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취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취려는 고려 고종 때 활약한 무신이다. 음관으로 관직에 등용되어 거란족의 침입을 격퇴하고, 반란을 진압하는 등 공을 세워 문하시중까지 올랐다. 사후에는 고려 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성품이 곧고 청렴하여 부하들을 아꼈다고 평가받는다. 강화도에 사적비가 건립되었으며, 드라마 《무인시대》와 《무신》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72년 출생 - 보두앵 6세 드 에노
보두앵 6세 드 에노는 에노 백작이자 플랑드르 백작 보두앵 9세로, 제4차 십자군 원정 후 라틴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포로로 잡혀 사망 후 가짜 보두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1172년 출생 - 쇼타 루스타벨리
쇼타 루스타벨리는 조지아의 중세 시인으로, 타마르 여왕 치하에서 재무 장관을 지냈으며, 대표작 《표범 가죽을 두른 기사》는 조지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언양 김씨 - 김천일
김천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 나주에서 의병을 일으켜 한성 수복에 기여한 의병장으로,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열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 언양 김씨 - 김기덕 (1934년)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대학교수였던 김기덕은 1961년 데뷔 후 66편의 영화를 연출하고 대종상 신인감독상을 수상했으며, 은퇴 후 서울예술대학교 영화과 교수로 재직했다. - 고려의 대장군 - 강민첨
강민첨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1018년 고려-거란 전쟁 당시 원수로서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사후 태자태부, 문하시랑평장사로 추증되고 은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대장군 - 문극겸
문극겸은 고려 중기의 문신으로, 문공유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의 7대 외조부이며, 음서로 관직에 입문했으나 과거에 급제하여 간관으로 활동하며 고려 의종의 측근 비리를 비판했고, 무신정변 이후에는 이의방과의 관계를 통해 화를 면하고 중용되어 무신정권의 자문 역할을 수행했으며, 권판상서이부사에 이르러 청백리로 칭송받고 사후 《의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김취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김취려 정보 | |
이름 | 김취려 |
원어 이름 | 김취려(金就礪) |
![]() | |
작위 정보 | |
작위 | 고려의 문하시중 |
휘 | 취려(就礪) |
시호 | 위열(威烈) |
개인 정보 | |
국적 | 고려 |
성별 | 남성 |
출생일 | 1172년 |
출생지 | 고려 |
사망일 | 1234년 |
가문 | 언양 김씨 |
아버지 | 김부(金富) |
군사 정보 | |
복무 | 고려군 |
2. 생애
김취려는 음관으로 등용되어 정위(正尉)에 임명된 후 동궁위(東宮衛)를 거쳐 장군이 되었다. 이후 한순(韓恂) 등이 의주(義州)에서 일으킨 반란을 평정하는 공을 세워 판병부사 시중까지 올랐다. 사후 고려 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2. 1. 거란 격퇴
1216년(고종 3) 거란의 왕자 금산(金山)·금시(金始)가 대요수국왕(大遼收國王)이라 칭하고 몽골군에게 쫓기어 고려 서북면으로 쳐들어왔다. 이들은 서북면에서 행패를 부리고 약탈을 자행하였다.[2]김취려는 이철 등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서북면에서 거란족과 교전하여 무찌르고, 1218년 재침 때에도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원수(元帥) 조충(趙冲)과 함께 평정하였다.[2]
2. 2. 반란 진압 및 관직 생활
김취려는 음관으로 등용되어 정위(正尉)에 임명된 후 동궁위(東宮衛)를 거쳐 장군(將軍)이 되었다. 1216년(고종 3) 거란족 왕자 금산(金山)·금시(金始)가 대요수국왕(大遼收國王)이라 칭하고 몽골군에게 쫓겨 고려 서북면으로 쳐들어왔는데, 이들은 서북면에서 행패를 부리고 약탈을 자행하였다.[1]김취려는 이철 등과 함께 군사를 이끌고 서북면에서 거란족과 교전하여 무찌르고, 1218년 재침 때에도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원수(元帥) 조충(趙冲)과 함께 평정하였다.[1] 또한 한순(韓恂) 등이 의주(義州)에서 일으킨 반란을 평정하는 등 공로가 많아 판병부사 시중까지 되었다.[1] 사후 고려 고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1]
3. 평가
성품이 강직하고 청렴하며, 군기를 엄격하게 유지하면서도 부하들을 고르게 아꼈다. 전투에서는 뛰어난 계책을 많이 활용하여 큰 공을 세웠다.[1] 1983년 6월 강화도에 사적비가 건립되었다.[2]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김수(金壽) | 신호위(神虎衛) 별장 동정(別將 同正) |
조부 | 김언량(金彦良) | 금오위섭랑장(金吾衛攝郞將) |
아버지 | 김부(金富) | 금오위대장군(金吾衛大將軍) 예부상서(禮部尙書) |
어머니 | 주씨(朱氏) | 수검교장군행랑장 세명(世明)의 딸 |
부인 | 조씨(趙氏) | 복야(僕射) 언통(彦通)의 딸 |
아들 | 김전(金佺) | 태부(太傅) |
아들 | 김단병(金丹兵) | 전투 중 전사 |
아들 | 김식(金軾) | 전투 중 전사 |
손자 | 김양감(金良鑑) | 첨의중호(僉議中護), 언양군(彦陽君) - 충렬왕과 충선왕의 후궁 숙창원비의 친정아버지 |
손자 | 김군(金頵) | |
손자 | 김중보(金仲保) | |
손자 | 김변(金賆) | 태학사(太學士) |
딸 | 참지정사 이지위(李之葳)에게 출가, 본관 미상 |
5. 김취려가 등장한 작품
6. 전기 자료
김취려에 관한 전기 자료로는 『고려사』 권103, 「열전」16, 김취려 편과 「김취려 묘지명」이 있다.[1] 묘지명은 김용선 편, 『역주 고려 묘지명 집성 (상)』(개정중판, 한림대학교출판부, 2012)에 수록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고려사 권23, 「세가」23, 고종 21년(1234)
[2]
서적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