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우클레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우클레아족은 꼭두서니과 키나나무아과에 속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일부는 온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19세기부터 두상화서(머리 모양의 꽃차례)를 가진 식물을 중심으로 분류가 시도되었으나, 20세기 후반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도입되면서 분류 체계가 크게 변화했다. 21세기에는 리보솜 DNA와 엽록체 DNA 분석 등을 통해 갯버들속, 미트라기나속, 갈고리덩굴속, 요힘베속 등이 나우클레아족에 포함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현재 약 17개 속이 인정된다. 학명의 혼란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내용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슬꽃나무아과 - 기나나무
기나나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 원산의 꼭두서니과 상록수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껍질에서 추출한 퀴닌은 말라리아 치료제 및 진토닉 재료로 사용되고 동종요법 기원과도 관련 있는 중요한 약용 식물이다. - 구슬꽃나무아과 - 조구등
조구등은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덩굴성 반관목인 조구등속 식물(Uncaria)의 총칭으로, 덩굴갈고리를 이용해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며,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고 임업적 가치와 약용으로 사용되지만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 프리드리히 안톤 빌헬름 미쿠엘이 명명한 분류군 - 산딸나무
산딸나무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흰색 꽃턱잎이 십자가 모양을 이루는 꽃이 피고 딸기 모양의 붉은 열매가 열리며, 관상수, 식용, 약재 등으로 사용된다. - 프리드리히 안톤 빌헬름 미쿠엘이 명명한 분류군 - 물봉선
물봉선은 대한민국 각지에 분포하는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붉은 줄기, 톱니 모양 잎, 홍자색 나팔꽃 모양의 꽃이 특징이며, 탄력 있는 꼬투리 속 씨앗이 터져 번식하는 습지 식물이다. - 1833년 기재된 식물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1833년 기재된 식물 - 벼아과
벼아과는 벼과에 속하는 아과로, 벼족, 스트렙토기나족, 에르하르타족, 필로라키스족으로 구성되며, 벼과 내에서 뚜렷한 계통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BOP 분지군에 속한다.
| 나우클레아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학명 | Naucleeae |
| 학명 명명자 | Kostel. |
| 이명 | Naucleeae DC. ex Miq. |
| 속 유형 | 나우클레아속 |
| 속 유형 명명자 | L. |
| 분류 체계 | |
| 계 | 식물계 |
| 문 | 속씨식물군 |
|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 아강 | 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 |
| 상목 | 국화군 |
| 목 | 용담목 |
| 과 | 꼭두서니과 |
| 아과 | 키나노키아과 |
| 하위 분류 | |
| 속 | 아디나속 (Adina) 브레오나디아속 (Breonadia) 브레오니아속 (Breonia) 야마타마가사속 (Cephalanthus) 요힘베노키속 (Corynanthe) 디야미나우클레아속 (Diyaminauclea) 기로스티풀라속 (Gyrostipula) 야노티아속 (Janotia) 카시아클루네아속 (Khasiaclunea) 루데키아속 (Ludekia) 미트라기나속 (Mitragyna) 미르메코나우클레아속 (Myrmeconauclea) 나우클레아속 (Nauclea)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속 (Neolamarckia) 네오나우클레아속 (Neonauclea) 오크레이나우클레아속 (Ochreinauclea) 실바니아속 (Sylvainia) 카기카즈라속 (Uncaria) |
2. 계통 및 분류
나우클레아족(Naucleeae)은 꼭두서니과(Rubiaceae) 키나나무아과(Cinchonoideae)에 속하며, 히메노딕티온족(Hymenodictyeae)과 자매군을 이룬다.[4][8] 전 세계의 열대-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북아메리카에서는 온대 지역까지 발견된다.[2]
