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그리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그리냐어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에서 사용되는 셈어족 언어이다.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아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며, 에리트레아에서는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티그리냐인으로 불리며,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외에도 여러 국가의 이민자 커뮤니티에서 사용된다. 티그리냐어는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조합을 가지며, 그으즈 문자로 표기된다. 문법적으로는 에티오피아어족 언어의 특징을 따르며, 명사, 형용사, 동사의 활용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리트레아의 언어 - 아파르어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파르족이 사용하며 사호어, 소말리어와 친족 관계를 가지고 지부티의 국어이자 에티오피아의 공식 업무 언어이며 에리트레아의 국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짧고 긴 모음 구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다양한 문자 체계, 여러 방언 존재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에리트레아의 언어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아파르어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파르족이 사용하며 사호어, 소말리어와 친족 관계를 가지고 지부티의 국어이자 에티오피아의 공식 업무 언어이며 에리트레아의 국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짧고 긴 모음 구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다양한 문자 체계, 여러 방언 존재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셈어파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티그리냐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정보
사용 국가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사용자 수970만 6960명 (2022년)
사용자 민족티그라이족
티그리냐족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남셈어군
에티오피아 셈어군
북에티오피아어
문자게에즈 문자 (티그리냐 문자)
공용어 지정 국가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ISO 639-1ti
ISO 639-2tir
ISO 639-3tir
Glottologtigr1271
추가 정보
티그리냐어 텍스트
티그리냐어가 공용어인 국가

2. 역사와 문학

티그리냐어는 구어체 에티오피아어인 게에즈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동사구를 사용하고 문장에서 주어가 아니라 서술어가 문장의 끝에 오는 어순을 사용한다. 그러나 특히 기독교 생활과 관련된 용어, 성경 이름 등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이 티그리냐 문학에 강하게 나타난다.[4] 게에즈어는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 문화에서의 지위와 아마도 단순한 구조 때문에 비교적 최근까지 문학적 매체로 기능했다.[5]

티그리냐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예는 에리트레아 남부, 로고사르다 지역(데부브 주)에서 발견된 13세기의 지방 법률 문서이다.

에리트레아에서는 영국 행정 기간 동안 정보부가 5센트에 판매되는 주간 신문을 티그리냐어로 발행했는데, 주간 판매량이 5,000부에 달했다. 당시 이 신문은 그 종류의 첫 번째 사례로 알려졌다.[6]

티그리냐어는(아랍어와 함께) 에티오피아와의 짧은 연방 시대 동안 에리트레아의 공용어 중 하나였다. 1958년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에 병합되기 전에 남에티오피아어인 암하라어로 대체되었다. 1991년 에리트레아 독립 후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공용어 지위를 유지했다. 에티오피아가 2020년 티그리냐어를 국가 차원에서 인정하도록 변경하기 전까지 에리트레아는 티그리냐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세계 유일의 국가였다.

3. 사용자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은 없다. 에리트리아에서는 티그리냐어 사용자를 공식적으로 베헤르-티그리냐(Bəher-Təgrəñña|티그리냐어 사용자의 민족ti) 또는 티그리냐인으로 부른다. 에티오피아에서는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티그라이 출신 주민을 티그라이인이라고 하며, 티그리냐어로는 남성은 təgraway|테그라와이ti, 여성은 təgrawäyti|테그라왜티ti, 복수는 tägaru|테가루ti라고 한다. 베헤르(Bəher)는 티그리냐어, 티그레어, 암하라어, 게에즈어에서 민족이라는 의미로 대략 "국가"를 뜻한다. 에리트리아의 예베르티인도 티그리냐어를 사용한다.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리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에리트리아의 인구통계 참조), 에티오피아에서는 암하라어, 오로모어, 소말리아어 다음으로 네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또한 수단,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덴마크,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 영국, 캐나다, 미국 등 전 세계의 많은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호주에서는 다문화 방송인 SBS를 통해 공영 라디오에서 티그리냐어 방송이 이루어진다.[7]

티그리냐어 방언은 음운론적으로, 어휘적으로, 문법적으로 다르다.[8] 표준어로 받아들여지는 방언은 없다. 비록 책, 영화, 뉴스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아스마라 방언이지만.

