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 (1970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폴레옹》은 1970년에 개봉한 영화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웰링턴 공작 간의 워털루 전투를 다룬 서사극이다. 1814년 나폴레옹의 퇴위와 엘바 섬 유배, 탈출 후 재기, 유럽 열강의 전쟁 선포, 워털루 전투의 과정을 상세히 묘사한다. 소련군의 지원을 받아 실제 전투 장면을 재현했으며, 로드 스테이거, 크리스토퍼 플러머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했다. 상업적으로는 실패했지만, 전투 묘사에 대한 호평을 받았고, 피터 잭슨 등 영화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투와 군사작전을 소재로 한 영화 - 어게인스트 더 다크
2009년 개봉한 액션 호러 영화 어게인스트 더 다크는 스티븐 시걸이 이끄는 뱀파이어/좀비 사냥꾼 그룹과 생존자들이 전염병으로 발생한 감염자들에 맞서 군 기지의 폭격 계획으로부터 탈출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감독 영화 - 인간의 운명
《인간의 운명》은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감독 및 주연의 1959년 소련 영화로, 전쟁 포로 생활과 가족 비극을 겪은 안드레이 소콜로프가 고아 소년 바냐를 만나 희망을 찾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며, 전쟁의 참혹함 속 인간 존엄성과 가족애를 강조하여 대한민국에서 정치적 성향에 따라 다양한 평가를 받는다. -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감독 영화 - 전쟁과 평화 (영화 시리즈)
《전쟁과 평화》는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화화한 시리즈로, 1956년 소련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감독하여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을 배경으로 전쟁과 평화의 서사시를 70mm 필름으로 제작,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 및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 181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결투자들
리들리 스콧 감독의 데뷔작인 《결투자들》은 나폴레옹 시대를 배경으로 가브리엘 페로와 아르망 드 위베르 두 프랑스 장교 간의 기나긴 결투를 그린 영화로, 1978년 칸 영화제에서 최우수 데뷔 작품상을 수상했다. - 181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전쟁과 평화 (영화 시리즈)
《전쟁과 평화》는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을 영화화한 시리즈로, 1956년 소련 정부의 지원을 받아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감독하여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을 배경으로 전쟁과 평화의 서사시를 70mm 필름으로 제작,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 및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나폴레옹 (1970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영화 정보 | |
원제 | Waterloo |
감독 |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
제작 | 디노 데 라우렌티스 |
스튜디오 | 모스필름 디노 데 라우렌티스 치네마토그래피카 |
각본 | H. A. L. 크레이그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비토리오 보니첼리 마리오 솔다티 |
원작 | H. A. L. 크레이그 |
출연 | 로드 스타이거 크리스토퍼 플러머 오슨 웰스 잭 호킨스 버지니아 매케나 댄 오헐리히 세르고 자카리아제 이언 오길비 |
음악 | 니노 로타 윌프리드 조지프스 |
촬영 | 아르만도 난누치 |
편집 | 리처드 C. 마이어 |
배급사 | 파라마운트 픽처스 (북미,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 유로 인터내셔널 필름 (이탈리아) 모스필름 (소련) 컬럼비아 픽처스 (국제) |
개봉일 | 1970년 10월 26일 |
상영 시간 | 128분 |
제작 국가 | 이탈리아 소련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200만 파운드 ($2500만 달러) |
2. 전투 이전의 정세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뛰어난 군사적·정치적 수완과 혁명적 사상으로 전 유럽을 석권했지만, 스페인이나 러시아, 라이프치히에서 패배를 거듭하여 1814년 4월, 동맹군의 파리 입성을 허용했다. 미셸 네를 비롯한 원수들의 퇴위 요구에 결국 퇴위 문서에 서명하고 엘바 섬으로 유배되었다.
1815년 3월, 나폴레옹은 엘바 섬을 탈출하여 프랑스에 상륙했고, 루이 18세가 보낸 토벌군은 모두 나폴레옹에게 귀순했다. 나폴레옹은 병사와 시민들의 환호 속에 파리에 입성하여 다시 황제 자리에 올랐다.
