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호사도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미호사도요는 남아메리카 남부 지역에 서식하는 호사도요과의 조류이다. 머리와 목은 짙은 적갈색이며, 등은 회갈색이고 아랫부분은 흰색이며, 물갈퀴가 있는 발을 가지고 있다. 브라질 남부, 파라과이, 우루과이, 칠레, 아르헨티나의 저지대 습지에서 발견되며, 잡식성으로 작은 동물과 씨앗을 먹는다. 일부일처제로 번식하며, 둥지는 컵 모양으로 2~3개의 알을 낳는다. 과거에는 사냥되었으나, 서식지 파괴에도 불구하고 개체 수 감소는 없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 의해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사도요과 -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인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는 얕은 담수 습지에 서식하며, 존 굴드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고,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남아메리카의 새 - 매
매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뛰어난 비행 능력으로 조류를 사냥하는 맹금류로, 과거 살충제 사용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복원 노력으로 회복되었고 매사냥과 속도 및 권력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남아메리카의 새 - 아메리카레아
아메리카레아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대형 비행불능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취약종으로 분류되며 독일에는 야생 개체군이 존재하고, 식물 외 곤충류와 소형 척추동물도 섭취하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돌보는 특징을 가진다.
남미호사도요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보존 상태 | 준위협 (NT) |
IUCN 3.1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2693520/257086436 |
학명 | Nycticryphes semicollaris |
명명자 | (Vieillot, 1816) |
원 명명자 | Totanus semi-collaris |
이명 | Rostratula semicollaris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도요목 |
과 | 호사도요과 |
속 | 남미호사도요속 (Nycticryphes) |
종 | 남미호사도요 |
2. 특징
머리와 목은 어두운 적갈색이고, 머리꼭대기에는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 상체는 어두운 회갈색으로 흰색 점이 있으며 하체는 흰색이다. 암컷이 수컷에 비해 약간 더 크고 밝은 색이지만, 호사도요과의 다른 두 종에 비하면 그리 강한 성적 이형성을 띠는 것은 아니다. 부리는 긴 편에 속하며 끝부분이 약간 아래로 굽어 있다. 물갈퀴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호사도요과 종들과는 차이점이 있다. 몸 길이는 19~23cm이고 몸무게는 65~86g이다.
2. 1. 울음소리
거친, 쉭쉭거리는 ''위-우''|위-우영어 소리가 사육 환경의 새들에게서 기록되었다.3. 분포 및 서식지
남미호사도요는 브라질 남부, 파라과이, 우루과이에서 칠레와 아르헨티나에 이르는 지역에 서식한다. 습한 풀밭을 포함하여 저지대 담수 습지에 서식한다.
4. 생태
남미호사도요는 잡식성으로, 진흙과 얕은 물에서 먹이를 찾으며 주로 해질녘에 작은 동물과 씨앗을 찾아 먹는다.[1] 일부일처제로 짝을 맺고 무리를 이루어 번식하며, 습지에 둥지를 만들고 한 번에 2~3개의 알을 낳는다. 번식은 주로 7월에서 2월 사이에 이루어진다.
4. 1. 번식
남미호사도요는 일부일처제로 짝을 맺고, 어느 정도 무리를 이루어 번식한다. 둥지는 습지의 땅이 살짝 컵 모양으로 들어간 곳에 만들며, 한 번에 2~3개의 알을 낳는다. 번식은 주로 7월에서 2월 사이에 이루어진다.4. 2. 먹이
남미호사도요는 잡식성 조류이다. 진흙과 얕은 물에서 먹이를 찾으며, 보통 해질녘에 작은 동물과 씨앗을 찾아 먹는다.[1]5. 보전 상태
남미호사도요는 전통적으로 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사냥감으로 간주되어 자주 사냥되었다. 넓은 범위에 서식하지만 흔한 종은 아니며, 습지 파괴 및 기타 서식지 파괴도 있었다. 하지만 현저한 개체수 감소는 없었으며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참조
[1]
간행물
Nycticryphes semicollaris
2024
[2]
서적
Totanus semi-collaris
https://biodiversity[...]
Nouv. Dict. Hist. Nat., nouv. éd., 6, p. 402
[3]
간행물
Rostratula semicollaris
https://www.iucnredl[...]
2013-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