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식 (권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태식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1980년 세계복싱협회(WBA)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1977년 프로 데뷔 후, 1980년 루이스 이바라를 꺾고 WBA 플라이급 챔피언이 되었으나, 1980년 12월 2차 방어전에서 패하여 타이틀을 잃었다. 이후 세계복싱평의회(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으나 실패했고, 1982년 재기전에서 승리 후 뇌수술을 받고 은퇴했다. 은퇴 후 김태식 복싱짐 관장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플라이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이열우
이열우는 1985년 프로 복싱 선수로 데뷔하여 WBC, WBA 챔피언을 석권하고 통산 22전 19승을 기록했으며, 2009년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 동해시 출신 - 이철규 (1957년)
이철규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경찰청 정보국 국장 등을 지냈으며, 보수 정당에서 당직을 역임하고 국민의힘 사무총장을 거쳐 현재 제22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나, 정치 활동 과정에서 여러 논란이 있었다. - 동해시 출신 - 배재성 (기자)
배재성은 KBS 스포츠 취재부장, 스포츠국장, KBS 스포츠 대표 등을 역임하고 스포츠미디어학회 회장, 소비자분쟁조정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언론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체육학 박사이다. - 플라이급 권투 선수 - 박찬희 (권투 선수)
1976년 올림픽 국가대표이자 WBC 플라이급 세계 챔피언이었던 박찬희는 5차 방어에 성공한 후 1982년 은퇴한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이다. - 플라이급 권투 선수 - 카를로스 팔람
필리핀 복싱 선수 카를로스 팔람은 가난을 극복하고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아시안 게임, 동남아시아 게임 등에서 메달을 획득하고, 2020년 도쿄 올림픽 플라이급에서 은메달, 2024년 파리 올림픽에 출전하는 등 필리핀에 기여한 인물이다.
김태식 (권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태식 |
출생일 | 1957년 7월 4일 |
출생지 | 강원도 묵호읍 |
국적 | 대한민국 |
링네임 | 해당사항 없음 |
선수 경력 | |
체급 | 플라이급 |
신장 | 5 ft 3+1/2 in |
스타일 | 오소독스 |
총 경기 수 | 20 |
승리 | 17 |
KO승 | 13 |
패배 | 3 |
무승부 | 0 |
무효 경기 | 0 |
프로 데뷔 | 1977년 |
은퇴 | 1982년 |
2. 생애
1956년 강원도 명주군 묵호읍(현 동해시)에서 태어났다. 1977년 9월 30일 프로 복싱에 데뷔했으며, 1980년 2월 17일 서울에서 열린 세계복싱협회(WBA) 플라이급 타이틀전에서 루이스 이바라를 2회 KO로 꺾고 세계 챔피언에 올랐다. 같은 해 12월 타이틀을 잃었고, 1981년 세계복싱평의회(WBC) 플라이급 타이틀 도전에도 실패했다. 1982년 9월 4일 재기전에서 승리했으나, 경기 후 뇌수술을 받고 후유증으로 인해 은퇴했다. 은퇴 후 2007년 5월 김태식 복싱짐 관장이 되었다.
2. 1. 프로 데뷔 및 세계 챔피언 등극
1977년 9월 30일 프로 복싱에 데뷔했다. 1980년 2월 17일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세계복싱협회(WBA) 플라이급 타이틀전에서 챔피언 루이스 이바라를 2회 KO로 꺾고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 같은 해 한 차례 타이틀 방어에 성공했으나,[1] 1980년 12월 LA에서 열린 2차 방어전에서 피터 마테불라에게 2-1 스플릿 판정으로 패배하며 타이틀을 잃었다.[1]1981년 8월, 세계복싱평의회(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지만 멕시코의 안토니오 아벨라에게 2회 KO로 패배했다.[2]
1982년 9월 4일 대구에서 알베르토 라미레스와 논타이틀 재기전을 치러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경기 직후 판정이 내려진 뒤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고, 뇌출혈 진단을 받아 수술을 받았다. 3일간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깨어났지만,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후유증으로 인해 은퇴할 수밖에 없었다.
2. 2. 타이틀 상실 및 WBC 도전
1980년 12월 미국 LA에서 열린 세계복싱협회(WBA) 플라이급 2차 방어전에서 피터 마테불라에게 1-2 스플릿 판정으로 패하며 타이틀을 잃었다.[1]1981년 8월에는 멕시코의 안토니오 아벨라를 상대로 세계복싱평의회(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지만, 2라운드 KO패를 당했다.[2] 1982년 9월 4일 대구에서 콜롬비아의 알베르토 라미레스와 논타이틀 재기전에서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경기 직후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으로 옮겨졌고, 뇌출혈 진단을 받아 뇌수술을 받았다. 3일간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깨어났으나, 이 후유증으로 인해 결국 선수 생활을 은퇴하게 되었다.