이에 각국은 프랑스에 선전 포고를 하고 나폴레옹을 법외 처분하며 프랑스 포위망을 구축했다. 나폴레옹은 브뤼셀 근교에 있던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가 이끄는 영란 연합군과 게르하르트 레베레흐트 폰 퀼리히어 원수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을 각개 격파하고자 했다. 그는 직접 병력을 이끌고 6월 15일 밤, 브뤼셀로 향했다. 프랑스군의 습격 소식을 접한 웰링턴은 참석하고 있던 무도회를 빠져나와 부하들과 작전 회의를 열었고, 워털루를 방어선으로 눈여겨보았다.
2. 1. 나폴레옹의 엘바 섬 탈출과 복귀 (1815년)
러시아, 라이프치히에서 패배를 거듭한 나폴레옹은 1814년 4월, 동맹군의 파리 입성을 허용했다. 미셸 네를 비롯한 원수들의 퇴위 요구에 나폴레옹은 퇴위 문서에 서명하고 엘바 섬으로 유배되었다.1815년 3월, 나폴레옹은 엘바 섬을 탈출하여 프랑스에 상륙했다. 루이 18세가 파견한 토벌군은 모두 나폴레옹에게 귀순했고, 병사와 시민들의 환호 속에 나폴레옹은 파리에 입성하여 다시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2. 2. 유럽 열강의 동맹 결성과 전쟁 선포
나폴레옹이 엘바 섬을 탈출하여 프랑스에 상륙하고, 프랑스 국왕 루이 18세를 추방한 뒤 다시 황제의 자리에 오르자, 각국은 프랑스에 선전 포고를 하고 나폴레옹을 법외 처분하여 프랑스에 대한 포위망을 구축했다.3. 워털루 전투 (1815년 6월 18일)
1814년 프랑스 북동부 전역 이후,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원수들의 요구에 굴복하여 퇴위한다. 1,000명의 병력과 함께 엘바 섬으로 유배된 나폴레옹은 1년 만에 탈출하여 다시 한번 프랑스군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인다. 루이 18세는 도망치고, 유럽 열강은 다시 전쟁을 선포한다. 리치먼드 공작 부인의 무도회가 열리는 브뤼셀에서 웰링턴 공작은 나폴레옹의 벨기에 진격을 경고받고, 영국군과 프로이센군 사이에 전술적으로 쐐기를 박는다. 웰링턴은 참모들과 상의한 끝에 워털루에서 나폴레옹을 저지하기로 결정한다.
카트르 브라 전투에서 미셸 네 원수는 영국군과 무승부를 기록했고, 나폴레옹은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격파했다. 네는 나폴레옹에게 보고하러 갔지만, 그 사이 웰링턴은 병력을 온전히 철수시켰다. 나폴레옹은 에마뉘엘 드 그루시에게 30,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프로이센군을 공격하여 영국군과의 합류를 막도록 명령하는 한편, 자신은 남은 병력을 이끌고 웰링턴을 상대한다.
