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셈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셈어군은 셈어군의 하위 분류로, 남서셈어와 동남셈어로 나뉜다. 남셈어군 자체의 분류는 논쟁적이지만, 하위 분류의 성립에는 이견이 거의 없다. 서남부 셈어에는 고대 남아라비아어와 에티오피아 셈어가 속하며, 동남부 셈어는 예멘과 오만 지역에서 사용된다. 남셈어군의 기원은 아라비아 반도 남부 또는 에티오피아로 추정되며, 2009년 연구에서는 아라비아 남부 기원설이 더 유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남셈어군은 중앙셈어군과 동사 활용 방식, 부정 표현 등에서 특징을 보인다. 현대에는 에티오피아 셈어군이 아랍어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지며, 남부 아라비아 언어는 아랍어에 의해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셈어파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남셈어군 | |
---|---|
개요 | |
유형 | 어족 |
위치 | 예멘, 오만,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수단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 어족 |
어파 | 셈어파 |
어족 | 서셈어군 |
하위 어군 | 현대 남아라비아어군, 에티오피아 셈어군, 고대 남아라비아어(?) |
하위 분류 | |
어군 1 | 현대 남아라비아어군 |
어군 2 | 에티오피아 셈어군 |
어군 3 | 고대 남아라비아어(?) |
언어 코드 | |
글롯토로그 | 해당 없음 |
2. 분류
남셈어군 자체는 논쟁적인 분류이나, 그 하위의 남서셈어, 동서셈어 각각의 성립에는 거의 이견이 없다. 남부 셈어는 서남부 셈어와 동남부 셈어의 두 분파로 나뉜다.[10]
에티오피아 셈어군의 언어들은 에티오피아 등 지역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나, 남아라비아어는 아랍어에 압도되어 화자 수가 적고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과거에는 아랍어, 사히드어(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남부 아라비아어, 에티오피아 셈어를 남셈어로 분류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로버트 헤츠론은 형태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아랍어를 남셈어에서 제외하고, 북서 셈어와 아랍어를 하나의 계열로 묶어 중앙 셈어를 설정했다.[13] 이 변경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아랍어는 여전히 남셈어에 가깝다는 설도 있다.[14]
헤츠론은 사히드어가 에티오피아 셈어에 가까운 언어라고 했지만,[13] 제1 어근이 w인 동사의 미완료형에서 w가 소실되는 점에 착안하여, 미완료형이 남셈어의 *yaqattal이 아닌 중앙 셈어의 개신형인 *yaqtulu라고 생각했다. (참조: 아랍어 w-j-d 「찾다」→ ya-jidu 「그는 찾는다」) 이를 근거로 사히드어 역시 중앙 셈어에 포함되었다.[15]
Glottolog에서는 더 이상 남셈어라는 분류를 두지 않고, 에티오피아 셈어와 현대 남부 아라비아어를 직접 서셈어 아래에 위치시키고 있다 (아랍어와 사히드어는 중앙 셈어에 포함).[16]
2. 1. 서남셈어군
남셈어군 자체는 논쟁적인 분류이나, 그 하위의 남서셈어, 동서셈어 각각의 성립에는 거의 이견이 없다. 남부 셈어는 다음의 두 분파로 나뉜다.[10]- 서남부 셈어 (서부 남부 셈어라고도 함)
- 예멘어(고대 남아라비아어라고도 하며, 예멘 아랍어와 혼동하지 않아야 함) - 아마도 사멸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전에는 현대 남부 아라비아 셈어의 언어학적 조상으로 여겨졌으나, 현재 남부 아라비아어는 동남부 셈어로 분류된다. 라지히어와 파이피어가 가능한 후손이다.
