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노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노리는 일본어에서 인명이나 지명에 사용되는 한자의 독음을 뜻하며, 일반적인 음독이나 훈독과는 다르게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독음은 한자의 의미와 관련이 있으며, 후리가나가 없을 경우 읽는 법을 알기 어려울 수 있다. 일본에서는 한자로 적힌 이름의 읽는 법을 묻는 것이 실례가 아니다. 또한 나노리는 전투에서 무사가 자신의 신분, 가문, 전공 등을 밝히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는 개인의 명예를 중시하는 봉건적 가치관을 반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의 한자 - 정체자
    정체자는 전통적인 중국 한자로 대한민국, 대만, 홍콩, 마카오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번체자, 일본에서는 구자체라고도 불린다.
  • 일본어의 한자 - 당용한자
    당용한자는 일본에서 제정된 한자 제한 정책에 따라 선정된 1,850자의 한자 목록으로, 일본어 간소화와 교육 효율성 증진을 위해 공적 영역에서 한자 사용 범위를 제한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며, 상용한자표로 대체되었지만 일본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사 - 사무라이
    사무라이는 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일본의 무사 계급을 일컫는 말로, 본래 귀족을 섬기는 사람을 뜻하는 '사부라이'에서 유래하여 쇼군을 섬기는 무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변화했으며, 무사도를 따르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무사 - 무사도
    무사도는 중세 일본에서 시작하여 에도 시대에 발전한 사무라이의 윤리 및 생활 방식으로, 진실성, 충성, 명예 등을 중시하며 선종, 유교 등의 영향을 받아 체계화되었고 현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노리
정의
설명일본 이름에 사용되는 한자의 특별한 읽기 방식
특징
사용 목적이름의 다양한 음역 가능성을 제공
예시ja (희망 희): , , 등으로 읽힐 수 있음
예시 (성씨)
예시ja (성씨 이다): ja는 또는 으로, ja는 또는 로 읽힐 수 있음

2. 인명과 지명에서의 나노리

일본어에서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는 보통 일반적인 음독과 훈독을 사용하나,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인명으로 쓰인 希를 노조미(のぞみ)로 읽거나, 飯을 이이(いい)로 읽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지명이자 성이기도 한 飯田(いいだ, 이이다)의 경우는 나노리와 일반 훈독이 함께 쓰인 경우다.

대개 나노리로 사용되는 읽기는 그 한자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 것이 많고, 예전에 나노리가 일반적인 읽기로 쓰였을 흔적일 수도 있다. 나노리는 일본어의 음독이나 훈독처럼 읽는 방법이 여러 개인 경우가 많아서, 후리가나가 없을 경우 어떻게 읽는지 알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한자로 적힌 이름의 읽는 법을 물어보는 것이 실례가 아니며, 읽는 법을 묻지 않고 잘못 읽었을 경우가 오히려 실례라고 할 수 있다.

2. 1. 개요

2. 2. 주의사항

일본어에서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는 일반적인 음독과 훈독을 사용하나,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나노리라고 한다. 예를 들어 여성의 인명으로 쓰인 希를 노조미(のぞみ)로 읽거나, 飯을 이이(いい)로 읽는 것 등이 있다. 지명이자 성이기도 한 飯田(いいだ, 이이다)의 경우는 나노리와 일반 훈독이 함께 쓰인 경우다. 나노리로 사용되는 읽기는 한자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고, 예전에 나노리가 일반적인 읽기로 쓰였을 흔적일 수도 있다. 나노리는 읽는 방법이 여러 개인 경우가 많아서, 후리가나가 없을 경우 어떻게 읽는지 알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한자로 적힌 이름의 읽는 법을 물어보는 것이 실례가 아니며, 읽는 법을 묻지 않고 잘못 읽었을 경우가 오히려 실례이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이름을 잘못 발음하거나 표기하는 것이 실례가 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다.

