학과, 건축학과, 방직공학과
농학부농학과, 농업학과, 수의축산학과
의학부의학과, 약학과, 치과의학과
철도공학부기계공학과, 운전공학과, 철도토목학과



1948년에는 공학부, 운수공학부, 농학부, 의학부를 분리하여 평양공과대학(현 김책공업종합대학), 사리원농업대학(현 원산농업대학), 평양의과대학 등 3개 기술종합대학을 신설했다.[25] 2010년에는 평양의학대학, 평양농업대학, 계응상농업대학 등 3개 대학이 김일성종합대학에 소속되었다가 다시 분리되었다.[26][27]

1946년 11월 새로 문을 연 김일성종합대학 의학과 학생들

2. 2. 전시교육체계 (한국전쟁 시기)

한국전쟁 발발로 종합대학의 교육사업은 일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폭격으로 대학 건물이 파괴되고 많은 교원과 학생들이 전선에 동원되었다.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교육사업을 전시체제로 개편하였다. 전쟁 기간 동안 김일성종합대학은 평안남도 순천군 백송리 산속에 교원과 학생들이 직접 지은 반토굴 교사에서 1951년 새 학년도부터 교육을 진행하였다.[2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1952년 초 전선에 나간 교원과 학생들을 소환하여 대학에서 다시 학습하도록 조치하였다. 종합대학 학생 수는 1951년 848명, 1952년 995명, 1953년 1,049명으로 증가했으며, 이조병제사(李朝兵制史)를 비롯한 인문과학 연구 논문들을 발표하였다.[26]

6·25 전쟁 중 월북한 유명 인사들 다수는 이후 김일성종합대학 교수로 활동하며 전후 대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하였다.[26][28]

2. 3. 전후 복구시기

전후 시기 교육사업을 다른 모든 사업에 앞세운다는 방침에 따라 김일성종합대학은 가장 우선적으로 복구, 정비되었으며 실험실, 박물관, 도서관 등이 확장되었다. 교육과학사업의 기본 단위인 강좌는 정전 직후 35개에서 1956년에는 57개로 늘어났으며, 교원 수는 258명, 학생 수는 3,000여 명에 이르게 되었다. 1953년 학교 수업이 정상화되면서 수업 연한도 4년제에서 5년제로 변경되었다. 서해안 간석지, 고지대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4. '주체공산주의 건설'시기

1959년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 사회가 ‘천리마운동’의 영향을 받으면서 산업 현장에 필요한 고급 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이 증설되었다. 이 해에 청진광산대학을 비롯한 15개의 대학이 신설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김일성종합대학은 대학 교원 양성 및 재교육 기관으로 활용되었다. 김일성대학은 대학 교원들에게 단기 훈련 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수법을 가르치고 학사 과정과 학사 운영에 대한 모범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1970년에는 ‘천리마대학’이라는 칭호를 수여받기도 하였다.[29]

1960년대 중반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유일사상, 주체사상으로 튼튼히 무장하자”는 구호 아래 김일성종합대학은 “주체적 공산주의 교육학의 새로운 장을 펼치었으며, 인텔리 혁명화의 앞장에 섰다.”고 평가받는다. 이때부터 대학에서 이데올로기 교육을 더욱 강조하였다. 1970년대 말까지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한 학생은 5만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또한 김일성종합대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커다란 자산인 120만 인텔리 대군을 양성하는 데 책임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과학 기술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다.[30] 1970년대 이후부터는 영어를 교양, 필수 과목으로 가르치기도 했다.

2. 5. 종합대학 정예화 시기

1980년대에 들어 '전 인민의 인텔리화' 정책이 제시됨에 따라, 김일성종합대학은 일반 대학보다 먼저 정예화에 들어섰다. 특히 김정일은 1980년대 초부터 당과 정부의 인사권을 완전히 장악하고 간부급 인사를 주로 김일성종합대학 출신 가운데서 발탁했다. 따라서 김일성종합대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간부 양성 기지가 되었다고 평가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당·정 부부장급(차관급) 이상 고위 간부 중 17% 이상이 김일성종합대학 출신이라는 점은 이 대학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의 온상임을 보여준다.[1]

3. 현황

김일성종합대학은 156만 평방미터 부지에 40만 평방미터 건평의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전자도서관, 제1호 교사, 제2호 교사, 체육관, 과학도서관, 수영관, 자연박물관, 출판사, 인쇄공장, 실습공장, 해양실습소, 기숙사, 식당, 병원, 종합편의시설 등이 있다.