- 아비시니아어(에티오피아 셈어라고도 함) - 주로 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수단에서 사용된다. 이것이 아프리카에서 주로 발달했는지, 아니면 먼저 아라비아에서 발달하여 슬픔의 문을 건너왔는지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 동남부 셈어 (동부 남부 셈어 또는 현대 남부 아라비아어라고도 함)
2. 2. 동남셈어군
남부 셈어는 서남부 셈어와 동남부 셈어(동부 남부 셈어 또는 현대 남부 아라비아어라고도 함)의 두 분파로 나뉜다.[10] 동남부 셈어는 주로 예멘(마흐라와 소코트라)와 오만(도파르)의 소수 민족에 의해 사용된다.3. 역사
남셈어군은 논쟁적인 분류이나, 그 하위 분류인 남서셈어와 동서셈어의 성립에는 이견이 거의 없다. 남서 셈어에는 고대 남아라비아어와 초기 에티오피아 셈어가 있고, 동서 셈어에는 현대 남아라비아어가 있다. 현대 남아라비아어는 과거 고대 남아라비아어의 직접적인 후손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자매 관계'라는 것이 정설이다. 에티오피아 셈어군의 언어들은 에티오피아 등지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나, 남아라비아어는 아랍어에 압도되어 화자 수가 적고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남셈어군의 "원향"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3. 1. 에티오피아 기원설
라이오넬 벤더는 에티오피아 기원설을 제시했다.[2] 반면 다른 자료는 아라비아 반도 남부를 제시한다.[3] 독일 언어학자 빈프리트 노트는 에티오피아인의 조상이 셈어를 수용하기 전에 셈어가 아닌 언어(혹은 쿠시어족 언어와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6]많은 학자들이 지지하는 또 다른 가설에 따르면, 원시 셈어는 북아프리카의 훨씬 더 오래된 언어의 분파에서 시작되었으며, 사막화로 인해 일부 화자들이 기원전 4천 년기에 현재의 에티오피아로 이주했다.[9]
3. 2. 아라비아 반도 남부 기원설
남셈어군의 "원향"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A. Murtonen(1967)과 라이오넬 벤더(1997)는 에티오피아 기원설을 주장하는 반면,[2] 다른 자료는 아라비아 반도 남부를 제시한다.[3]앤드루 키친과 크리스토퍼 에레트 등이 참여한 2009년 연구는 베이즈 모델을 사용하여 언어 변화를 추정하였고, 아라비아 반도 남부 기원설이 더 유력하며 기원은 아라비아 남부에 있고 약 2800년 전에 아프리카의 뿔 지역으로 이주했다는 결론을 내렸다.[4] 이 통계적 분석은 모든 셈어의 조상이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 언제, 어디에서 분화되었는지는 추정할 수 없었지만, 동, 중, 남 셈어 분파가 약 5750년 전에 레반트에서 발생했음을 시사했다.[5] 독일 언어학자 빈프리트 노트는 에티오피아인의 조상은 셈어를 수용하기 전에 셈어가 아닌 언어(혹은 쿠시어족 언어와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6] 남아라비아를 가로지르는 이동에 대한 증거는 최근의 일부 유전체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7] 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를 사용하는 인구 집단의 이동과 조상과 강한 연관성을 발견한다. 이 날짜는 레반트에서 셈어의 기원, 그리고 초기 청동기 시대(~5.7천 년 전)에 중동과 동아프리카로 확산된 것과 일치한다.[8]
3. 3. 기타 가설
남셈어군의 "원향"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며, A. Murtonen(1967)과 라이오넬 벤더(1997)[2]와 같은 자료는 에티오피아 기원을, 다른 자료는 아라비아 반도 남부를 제시한다.[3]앤드루 키친과 크리스토퍼 에레트 등이 참여한 2009년 연구는 베이즈 모델을 사용하여 언어 변화를 추정했으며, 후자의 관점이 더 유력하며 기원은 아라비아 남부에 있고 약 2800년 전에 아프리카의 뿔 지역으로 이주했다는 결론을 내렸다.[4] 이 통계적 분석은 모든 셈어의 조상이 아프리카아시아어족과 언제, 어디에서 분화되었는지는 추정할 수 없었지만, 동, 중, 남 셈어 분파가 약 5750년 전에 레반트에서 발생했음을 시사했다.[5] 독일 언어학자 빈프리트 노트는 에티오피아인의 조상은 셈어를 수용하기 전에 셈어가 아닌 언어(혹은 쿠시어족 언어와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6] 남아라비아를 가로지르는 이동에 대한 증거는 최근의 일부 유전체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7] 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를 사용하는 인구 집단의 이동과 조상과 강한 연관성을 발견한다. 이 날짜는 레반트에서 셈어의 기원, 그리고 초기 청동기 시대(~5.7천 년 전)에 중동과 동아프리카로 확산된 것과 일치한다.[8]
많은 학자들이 지지하는 또 다른 가설에 따르면, 원시 셈어는 북아프리카의 훨씬 더 오래된 언어의 분파에서 시작되었으며, 사막화로 인해 일부 화자들이 기원전 4천 년기에 현재의 에티오피아로 이주했고, 다른 화자들은 서아시아 북서쪽으로 이동했다.[9]
4. 특징
고대에는 아랍어, 사히드어(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남부 아라비아어, 에티오피아 셈어를 남셈어로 분류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로버트 헤츠론은 형태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아랍어를 남셈어에서 제외하고, 북서 셈어와 아랍어를 하나의 계열로 묶어 중앙 셈어를 설정했다.[13] 이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아랍어는 여전히 남셈어에 가깝다는 설도 있다.[14]