2. 3. 인명 훈의 예시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일본어에서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는 보통 일반적인 음독과 훈독을 사용하나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인명으로 쓰인 希를 노조미(のぞみ)로 읽거나, 飯을 이이(いい)로 읽는 것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지명이자, 성이기도 한 飯田(いいだ, 이이다)의 경우는 나노리와 일반 훈독이 함께 쓰인 경우다. 대개 나노리로 사용되는 읽기는 그 한자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 것이 많고, 예전에 나노리가 일반적인 읽기로 쓰였을 흔적일 수도 있다. 나노리는 일본어의 음독이나 훈독이 그렇듯이 그 읽는 방법이 여러 개인 경우가 많아서, 후리가나가 없을 경우, 어떻게 읽는지 알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한자로 적힌 이름의 읽는 법을 물어보는 것이 실례가 아니며, 읽는 법을 묻지 않고 잘못 읽었을 경우가 오히려 실례라고 할 수 있다.

'''나오(なお)'''

곧은, 또는 "더욱~같다"는 의미의 글자를 사용한다.

  • 예시(직(直), 숭상할 상(尚), 다스릴 치(治), 오히려 유(猶), 클 거(巨) 등)

: 전자의 의미를 가진 글자로 "나오키", "나오미", "스나오" 등의 인명 훈도 사용한다.

'''나고미·나고무(なごみ・なごむ)'''

  • 예시(화(和) 등)


'''나라우(ならう)'''

주로 흉내내다, 또는 배우다라는 자의·자훈을 가진 것에 이 인명 훈이 사용된다.

  • 예시(익힐 습(習), 본뜰 모(模), 따뜻할 온(温), 본받을 방(倣) 등)


'''나리·나루(なり・なる)'''

  • 예시(이룰 성(成), 나아갈 취(就), 어찌 재(哉), 어조사 야(也), 날 생(生) 등)


'''노도카(のどか)'''

주로 평화로움, 또는 한산함·여유로움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 예시(화(和), 따뜻할 온(温), 한가할 한(閑) 등)


'''노부(노비루·노부루·노베루·노보루)(のぶ(のびる・のぶる・のべる・のぼる))'''

뻗어나감, 또는 말하다, 넓히다, 퍼뜨리다라는 의미의 글자를 사용한다.

  • 예시(믿을 신(信), 펼 신(伸), 끌 연(延), 펼 창(暢), 베풀 선(宣), 펼 전(展), 늘어놓을 진(陳), 펼 연(演), 아뢸 신(申), 인(寅), 펼 부(敷), 펼 포(布) 등)

: 또한, 이 중 정식으로 채용된 "류(劉)"는 고유의 인명 훈 "미즈치"를 가진 글자이기도 하다.

'''노리(のり)'''

"규칙을 따르다", "전하다·알리다", "(일에) 타다", "(일이) 열매 맺다"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진 글자에 폭넓게 사용된다.

또한, "노토루" 등의 자훈·자의를 가진 것을 중심으로 "노리토"와 "노리시"로 가차·전용하는 경우가 있다.

  • 예시(기록할 기(紀), 덕 덕(徳), 법 전(典), 법 헌(憲), 법 범(範), 법 법(法), 가르칠 교(教), 규칙 규(規), 기록할 기(記), 기록할 록(録), 전할 전(伝), 알릴 고(告), 베풀 선(宣), 탈 승(乗), 인도할 도(導), 식(式), 기록할 록(録), 예절 례(礼), 푸를 록(緑), 의식 의(儀) 등)

2. 3. 1. あ행



더불어, "가을"과 같이 인명 훈의 목록에 "아키라"라고 있으면서, 자의적으로는 전혀 관계가 없는 것으로부터 인명에 사용된 사례가 현재 거의 전무하다는 상황에 있는 것도 존재한다.

: * 예(明・昭・昌・晶・章・彰・顕・晃 등)

: 또한, 이와는 별개로 "랑"은 자훈 "호가라"( "아키라카"의 전용)에서 고유의 인명 훈 "호가라"가 공식적인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 아가리・아가루・아구・아구루

: * 예(上・掲・揚 등)

; 아츠・아타루・아테(츠)루

사물에 해당하다(아테루)라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 * 예(当・中・中 등)

; 아츠・아츠시(정신면)

(진심이) 뜨겁다, 성실하다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 * 예(淳・敦・篤・厚 등)

; 아츠・아츠시(온도면)

(온도가) 뜨겁다, 혹은 열기를 띤다는 의미를 가진 글자가 사용된다.