키나나무아과 내부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
{{clade
|style=width:40em;font-size:100%;line-height:100%
|label1=키나나무아과
|sublabel1=}}
|1={{clade
|1={{clade
|1=키나나무족()
|2=
}}
|2={{clade
|1={{clade
|1='''나우클레아족 '''
|2=히메노딕티온족()
}}
|2={{clade
|1={{clade
|1=론델레티아족()
|2=게타르데아족()
}}
|2={{clade
|1={{clade
|1={{clade
|1= 족
|2= 족
}}
|2={{clade
|1={{clade
|1= 속
|2= 속
}}
|2= 족
}}
}}
}}
}}
}}
}}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나우클레아족은 7개의 아족(subtribe)으로 나뉘며, 이들은 각각 단계통군으로 확인되었다.[4]
Sylvainia/Löfstrand}} 등의 연구[4]에 기반한 나우클레아족의 분자 계통 분석에 따르면, 당시 구별되지 않았던 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아디나아족의 속 및 속은 이 분석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각각 아디나속 와 네오나우클레아속 에 내포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clade
|style=width:70em;font-size:100%;line-height:100%
|label1=나우클레아족
|sublabel1=}}
|1={{clade|1={{clade
|sublabel1=}}
|1={{clade
|1=
|2=세팔란투스속
}}}}
|2={{clade
|sublabel1=}}
|1=미트라지나속
|2={{clade
|label1=아디나아족
|sublabel1=}}
|1={{clade
|label1=아디나속
|sublabel1= }}
|1={{clade
|1=아디나 라케모사 (≡)
|2={{clade
|1=아디나 코르디폴리아 (≡)
|2=아디나속
}}
}}
|sublabel2= clade}}
|2={{clade
|1= }}
|2={{clade
|1=
|2={{clade
|state1=double
|1=네오나우클레아속 (3종)[38]
|2={{clade
|1=
|2={{clade
|1=미르메코나우클레아속
|2=네오나우클레아속 (6종)[39]
}}
}}
}}
}}
|2={{clade
|sublabel1=}}
|1={{clade
|1=
|2={{clade
|1=브레오니아속 Clade A
|2={{clade
|1=브레오니아속 Clade B
|2={{clade
|1=
|2=
}}
}}
}}
|2={{clade
|sublabel1=}}
|1=코리난테속
|2={{clade
|sublabel1=}}
|1=운카리아속
|sublabel2=}}
|2={{clade
|1=네올라마르키아속
|2=나우클레아속
}}
}}
}}
}}
}}
}}
}}
}}
2. 1. 아족 (Subtribe)
나우클레아족에는 Cephalanthinaela, Mytragyninaela, 아디나아족[37](Adininaela), Breoniinaela, Corynantheinaela, Uncariinaela, Naucleinaela의 7개 아족이 인식되고 있으며, 각각 단계통군임을 분자 계통 분석으로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다[4]. 또한 포함된 속 중 네오나우클레아속 및 브레오니아속는 측계통군이다[4].2. 2. 속 (Genus)
| 한국어 명칭 | 학명 | 주요 분포 지역 | 종 수 |
|---|---|---|---|
| 구등속 | Uncaria Schreb. | ||
| 구슬꽃나무속 | Adina Salisb. | ||
| Breonadia Ridsdale | |||
| Breonia A.Rich. ex DC. | |||
| Cephalanthus L. | |||
| Corynanthe Welw. | |||
| Diyaminauclea Ridsdale | |||
| Gyrostipula J.-F.Leroy | |||
| Janotia J.-F.Leroy | |||
| Khasiaclunea Ridsdale | |||
| Ludekia Ridsdale | |||
| Mitragyna Korth. | |||
| Myrmeconauclea Merr. | |||
| Nauclea L. | |||
| Neolamarckia Bosser | |||
| Neonauclea Merr. | |||
| Ochreinauclea Ridsdale & Bakh.f. | |||
| Sinoadina Ridsdale | |||
| 아디나속 | Adina Salisb. | 4 | |
| 아디나우클레아속 | Adinauclea Ridsdale | 1 | |
| 브레오나디아속 | Breonadia Ridsdale | 1 | |