2. 3. 뇌수술 및 은퇴
1981년, 김태식은 세계 권투 평의회(WBC) 플라이급 타이틀에 도전했지만 멕시코의 안토니오 아벨라에게 2라운드 KO로 패배했다.[2]1982년 9월 4일 대구에서 열린 논타이틀 재기전에서 알베르토 라미레스를 상대로 스플릿 판정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판정 직후 의식을 잃고 쓰러져 즉시 병원으로 옮겨졌다. 검사 결과 뇌출혈 진단을 받고 응급 수술을 받았다. 김태식은 수술 후 3일 동안 혼수상태에 빠졌으며, 이 사건의 후유증으로 인해 결국 선수 생활을 강제로 은퇴하게 되었다.
2. 4. 은퇴 이후
2007년 5월 김태식 복싱짐 관장이 됐다.3. 프로 전적
번호 | 결과 | 전적 | 상대 | 타입 | 라운드, 시간 | 날짜 | 장소 | 비고 |
---|---|---|---|---|---|---|---|---|
20 | 승 | 17–3 | 로베르토 라미레즈 | 판정승 | 10 (10) | 1982-09-04 | 대구 실내체육관, 대구, 대한민국 | |
19 | 승 | 16–3 | 후나키 카즈요시 | KO승 | 5 (10) | 1982-02-13 | 대구 실내체육관, 대구, 대한민국 | |
18 | 패 | 15–3 | 안토니오 아벨라르 | KO패 | 2 (15) | 1981-08-30 | 장충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WBC 플라이급 타이틀 매치 |
17 | 승 | 15–2 | 헨리 발리나 | KO승 | 2 (10) | 1981-04-12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
16 | 패 | 14–2 | 피터 마테불라 | 판정패 | 15 (15) | 1980-12-13 | 올림픽 오디토리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WBA 플라이급 타이틀 상실 |
15 | 승 | 14–1 | 아르넬 아로잘 | 판정승 | 15 (15) | 1980-06-29 | 장충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WBA 플라이급 타이틀 방어 |
14 | 승 | 13–1 | 루이스 이바라 | KO승 | 2 (15) | 1980-02-17 | 장충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WBA 플라이급 타이틀 획득 |
13 | 승 | 12–1 | 이가라시 치카라 | KO승 | 4 (10) | 1979-11-18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
12 | 승 | 11–1 | 윌리엄 데벨로스 | KO승 | 5 (10) | 1979-08-26 | 서울, 대한민국 | |
11 | 승 | 10–1 | 플래시 잭던 | KO승 | 2 (10) | 1979-03-11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
10 | 승 | 9–1 | 티토 아벨라 | KO승 | 3 (10) | 1979-01-14 | 구덕체육관, 부산, 대한민국 | |
9 | 승 | 8–1 | 크리앙크라이 잉삭 | KO승 | 2 (10) | 1978-11-18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
8 | 승 | 7–1 | 와타나베 노부유키 | KO승 | 1 (10) | 1978-10-03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
7 | 승 | 6–1 | 우치다 미키오 | KO승 | 2 (10) | 1978-05-13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
6 | 승 | 5–1 | 문정운 | KO승 | 3 (6) | 1978-02-12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
5 | 승 | 4–1 | 이성국 | KO승 | 3 (?) | 1977-12-24 | 서울, 대한민국 | |
4 | 승 | 3–1 | 김종규 | 판정승 | 6 (6) | 1977-12-19 | 서울, 대한민국 | |
3 | 승 | 2–1 | 문영식 | KO승 | 1 (4) | 1977-12-16 | 서울, 대한민국 | |
2 | 승 | 1–1 | 신갑철 | 판정승 | 4 (4) | 1977-11-06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
1 | 패 | 0–1 | 고기봉 | KO패 | 3 (4) | 1977-09-30 | 문화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4. 일화
- 1977년 9월 30일 프로 복싱 데뷔전에서 3회 KO패를 당했다.
- 전성기 시절 구사했던 훅은 일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 아넬 아로살과의 경기 도중 턱이 부서지는 부상을 입었다.
- 은퇴 후에는 면목동에서 고깃집을 운영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rgentinian flyweight Santos Laciar, ignoring a world blacklist of...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24-03-17
[2]
웹사이트
AVELAR, WORLD FLYWEIGHT BOXING CHAMPION, RETAINS TITLE
https://www.britishp[...]
Pathé News
2024-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