: * 예(熱・暑・煖 등)

; 아츠・아츠무

사물을 모으다, 혹은 모인다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 * 예(温・集・全・ অপরা・撰 등)

; 아야

문양이나 선명함에 관한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또한, '''"말의 '아야'"'''라는 의미로도 "문"이 인명 훈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 예(文・彩・綾・鮮・錩・礼・章 등)

; 아라・아라타・아타라[5]

주로 "새로운", "고치다"의 자의・자훈의 글자에 사용되는 것으로 대별된다. "황"은 자훈 "거칠다"에서, "난"은 고유의 자훈(국훈) "아라시"에서.

: * 예(新・鮮・改・廻 등)

; 아와이・아와시

"농담이 옅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다. 더불어, "담"은 우리나라에 원래 있던 구 령제국 혹은 그 유래가 되는 효고현의 섬에서의 유추・전용으로 "아와지"를 인명 훈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 * 예(淡 등)

; 이사

주로 "이사오", "이사미", "이사무"에서 가차・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에 사용된다. 또한, "사", "사"는 고유의 자의 "이 사고"에서 유래.

: * 예(勲・功・勇・績・事)

; 이즈미・이즈미

물의 나오는 장소가 본래의 의미. 다만, 일본적 유추[6]로 "화"가 사용된다[7].

: * 예(泉・泌・和)

; 이즈루

: * 예(出・ச்சல் 등)

; 이타루

(사물이) 미치다, 도달하다, 또는 어떤 시점・시간에 도달한다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주로 "지"에 관한 부수 구성의 한자에는 거의 모두 붙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유사(혹은 동의)로 하는 "미치다"의 자훈을 가진 글자에 대해서도 사용되는 것이 있다.

또한, 의미상 관계상 "유키"의 인명 훈으로 전용하는 경우도 있다(인명 훈으로 정식으로 인정되고 있는 글자도 많다).

: * 예(至・道・致・及・지・격 등)

; 이루루

(사물에) 넣다, 들어가다라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자훈에서 사용되는 글자가 압도적으로 많다.

: * 예(入・容 등)

; 오키

일어나다라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 예(흥・기・의・륭 등)

; 오사무

(사물을) 다스리다, 또는 고치다, 바로잡다라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되고 있다.

:* 예(수・치・리・수・통・사・총 등)

2. 3. 2. か행

일본어에서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는 보통 일반적인 음독과 훈독을 사용하나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있다.

; 카즈(かず)

수나 계산과 관련된 글자의 뜻을 가진 글자가 많이 할당된다.

  • 예 (和, 一, 円, 順, 員, 計, 収, 量, 数, 運, 師 등)


; 카케루(かける)

  • 예 (掛, 翔, 駆, 走, 架 등)

2. 3. 3. さ행

일본어에서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는 보통 일반적인 음독과 훈독을 사용하나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있다.

; 사다・사다무

정해져 있다, 지킨다는 의미의 글자가 할당된다.

  • 예 (定: 정할 정, 貞: 곧을 정, 禎: 상서로울 정, 正: 바를 정, 理: 다스릴 리 등)

; 시게・시게루・시게시

무성하게 우거지다, 또는 정도가 심하다는 의미의 글자가 할당된다.

  • 예 (茂: 무성할 무, 繁: 번성할 번, 滋: 불어날 자, 重: 무거울 중, 甚: 심할 심, 樹: 나무 수, 秀: 빼어날 수, 成: 이룰 성 등)

2. 3. 4. た행

존귀하다, 공손하다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또한, 단순히 고저차 등의 관계에서 자훈・자의에서 인명훈으로 전용된 글자도 많다.

