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재도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재도회》는 '하늘, 땅, 사람'을 의미하는 삼재를 바탕으로 우주의 만물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는 백과사전으로, 14개의 문(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문, 지리, 인물, 시령, 궁실, 기용, 신체, 의복, 인사, 의례, 진보, 문사, 조수, 초목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며, 각 항목은 텍스트와 삽화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중국, 조선,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일본의 《화한삼재도회》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역사 인물 그림의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일부 내용이 부정확하다는 한계도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9년 책 - 두에-랭스 성경
    두에-랭스 성경은 16세기 잉글랜드 종교 개혁 이후 가톨릭 신자들을 위해 프랑스 랭스와 두에 대학교에서 출판된 영어 번역 성경으로, 불가타 성경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킹 제임스 성경에도 영향을 미쳤고, 18세기 리처드 챌로너 주교에 의해 개정되어 20세기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 1609년 책 - 신천문학
    신천문학은 요하네스 케플러가 1609년에 출판한 천문학 서적으로, 티코 브라헤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행성이 태양을 중심으로 타원 궤도를 그린다는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 중 처음 두 가지를 제시하며 천문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의 문학 - 영락대전
    영락대전은 명나라 영락제의 명으로 편찬된 방대한 백과사전으로, 경사자집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서적을 운자 순서에 따라 배열한 것이 특징이며, 대부분 소실되어 현재는 약 400권 정도만 남아 세계 각지에 분산되어 있다.
  • 명나라의 문학 - 당시선
    《당시선》은 명나라 이반룡이 편찬한 당나라 시 선집으로, 성당 시기의 시를 중심으로 두보, 이백, 왕유 등의 작품을 수록하고 동아시아 시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나, 위작 논란이 제기되었다.
  • 백과사전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백과사전 - 고금도서집성
    《고금도서집성》은 강희제의 명으로 편찬되어 1726년에 완성된 백과사전으로, 고대부터 청나라 초기까지의 문헌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천문, 지리, 인간, 자연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다.
삼재도회
일반 정보
삼재도회 천문도
『삼재도회』의 〈천문도〉
제목삼재도회
원제三才圖會
로마자 표기Sāncái Túhuì
저자왕기(王圻), 왕사의(王思義)
저술 시기만력 35년 (1607년) ~ 만력 37년 (1609년)
간행 시기만력 37년 (1609년)
분류유서
언어한문
내용
구성천문, 지리, 인물, 시용, 궁실, 기용, 신형, 초목, 금수, 충어의 12문으로 구성
권수106권
삽도 수9055매
특징도설의 형태를 취함
영향일본의 화한삼재도회에 영향
강희자전 편찬에 참고
관련 정보
관련 항목화한삼재도회

2. 구성

《삼재도회》라는 제목에서 '삼재'(三才)는 《역경》(易經)에서 말하는 '하늘', '', '사람'을 의미하며, 나아가 우주의 모든 만물을 가리키는 말로 쓰였다. 즉, 《삼재도회》는 세상 만물을 설명하고 그림을 통해 이해를 돕고자 편찬된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다.

책은 총 106개의 장(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크게 14개의 문(門), 즉 범주로 나뉜다. 각 문(門)마다 해당 주제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해를 돕기 위한 그림이 실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14개의 문(門)은 다음과 같다.

문(門)한국어 명칭주요 분야
천문(天文)천문천문학
지리(地理)지리지리학
인물(人物)인물전기, 역사
시령(時令)시령역사, 달력
궁실(宮室)궁실건축, 풍수지리
기용(器用)기용도구, 기물
신체(身體)신체인체, 의학, 관상
의복(衣服)의복의복, 장신구
인사(人事)인사인간 활동 (예술, 놀이, 무예 등)
의제(儀制)의제의례, 제도
진보(珍寶)진보보물, 화폐
문사(文史)문사문학, 역사 기록
조수(鳥獸)조수동물학 (조류, 포유류, 어류, 곤충 등)
초목(草木)초목식물학



《삼재도회》는 당시 중국에 전래된 서양 선교사들의 지식을 반영하여 산해여지전도와 같은 비교적 정확한 세계 지도를 싣기도 했다. 또한 일본인, 한국인, 베트남인의 의복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등[3], 일부 항목에서는 당시의 다른 백과사전류 서적인 (일용유서)와 비교하여 정확성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3] 이러한 점 때문에 에도 시대 일본에서 편찬된 백과사전인 《화한삼재도회》( 데라지마 료안 저)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 내용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특히 책에 실린 중국 역사 인물들의 그림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으며, 이는 오래전 (淸) 시대에 편찬된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도 비판받은 바 있다.[2] 또한, 동식물 그림 중에서도 투구게(후, 鱟)나 두루미처럼 실제 모습과 다르게 그려지거나[3] 신화 속 동물을 그대로 그린 경우도 있다.[2]

