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탁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탁환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평론가, 그리고 대학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으며, 해군사관학교, 건양대학교, 한남대학교, KAIST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1994년 평론가로 데뷔하여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소설을 발표했으며, 특히 역사 소설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작품은 여러 차례 드라마와 영화로 각색되었으며, 요산김정한문학상, 카멜레온문학상, 한국가톨릭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산 김씨 - 김지섭
김지섭은 안동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3·1 운동 참여 후 의열단에 가입하여 일본 시설 파괴를 시도하다 체포되어 옥중에서 사망했으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김탁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김탁환 |
| 한글 표기 | 김탁환 |
| 한자 표기 | 金琸桓 |
| 로마자 표기 | Gim Tak-hwan |
| 출생 | 1968년 |
| 출생지 | 경상남도진해시 (현재의 창원시 진해구) |
| 국적 | 대한민국 |
| 직업 | 소설가 |
| 학력 | |
| 모교 | 서울대학교 |
| 작품 활동 | |
| 활동 기간 | 1994년 - 현재 |
| 장르 | 소설 |
| 데뷔 작품 | 「동아시아의 소설의 힘」 |
| 대표 작품 | 「불멸의 이순신」 |
2. 생애
1968년 10월 27일, 경상남도 진해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해군사관학교 교수, 건양대학교 전임강사, 한남대학교 조교수, KAIST 부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로서 집필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경상남도 진해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문화잡지 《상상》의 편집위원, 《1/n》의 주간으로 활동하였다. 해군사관학교 교수부 사회인문학처 국어교수를 거쳐 건양대학교 문학영상정보학부 전임강사, 한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조교수,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부교수로 재직했다.
1994년 계간 문예지 '상상'에 평론 '동아시아 소설의 힘'을 발표하며 평론가로 데뷔하였고, 1996년에는 첫 소설 《열두 마리 고래의 사랑 이야기》를 출간하며 소설가로 데뷔하였다. 그 후 소설적인 기법과 형식을 실험하며 역사와 현실을 넘나드는 독특한 소재로 많은 소설을 발표했다. 《불멸의 이순신》, 《나, 황진이》, 《허균, 최후의 19일》은 드라마로 제작되었고, 《열녀문의 비밀》은 영화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로, 《노서아가비》는 영화 《가비》로, 《조선마술사》, 《대장 김창수》는 각각 동명 영화로 제작되었다. 2016년 제33회 요산김정한문학상, 2018년 카멜레온문학상, 2024년 제27회 한국가톨릭문학상을 받았다.
3. 작가 활동
1994년 ‘상상’에 평론 ‘동아시아 소설의 힘’을 발표하며 평론가로 데뷔하였고, 1996년 처녀장편 《열두 마리 고래의 사랑이야기》를 출간하면서 소설가가 되었다. 그 후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소설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2016년 10월 제33회 요산김정한문학상, 2018년 4월 카멜레온문학상, 2024년 5월 제27회 한국가톨릭문학상을 받았다.
3. 1. 작품 경향
김탁환의 거의 모든 소설은 봉건 왕조가 여전히 도전받지 않았지만, 근대 시대의 도래에 대한 대응 요구가 들려오기 시작했던 시기인 조선 후기(1392–1910)를 배경으로 한다. 김탁환은 단순한 역사적 인물과 사건의 재현에 만족하지 않고, 그의 작품을 통해 독자들이 과거와 현재 사이의 지속성과 소통의 감각을 발견하기를 항상 바란다.[3]