| 브레오니아속 | Breonia A.Rich. ex DC. | 20 | |
| 버트다비아속 | Burttdavya Hoyle | 1 | |
| 갯버들속 | Cephalanthus L. | 6 | |
| 요힘베나무속 | Corynanthe Welw. | 8 | |
| 지로스티풀라속 | Gyrostipula J.-F.Leroy | 3 | |
| 할디나속 | Haldina Ridsdale | 1 | |
| 야노티아속 | Janotia J.-F.Leroy | 1 | |
| 루데키아속 | Ludekia Ridsdale | 2 | |
| 미트라기나속 | Mitragyna Korth. | 7 | |
| 미르메코나우클레아속 | Myrmeconauclea Merr. | 4 | |
| 나우클레아속 | Nauclea L. | 10 | |
| 네오라마르키아속 | Neolamarckia Bosser | 2 | |
| 네오나우클레아속 | Neonauclea Merr. | 68 | |
| 오크리나우클레아속 | Ochreinauclea Ridsdale & Bakh.f. | 2 | |
| 페르투사디나속 | Pertusadina Ridsdale | 4 | |
| 사르코케팔루스속 | Sarcocephalus Afzel. ex R.Br. | 2 | |
| 시노아디나속 | Sinoadina Ridsdale | 1 | |
| 운카리아속 | Uncaria Schreb. | 40 |
동의어:
- ''플레로야''(Fleroya) Y.F.Deng = 미트라기나속
- ''할레아''(Hallea) J.-F.Leroy = 미트라기나속
- ''메타디나''(Metadina) Ridsdale = 아디나속
- ''프세우도친코나''(Pseudocinchona) A.Chev. ex Perrot = 코리난테속
3. 형태
나우클레아족에 속하는 종은 기본적으로 목본이지만 굽은 잎겨드랑이 가시를 가진 덩굴 식물도 포함되어 있으며, 다수의 꽃이 밀집된 구형의 두상화를 특징으로 한다.[1][5][9] 꽃차례는 다수의 꽃으로 이루어진 구형이며, 긴 꽃부리 통을 가진 깔때기 모양 꽃부리이다. 꽃부리 갈래는 포개진 또는 지붕형이며, 암술은 돌출된 암술대와 전체적으로 머리 모양 또는 2갈래로 갈라진 주두를 가진다. 씨방은 2실이며, 선형의 태좌에 1개에서 다수의 배주가 붙는다.[5]
4. 분포
나우클레아족은 전 세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일부는 온대 지역(북아메리카)에서도 발견된다.
: 갈고리 모양의 돌기를 가진 덩굴식물로 이루어진 속이며, 종자에는 꼬리 모양의 긴 날개가 보인다. 분포는 열대 및 아열대이며, 약 40종이 알려져 있다.[62]
5. 역사
꼭두서니과(Rubiaceae) 키나나무아과(Cinchonoideae)에 속하는 나우클레아족(Naucleeae)은 히메노딕티온족(Hymenodictyeae)과 자매군을 이룬다.[4][8] 키나나무아과 내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
{{clade
|style=width:40em;font-size:100%;line-height:100%
|label1=키나나무아과
|sublabel1=}}
|1={{clade
|1={{clade
|1=키나나무족()
|2=
}}
|2={{clade
|1={{clade
|1='''나우클레아족 '''
|2=히메노딕티온족()
}}
|2={{clade
|1={{clade
|1=론델레티아족()
|2=게타르데아족()
}}
|2={{clade
|1={{clade
|1={{clade
|1= 족
|2= 족
}}
|2={{clade
|1={{clade
|1= 속
|2= 속
}}
|2= 족
}}
}}
}}
}}
}}
}}
나우클레아족의 분류 역사는 19세기 초 두상화서(꽃차례가 머리 모양을 이룬 것)를 갖는 식물 일부를 하나의 묶음으로 보는 움직임에서 시작되었다. 20세기에는 속을 세분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마루바하나다마속(Neonauclea)은 1915년에 엘머 드류 메릴이 나우클레아속에서 분리하여 신설하였다.[29] 린네가 반칼(Nauclea orientalis)을 기준으로 정의했던 나우클레아속은[30], 1915년 당시에는 린네의 정의와는 다른 종들이 포함되어 있었고, 원래 나우클레아속으로 취급되어야 할 종은 사르코케팔루스속에 속해 있는 등 새로운 속이 필요한 상황이었다.[31]
1978년에는 리즈데일이 형태적 차이에 따라 속, 속, 속, 속, 속, 속, 속, 헤츠카니가키속(Sinoadina) 등 8개의 신속을 설정하며 속을 더욱 세분화했다.[32]
그러나 21세기 이후에는 분자계통학적 연구와 꽃가루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속을 통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14년에는 속, 속, 속, 속, 헤츠카니가키속의 5속이 타니와타리노키속으로, 속과 속이 요힘베노키속(Corynanthe)으로, 속이 미트라가이나속으로, 속과 사르코세팔루스속의 2속이 나우클레아속으로 통합되어, 나우클레아족으로 인정되는 속의 수는 17개로 정리되었다.[4]

5. 1. 학명의 혼란