헤츠론은 사히드어가 에티오피아 셈어에 가까운 언어라고 했지만, 제1 어근이 w인 동사의 미완료형에서 w가 소실되는 점에 착안하여, 미완료형이 남셈어의 *yaqattal이 아닌 중앙 셈어의 개신형인 *yaqtulu라고 생각했다 (참조: 아랍어 w-j-d 「찾다」→ ya-jidu 「그는 찾는다」). 이를 근거로 사히드어 역시 중앙 셈어에 포함되었다.[15]
Glottolog에서는 더 이상 남셈어라는 분류를 두지 않고, 에티오피아 셈어와 현대 남부 아라비아어를 직접 서셈어 아래에 위치시키고 있다 (아랍어와 사히드어는 중앙 셈어에 포함).[16]
4. 1. 동사 활용
남셈어군은 중앙셈어군과 마찬가지로 완료형은 인칭 접미사를 사용하여 활용하지만, 미완료형의 어간 형태는 중앙셈어군이 갱신형인 C1C2VC3를 취하는[17] 반면, 남셈어군은 동셈어군과 유사한 C1aC2C2VC3가 된다.남셈어군 특유의 갱신으로는, 동사 활용의 인칭 접미사의 자음이 k로 통일되어 있다는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에티오피아 셈어군에서는 1인칭 단수는 -ku, 2인칭 단수 남성은 -ka가 된다[18](아랍어에서는 -tu, -ta). 다만 사이하드어의 비문에는 3인칭 이외의 형태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어느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판단할 수 없다.
페이버는 동사의 부정에 항상 *(')al이 사용되는 것을 남셈어군의 특징으로 본다. 이 특징은 남아라비아어와 에티오피아 셈어군 외에 사이하드어에도 공유된다. 그 외의 중앙셈어군에도 같은 부정사가 있지만, 금지의 의미에 한정된다[18].
4. 2. 부정 표현
남셈어군은 동사의 부정 표현에 항상 *(')al을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 특징은 남아라비아어와 에티오피아 셈어군뿐만 아니라 사이하드어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중앙셈어군에도 이와 같은 부정사가 있지만, 그 의미는 금지에 한정된다.[18]5. 현대의 사용 현황
에티오피아 셈어군의 언어들은 에티오피아 등 지역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나, 남아라비아어는 아랍어에 압도되어 화자 수가 적고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수준이다. 에티오피아 셈어군은 아랍어를 제외하면 현대의 모국어 사용자가 가장 많은 셈어군 언어이다.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는 북부 에티오피아 언어인 티그리냐어와 티그레어이며, 암하라어(남부 에티오피아 언어)는 에티오피아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이다(티그레이 주의 티그리냐어와 함께). 게에즈어는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에서 정교 테와히도 교회를 위한 전례 언어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남부 아라비아 언어는 1,000년 이상 동안 더 지배적인 셈어군 언어인 아랍어에 의해 점차적으로 쇠퇴했다. ''Ethnologue''는 남부 아라비아 어군에 6개, 에티오피아 어군에 15개의 현대 언어를 등재하고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Phyla and Waves: Models of Classification of the Semitic Languages
https://www.academia[...]
[2]
간행물
Upside Down Afrasian
1997
[3]
서적
Ethiopian Semitic: Studies in Classific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Bayesian phylogenetic analysis of Semitic languages identifies an Early Bronze Age origin of Semitic in the Near East.
2009-06-22
[5]
간행물
Bayesian phylogenetic analysis of Semitic languages identifies an Early Bronze Age origin of Semitic in the Near East
2009-04-29
[6]
서적
Origins of Semiosis: Sign Evolution in Nature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7-22
[7]
웹사이트
"The estimated time (3 kya) and the geographic origin (the Levant) of the gene flow into Ethiopia are consistent with both the model of Early Bronze Age origins of Semitic languages and the reported age estimate (2.8 kya) of the Ethio-Semitic language group. They are also consistent with the legend of Makeda, the Queen of Sheba."
https://www.cell.com[...]
[8]
간행물
The genomic history of the Middle East
2021-09-02
[9]
서적
The Origin of the Jews: The Quest for Roots in a Rootless Age
https://books.google[...]
[10]
서적
The Semitic Languages
Routledge
1997
[11]
뉴스
South
https://www.ethnolog[...]
2017-07-04
[12]
문서
『[[言語学大辞典]]』の項目名は「南セム語派」
[13]
문서
Faber (1997) p.6-7
[14]
문서
Faber (1997) pp.12-13
[15]
문서
Hackett (2009) p.931
[16]
Glottolog
West Semitic
[17]
문서
Faber (1997) pp.8-9
[18]
문서
Faber (1997) p.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