  • 예(孝, 隆, 敬, 貴, 尊, 崇, 尚, 賢, 聖, 高, 考, 恭, 天, 堂, 誉, 尭 등)


맹렬하다, 씩씩하다는 의미의 글자가 사용된다.

  • 예(壮, 剛, 武, 猛, 毅, 雄, 孟 등)

2. 3. 5. な행

일본어에서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는 보통 일반적인 음독과 훈독을 사용하나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인명으로 쓰인 希를 노조미(のぞみ)로 읽거나, 飯을 이이(いい)로 읽는 것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지명이자, 성이기도 한 飯田(いいだ, 이이다)의 경우는 나노리와 일반 훈독이 함께 쓰인 경우다. 대개 나노리로 사용되는 읽기는 그 한자의 의미와 관련이 있는 것이 많고, 예전에 나노리가 일반적인 읽기로 쓰였을 흔적일 수도 있다. 나노리는 일본어의 음독이나 훈독이 그렇듯이 그 읽는 방법이 여러 개인 경우가 많아서, 후리가나가 없을 경우, 어떻게 읽는지 알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한자로 적힌 이름의 읽는 법을 물어보는 것이 실례가 아니며, 읽는 법을 묻지 않고 잘못 읽었을 경우가 오히려 실례라고 할 수 있다.

'''나오(なお)'''

곧은, 또는 "더욱~같다"는 의미의 글자를 사용한다.

  • 예시(직(直), 숭상할 상(尚), 다스릴 치(治), 오히려 유(猶), 클 거(巨) 등)

: 전자의 의미를 가진 글자로 "나오키", "나오미", "스나오" 등의 인명 훈도 사용한다.

'''나고미·나고무(なごみ・なごむ)'''

  • 예시(화(和) 등)


'''나라우(ならう)'''

주로 흉내내다, 또는 배우다라는 자의·자훈을 가진 것에 이 인명 훈이 사용된다.

  • 예시(익힐 습(習), 본뜰 모(模), 따뜻할 온(温), 본받을 방(倣) 등)


'''나리·나루(なり・なる)'''

  • 예시(이룰 성(成), 나아갈 취(就), 어찌 재(哉), 어조사 야(也), 날 생(生) 등)


'''노도카(のどか)'''

주로 평화로움, 또는 한산함·여유로움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 예시(화(和), 따뜻할 온(温), 한가할 한(閑) 등)


'''노부(노비루·노부루·노베루·노보루)(のぶ(のびる・のぶる・のべる・のぼる))'''

뻗어나감, 또는 말하다, 넓히다, 퍼뜨리다라는 의미의 글자를 사용한다.

  • 예시(믿을 신(信), 펼 신(伸), 끌 연(延), 펼 창(暢), 베풀 선(宣), 펼 전(展), 늘어놓을 진(陳), 펼 연(演), 아뢸 신(申), 인(寅), 펼 부(敷), 펼 포(布) 등)

: 또한, 이 중 정식으로 채용된 "류(劉)"는 고유의 인명 훈 "미즈치"를 가진 글자이기도 하다.

'''노리(のり)'''

"규칙을 따르다", "전하다·알리다", "(일에) 타다", "(일이) 열매 맺다"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진 글자에 폭넓게 사용된다.

또한, "노토루" 등의 자훈·자의를 가진 것을 중심으로 "노리토"와 "노리시"로 가차·전용하는 경우가 있다.

  • 예시(기록할 기(紀), 덕 덕(徳), 법 전(典), 법 헌(憲), 법 범(範), 법 법(法), 가르칠 교(教), 규칙 규(規), 기록할 기(記), 기록할 록(録), 전할 전(伝), 알릴 고(告), 베풀 선(宣), 탈 승(乗), 인도할 도(導), 식(式), 기록할 록(録), 예절 례(礼), 푸를 록(緑), 의식 의(儀) 등)

2. 3. 6. は행

덧붙여, "춘"의 자훈 "하루"는 계절의 "시작"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 예 (청, 치, , 영, 유, 요, 료, 장, 춘 등)

;하루카

아득히 멀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 예 (요, 료, 유, 원 등)

;히사·히사시

오래된, 연월이라는 의미의 글자를 사용한다.

