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은 1949년 국립음악학교로 창립되어 평양음악대학, 평양음악무용대학을 거쳐 2015년 현재의 명칭으로 확대 개편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음악 교육 기관이다. 2006년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작곡가 김원균의 이름을 부여받았으며, 2015년에는 평양음악학원과 금성학원 예술반을 흡수하여 종합대학으로 확장되었다. 5년제 학제로 운영되며, 성악, 기악, 작곡 등 다양한 전공 분야를 교육한다. 북한 최고의 음악 예술인 양성 기관으로, 김정일의 부인 고용희, 지휘자 김일진, 방송인 송해 등 유명 인사를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예술 학교 - 평양미술대학
평양미술대학은 북한 평양에 위치한 미술 대학으로, 미술 교육과 더불어 정치 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당의 핵심 이념 교육과 지도자로서의 자질 함양에 중점을 둔 특수대학이다. - 음악 학교 -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는 2006년 개교한 사립 예술 고등학교로, 2010년 고등학교 학력인정 승인을 받았으며 2014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 2017년 뮤지컬과를 개설했고 강혜원, 권은비, 장원영, 딘딘, 제이미 등 다수의 졸업생이 가요계에서 활동 중이다. - 음악 학교 - 새소리음악중고등학교
새소리음악중고등학교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음악 중고등학교이며, 2009년에 그라시아스음악학교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공립 |
위치 | 평양 |
국가 | 북한 |
좌표 | 39.0194, 125.7899 |
설립 | 1972년 |
명칭 | |
로마자 표기 | Pyeongyang Eumak Muyeong Daehak |
한자 표기 | 平壤音樂舞踊大學 |
기타 |
2. 역사
1949년 3월 1일, 내각 결정에 따라 '국립음악학교'가 창립되었다.[10] 이후 여러 차례 명칭과 체제가 변경되었다.
2007년 2월 28일, 제20차 남북장관급회담 대표단은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을 참관했다.[6] 2018년 9월 18일에는 제5차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방북한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김정은 조선로동당 위원장 부인 리설주 여사와 함께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을 시찰했다.[4]
2. 1. 설립 초기 (1949-1972)
1949년 3월 1일 내각 결정 "대학제에 의한 국립음악학교 창설에 관한 결정"에 의해 '''국립음악학교'''가 창립되었다.[10] 이는 1946년 9월 1일 설립된 평양음악학교를 조직 개편한 것이다.[3] 1952년 평양음악대학으로 개칭되었다.2. 2. 평양음악무용대학 시기 (1972-2004)
1972년 7월, 평양무용대학과 평양예술대학이 합병하여 평양시 대동강구역에 "평양음악무용대학"으로 설립되었다.[3] 이 대학은 주체사상에 기반한 음악과 무용 부문에서 여러 상을 받았다.학생들로 구성된 오케스트라가 있으며, 5,500제곱미터 규모의 음악 홀이 있다.
이 대학의 교육 시스템은 4년제 학부 과정과 2년 반의 박사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2년의 유치원 과정, 4년의 초급 과정, 젊은 음악가들을 위한 3년의 준비 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졸업생의 60% 이상이 만수대예술단, 보천보전자악단의 단원이 되고 있다. 그 외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립교향악단, 윤이상관현악단에도 졸업생들이 진출하고 있다.