현재 15개 학부, 100여 개 강좌, 500여 개 실험실, 10개 연구소, 100여 개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다. 600여 개 학급에 12,000여 명의 학생과 6,000여 명의 교직원이 있으며, 교수 및 연구사는 2,200여 명이다. 이 중 1,000여 명 이상이 준박사 및 박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여교수는 전체 교원의 20%를 차지한다.

학생들은 매월 장학금을 받으며, 여학생은 전체의 20~30%, 기숙사생은 70%이다. 사회주의 헌법, 주체사상 등 공통 필수 과목 외에 다양한 학문 분야를 교육한다.

3. 1. 행정조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조직은 행정 체계와 당에 의한 지도 체계로 이원화되어 있다. 총장은 일반적인 행정 체계를 관할하며, 대학 당 책임비서는 당과 사회단체를 통제하는 지도 체계를 구성한다.[33]

총장 직속 기구로서 학부장과 행정부서장이 있으며, 당과 사회단체 간부들로 구성되어 있는 대학의 최고 의결 기관인 '대학평의회'가 있다. 또한 총장 아래에는 제1부총장, 교무부총장, 과학부총장, 경리부총장 등 4명의 부총장이 있다. 교무부총장은 교무 행정, 과학부총장은 연구 활동, 경리부총장은 학교 운영을 위한 재정 관계를 맡고 있다. 교무부총장 아래에는 박사원장, 연구원장, 교무부장이 있으며 각 학부장, 강좌장, 행정부서장들은 교무부장의 지시와 통제를 받는다.[33]

김일성종합대학 당위원회 책임비서는 학부 당 위원회를 통하여 대학의 관리와 교육 내용 전반에 걸쳐 당적 통제를 관장하는 실질적인 대학의 운영자이다. 각 학부 당위원회, 각 학년 초급당 위원회, 그리고 사회단체인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과 직업동맹이 그의 관할에 있고, 대학의 강의 내용까지 조선로동당의 입장과 정책을 반영하도록 통제하고 있다.[33]

3. 2. 학부 구성

김일성종합대학은 18개 대학 및 학부, 60여 개 학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과학계열의 기초 학문 분야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문사회계 학제는 4년, 자연계는 5년이다. 특히, 역사학부와 철학부는 김일성의 혁명활동, 주체사상에 대한 이론을 확립하고 이를 보급함으로써 김일성주의 신봉자들을 양성하는 데 주역을 담당한다.[26][27]

  • '''사회과학부'''
  • * 경제학부: 정치경제학과, 계획경제학과, 재정경제학과, 경제조종학과, 대외경제학과
  • * 역사학부: 김일성동지혁명력사학과, 김정일동지혁명력사학과, 조선력사학과, 고고학 및 민속학과, 세계력사학과, 종교학과
  • * 철학부: 김일성주의로작학과, 주체사상학과, 주체철학과, 철학사학과
  • * 법학대학: 법학과, 국가관리법학과, 국가법학과
  • * 문학대학: 조선문학과, 창작학과, 조선어학과, 민족고전학과, 신문학과, 도서관학과
  • * 외국어문학부: 로씨야어문학과, 중국어문학과, 도이췰란드어문학과, 프랑스어문학과, 일본어문학과, 영어문학과
  • * 재정대학

  • '''자연과학부'''
  • * 컴퓨터과학대학
  • * 수학부: 수학과, 응용수학과, 프로그램학과
  • * 물리학부: 물리학과, 고체물리학과, 극소형전자학과
  • * 원자력학부: 핵물리학과, 플라즈마물리학과, 방사선화학과
  • * 화학부: 화학과, 분석화학과, 물리화학과
  • * 생명과학부: 동물학과, 식물학과, 토양학과, 실험생물학과, 생물공학과, 인류학과
  • * 지구환경과학부: 지리학과, 국토계획학과, 기상수분학과, 해양학과
  • * 지질학부: 지질학과, 지구과학과, 지구물리탐사학과, 수문지질학과
  • * 역학
  • * 재료학부
  • * 전자자동화학부

  • '''재교육학부''': 이 학부는 본과를 졸업한 후 3~5년간 일하다가 자기의 연구성과를 점검하거나 새로운 발전내용을 다시 학습하기 위해 대학에 나와 일정시간을 공부한다. 이 학부의 학제 기간은 대체로 두 달간이다. 즉, 해마다 두 번씩 한번에 두 달씩 공부하는데 철학, 역사, 경제, 외국어, 수학, 물리학과 등을 두고 있다.