2. 1. 천문 (天文)

《삼재도회》는 총 14개의 문(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문(天文)'은 그중 첫 번째 문이다. 천문 문은 총 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요 내용
천문 1권천문총도, 태미원, 자미원, 천시원
천문 2권동방칠수, 북방칠수, 서방칠수
천문 3권남방칠수, 성도, 일월주천, 오성주천, 황도
천문 4권오진, 북극성, 일식, 월식,


2. 2. 지리 (地理)

《삼재도회》의 지리(地理) 문(門)은 총 16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의 각 지역, , , 호수뿐만 아니라 조선, 일본, 류큐 등 주변 국가와 지역에 대한 정보까지 포함하고 있다. 당시 중국에 전래된 서양의 지식을 반영하여 산해여지전도와 같은 세계 지도를 수록하기도 했는데, 이는 비교적 정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아래는 지리 문 각 권의 주요 내용이다.

권명주요 내용
지리 1권산해여지전도, 화이, 북직, 남직, 산동, 산서, 섬서, 하남
지리 2권절강, 강서, 호광, 사천, 복건, 광동, 광서, 운남, 귀주
지리 3권구변, 요동, 소주
지리 4권황하, 양쯔강, 광동 연해, 복건 연해
지리 5권절강 연해, 산동 연해, 요동 연해, 해운, 해시
지리 6권순천경성(베이징), 응천경성(난징)
지리 7권천평산, 동정산, 황산
지리 8권태산, 곤륜산, 화산, 봉래산
지리 9권서호, 천목산, 금화산, 보타산
지리 10권초강, 적벽산, 녹문산
지리 11권촉도, 아미산, 무이산, 연봉산, 호공산
지리 12권나부산, 계림, 칠성암, 구정산, 방장산
지리 13권동이 (일본, 조선), 서이 (토번), 남이 (안남), 북이 (달단), 동남이 (류큐), 서남이, 동북이, 서북이
지리 14권구주도, 오복도, 강계, 공부지도, 육향도, 육축도, 정전구서
지리 15권백묘, 녹전, 춘추열국, 십오국, 국도, 십도, 십오채방사, 당군명
지리 16권국도, 역대제도, 전포, , 지형도, 용혈사수도, 중국 3대 간도


2. 3. 인물 (人物)

《삼재도회》의 인물(人物) 문(門)은 총 1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 역대 왕조의 제왕, 명신, 학자, 종교 인물 등 다양한 인물들을 다루고 있다. 각 인물에 대한 설명과 함께 그림을 실어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그림들의 역사적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비판이 있다. 왕조에서 편찬한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도 이 점을 지적하였다.

각 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요 인물 및 내용
인물 1권삼황오제, 은나라, 주나라, 전국 시대 인물
인물 2권서한, 동한, , 진, 당나라, 송 시대 인물
인물 3권오대, 원, 명나라 시대 인물
인물 4권창힐, 후직, 태공, 오제삼왕 명신, 공자, 맹자, 장자, 장량, 한신, 사마천, 굴원
인물 5권제갈량, 관우, 사마의, 주유, 도연명
인물 6권안사고, 곽자의, 안진경, 이백, 두보, 백낙천
인물 7권악비, 미불, 소식, 사마광
인물 8권야율초재, 왕충문, 헌좌도, 위문정, 도통총도, 전경도설
인물 9권석가, 삼십삼조, 포대화상, 십팔나한존자
인물 10권관음, 노자, 서왕모
인물 11권장도릉, 좌자, 팔선
인물 12권이국(異國) 인물
인물 13권이국(異國) 인물, 유수, 상류, 제강


2. 4. 시령 (時令)

《삼재도회》의 14개 분야 중 하나인 시령(時令) 문(門)에서는 시간의 흐름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다룬다. 주로 계절의 변화에 따른 기후, 달력 체계, 시간과 방위에 따른 길흉 등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시령 문은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명주요 내용
시령 1권기후, 달력
시령 2권육십년 신방위
시령 3권십이월 방위, 천운성
시령 4권천운성, 주당, 구성길흉



구체적으로는 기후의 변화 양상, 달력의 원리, 육십갑자에 따른 방위의 변화, 각 달(月)의 방위, 그리고 천운성(天運星), 주당(周堂), 구성(九星) 등을 통해 길흉을 점치는 방법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당시 사람들이 시간의 흐름과 자연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생활에 적용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이다.