2. 3. 평양음악대학 분리 및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개칭 (2004-2015)
2004년, 무용학부를 '무용학원'으로 분리하고 5년제 '평양음악대학'을 설립하는 결정이 내려졌다.[3] 2006년에는 연건축 면적 40886m2 규모의 새 교사가 준공되었는데, 9층 규모의 본 교사, 7층 규모의 전공교사, 보조청사, 기숙사, 그리고 800석 규모의 음악당 등이 완공되었다.[6] 이와 동시에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며 애국가와 김일성장군의 노래 등을 작곡한 김원균의 이름을 붙여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3]2007년 2월 28일, 제20차 남북장관급회담 대표단이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을 참관했을 때, 북측 관계자는 김일성종합대학이나 김책공업종합대학과 달리 대학 이름에 '명칭'이 들어간 이유에 대해 "작곡가 김원균과 음악대학이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2. 4.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확대 개편 (2015-현재)
2015년,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은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이는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을 모체로 하여 평양음악학원을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평양제1음악학원으로, 평양시 만경대구역의 예술영재 전문학교인 금성학원 예술반을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평양제2음악학원으로 흡수 편입한 결과였다.[3]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평양제2음악학원은 초급중학반(3년), 고급중학반(3년), 대학반(4년)으로 구성된다고 북측 매체는 보도하였다.[10]2018년 9월 18일에는 제5차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방북한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김정은 조선로동당 위원장 부인 리설주 여사와 함께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을 시찰하였다.[4]
2019년 가을 즈음, 대학 명칭은 다시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으로 환원되었다.[3]
3. 새 교사
2006년 평양 대동강 강변에 새로 지어진 교사는 강의실, 전공수업실, 연습실, 외국어수업실, 전자도서열람실, 컴퓨터 조종실, 체육실, 음악당, 기숙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8] 교내에는 김원균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9] 음악당에는 60석, 83석, 300석 규모의 소강당 3개와 800석 규모의 대강당이 있으며, 대강당에는 중주연습실, 종합연습실, 음향조종실, 조명조종실, 영사실 등이 갖춰져 있다.[11]
4. 위상
북한 최고의 음악예술인 양성 기관이다. 북한에는 12개의 음악대학(예술학원)이 있으며, 여기서 배출된 사람들은 대부분 지역 사회의 예술계에서 활동하거나 때로는 평양에 진출하기도 한다.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으로 개칭 이전 평양음악무용대학 시절에는 음악, 무용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핵심 기관으로 주요 공연예술인 대부분이 이 대학 출신이었다.[10] 북한을 대표하는 예술대학으로 최고지도자의 관심도 높았다. 2006년까지 김일성은 5차례 현지지도와 15차례 교시를 했고, 김정일은 5차례 현지지도와 200여 차례의 ‘말씀’과 685여 건의 ‘지시’를 했다고 한다.[10]
이 대학의 교육 시스템은 학부 4년, 박사 과정 2년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2년의 유치원 코스, 4년의 초급 코스, 젊은 음악가를 위한 3년의 준비 코스가 운영되고 있다. 졸업생의 60% 이상이 만수대예술단, 보천보전자악단의 단원이 되고 있다. 그 외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립교향악단, 윤이상관현악단에도 졸업생이 입단하고 있다.
5. 구성
성악학부, 민족 기악학부, 양악 기악학부, 작곡학부, 피아노학부, 악기 제작학부 등 7개 학부, 50여 개의 강좌와 부설 주체음악연구소를 갖춘 5년제 대학이다.[10] 800여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공훈배우 등 재교육을 통한 평생교육도 담당하고 있다.[11]
2015년에는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으로 확대 개편되면서 김원균명칭 평양음악대학, 평양제1음악학원, 평양제2음악학원이 통합되었다.
6. 악기제작학부
2011년에 5년제 과정으로 신설되었으며, 민족악기를 비롯한 다양한 악기 제작 관련 전문 지식을 교육한다. 2학년까지는 악기 제작을 위한 기초 교육을 하고, 3학년부터 건반악기,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제작 전공 분야를 교육한다.