나우클레아족에는 여러 종이 혼동되어 취급된 사례가 많다. 특히 "카토 차카"라고 불린 식물의 정체를 둘러싸고 여러 설이 나왔으나, 현재는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96]칼 폰 린네는 방카르(Nauclea orientalis)의 학명을 기재할 때, "카토 차카"(Katou Tsjaca 또는 Katou Tsjaka)라는 다른 종에 대한 언급을 포함시켰다. 이 "카토 차카"의 정체에 대해 19세기부터 여러 설이 나왔지만, 1984년 이후에는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로 보는 설이 유력해졌다.[96]
방카르(Nauclea orientalis)는 처음에 린네가 《식물의 종》 초판(1753년)에서 라는 학명을 부여했고,[90] 이후 린네 자신이 나우클레아속으로 재분류했다.[30] 린네는 《식물의 종》에서 여러 자료를 인용했는데, 이 중 방카르를 가리키는 것은 파울 헤르만의 도판뿐이었다.[91] 레이데 토트 드라케스테인의 《말라바르 식물원》에 소개된 "카토 차카"는 방카르와 다른 종으로, 이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이 3가지가 있었다.[96]
# 설[93]
# 설[94]
#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 설[95]
《말라바르 식물원》은 케랄라 주 지역 식물을 대상으로 한 저작으로, 콜린 리즈데일은 "카토 차카"라는 호칭의 유래를 찾기 위해 지역 식물지 3권을 참조했다.[96]
| - | Ahwan | - | |
| 타밀어 및 말라얄람어: Attu vanji | Attu vanji | 말라얄람어: Attuvanji | |
|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 | 말라얄람어: Attu ték, Kodavâra, Chakka | Kodavara: Attu tek | 말라얄람어: Kodavara, Attuthekku[99] |
리즈데일은 'Katu'에서 'Attu'로, 'Tsjaca'에서 'chakka'로의 변화는 허용 범위 내이며, "카토 차카"는 Attu chakka, 즉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를 가리킨다고 보았다.[96]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의 학명은 마다가스카르 자생종인 표본 때문에 혼란을 겪었다.[104] 1785년 장바티스트 라마르크는 를 기재했고,[117] 1830년 아실 리샤르가 속으로 옮겼다. 1843년 빌헬름 게르하르트 발퍼스가 라는 학명을 발표했다.[118] 그러나 바크후이젠 반 덴 브링크가 라마르크 식물 표본실의 표본은 리샤르가 본 식물과 다르다고 주장하여 학명의 안정성이 흔들렸다.[119]
리즈데일은 학명을 유지하려 했다. 문제의 표본은 브레오니아속( )의 것이 확실하지만, 학명을 인정하면 가 브레오니아속의 시노님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었다.[119] 리즈데일은 대신 라는 새로운 조합을 만들었다.[129]
반면 장 보세는 속명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보세는 마다가스카르산 식물에 학명을 적용하고, 속은 속의 시노님으로 보았다.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에는 에 기초한 학명을 부여했다.[133]
| colspan="2" | | 리즈데일 | 보세 | |
|---|---|---|---|
|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의 속 | 속 | 적절 | 부적절 |
| 속 | 불필요명 | 신설 | |
| 라마르크의 마다가스카르 원산 종 | 타입 표본 | 코메르손 채집 추정 | 라마르크 식물 표본실 소장[131] |
| 학명 | |||
| 소넬라의 입장 | 중국에서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 채집 | 라마르크 식물 표본실 표본 열람 추정 | |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와 브레오니아 키넨시스()는 형태적 차이가 있다.[138][139][140]
| 쿠비나가타마바나노키 | 브레오니아 키넨시스 | |
|---|---|---|
| 화서 | 정생 | 측생(액생) |
| 꽃받침 조각 | 선형-주걱형-좁은 타원형 | 삼각형-장타원형, 둔두 또는 실상(리즈데일) 절형(라자피만디비손) |
| 암술머리 | 방추형 | 곤봉상 구형(리즈데일) 곤봉상 두상(라자피만디비손) |
| 자방 | 하부 2실, 상부 4실 | 2실(2심피성) |
| 열매 | 집합과 아님 | 집합과 |
| 종자 | 삼각 형상 또는 불규칙 형상, 날개 없음 | 난형-타원형, 좌우 대칭적 편평, 날개 없음(리즈데일) 강한 편평, 요철, 타원형, 미발달 날개(라자피만디비손) |
6. 한국과의 관계