2. 5. 궁실 (宮室)

《삼재도회》는 총 14개의 문(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가 궁실(宮室) 문이다. 궁실 문은 총 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건축물과 풍수지리에 관련된 내용을 그림과 함께 설명한다.

주요 내용
궁실 1권궁(宮), 전(殿), 당(堂), 루(樓), 택(宅), 정(亭), 시(市), 묘(廟), 학(學), 방(坊), 주(廚), 조(竈) 등 다양한 건축물의 종류와 형태
궁실 2권전려(廛廬), 우실(廏室), 창(倉), 마구간, 측간(廁干), 성(城), 교(橋) 등 생활 관련 시설 및 구조물
궁실 3권양택내형 길흉(陽宅內形 吉凶): 집 내부 구조와 관련된 풍수지리
궁실 4권양택외형 길흉(陽宅外形 吉凶), 사위택(四圍宅): 집 외부 환경 및 주변과의 관계에 따른 풍수지리


2. 6. 기용 (器用)

'기용(器用)' 문(門)에서는 고대 중국의 다양한 도구와 기물들을 다룬다. 제례에 사용되는 그릇부터 시작하여 도량형, 악기, 운송 수단, 무기, 생산 도구, 일상 용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분야의 기물들이 그림과 함께 설명되어 있다. 각 권에서 다루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요 내용
기용 1권정(鼎), 호(壺), 분(盆), (鑑)
기용 2권존(尊), 규(圭), 옥(玉), 벽(璧), 누각(漏刻), 규구(規矩), 도량형
기용 3권악기
기용 4권무(舞), (干), 뗏목(筏),
기용 5권차(車), 망(網), 낚싯대(竿), 해단(海?)
기용 6권무기, 기(旗)
기용 7권포(砲), 화기
기용 8권화기
기용 9권양잠, 직기
기용 10권농기구, 수차
기용 11권농기구
기용 12권문방구, 불구(佛具), 약연(藥碾), 발(簾), 부채, 조명(燈), 형구


2. 7. 신체 (身體)

《삼재도회》의 '신체(身體)' 문(門)은 총 7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체의 구조와 기능, 질병, 인상 등을 다룬다. 각 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요 내용
신체 1권오장
신체 2권오장, 경락
신체 3권
신체 4권, 팔회(八會)
신체 5권병(病), 진사시(診四時), 상한열(傷寒熱)
신체 6권창도(瘡瘇)
신체 7권인상(人相)



다른 문(門)과 마찬가지로 신체 관련 내용 역시 그림과 함께 설명이 곁들여져, 당시의 인체 이해 방식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2. 8. 의복 (衣服)

《삼재도회》는 총 14개의 문(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가 '의복(衣服)' 문이다. 이 문은 총 3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복' 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옷과 장신구를 다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인 옷(의), 모자, 명나라 시기 관복(국조관복), 삿갓, 짚신, 승려의 옷(승의), 도사의 옷(도의), 갖옷(방구) 등에 대한 설명과 그림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삼재도회》는 당시 중국 외 다른 문화권의 의복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였는데, 일본인, 한국인, 베트남인의 의복을 비교적 정확하게 묘사한 점이 특징이다. 이는 동시대 다른 백과사전류 서적과 비교했을 때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2. 9. 인사 (人事)

인사(人事) 문(門)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총 1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악기 연주, 놀이, 서예, 그림, 무예, 음악 등 폭넓은 주제를 포함한다.

주요 내용
인사 1권고금, 상희, 타마
인사 2권위기
인사 3권, 영자팔법, 초결백운, 예자법
인사 4권, 화
인사 5권
인사 6권화, 제홍
인사 7권무예
인사 8권팔진, 패도
인사 9권율려, 무악
인사 10권이십사기수진도, 유희


2. 10. 의제 (儀制)

'의제(儀制)'는 《삼재도회》를 구성하는 14개의 문(門) 중 하나로, 주로 국가의 의식과 제도에 관련된 내용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총 8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왕궁의 구조, 왕의 행차 시 사용되는 노부(鹵簿)와 의장(儀仗), 제례를 지내는 제실(祭室)과 절차, 군대의 편제나 형벌의 종류 등을 다룬다.

주요 내용
의제 1권왕궁
의제 2권왕궁
의제 3권노부, 의장
의제 4권의장
의제 5권제실
의제 6권제실
의제 7권제례
의제 8권제례, 군, 형벌


2. 11. 진보 (珍寶)

《삼재도회》의 진보(珍寶) 문(門)은 총 2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금속암석류(금석, 金石), 그리고 화폐(돈, 錢)와 같이 귀중하게 여겨지는 물품들을 다룬다.