이순신에 관한 4권짜리 소설인 『불멸』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일본 침략군과의 해상 전투에서 승리한 유명한 해군 장군인 이순신의 인간적인 모습과 내면의 갈등에 초점을 맞춘다. 김탁환은 이 소설을 8권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제목인 『불멸의 이순신』으로 출판했다. 또 다른 역사 소설인 『허균, 최후의 19일』은 허균의 삶을 상세히 묘사한다. 허균은 조선 중기의 작가이자 혁명가이며, 고전 소설인 『홍길동전』의 저자이기도 하며, 동시에 1980년대 지식인들이 겪었던 절망감과 열정을 전달한다. 이와 유사하게, 전설적인 장군 임경업의 삶에 대한 7권짜리 소설인 『압록강』에 표현된 감정은 동구권 몰락으로 인해 1990년대 지식인들을 괴롭힌 혼란의 감각과 평행을 이룬다. 『나, 황진이』는 뛰어난 문인이자 지식인이었던 조선 시대 유명 기생 황진이의 삶을 극화했다. 이 소설은 풍부한 주석과 부록을 포함하는 비평 판으로도 출판되었다.[4]
3. 2. 대표작
3. 3. 드라마
| 년도 | 각색 작품 | 비고 | 원작 |
|---|---|---|---|
| 2000–2001 | 천둥소리 | 텔레비전 드라마 (KBS2) | 허균, 최후의 19일 |
| 2004–2005 | 불멸의 이순신 | 텔레비전 드라마 (KBS1) | 불멸의 이순신 |
| 2005 |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 | HDTV 문학관 에피소드 (KBS1)[6] |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 |
| 2006 | 황진이 | 텔레비전 드라마 (KBS2) | 나, 황진이 |
| 2014 | 독도평전 | EBS 3.1절 특집 드라마 | 독도평전 |
3. 4. 영화
김탁환의 소설 여러 편이 영화로 만들어졌다.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원작: 《열녀문의 비밀》), 《가비》(원작: 《노서아 가비》), 《조선마술사》(원작: 김탁환의 소설), 《대장 김창수》(원작: 김탁환의 소설) 등이 있다. 또한, 《오싹한 연애》는 기획에 참여했다.[5] 그의 소설 《파리의 조선 궁녀》, 《방각본 살인사건》, 《부여 현감 유령을 잡다》의 영화 판권이 이미 판매되었다.[5]| 년도 | 각색 작품 | 비고 | 원작 |
|---|---|---|---|
| 2011 |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 | 영화 | 열녀문의 비밀 |
| 2011 | 오싹한 연애 | 영화, 기획 | |
| 2012 | 가비 | 영화 | 노서아 가비 |
| 2015 | 조선마술사 | 영화 | |
| 2017 | 대장 김창수 | 영화 | |
| 2018 | 조선명탐정: 흡혈괴마의 비밀 | 영화 | The Banggakbon Murder Case |
4. 기타 경력
경상남도 진해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해군사관학교 교수부 사회인문학처 국어교수를 거쳐 건양대학교 문학영상정보학부 전임강사, 한남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조교수,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부교수로 재직했다.
| 연도 | 내용 |
|---|---|
| 1995년-1998년 | 문화계간지 《상상》 편집위원 |
| 2009년-2011년 | 문화계간지 《1/n》 주간 |
| 2009년 | 국회도서관 홍보대사 |
| 2010년-현재 | 한국범보전기금 홍보대사 |
5. 출간작 목록
| 출간일 | 제목 | 비고 |
|---|---|---|
| 1996년 1월 | 《열두 마리 고래의 사랑이야기》 | 장편소설, 살림 |
| 1996년 10월 | 《소설 중독》 | 문학평론집, 살림 |
| 1996년 10월 | 《진정성 너머의 세계》 | 문학평론집, 살림 |
| 1998년 9월-10월 | 《불멸》 | 장편소설, 전4권, 미래지성 |
| 1999년 7월 | 《누가 내 애인을 사랑했을까》 | 장편소설, 푸른숲 |
| 1999년 12월 | 《허균, 최후의 19일》 | 장편소설, 전2권, 푸른숲 |
| 2000년 12월-2001년 4월 | 《압록강》 | 장편소설, 전7권, 열음사 |
| 2001년 12월 | 《독도 평전》 | 장편소설, 휴머니스트 |
| 2002년 8월 | 《나, 황진이》 | 장편소설, 푸른역사 |
| 2002년 10월 | 《한국소설창작방법연구》 | 문학평론집, 문경 |
| 2002년 11월 | 《서러워라, 잊혀진다는 것은》 | 장편소설, 동방미디어 |
| 2003년 7월 | 《방각본 살인사건》 | 장편소설, 전2권, 황금가지 |
| 2003년 7월-11월 | 오페라 《이순신》 대본 집필 | 러시아 페테르부르크 공연(2003년 11월 14일-16일), 서울 KBS 홀 공연(2005년 12월 3일-4일) |
| 2004년 6월-12월 | 《불멸의 이순신》 | 장편소설, 전8권, 황금가지, 1998년 《불멸》 전면 개작 |
| 2005년 1월 | 《부여현감 귀신체포기》 | 장편소설, 전2권, 이가서 |
| 2005년 6월 | 《열녀문의 비밀》 | 장편소설, 전2권, 황금가지 |
| 2005년 8월 | 《한국고전소설의 세계》 | 연구서, 공저, 돌베게 |
| 2006년 1월-6월 | 《애이불비-백제인의 사랑》 | 장편소설, 대전일보 연재 |
