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사도요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사도요과는 도요목 도요아목에 속하는 조류 과이다. 다리가 짧고 부리가 길며 화려한 깃털을 가진 것이 특징이며, 댕기물떼새속과 밤댕기물떼새속의 2속 3종으로 구성된다. 늪이나 습지에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무척추동물과 씨앗을 먹는다. 일부다처제이며 암컷이 여러 수컷과 번식하고 수컷이 포란과 육아를 담당하는 종이 있는 반면, 일부일처제인 종도 있다. 남아메리카호사도요와 호사도요는 멸종 위협을 받지 않으나,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는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사도요과 - 남미호사도요
    남미호사도요는 남아메리카 남부의 습지에 서식하며, 짙은 적갈색 머리와 회갈색 등을 가진 잡식성 조류로, 일부일처제로 번식하며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호사도요과 -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인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는 얕은 담수 습지에 서식하며, 존 굴드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고,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호사도요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암컷 큰호사도요
암컷 큰호사도요
학명Rostratulidae
명명자Coues, 1888
타마시기속 (Rostratula)
남미타마시기속 (Nycticryphes)
형태
영어 이름Painted Snipe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
아목시피아아목
타마시기과 (Rostratulidae)
분포
호사도요 분포 지도
호사도요 분포 지도
고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플리오세 초기 ~ 현재
기타
공통 분류Rostratulidae
위키종Rostratulidae

2. 형태

호사도요류는 다리가 짧고 부리가 긴 로, 형태는 참도요류와 유사하지만 깃털은 훨씬 더 화려하다. 성적 이형성이 나타나며, 수컷은 전체적으로 더 작고 칙칙한 색을 띤다. 세 종 모두 앞으로 향하는 큰 눈을 가지고 있다.[1] 체형은 도요새류와 비슷하지만, 습성과 비행 시의 모습은 뜸부기류와 비슷하다.

3. 계통 분류

호사도요과는 겉보기에는 도요류와 비슷하지만, 계통분류학적으로는 물꿩과, 씨도요, 평원방랑자와 더 가깝다. 이러한 유사성은 수렴 진화의 결과로 해석된다.[1] 2008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호사도요과는 도요아목 씨도요아목에 속하며, 물꿩과와 자매군을 이룬다.[10]

3. 1. 하위 종

이미지
Rostratula
Nycticryphes



국제 조류 학회 (IOC)에 따르면 호사도요과에는 2속 3종이 있다.[8]

4. 생태

호사도요류는 주로 저지대의 갈대가 우거진 과 습지에 서식하며, 번식기를 제외하면 보통 단독 생활을 한다. 땅거미가 질 때나 야간에 활동한다.[1] 아프리카, 열대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남미 남부에 서식한다. 체형은 도요새류와 비슷하지만, 습성과 비행 모습은 뜸부기류와 비슷하다.

''Rostratula benghalensis'' 알

4. 1. 먹이

호사도요과는 잡식성으로, 무척추동물과 씨앗을 먹는다. 먹이로는 환형동물 벌레, 달팽이, 수생 및 습지 곤충, 갑각류 등이 있다. 조, 벼와 같은 벼과 식물의 씨앗도 먹으며, 일부 개체군의 식단에서 주요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1]

4. 2. 번식

호사도요의 번식 생태는 속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일부다처제인 호사도요속(''Rostratula'')과 달리 남아메리카호사도요는 일부일처제이다. 호사도요속 암컷은 번식기에 여러 수컷과 관계를 맺지만, 알을 낳고 나면 수컷이 모든 포란과 육아를 담당한다. 두 종 모두의 둥지는 얕은 컵 모양이며, 종종 식물 뭉치 위에 지어진다.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2~4개이며, 15~21일 동안 품는다.[1]

5. 보전 상태

남아메리카호사도요와 호사도요 두 종은 인간 활동에 의해 위협받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호사도요는 개체수가 감소하여 호주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간주된다.[5]

참조

[1]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Lynx Edicions 1996
[2] 서적 Systematics and taxonomy of Australian Birds https://archive.org/[...] CSIRO Publishing 2008
[3] 논문 Mitochondrial-DNA shows that the Australian Painted Snipe is a full species, Rostratula australis http://www.publish.c[...] 2007
[4] 간행물 R. minator description, department of vertebrate zoology at Smithsonian Institution http://si-pddr.si.ed[...]
[5] 간행물 The Australian Painted-snipe, Rostratula (benghalensis) australis: an Endangered species? 2000
[6]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divergence times of Charadriiformes genera: multigene evidence for the Cretaceous origin of at least 14 clades of shorebirds http://www.ncbi.nlm.[...]
[7] 웹사이트 A classification of the bird species of South America http://www.museum.ls[...]
[8]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version 2.5) http://www.worldbird[...]
[9] 간행물 The Australian Painted Snipe, Rostratula (benghalensis) australis: an Endangered species? 2000
[10] 웹사이트 Charadriiformes. Shorebirds and relatives. http://tolweb.org/Ch[...]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