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조 (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조는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새이다. 《산해경》에서는 난조가 저절로 노래하는 낙원 지역에 살며, 봉황과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고 묘사된다. 《설문해자》에서는 적제의 정액에서 태어난 붉은색의 닭과 같은 모습으로, 통치자를 찬양하는 찬가가 불릴 때 나타난다고 정의한다. 난조는 평화와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전국 시대에는 주 성왕에게 바쳐진 공물로 묘사되기도 한다. 육조 시대에는 서왕모와 연관되어 나타나기도 하며, 한국 문화에서는 왕실 문양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해경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산해경 - 봉래산
봉래산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선이 사는 영산으로, 불사신이 거주하는 곳이자 불로불사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그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존재한다. - 한국의 전설의 생물 - 봉황
봉황은 닭, 제비, 뱀, 학, 물고기, 원앙, 거북, 매의 모습을 닮고 오색 빛깔과 아름다운 울음소리를 지닌 상서로운 새로, 평화와 번영,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에서는 하늘과 땅을 잇는 매개체로 신성시된다. - 한국의 전설의 생물 - 도깨비
도깨비는 한국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존재로, 사람의 형상을 하고 초자연적인 힘을 지니며, 장난기 넘치는 성격으로 인간에게 행운을 주거나 불운을 쫓는 존재로 묘사된다. - 중국 신화에 관한 - 팔선
팔선은 중국 도교 신화에 등장하는 각기 다른 특징과 상징물을 가진 여덟 명의 신선으로, 시대와 매체에 따라 구성원이 다르게 나타나며 민간 신앙의 대상이자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등장한다. - 중국 신화에 관한 - 서유기
《서유기》는 현장 일행의 서역 구법 여행을 그린 16세기 중국 소설로, 불교, 도교, 유교 사상이 융합된 상상력 넘치는 이야기와 해학적인 문체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자는 오승은으로 알려져 있으나 논쟁 중이다.
| 난조 (새) | |
|---|---|
| 개요 | |
| 종류 | 신화 속 새 |
| 문화권 | 동아시아 |
| 명칭 | |
| 한국어 | 난조 (鸞鳥) |
| 중국어 (간체) | 鸾 (Luán) |
| 중국어 (정체) | 鸞 (Luán) |
| 일본어 (가나) | らん (Ran) |
| 일본어 (한자) | 鸞 (Ran) |
| 로마자 표기 (중국어 병음) | luán |
| 로마자 표기 (한국어) | ran |
| 특징 | |
| 외형 | 금계(金雞)와 유사하다고 함 |
| 상징 | 봉황과 함께 길조를 상징 |
2. 외형 및 특징
난조는 여러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된다. 육조 시대에 이르러 난조는 서왕모와 연관되었다.[4] 
2. 1. 산해경
산해경 제7장과 제16장에는 난새가 저절로 노래하는 낙원 지역에 산다고 묘사되어 있다. 제11장에서는 그 특징이 봉황을 연상시킨다. 뱀을 밟고 가슴에 뱀을 걸치고 있다고 한다.[4] 다른 부분에서는 방패를 든다고 언급된다.[4] 산해경에서 난새는 '황'새, '봉'새와 함께 5색 조류 중 하나로 묘사된다.[3] 난새가 노래하면 '봉'새가 춤을 추며 이를 따라간다.[3]
2. 2. 설문해자
설문해자는 난조를 적제의 정액에서 태어난 존재로 정의한다. 붉은색에 오색 무늬가 있으며, 몸은 닭과 같다. 다섯 개의 표준 음계로 노래하며, 통치자를 찬양하는 찬가가 불릴 때 나타난다.[4] 난새를 "신성한 새의 정수"라고 묘사하기도 했다.[3]2. 3. 삼재도회 및 왜한삼재도회
삼재도회에는 난조가 신령의 변화라고 기록되어 있다.[4]에도 시대 일본의 왜한삼재도회에는 난새의 피가 끈적거려서 악기에 현을 붙이는 데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적혀 있다.
3. 기원
난조의 기원은 알거스꿩, 공작새, 또는 금계로 추정된다.[4]
4. 상징적 의미
봉황과 마찬가지로 난조는 평화의 징조를 나타낸다.[1] 전국 시대 전설에 따르면 난조는 북서부 부족들이 주 성왕에게 복종의 상징으로 바친 공물이었다고 한다.[1]
5. 한국 문화 속 난조
한국에서 난조는 왕실과 관련된 상징으로 자주 등장한다.
6. 다른 문화권
6. 1. 서왕모와의 연관성
육조 시대에 이르러 난새는 서왕모와 연관되었다.[4]참조
[1]
서적
The age of eternal brilliance : three lyric poets of the Yung-ming era (483-493)
https://www.worldcat[...]
Brill
2003
[2]
서적
De jiao : a religious movement in contemporary China and overseas : purple qi from the East
https://www.worldcat[...]
NUS Press
2010
[3]
서적
Religious faith of the Chinese
https://www.worldcat[...]
2018
[4]
서적
A Chinese Bestiary: Strange Creatures from the Guideways Through Mountains and Se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8
[5]
서적
和漢三才図会
平凡社
[6]
서적
図説・日本未確認生物事典
柏書房
[7]
서적
図説・日本未確認生物事典
柏書房
[8]
서적
De jiao : a religious movement in contemporary China and overseas : purple qi from the East
https://www.worldcat[...]
NUS Pres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