  • 예 (구, 상, 수, 유 등)

;히데·히데시·히이즈(히이데)·히즈루

  • 예 (수, 영, 영, 영, 걸, 위, 화 등)

: 또한, 이와 별개로 "영", "정"도 인명 훈으로 "히데"로 읽게 하는 예가 있다[10]

;히토시

"같다", "같다", "정돈되다 (정돈하다)" 등의 의미로 널리 사용된다.

  • 예 (등, 균, 일, 동, 정, 제, 인 등)

: "인", "제"[11] 등은 유추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돈되다 (정돈하다)"라는 의미의 글자에는 경우에 따라 인명 훈 "오사무"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히나타

원래는 "햇볕이 드는 장소"의 의미를 가지며, 기본적으로 유추로 사용한다.

  • 예 (위, 향 등)

: 인명 훈으로 국공인으로 하고 있는 "위"만이[12], 이상의 예의 글자는 모두 고유한 것으로 여겨진다.

;히로·히로시

여러 가지 의미로 넓다는 뉘앙스의 글자를 사용한다.

  • 예 (광, 홍, 굉, , 박, 관, 유, 호, 천, 공 등)

;히로무

넓히다(넓어지다), 넓히다(널리 퍼지다)라는 의미의 글자를 사용한다.

  • 예 (광, 홍, 굉, 박, 관, 호, 연, 척, 확 등)

;후미

문장·문서·사실 등에 관한 의미의 글자를 사용한다.
또한, ""에는 "후미시", ""에는 "후히토(후미토·후비토)"와 같은 독자적인 파생형의 용례를 가진 것도 존재한다. 또한, "책", "찰"에는 "후다"의 의미를 가지는 데서 그 비유적 표현으로 이 인명 훈이 주어진 글자도 있다.

  • 예 (사, 욱, 문, 전, 장 등)

: 또한, 이와 별개로 "이", "답" 등, 동사 "후무"를 자훈으로 명기하고 있는 글자도 해당된다.

2. 3. 7. ま행

正, 政, 雅, 將, 昌, 勝, 誠, 真 등을 '마사'로 읽는다. 글자 뜻에 공통성은 별로 보이지 않으나, '바로'라는 부사, 正의 부분을 가차한 것 등 다수이거나, '뛰어나다'라는 의미에서 파생된 것도 있다. '誠', '実', '真', '亮'은 모두 '마코토'(後述)에서 유래한 것도 존재한다.[13]

2. 3. 8. や행

일본어에서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는 보통 일반적인 음독과 훈독을 사용하나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이 있다. 주로 단독 인명 훈독인 "야스시(やすし)", "야스무(やすむ)"(야스미(やすみ)) 중 하나에서 유래한 글자를 사용한다.
사스마타의 다른 이름에서 유래한 叉(차/또)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2. 3. 9. わ행

일본어의 인명/지명에 쓰이는 한자는 보통 일반적인 음독과 훈독을 사용하나, 인명이나 지명에서만 한정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여성 인명으로 쓰인 希를 노조미/希일본어로 읽거나, 飯을 이이/飯일본어로 읽는 것이 그 예이다. 지명이자 성씨인 이이다/飯田일본어는 나노리와 일반 훈독이 함께 쓰인 경우다. 나노리로 사용되는 읽기는 대개 한자의 의미와 관련이 있으며, 과거에 나노리가 일반적인 읽기로 쓰였을 흔적일 수도 있다. 나노리는 일본어 음독이나 훈독처럼 읽는 방법이 여러 개인 경우가 많아, 후리가나가 없으면 읽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한자로 적힌 이름을 물어보는 것이 실례가 아니며, 읽는 법을 묻지 않고 잘못 읽었을 경우가 오히려 실례이다.