한국에는 구슬꽃나무( ''Cephalanthus tetrandra'')와 갈고리덩굴( ''Uncaria rhynchophylla'') 등 나우클레아족 식물이 자생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전통적으로 천연자원 보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강조해 왔으며, 나우클레아족 식물의 생태학적, 경제적 가치를 인식하고 이들의 보존과 활용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나우클레아족 식물 중 일부는 염료, 약재, 목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アカネ科 RUBIACEAE
平凡社
1999
[2]
논문
[3]
문서
科より下で属よりも上の階級(二次ランク)。補助的なランクである亜科と亜連を挿入すると、科>亜科>連>亜連>属となる。
[4]
논문
[5]
논문
[6]
문서
詳細は#クビナガタマバナノキの学名の混乱を参照。
[7]
논문
[8]
논문
[9]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2023-10-24
[10]
간행물
Tableau analytique des ordres naturels, familles naturelles et genres, de la classe endogynie, sous classe corisantherie
https://www.google.c[...]
[11]
서적
Allgemeine Medizinisch-Pharmazeutische Flora
https://books.google[...]
Borrosch und André
[12]
서적
Flora van Nederlandsch Indië
https://www.biodiver[...]
C. G. van der Post
[13]
문서
"#クビナガタマバナノキの学名の混乱を参照。"
[14]
간행물
A propos de quelques genres malgaches de Rubiacées (Vanguériées et Gardéniées)
https://www.biodiver[...]
[15]
논문
[16]
논문
によりナウクレア属へ統合されることとなる。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웹사이트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s://www.mobot.or[...]
2023-11-03
[22]
논문
[23]
문서
たとえばミトラガイナ属からは当時 Hallea rubrostipulata と分類されていた M. rubrostipulata が選ばれ、カギカズラ属からはカギカズラ(Uncaria rhynchophylla)が選ばれた。
[24]
논문
により Antirheoideae という亜科に置かれていた。
[25]
논문
[26]
간행물
The ITS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a valuable source of evidence on angiosperm phylogeny
https://www.biodiver[...]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30]
서적
Species Plantarum: Exhibentes Plantas Rite Cognitas, ad Genera Relatas, cum Differentiis Specificis, Nominibus Trivialibus, Synonymis Selectis, Locis Natalibus, Secundum Systema Sexuale Digestas
https://biodiversity[...]
Laurentius Salvius
[31]
논문
[32]
논문
[33]
논문
[34]
문서
この時点では Anthocephalus の属名で呼ばれていた。
[35]
문서
当時は Ourouparia が正式名とされていた。
[36]
서적
[37]
논문
Studies in the floral anatomy and morphology of Rubiaceae V. Naucleeae s.l.
1981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カギカズラ属とミトラガイナ属の判別。より詳細なものは[[ミトラガイナ属#属の位置付け]]を参照。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문서
[46]
문서
1975年当時に認知されていたのは {{Snamei|sv|Breonia boivinii}}、{{Snamei|B. citrifolia}}[{{Harvcoltxt|Bosser|1985}} 以降は {{Snamei|sv|Breonia chinensis|B. chinensis}} とされる]、{{Snamei|sv|Breonia madagascariensis|B. madagascariensis}}、{{Snamei|sv|Breonia perrieri|B. perrieri}}、{{Snamei|sv|Breonia sphaerantha|B. sphaerantha}} の5種。この時リズデイルは {{Snamei|B. citrifolia}} の下に別の標本8種類に基づいて記載されていたシノニムを置いていたが、そのシノニムのうち {{Snamei|sv|Breonia cuspidata|B. cuspidata}}、{{Snamei|sv|Breonia havilandiana|B. havilandiana}}、{{Snamei|sv|Breonia louvelii|B. louvelii}}、{{Snamei|sv|Breonia membranacea|B. membranacea}}、{{Snamei|sv|Breonia stipulata|B. stipulata}} の5つは {{Harvcoltxt|Razafimandimbison|2002}} により再び独立種として認められることになる。