1815년 6월 18일, 워털루 전투는 프랑스군의 포격으로 시작되었다. 나폴레옹은 우구몽과 라 에 생트에서 웰링턴 공작의 측면에 대한 기만적인 공격을 감행했지만, 웰링턴은 주력을 돌리지 않았다. 토머스 픽턴 장군은 네덜란드 여단이 궤주하자 틈새를 메우기 위해 투입되었지만,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사했다. 윌리엄 폰손비도 프랑스군 포병에 대한 기병 돌격을 이끌었지만, 연합군 주력에서 고립되어 프랑스 창기병에게 죽임을 당했다.[3]
동쪽에서 나타난 병력은 웰링턴에게는 그루시의 군대로, 나폴레옹에게는 게르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의 군대로 추정되어 불안감을 자아냈다. 복통으로 고통받던 나폴레옹은 잠시 물러나 네에게 지휘권을 넘겼다. 동시에 연합군에게 100보 후퇴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는데, 네는 이를 철수로 잘못 해석했다.[3]
네는 영국군에 대한 기병 돌격을 감행했지만, 보병 사각대형에 의해 격퇴되어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투는 여전히 나폴레옹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다. 라 에 생트가 프랑스군에게 함락되고, 나폴레옹은 결국 제국 근위대를 투입하여 결정적인 타격을 가하기로 결정했다.[3]
전진하는 동안, 풀밭에 엎드려 있던 페레그린 메이틀랜드의 제1 근위 보병 연대는 제국 근위대에 치명적인 근거리 일제 사격을 가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며 격퇴했다. 동시에 블뤼허가 전장에 도착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제국 근위대가 무너지고,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다.[3]
전투가 끝난 그날 저녁, 웰링턴은 전장에 널려있는 수천 명의 사상자를 지켜보았다. 나폴레옹은 전투에서 살아남았지만, 원수들의 간청에 도망치도록 설득당했다.[3]
3. 1. 전투의 시작: 우구몽과 라 에 생트 공격
1815년 6월 18일, 워털루 전투는 프랑스군의 포격으로 시작되었다.[3] 나폴레옹은 우구몽과 라 에 생트에서 웰링턴 공작의 측면에 대한 기만적인 공격을 감행했지만, 웰링턴은 주력을 돌리지 않았다.[3]3. 2. 프랑스군의 초기 공세와 연합군의 방어
카트르 브라 전투에서 미셸 네 원수는 영국군과 무승부를 기록했고, 나폴레옹은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격파했다. 네는 나폴레옹에게 보고하러 갔지만, 그 사이 웰링턴은 병력을 온전히 철수시켰다.3. 3. 네 원수의 기병 돌격과 영국군 방진
복통으로 잠시 물러난 나폴레옹을 대신해 지휘권을 넘겨받은 미셸 네는 연합군에게 100보 후퇴 명령이 내려진 것을 철수로 오인했다.[3] 네는 영국군에 대한 기병 돌격을 감행했지만, 보병 사각대형에 의해 격퇴되어 많은 사상자를 냈다.[3]3. 4. 프로이센군의 개입과 전세 역전
게르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이 전장에 도착하면서, 워털루 전투의 전세는 연합군에게 유리하게 기울었다. 동쪽에서 나타난 병력을 웰링턴은 에마뉘엘 드 그루시의 군대로, 나폴레옹은 블뤼허의 군대로 추정하여 양측 모두 불안감을 느꼈다. 제국 근위대는 역사상 처음으로 무너졌고,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다.[1]3. 5. 프랑스 근위대의 돌격과 패배
나폴레옹이 최후의 수단으로 제국 근위대를 투입했지만, 페레그린 메이틀랜드의 제1 근위 보병 연대가 풀밭에 엎드려 있다가 근거리 일제 사격을 가해 큰 피해를 입혔다. 이와 동시에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이 전장에 도착하면서, 제국 근위대는 역사상 처음으로 무너졌다. 결국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다.3. 6. 전투의 결과와 나폴레옹의 몰락
1815년 6월 18일, 워털루 전투는 프랑스군의 포격으로 시작되었다. 나폴레옹은 우구몽과 라 에 생트에서 웰링턴 공작의 측면에 대한 기만적인 공격을 감행했지만, 웰링턴은 주력을 돌리지 않았다. 토머스 픽턴 장군은 네덜란드 여단이 궤주하자 틈새를 메우기 위해 투입되었지만,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사했다. 윌리엄 폰손비도 프랑스군 포병에 대한 기병 돌격을 이끌었지만, 연합군 주력에서 고립되어 프랑스 창기병에게 죽임을 당했다.동쪽에서 나타난 병력은 웰링턴에게는 에마뉘엘 드 그루시의 군대로, 나폴레옹에게는 게르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의 군대로 추정되어 불안감을 자아냈다. 복통으로 고통받던 나폴레옹은 잠시 물러나 미셸 네에게 지휘권을 넘겼다. 동시에 연합군에게 100보 후퇴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는데, 네는 이를 철수로 잘못 해석했다.
네는 영국군에 대한 기병 돌격을 감행했지만, 보병 사각대형에 의해 격퇴되어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투는 여전히 나폴레옹에게 유리하게 진행되었다. 라 에 생트가 프랑스군에게 함락되고, 나폴레옹은 결국 제국 근위대를 투입하여 결정적인 타격을 가하기로 결정했다.