  • * 와카・와카시
  • 예시 (若 등)
  • * 와카츠
  • 예시 (分・別 등)
  • * 와타루 (와타리・와타시)
  • 예시 (渡・亘・渉・航・移 등)

: 본래의 자의에 따라서는 "노부", "유키"의 어느 쪽으로 전용・파생되는 예가 갈리는 경우가 있다.

3. 전투에서의 나노리

전투에서 '''나노리'''(나노리/名乗り일본어)란 무사가 싸우기 전 적과 아군에게 자신의 성명, 신분, 가족관계 등을 밝히며 배경, 전공, 싸움에 대한 자신의 주장과 정당성 등을 큰 소리로 외치는 것이다. 무사의 예법상 ‘나노리’ 중에는 공격하지 않는다. 전장에서는 자신의 용맹함과 전공을 선전하기 위해서, 또는 아군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 적의 사기를 꺾거나 도발하기 위해서도 행해졌다.

3. 1. 목적

전투에서 '''나노리'''(나노리/名乗り일본어)란 무사가 싸우기 전 적과 아군에게 자신의 성명, 신분, 가족관계 등을 밝히며 배경, 전공, 싸움에 대한 자신의 주장과 정당성 등을 큰 소리로 외치는 것이다. 무사의 예법상 ‘나노리’ 중에는 공격하지 않는다. 전장에서는 자신의 용맹함과 전공을 선전하기 위해서, 또는 아군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 적의 사기를 꺾거나 도발하기 위해서도 행해졌다.

3. 2. 특징

전투에서 나노리(나노리/名乗り일본어)란 무사가 싸우기 전 적과 아군에게 자신의 성명, 신분, 가족관계 등을 밝히며 배경, 전공, 싸움에 대한 자신의 주장과 정당성 등을 큰 소리로 외치는 것이다. 무사의 예법상 나노리 중에는 공격하지 않는다. 전장에서는 자신의 용맹함과 전공을 선전하기 위해서, 또는 아군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 적의 사기를 꺾거나 도발하기 위해서도 행해졌다. 이는 현대 스포츠 경기에서 선수들이 경기 시작 전 서로에게 경의를 표하는 모습과 유사하게 볼 수 있다.

3. 3. 비판적 관점

나노리(나노리/名乗り일본어)는 무사가 전투에 앞서 자신의 신분, 가문, 전공 등을 밝히며 정당성을 주장하는 행위이다. 이는 개인의 명예를 중시하는 봉건적 가치관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개인의 권리와 평등을 중시하는 가치관이 우선시되므로, 나노리는 이러한 가치관과 충돌할 수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나노리 문화가 개인의 희생을 강요하고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전체주의적 사고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비판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eird Kanji https://www.tofugu.c[...] Kristen Dexter 2014-08-25
[2] 웹사이트 【希】の意味は?名付けのポイントを徹底解説! https://ichigoichina[...]
[3] 웹사이트 飯田 - 名字 https://name.sijisur[...] 2022-03-04
[4] 웹사이트 漢字の名乗り訓(名前に使われた漢字の訓読み)を調べるには https://rnavi.ndl.go[...]
[5] 문서 「新」の名字例から。
[6] 문서 [[令制国]]に「[[和泉国]]」(いずみのくに)が[[大阪府]]中南部の沿岸地域周辺に存在したことに由来。
[7] 문서 [[愛媛県]]出身の元マラソンランナー・[[真木和]]がその代表例。
[8] 문서 「敵」の様に「適」からの類推・転用による字義・字訓で付与されたものもある。詳細は手持ちの辞書、インターネットサイト等を参照のこと。
[9] 문서 なお、その場合は字音「トク」と混同して用いる場合がある。
[10] 문서 [[Microsoft IME|IME]]人名辞書に搭載。
[11] 문서 字訓・字義的には「整」により近い。
[12] 문서 但し、辞書・書籍によっては明記の無いものもある。
[13] 문서 ※現時点で「道」のみ特例とされている。なお、それ以外の字では別件での理由で人名訓に正式採用されたものがある。
[14] 문서 日本の音楽家([[編曲家|アレンジャー]])・[[桜庭統]]が代表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