주요 내용
진보 1권금석(金石), 돈(錢)
진보 2권돈(錢)


2. 12. 문사 (文史)

문사(文史)는 《삼재도회》를 구성하는 14개의 문(門) 중 하나로, 총 4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문사 1권: 하도(河圖)와 팔괘(八卦)를 다룬다.
  • 문사 2권: 시경(詩經)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문사 3권: 춘추 시대 20국의 연표와 시문(詩文)을 수록했다.
  • 문사 4권: 시문(詩文)을 다룬다.

2. 13. 조수 (鳥獸)

《삼재도회》의 '조수(鳥獸)' 문(門)은 와 짐승을 비롯한 다양한 동물을 다루는 부분이다. 총 6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1]

  • 조수 1~2권: 조류(鳥類)
  • 조수 3~4권: 수류(獸類). 주로 포유류를 포함한 짐승을 다룬다.
  • 조수 5~6권: 린류(鱗類, 어류, 파충류, 양서류 등 비늘이 있는 동물), 개류(介類, 갑각류, 패류 등 껍질이 있는 동물), 충류(蟲類, 곤충을 포함한 작은 동물)


이 부분에 실린 동식물 그림 중에는 후(투구게)처럼 실제 모습과 다르게 그려지거나,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을 그대로 그린 경우도 있다.[2] 이러한 점 때문에 (淸)에서 편찬한 《사고전서총목제요》(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는 그림의 정확성에 대해 비판하기도 했다.[1] 특히 투구게두루미 관련 항목처럼 일부 부정확하거나 신화적인 내용이 포함된 것은 사실이다.[3]

하지만 《삼재도회》는 당시 흔했던 "일상 백과사전"()과 달리, 다른 항목에서는 비교적 정확한 정보를 담으려 노력한 점이 특징이다.[3]

2. 14. 초목 (草木)

'초목(草木)'은 《삼재도회》를 구성하는 14개의 문(門) 중 하나로, 식물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총 12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권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명주요 내용
초목 1권초류 (草類)
초목 2권초류
초목 3권초류
초목 4권초류
초목 5권초류
초목 6권초류
초목 7권초류
초목 8권목류 (木類)
초목 9권목류
초목 10권소류 (蔬類)
초목 11권과류 (果類), 곡류 (穀類)
초목 12권화훼류 (花卉類)



각 항목마다 그림과 설명이 덧붙여져 있으나, 《사고전서총목제요》에서 지적했듯이 다른 동식물 그림처럼 초목 편의 그림 중 일부는 실제 모습과 차이가 있거나 신화적인 내용을 담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3. 평가 및 영향

《삼재도회》는 명대 유서의 교과서적인 서적으로 평가받으며, 당시 지식인들의 세계관을 잘 보여주는 자료로 여겨진다.[1] 일본 에도 시대의 의사 데라지마 료안이 이를 모방하여 《화한삼재도회》를 저술하는 등, 일본뿐 아니라 조선을 포함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지식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1]

3. 1. 한국에 미친 영향

삼재도회는 천문학, 지리학, 인물, 역사, 생물학 등을 포함한 14개 범주, 106개 장으로 구성된 중국백과사전으로, 각 항목에는 글과 함께 삽화가 실려 있다.

이 책은 당시 흔했던 "일상 백과사전"(日用類書|르융 레이슈zho)과는 달리, 일부 항목에서 높은 정확성을 보여주었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한국인의 의복에 대한 묘사가 정확하게 그려져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일본인, 베트남인의 의복 묘사 및 세계 지도(산해여지전도)의 정확성과 함께 이 책의 가치를 높이는 부분이다. 물론 말굽게나 두루미 항목처럼 일부 내용에는 신화적이거나 부정확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3. 2. 일본에 미친 영향

일본 에도 시대의 의사 데라지마 료안( 寺島良安|데라지마 료안일본어 )은 《삼재도회》를 본떠 《화한삼재도회》라는 책을 썼다. 이 책은 일본뿐만 아니라 조선에도 전해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삼재도회》에는 중국 역사 인물의 그림이 많이 실려 있었는데, 일본에서 중국 역사 관련 서적을 만들 때 이 그림들을 가져다 쓰는 경우가 많았다.

3. 3. 한계

《삼재도회》는 일부 부정확하거나 신화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말굽게나 두루미에 대한 설명은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 하지만 당시 흔했던 "일상 백과사전"(日用類書|르융 레이슈zho)들과 비교하면, 다른 항목에서는 상당한 정확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일본인, 한국인, 베트남인의 의복에 대한 묘사나 세계 지도인 산해여지전도는 매우 정확한 편이다.

참조

[1] 링크 http://ibs001.colo.f[...]
[2] 서적 『四庫全書総目提要』巻138・子部48・類書類存目2・三才図会
[3] 서적 三才図会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