전진하는 동안, 풀밭에 엎드려 있던 페레그린 메이틀랜드의 제1 근위 보병 연대는 제국 근위대에 치명적인 근거리 일제 사격을 가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며 격퇴했다. 동시에 블뤼허가 전장에 도착했다. 역사상 처음으로 제국 근위대가 무너지고,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다.
전투가 끝난 그날 저녁, 웰링턴은 전장에 널려있는 수천 명의 사상자를 지켜보았다. 나폴레옹은 전투에서 살아남았지만, 원수들의 간청에 도망치도록 설득당했다.
4. 주요 참전 인물
이 섹션에서는 1970년 영화 "나폴레옹"에 등장하는 워털루 전투의 주요 참전 인물들을 다룬다. 영화는 프랑스 측과 영국 및 연합군 측의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투를 묘사한다.
4. 1. 프랑스 측
배우 | 역할 | 비고 |
---|---|---|
로드 스타이거 | 나폴레옹 황제 | [1] |
댄 오헐리히 | 미셸 네 원수 | [5] |
샤를 밀로 | 에마뉘엘 드 그루시 원수 | [10] |
필리프 포르케 | 샤를 드 라 베도예르 준장 | [6] |
지아니 가르코 | 앙투안 드루오 소장 | [7] |
이보 가라니 | 니콜라 장 드 디유 술트 원수 | [8] |
예브게니 사모일로프 | 피에르 캉브론 준장 | [11] |
블라디미르 드루즈니코프 | 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사단장 | [12] |
안드레아 체키 | 근위병 | [13] |
오라치오 올란도 | 콩스탕 | [14] |
겐나디 유딘 | 근위대원 샤크타스 | [15] |
아르만도 보틴 | 부소위 레그로 | [16] |
로돌포 로디 | 조제프 푸셰 | [17] |
장 루이 | 니콜라 우디노 원수 | [18] |
보리스 몰차노프 | 앙리 가티앙 베르트랑 사단장 | [19] |
레프 폴랴코프 | 프랑수아 에티엔 드 켈레르만 사단장 | [20] |
조르조 스콜리에테 | 루이-알렉상드르 베르티에 원수 | [21] |
세르지오 테스토리 | 마르셀랭 마르보 중장 | [22] |
얀 야나키예프 | 도미니크 장 라레 의사 | [23] |
로스티슬라프 얀콥스키 | 샤를 조제프 드 플로 | [24] |
오손 웰스 | 루이 18세 | [26] |
4. 2. 영국 및 연합군 측
배우 | 역할 |
---|---|
크리스토퍼 플러머 | 아서 웰즐리 제1대 웰링턴 공작[2][5] |
박일 | 아서 웰즐리 제1대 웰링턴 공작 (크리스토퍼 플러머)[2] |
잭 호킨스 | 토머스 픽턴 중장[7] |
루퍼트 데이비스 | 알렉산더 고든 제4대 고든 공작 대령 |
이언 오길비 | 윌리엄 호 드 런시 경 대령 |
마이클 와일딩 | 명예 윌리엄 폰손비 소장 |
세르고 자카리아제 |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원수[12] |
테렌스 알렉산더 | 헨리 패짓 제2대 억스브리지 백작 중장 |
도날 도넬리 | 오코너 상병 |
올레그 비도프 | 톰린슨 |
찰스 보로멜 | 멀홀랜드 |
피터 데이비스 | 제임스 헤이 경 중령 |
윌러비 그레이 | 윌리엄 노먼 램지 소령 |
로저 그린 | 던컨 |
리처드 헤퍼 | 카발리에 머서 대위 |
존 세이비던트 | 카를 폰 뮈플링 소장 |
제프리 위컴 | 존 콜본 경 대령 |
칼 리예핀스크 | 아우구스트 나이드하르트 폰 그나이제나우 원수 |
5. 영화 "워털루" (1970)
1815년 6월 18일에 벌어진 워털루 전투를 주제로 한 영화이다.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영국군 사령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의 전투를 그린다. 이른 아침부터 저녁까지의 전황 변화를 상세하게 묘사하며, 영국군 거점 우구몽에 대한 공격, 프랑스 보병의 전진, 영국 용기병의 돌격과 전멸, 프랑스 기병의 돌격과 영국군 방진의 전투, 프랑스 근위병의 투입과 전멸 등이 자세히 그려져 있다.[33]
촬영에는 당시 소련군이 전면 협력하여, 영·독·란·프랑스 연합 총 20만 대군이 격돌한 전투를 합성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현했다. 이탈리아의 저명한 프로듀서 디노 데 로렌티스가 소련의 모스필름과 손잡고 제작했지만, 전 세계 시장을 겨냥하여 유럽과 미국의 일류 배우들이 기용되었다.