| 2006년 4월 | 《진해벚꽃》 | 단편소설집, 민음인 |
| 2006년 9월 | 《파리의 조선궁녀, 리심》 | 장편소설, 전3권, 민음사 |
| 2007년 1월-4월 | 《노서아가비》 | 중편소설, 한국문학 연재 |
| 2007년 4월-2008년 1월 | 《여인의 초상》 | 중편소설, 과학동아 연재 |
| 2007년 9월 | 《열하광인》 | 장편소설, 전2권, 민음사 |
| 2008년 5월-6월 | 《당신은 식인종》 | 중편소설, 판타스틱 연재 |
| 2008년 7월 | 《혜초》 | 장편소설, 전2권, 민음사 |
| 2008년 12월 | 《김탁환의 독서열전-뒤적뒤적끼적끼적》 | 서평집, 민음사 |
| 2009년 1월 | 《홍길동전》 | 허균 저, 김탁환 풀어 씀, 백범영 그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00번 |
| 2009년 2월 | 《허균, 최후의 19일》 | 민음사판 재출간 |
| 2009년 5월 | 《천년습작-김탁환의 따듯한 글쓰기 특강》 | 살림 |
| 2009년 7월 | 《노서아가비》 | 장편소설, 살림 |
| 2009년 1월-9월 | 《눈먼 시계공》 | 장편소설, 동아일보 연재 |
| 2009년 11월 | 《99-드라큘라 사진관으로의 초대》 | 연작중단편집, 강영호와 공저, 살림 |
| 2009년 12월-2010년 4월 | 《잔혹하고 애틋한 사랑의 여왕》 | 장편소설, 인터넷 교보문고 연재, 강영호와 공저 |
| 2010년 5월 | 《눈먼 시계공》 | 장편소설, 전2권, 민음사, 정재승과 공저 |
| 2010년 11월 | 《밀림무정》 | 장편소설, 전2권, 다산북스 |
| 2011년 8월 | 《김탁환의 쉐이크》 | 작법서, 다산북스 |
| 2011년 11월 | 《김탁환의 원고지》 | 창작일기, 황소자리 |
| 2011년 12월 |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 왕대》 | 장편생태동화, 살림 |
| 2011년 11월-2012년 10월 | 《BANK》 | 장편소설, 문화일보 연재 |
| 2012년 10월 | 《과학, 10월의 하늘을 날다》 | 공저, 청어람미디어 |
| 2013년 3월 | 《BANK》 | 장편소설, 전3권, 살림 |
| 2014년 2월 | 《혁명-광활한 인간 정도전》 | 장편소설, 전2권, 민음사 |
| 2014년 7월 | 《왕대 휴전선을 넘다》 | 장편생태동화, 살림 |
| 2014년 7월 | 《백두산 으뜸 호랑이 왕대》 | 장편생태동화, 살림 |
| 2014년 11월 | 《읽어가겠다》 | 서평집, 다산책방 |
| 2014년 11월 | 《조선누아르, 범죄의 기원》 | 민음사, 이원태와 공저, 원탁의 첫 장편 |
| 2015년 2월 | 《목격자들》 | 장편소설, 전2권, 민음사 |
| 2015년 9월 | 《아비 그리울 때 보라》 | 산문집, 난다 |
| 2015년 11월 | 《조선마술사》 | 민음사, 이원태와 공저, 원탁의 두 번째 장편 |
| 2016년 5월 | 《아편전쟁》 | 민음사, 이원태와 공저, 원탁의 세 번째 장편 |
| 2016년 8월 | 《거짓말이다》 | 북스피어 |
| 2017년 3월 | 《엄마의 골목》 | 에세이집, 난다 |
| 2017년 4월 | 《아름다운 그이는 사람이어라》 | 중단편소설집, 돌베개 |
| 2017년 6월 | 《그래서 그는 바다로 갔다》 | 에세이집, 북스피어 |
| 2017년 10월 | 《대장 김창수》 | 이원태와 공저, 원탁의 네 번째 장편, 돌베개 |
| 2017년 11월 | 《가시리》 | 황소자리 |
| 2018년 6월 | 《이토록 고고한 연예》 | 북스피어 |
| 2018년 10월 | 《살아야겠다》 | 북스피어 |
| 2019년 5월 | 《대소설의 시대》 | 장편소설, 전2권, 민음사 |
| 2020년 8월 |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 | 에세이집, 해냄 |
| 2021년 3월 | 《당신이 어떻게 내게로 왔을까》 | 장편소설, 전2권, 해냄 |
| 2022년 4월 | 《김탁환의 섬진강 일기》 | 에세이집, 해냄 |
| 2023년 9월 | 《사랑과 혁명》 | 장편소설, 전3권, 해냄 |
| 2024년 9월 | 《참 좋았더라 : 이중섭의 화양연화》 | 장편소설, 남해의 봄날 |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Writers of the LTI Korea Library
http://library.klti.[...]
LTI Korea
2015-07-31
[2]
웹사이트
김탁환
[3]
웹사이트
Ma Jonggi
[4]
웹사이트
Kim Tak-hwani
[5]
웹사이트
From Print to Screen and Back Again: The Dramatization of Novels, the Novelization of Dramas
http://www.list.or.k[...]
2011-01-01
[6]
웹사이트
http://www.kbs.co.kr[...]
[7]
네이버
김탁환
http://people.search[...]
[8]
웹사이트
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