3. 3. 연구소와 과학연구

김일성종합대학에는 10개의 연구소가 있다. 사회과학 분야의 연구소는 주체사상연구소뿐이며, 나머지는 자연과학 분야에 속한 연구소이다. 전자계산기연구소, 계산연구소, 생물공학연구소, 촉매연구소, 전자재료연구소, 원자력연구소, 전자물리연구소, 분석연구소, 화학실험연구소 등이 있다.[29][30]

연구사는 대학 내의 각 연구소에서 연구사업을 수행하는데 연구조수, 연구사, 상급연구사, 2급연구사, 1급연구사 등으로 구별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과학연구 사업의 최고 수준과 권위적 평가 칭호는 원사이고 그 다음은 후보원사이다. 원사는 해당 분야의 연구사와 교수 중에서 학문적 업적이 탁월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칭호로, 조선중앙인민위원회 학위학직 및 인민상 수여위원회에서 수여한다. 원사는 현재 24명 있으며 종합대학에만 5명이 있다. 그 밖에 몇 명의 후보원사가 있다.

3. 4. 수업연한과 교육과정

김일성종합대학의 인문사회과학부 수업연한은 4년 반, 자연과학부 수업연한은 5년 반이다.

한 학년도는 2학기로 나뉘며, 방학은 매 학년도마다 9주간이다. 학생들은 재학 기간에 총 24~35개 과목을 이수해야 하며, 실험실습도 해야 한다. 사회과학부는 30%, 자연과학부는 50%의 실험실습을 한다.

모든 학생은 아래의 공통 필수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34]

과목명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 로작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동지 로작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 혁명력사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동지 혁명력사
외국어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중 2개 선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주체철학
주체정치경제학
체육
고등수학
프로그램작성법
한문
환경보호



이 외에도 각 학부 과정은 일반과목, 전공기초과목, 전공과목으로 나뉜다. 김일성종합대학의 교육과정 체제는 '학부-학과-전공반' 체계이다.

대학 교과서를 분석하면, 기초 학문은 상대적으로 발달했지만, 현대화·정보화 시대에 맞는 응용학문 및 첨단과학기술 학문은 뒤떨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우리식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투쟁'을 벌이고 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은 교수요강과 강의안 작성을 완성하고 새로운 강의안에 기초한 교수 사업을 보장할 것이라고 보고하였다.[34]

3. 5. 외국인 유학생 현황

김일성종합대학은 1950년대 초부터 외국 유학생을 받아왔다.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유럽 등 다양한 국가 출신 유학생들이 있으며, 그 중 중국 유학생이 가장 많다. 유학생들은 주로 조선어를 배우며, 졸업 후에는 외교 및 조선 관련 연구에 종사하고 있다.[35]

2019년 기준, 30개국 출신 약 5000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김일성종합대학에서 공부했다.[13]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는 약 100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있었으며, 대부분 중국인이었다.[14]

외국인 유학생들은 특별히 훈련받고 심사를 거친 현지 학생('통수생'이라고 불림)들과 함께 생활하며, 한국어와 문화를 배운다. 그러나 통수생들이 외국인 유학생들을 감시한다는 주장도 있다.[15]

3. 6. 주요 시설

김일성종합대학에는 전자도서관, 수영관, 출판사, 인쇄소, 기록관, 전산실, 대학학보사, 체육관, 미술관, 용남산체육단 등 다양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대학신문을 일요일마다 발행하며, 자체 농장, 목장, 통학 차량, 교내외 기숙사도 운영하고 있다.[31][32]

시설 종류상세 내용
도서관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을 포함하여 200만 권의 장서 소장
연구실50개 연구실
기숙사10호동 기숙사