영국에서는 인기를 얻었지만, 제작비를 회수하지 못하고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5. 1. 제작 과정
이탈리아 제작자 디노 데 라우렌티스는 1965년 10월에 이 영화를 처음 발표하며 이듬해에 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존 휴스턴이 연출을 맡을 예정이었다.[11] 존 휴스턴이 합류하면서 데 라우렌티스는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불가리아, 루마니아에서 영화를 제작하려 했지만 실패했다.데 라우렌티스가 1960년대 후반에 소련과 협상을 시작하고 나서야 그가 찾던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는 모스필름과 합의를 맺었고, 최종 비용은 12억파운드 이상(1970년 기준 약 38300000USD)으로 당시로서는 가장 비싼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12]
이 시점에서 존 휴스턴이 프로젝트에서 하차하면서, 이 관계는 전쟁과 평화로 1970년 오스카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으로 호평받은 러시아의 유명한 감독 세르게이 본다르추크를 끌어들였다.
1968년 12월, 스테이거는 나폴레옹 역으로 캐스팅되었고, 본다르추크는 웰링턴 공작 역을 연기할 배우들과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런던을 방문했다. 감독은 "나는 웰링턴을 전형적인 영국인으로 봅니다."라고 말하며 "나는 톨스토이가 나폴레옹을 대했던 것처럼 나폴레옹을 봅니다."라고 덧붙였다.[13]
이 영화는 당시 이탈리아와 러시아 사이의 여러 합작 영화 중 하나였다. 다른 영화로는 붉은 텐트, ''해바라기''와 ''두브로브스키''(후자는 제작되지 않음)가 있다.[14] 추가 자금은 파라마운트와 컬럼비아에서도 나왔다.[15]
만약 이 영화가 서방에서 촬영되었다면, 비용이 최대 3배까지 들었을 것이다. 모스필름은 4억파운드 이상을 지원했고, 소련군의 정규 기병대 전체를 포함하여 거의 17,000명의 병력과 우즈호로드 외곽의 구릉지에서 전투 현장을 준비하기 위한 엔지니어와 노동자들을 투입했다. 우크라이나 SSR.[16][17] 이탈리아는 8억파운드를 제공했다고 한다.[3]
촬영은 1969년 한 해 동안 로마와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 SSR)에서 진행되었다. 출연진은 러시아, 이탈리아, 아일랜드, 미국, 캐나다, 영국 배우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영어로 대사를 해야 했다.