교육 과목으로는 악기제작학, 악기음향학, 목재재료학, 금속재료학, 수학 등이 있으며, 교육 과정에 따라 악기 공장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학생들은 2013년과 2015년에 전국 규모로 진행된 평양악기전시회에서 연이어 최우수상을 받았다. 북측 매체는 이들이 과학적으로 제작한 가야금, 소해금, 바이올린, 장새납 등이 다른 단위에서 내놓은 악기들에 비해 소리가 크고 안정되며 울림이 매우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보도했다.[1]
7. 주요 출신 인물
이 학교는 고용희, 리종오, 김일진, 조정림, 민병만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러 유명 음악가들을 배출했다.[12] 또한 허재복, 리종오, 리학범, 성동춘, 우정희, 안정호, 백고산, 김옥선, 전우봉, 손대원, 렴청, 리향숙, 김기영, 황은미 등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많은 예술인들을 양성했다.[12] 대한민국에서는 송해가 이 학교 출신이다.[12]
7. 1. 북한
김정일의 네번째 아내 고용희, 작곡가 리종오, 카라얀 콩쿠르에 입상한 지휘자 김일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초의 여성 지휘자 조정림, 조선말대백과사전에 이름이 등재된 피아니스트 민병만이 이 학교를 졸업하는 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명 음악가를 다수 배출했다.[12] 또한 인민예술가들인 허재복, 리종오, 리학범, 성동춘, 우정희, 안정호, 인민배우들인 백고산, 김옥선, 전우봉, 손대원, 렴청 그리고 국제성악콩클에서 1등을 차지한 리향숙, 김기영, 황은미를 비롯하여 국내외 경연무대들에서 이름을 떨치는 많은 창작가, 예술인들을 키워냈다.[12]- 김병화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립교향악단 수석 지휘자.
- 김일진 - 윤이상 관현악단을 설립한 지휘자.
- 김호윤 - 조선국립교향악단 부수석 지휘자를 역임. 윤이상 관현악단 지휘자를 거쳐, 현재 만수대예술단 삼지연악단 지휘자.
- 김옥 - 김정일의 개인 비서.
- 조정림 - 북한 최초의 여성 지휘자. 현재는 만수대예술단 지휘자. 또한, 군마 교향악단에 객원 지휘 경험이 있음.
- 김철웅
7. 2. 대한민국
한국전쟁 당시 월남한 송해(본명 송복희)가 이 학교 출신이다.[12]8. 국제 콩쿠르 수상
2006년 5월, 이탈리아 산타 체칠리아 국립 아카데미아에서 유학 중이던 황은미가 제15회 주세페 디 스테파노 국제 성악 콩쿠르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3] 2012년 5월에는 폴란드에서 열린 제20회 쇼팽 청소년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평양음악대학 1학년 박미영이 2위를 차지했다.[5]
참조
[1]
뉴스
Art Troupes and Institutions
http://www.kcckp.net[...]
Naenara
2010-05-15
[2]
뉴스
Korea Guidebook - Chapter 5 - Education
http://www.magnusgus[...]
magnusgustavsson.se
2010-05-15
[3]
웹사이트
音楽教育の最高峰 金元均・平壌音楽大学を訪ねて 「世界レベルの音楽家育成」目標に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06-07-29
[4]
뉴스
【南北首脳会談】世界の目を意識し歓迎を演出 金正恩氏「みすぼらしいでしょう」とへりくだる場面も
https://www.sankei.c[...]
2018-09-18
[5]
웹사이트
〈人・サラム・HUMAN〉金元均平壌音楽大学・学生/パク・ミヨンさん
https://chosonsinbo.[...]
朝鮮新報
2012-06-07
[6]
웹사이트
제20차 남북장관급회담 대표단이 참관하는 김원균 명칭 평양음악대학
http://www.dailynk.c[...]
DailyNK
[7]
웹사이트
北, 평양음대→'김원균평양음대' 개명
http://nk.chosun.com[...]
NK chosun
[8]
저널
새 교사, 새 책상, 새 강의실 “지금도 꿈꾸는 것만 같아요”
https://web.archive.[...]
2006-08-01
[9]
뉴스
‘음악예술인 양성기지 김원균 명칭 음악대학’ - <김양희 기자의 평양일기 Ⅱ>⑤
https://web.archive.[...]
통일뉴스
2007-05-18
[10]
서적
북한 문화예술 현황분석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1]
웹사이트
‘음악예술인 양성기지 김원균 명칭 음악대학’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12]
저널
세계 수준의 조선국립교향악단 - 〈탄호이저〉 〈비창〉 〈운명〉도 주요 레퍼토리
https://web.archive.[...]
2008-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