[47]
문서
元の検索表では {{Snamei|Neobreonia}} 属とされているが、これは {{Snamei|B. decaryana}} を[[ブレオニア属]]({{Snamei|Breonia}})から分離して独立属とするためにリズデイル自身が新設した属であった。しかし後の {{Harvcoltxt|Razafimandimbison|2002}} の見直しにより再びブレオニア属に戻されている。
[48]
문서
元の検索表では {{Snamei|Sarcocephalus}} とされていて当時左記の2種が置かれていたが、この属は {{Harvcoltxt|Löfstrand|Krüger|Razafimandimbison|Bremer|2014}} により[[#Nauclea|ナウクレア属({{Snamei|Nauclea}})]]へと統合されている。
[49]
서적
小学館ランダムハウス英和大辞典
[50]
문서
元の検索表では {{Snamei|Anthocephalus}} という属名であるが、これをアジア産の植物を指して用いるのは不適切であるという議論の結果 {{Snamei|Neolamarckia}} が新たに設立された。この件についての詳細は[[#クビナガタマバナノキの学名の混乱]]を参照。
[51]
문서
元の検索表では {{Snamei|Burttdavya}} 属とされ、{{Snamei|B. nyasica}} が唯一の構成種であったが、{{Harvcoltxt|Löfstrand|Krüger|Razafimandimbison|Bremer|2014}} によりナウクレア属に統合された。
[52]
문서
[53]
문서
元の検索表では {{Snamei|Adinauclea}} 属とされている。1978年当時リズデイルが新設した {{Snamei|Adinauclea}} 属唯一の構成種であった {{Snamei|A. fagifolia}} は {{Harvcoltxt|Löfstrand|Krüger|Razafimandimbison|Bremer|2014|p=311}} によりタニワタリノキ属に組み替えられた。
[54]
서적
[55]
문서
ここでは {{Snamei|sv|Adina dissimilis}}、[[タニワタリノキ]]({{Snamei|A. pilulifera}})、[[シマタニワタリノキ]]({{Snamei|zh|Adina rubella|A. rubella}})の3種のみを指す。
[56]
문서
学名: {{Snamei|Adina racemosa}} {{small|({{AU|Siebold}} & {{AU|Zucc.}}) {{AU|Miq.}}}}。1978年当時はリズデイルが新設したヘツカニガキ属({{Snamei|Sinoadina}})に置かれていた。しかし {{Harvcoltxt|Löfstrand|Krüger|Razafimandimbison|Bremer|2014|p=310}} によりタニワタリノキ属に組み替えられた。
[57]
문서
元の検索表では {{Snamei|Metadina}} 属とされており、1978年当時は {{Snamei|Metadina trichotoma}} {{small|(Zoll. & Moritzi) {{AU|Bakh.f.}}}} がその唯一の構成種であった。しかし {{Harvcoltxt|Löfstrand|Krüger|Razafimandimbison|Bremer|2014|p=311}} によりタニワタリノキ属に組み替えられた。
[58]
문서
元の検索表では {{Snamei|Pertusadina}} 属とされており、1978年当時は左記に挙げた4種がこの属の下に置かれていたが、{{Harvcoltxt|Löfstrand|Krüger|Razafimandimbison|Bremer|2014|pp=310–311}} により全てタニワタリノキ属に組み替えられた。
[59]
문서
学名: {{Snamei|Adina cordifolia}} {{small|(Roxb.) Hook.f.}}。元の検索表では {{Snamei|Haldina}} 属とされており、これはリズデイルがハルドゥ1種のみのために新設した属であった。しかし {{Harvcoltxt|Löfstrand|Krüger|Razafimandimbison|Bremer|2014|p=310}} によりタニワタリノキ属に組み替えられた。
[60]
문서
ただし1978年当時 {{Snamei|Gyrostipula obtusa}} は未記載であった。
[61]
서적
[62]
웹사이트
2023
[63]
간행물
農林水産省横浜植物防疫所
[64]
서적
A-Z 園芸植物百科事典
誠文堂新光社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간행물
[72]
간행물
[73]
간행물
[74]
간행물
[75]
서적
植物のこころ
岩波書店
2021-05-18
[76]
서적
植物の進化形態学
東京大学出版会
1999
[77]
서적
原色世界植物大圖鑑
北隆館
[78]
간행물
[79]
간행물
[80]
서적
La flore forestière de la Côte d’Ivoire
https://www.doc-deve[...]