전투 현장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소련은 언덕 두 개를 불도저로 밀어내고, 약 8.05km의 도로를 깔고, 5,000그루의 나무를 이식하고, 호밀, 보리, 야생화를 심고, 4개의 역사적인 건물을 재건했다. 진흙을 만들기 위해 약 9.66km 이상의 지하 관개 파이프가 특별히 설치되었다. 대부분의 전투 장면은 5대의 파나비전 카메라를 사용하여 지상, 약 30.48m 높이의 타워, 헬리콥터, 현장을 가로지르는 고가 철도에서 동시에 촬영되었다.[18][8] 전투 장면은 25,000,000 달러 예산 중 5000000USD가 들었다고 한다.[14] 이 영화는 영화에 사용된 가장 큰 규모의 전투 현장이었다.[19]
그러나 지형의 진정성은 의심스러우며, 지형적 정확성보다는 극적인 파노라마 촬영에 더 관련이 있다. 실제 워털루 현장은 긴 전망을 위한 기회가 거의 없는 일련의 낮은 구릉으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라 아예 생테는 작은 남쪽을 향한 구멍에 위치해 있어 북쪽과 서쪽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실제 촬영은 28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여기에는 16일의 지연(주로 악천후로 인해)이 포함되었다. 많은 전투 장면은 1969년 여름에 종종 무더운 날씨 속에서 촬영되었다. 우크라이나의 전투 현장 외에도, 이탈리아 카세르타 왕궁에서 촬영이 진행되었으며, 실내 장면은 로마의 대규모 데 라우렌티스 스튜디오 부지에서 촬영되었다. 이 영화의 전투 시퀀스에는 약 15,000명의 소련 보병과 2,000명의 기병대가 엑스트라로 참여했고, 위험한 낙마를 연기하기 위해 50명의 서커스 스턴트 라이더가 사용되었다. 세르게이 본다르추크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큰 군대를 지휘했다는 농담이 돌았다.[20]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하기 몇 달 전, 17,000명의 병사들은 훈련을 시작하여 드릴 및 전투 대형을 배우고, 칼, 총검 사용법 및 대포 취급법을 배웠다. 2,000명의 추가 선발 병사들은 소총 장전 및 발사법도 배웠다. 이 군대는 전투 현장 옆의 대규모 야영지에서 생활했다. 매일 아침 식사 후, 그들은 대형 의상 건물로 행진하여 프랑스, 영국 또는 프로이센 군복을 입고 15분 후에 위치에 배치되었다.
병사들은 워키토키를 통해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감독의 명령을 받는 장교들의 지휘를 받았다. 이 거대한 다국적 사업을 지휘하기 위해, 소련 감독은 항상 4명의 통역사를 옆에 두었다. 각각 영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통역사였다.
크레딧에 나열된 여러 역사적 인물들은 실제로 영화에 등장하지 않으며, 개봉 전에 삭제된 장면에 있었다고 한다.[21]
5. 2. 출연진
- 로드 스타이거 - 나폴레옹 1세 역[33]
- 크리스토퍼 플러머 - 웰링턴 공작 역[13]
- 잭 호킨스 - 역
- 오손 웰스 - 루이 18세 역
- 버지니아 매케나 - 역
- 댄 오헐리 - 네 원수 역
- 세르조 자카리아즈 - 블뤼허 원수 역
- 이보 갈라니 - 술트 원수 역
5. 3. 평가 및 수상
이 영화는 1971년 BAFTA에서 2개 부문(최우수 미술상, 최우수 의상상)을 수상했으며, 1개 부문(최우수 촬영상) 후보로 지명되었다.[26]시상식 | 부문 | 후보 | 결과 |
---|---|---|---|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 촬영상 | 아르만도 난누치 | 후보 |
의상상 | 마리아 데 마테이스 | 수상 | |
미술상 | 마리오 가르불리아 | 수상 |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작품상 | 디노 데 로렌티스 | 수상 |
나스트로 다르젠토 | 촬영상 | 아르만도 난누치 | 후보 |
공동 제작자 톰 칼리는 "이 영화는 특히 영국을 포함한 유럽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프랑스인들은 덜 열광적이지만, 결국 그들은 워털루에서 졌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23] 그러나 제작비를 회수하는 데 실패했다. 영화 《워털루》의 저조한 흥행 성적은 스탠리 큐브릭이 기획했던 나폴레옹 영화 전기의 제작 취소로 이어졌다.[24]
개봉 후 이 영화는 인기를 얻었고 전투 묘사에 대한 수많은 호평을 받았다. 뉴질랜드 영화 감독 피터 잭슨은 이 영화가 그의 영화 반지의 제왕과 호빗 영화 각색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25] 뉴욕 타임스에 기고한 로저 그린스펀은 영화 《워털루》를 "매우 형편없는 영화"라고 평하며, 본다르추크의 "강박적인" 연출과 스테이거의 과장된 연기를 지적했다.[26]
6. 워털루 전투의 역사적, 문화적 영향
워털루 전투는 유럽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7. 한국과 워털루 전투
워털루 전투는 한국 역사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세계사의 중요한 사건으로서 한국의 역사 교육과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참조
[1]
뉴스
Obituary: Mario Soldati
https://www.independ[...]