4. 위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시행한 대학입학 자격시험의 수석들이 주로 김일성종합대학에 입학하고 있다. 합격자 선발에는 출신성분, 정치조직생활, 예비시험 및 본고사 성적이 각각 1/4씩 반영된다.[36] 졸업생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내외 정·관계에 대거 진출하여 활동하며, 일부 외국 귀빈에게 명예학위를 수여하기도 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부장급 이상 1/2, 부부장급 이상 1/3이 김일성종합대학 출신으로, 지도급 인물 배출의 산실이다.[36] 1980년대 김정일은 당·정의 인사권을 장악한 후 간부급을 주로 김일성종합대학 출신자 가운데 발탁하고 있어서, 김일성종합대학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각급 주요 간부 양성기지가 되고 있다.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당·정 부부장급(차관급) 이상 고위간부의 17% 이상이 김일성종합대학 출신이며, 김정일이 1964년 정치경제학부를 졸업했다는 사실은 김일성종합대학의 위상을 보여준다.[36]

5. 저명한 동문

참조

[1] 웹사이트 Professor, Kim Sung Chan The President of Kim Il Sung University and the Minister of Higher Education http://www.ryongnams[...]
[2] 웹사이트 Ryongnamsan http://www.ryongnams[...] Kim Il Sung University 2016-04-24
[3] 웹사이트 김일성종합대학 http://terms.naver.c[...]
[4] 웹사이트 E-Library http://www.ryongnams[...] 2021-05-27
[5] 뉴스 A rare look inside North Korea's Kim Il Sung University https://www.bbc.com/[...] BBC News 2016-05-04
[6] 뉴스 Kim Il Sung University has new website https://www.nknews.o[...] NK News 2014-12-12
[7] 웹사이트 Kim Il Sung University https://www.youngpio[...] Young Pioneer Tours 2019-07-08
[8] 웹사이트 Prestigious Pyongyang university now running specialist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9-12-09
[9]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Kim Il Sung University http://www.ryongnams[...]
[10] 논문 Architecture teachers during the early days of North Korea: Betwee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ist state 2021
[11] 뉴스 North, Replaced the Mayor of Pyongyang... New mayor is Pak Kwan O, Former President of Kim Il Sung University www.donga.com Donga Ilbo 2007-04-05
[12] 뉴스 Smartphone-capable WiFi on show at Pyongyang IT exhibition, state TV reveals https://www.nknews.o[...] NK News 2018-11-14
[13] Youtube Kim Il-sung University sets new procedur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https://www.youtube.[...] Korea Now 2019-12-17
[14] 웹사이트 Inside a North Korean University https://www.insidehi[...] Inside Higher Ed 2021-08-27
[15] 뉴스 'You think Trump will save you?': my nine days detained by North Korea's secret polic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4
[16] 웹사이트 Twitter and Cocoa Puffs: The surprising life of a student at North Korea's top university https://theworld.org[...] The World 2019-02-26
[17] 웹사이트 Inside North Korea: What life for a rare foreign student in Pyongyang reveals about the reclusive country https://abcnews.go.c[...] American Broadcasting Company
[18] 웹사이트 University Structure http://www.ryongnams[...] 2021-05-27
[19] 웹사이트 The President of Kim Il Sung University - KIM IL SUNG UNIVERSITY http://www.ryongnams[...] 2021-05-27
[20] 뉴스 North Korea's Heir Apparent Remains a Myste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6-14
[21] 뉴스 Photos of Kim Jong Il's Brother, Kim Pyong Il and Recent Visits http://www.dailynk.c[...] Daily NK 2007-05-09
[22] 웹사이트 Abductee's daughter is favorite of Kim's sister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4-03-19
[23] 웹사이트 Thae Jong Su (T'ae Cho'ng-su) http://www.nkleaders[...]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2018-02-24
[24] 웹사이트 Ryongnamsan http://www.ryongnams[...] ryongnamsan.edu.kp 2016
[25] 서적 조선교육사(3) 평양교육출판사 1980
[26] 논문 김일성종합대학과 북한의 권력 엘리트 양성 1998
[27] 서적 학원의 맏아들 김일성종합대학 출판사 1981
[28] 서적 인민의 대학 김일성종합대학 출판사 1983
[29] 서적 인민의 대학 김일성종합대학 출판사 1983
[30] 간행물 우리식 교육을 강화하는 데 틀어진 고리-김일성종합대학에서 로동신문 1995-10-17
[31] 기록영화 김일성종합대학 창립 40돐을 맞이하여 조선예술영화촬영소
[32] 서적 북한사회 깊이 읽기 민속원
[33] 논문 김일성종합대학과 북한의 권력 엘리트 양성 1998
[34] 화첩 김일성종합대학 소개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35] 논문 북한 교등교육의 발전과 개혁
[36] 논문 김정일 정권의 권력 엘리트 분석 민족통일연구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