Centre Technique Forestier Tropical
[81]
간행물
[82]
문서
cf. {{lang-bn|[[wikt:কদম|কদম]]}} {{ipa|kɔdɔm}}
[83]
간행물
[84]
간행물
[85]
서적
改訂 植物名彙 後編 和名之部
https://archive.org/[...]
丸善株式會社
[86]
서적
Flora of China
http://efloras.org/f[...]
[87]
간행물
[88]
문서
三橋博 監修『原色牧野和漢薬草大圖鑑』北隆館、1998年。
[89]
서적
中国有用植物図鑑
廣川書店
1991-01-15
[90]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biodiversity[...]
Laurentius Salvius
[91]
간행물
[92]
간행물
[93]
문서
この学名は {{Harvcoltxt|Ridsdale|1978b|p=332}} で初めて用いられたものであり、それ以前は {{Snamei|Nauclea missionis}} {{small|Wall. ex G.Don}} として知られていた。
[94]
서적
An Interpretation of Rumphius's Herbarium Amboinense
https://biodiversity[...]
[95]
문서
リズデイルは {{Snamei|Anthocephalus chinensis}} {{small|(Lam.) A.Rich. ex Walp.}} として言及しているが、このクビナガタマバナノキの学名に関しては複雑な経緯がある。[[#クビナガタマバナノキの学名の混乱]]を参照。
[96]
간행물
[97]
문서
現在のケーララ州においては[[マラヤーラム語]]が広く通用する。
[98]
간행물
[99]
문서
マラヤーラム文字では {{Lang|ml|[[wikt:ml:ആറ്റുതേക്ക്|ആറ്റുതേക്ക്]]}} ({{lang|ml-Latn|āṟṟutēkku}}) と表記される。
[100]
간행물
[101]
문서
「カトウ・チャカ」が黄色であるのに対し、{{Snamei|N. purpurea}} は紫色である。
[102]
문서
{{仮リンク|トーマス・フルトン・ボーディロン|en|T. F. Bourdillon}}は {{Snamei|N. purpurea}} を記録しておらず、またラーオも極めて手短にしか言及していない。
[103]
문서
ただしクビナガタマバナノキに関してはこれらの特徴が見られる場合はあるともリズデイルは述べている。
[104]
문서
この件の詳細については[[#クビナガタマバナノキの学名の混乱]]を参照。
[105]
간행물
[106]
서적
[107]
서적
Flora Vitiensis Nova: A New Flora of Fiji (Spermatophytes Only)
https://biodiversity[...]
Pacific Tropical Botanical Garden
[108]
웹사이트
http://www.tropicos.[...]
Missouri Botanical Garden
2022-02-24
[109]
문서
属の数の増減も参照。
[110]
간행물
Hermann's Ceylon Herbarium and Linnæus's 'Flora Zeylanica.'
https://www.biodiver[...]
1887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문서
ただし一部には属全体の共通形質への言及が含まれる場合も存在するということに留意されたい。
[115]
문서
厳密にはクビナガタマバナノキ属に関しては「芽において」という指定が附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にも留意されたい。
[116]
서적
An Abecedarian of Sacred Trees: Spiritual Growth through Reflections on Woody Plants
https://www.google.c[...]
Wipf & Stock
[117]
서적
Encyclopédie méthodique. Botanique
https://www.biodiver[...]
[118]
서적
Repertorium Botanices Systematicae
https://www.biodiver[...]
Fridericus Hofmeister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sive, Enumeratio contracta ordinum, generum, specierumque plantarum huc usque cognitarium, juxta methodi naturalis, normas digesta
https://www.biodiver[...]
Treuttel et Würtz
[123]
문서
[124]
문서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Encyclopédie méthodique. Botanique
https://www.biodiver[...]
H. Agasse
[129]
서적
[130]
문서
[131]
문서
[132]
문서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문서
[137]
서적
知の遊びコレクション 樹木
新樹社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Allgemeine Medizinisch-Pharmazeutische Flora 2: 581
1833
[142]
논문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intertribal relationships and stable tribal delimitations within Cinchonoideae s.s. (Rubiaceae)
http://www.bergiansk[...]
2016-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