2018-01-26
[2]
웹사이트
Mario Soldati
http://www.allocine.[...]
2018-01-26
[3]
뉴스
Shadows on the wall
1970-10-25
[4]
Citation
Waterloo (1970)
https://letterboxd.c[...]
2018-01-26
[5]
웹사이트
Waterloo Movie Review & Film Summary (1971) {{!}} Roger Ebert
https://www.rogerebe[...]
2018-01-26
[6]
웹사이트
A Battle Fought Strictly for the Camera:Bondarchuk Directs Craig's 'Waterloo' Rod Steiger Portrays Ill-Fated Napoleon
https://www.nytimes.[...]
2018-01-26
[7]
웹사이트
WATERLOO (1971)
https://catalog.afi.[...]
2021-07-31
[8]
뉴스
Screw CGI, This War Movie Used 15,000 Real Soldiers
https://kotaku.com/s[...]
2018-01-26
[9]
뉴스
Waterloo: The Movie That Used 15,000 Real Soldiers as Extras
https://www.warhisto[...]
2018-01-26
[10]
웹사이트
Waterloo: The Movie That Used 15,000 Real Soldiers as Extras
https://www.warhisto[...]
2021-06-18
[11]
뉴스
Waterloo
Los Angeles Times
1965-10-07
[12]
뉴스
Waterloo (1970) - Financial Information
https://www.the-numb[...]
2018-01-26
[13]
뉴스
Director to film Waterloo
1968-12-19
[14]
뉴스
Italian Filmmakers invading Russia
1969-01-15
[15]
뉴스
US, Russia and Italy Ally to Film Waterloo
1969-03-14
[16]
뉴스
Waterloo: the epic 1970 movie
https://www.markpack[...]
2018-01-26
[17]
웹사이트
Waterloo: My my, Napoleon did surrender rather like this
https://www.theguard[...]
2018-01-26
[18]
웹사이트
making of Waterloo 1970 {{!}} Adventures In Historyland
https://adventuresin[...]
2018-01-26
[19]
뉴스
Dino de Laurentiis Discovers his 'Waterloo'
1969-07-26
[20]
citation
Waterloo (review)
http://www.channel4.[...]
period props were built by E. Rancati and hundreds of pairs of footwear were supplied by [[L.C.P. di Pompei|Pompei]]. [[Channel 4]]
[21]
서적
Brassey's Guide to War Films
Potomac Books Inc.
2000
[22]
뉴스
Richard Burton top draw in British cinemas
The Times
1971-12-30
[23]
뉴스
How Waterloo Ended up in Rassia
1971-03-24
[24]
웹사이트
Stanley Kubrick's 'Napoleon': A Lot of Work, Very Little Actual Movie
https://www.vice.com[...]
2021-06-02
[25]
Youtube
Peter Jackson Inspiration 2
https://www.youtube.[...]
2013-02-02
[26]
뉴스
A Battle Fought Strictly for the Camera: Bondarchuk Directs Craig's 'Waterloo'
https://www.nytimes.[...]
2024-03-24
[27]
웹사이트
Why Do Brides Wear White?
https://www.britanni[...]
2021-09-07
[28]
웹사이트
Royal Weddings 1840-1947
https://www.rct.uk/c[...]
2019-01-19
[29]
서적
Dancing into Battle: A Social History of the Battle of Waterloo
Weidenfeld &Nicholson
[30]
뉴스
Scottish heroism at Waterloo should not be forgotten
https://www.theguard[...]
2016-12-04
[31]
encyclopedia
William Brabazon Ponsonby (1744–1806)
[32]
encyclopedia
Cameron, John (1771–1815)
Oxford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Stanley Kubrick's 'Napoleon': A Lot of Work, Very Little Actual Movie
https://www.vice.com[...]
2023-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