4. 음운

순치음치경음경구개음/
치경구개음연구개음인두음성문음무기음순음화비음파열음무성음유성음격음마찰음무성음유성음(v)격음유사음R음



티그리냐어 모음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4. 1. 자음

순치음치경음경구개음/
치경구개음연구개음인두음성문음무기음순음화비음파열음무성음유성음격음마찰음무성음유성음격음유사음R음



티그리냐어는 암하라어에 비해 인후음 등 목구멍을 사용하는 소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4. 2. 모음

티그리냐어의 모음 음소는 에티오피아 셈어족 언어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식을 수정하여 표기한다. IPA 기호가 다른 경우, 정자법을 대괄호 안에 표시한다.[9]

'''모음'''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
i|이iu|우u
e|에eo|오o
a|아a


4. 3. 겹자음

겹받침은 자음의 이중화로, 티그리냐어에서 의미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단어의 의미에 영향을 미친다. 겹받침은 티그리냐어 동사의 형태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표지와 함께 나타난다. 하지만 겹받침만으로 서로 구별되는 소수의 단어 쌍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ከረበ|kʼɐrrɐbɐti (그는 가져왔다), ቀረበ|kʼɐrɐbɐti (그는 더 가까이 왔다)가 있다.[10] 인두음과 성문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겹받침을 가질 수 있다.

4. 4. 동소이음

후두 자음인 와 는 모음 바로 뒤에 나타나고 축약되지 않을 때 발음이 다르다. 는 후두 마찰음으로 발음된다. 는 마찰음으로, 또는 때때로 파찰음으로 발음된다. 이 마찰음이나 파찰음은 더 뒤쪽, 연구개 발음 위치에서 더 자주 발음된다 (비록 이 글에서는 로 표기되어 있지만). 이러한 모든 가능한 변이체 – 후두 격렬 마찰음, 연구개 격렬 마찰음, 후두 격렬 파찰음, 연구개 격렬 파찰음 – 는 언어 간에 매우 드문 소리이다.

이 두 소리는 환경에 따라 완전히 결정되기 때문에, 와 의 동소이음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것은 어떤 소리가 앞에 오는지에 따라 하나의 자음이 다른 동소이음으로 실현되는 동사 어근에서 특히 분명하다. 예를 들어, 삼자음 어근 √b-k-y를 가진 ምብካይ|믐카이ti (울다|울다ti)와 በኸየ|버허여ti (그는 울었다|그는 울었다ti)와 같은 형태가 있으며, 삼자음 어근 √s-r-kʼ를 가진 ይሰርቁ|이써르쿠ti (그들은 훔친다|그들은 훔친다ti)와 ይሰርቕ|이써르ቕti (그는 훔친다|그는 훔친다ti)와 같은 형태가 있다.

이러한 음소 쌍에 대해 특히 흥미로운 점은 티그리냐 정자법에서 구별된다는 것이다. 동소이음은 완전히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언어의 서면 형태에서 서로 다른 기호로 표현되는 것은 매우 드물다.

4. 5. 음절 구조

티그리냐어 음절은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 세 개의 자음(또는 하나의 겹자음과 하나의 단순 자음)이 단어 내에서 함께 나타날 때, 이 자음군은 삽입모음 ə|어ti를 도입하여 분리되며, 두 개의 자음(또는 하나의 겹자음)이 단어의 끝에 올 경우, 그 뒤에 모음 i|이ti가 나타나거나 (접미사가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 접미사 앞에 ə|어ti가 삽입된다.

예를 들어,

어근ከብድ|커브드ti √k-b-dልብ|르브ti √l-b-b
-ኢ|-이tiከብዲ|커브디ti (위)ልቢ|르비ti (심장)
-አይ|-아이ti (나의)ከብደይ|커브더이ti (나의 위)ልበይ|르버이ti (나의 심장)
-ካ|-카ti (너의(남성))ከብድኻ|커브드카ti (너의(남성) 위)ልብኻ|르브카ti (너의(남성) 심장)
-ን…-ን|-은…-은ti (그리고)ከብድን ልብን|커브든 르븐ti (위와 심장)



티그리냐어에서 강세는 대조적이지도 않고 특별히 두드러지지도 않는다. 겹자음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지만, 체계적으로 조사된 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5. 문법

티그리냐어는 다른 셈어와 마찬가지로, 자음만으로 된 어근에 모음을 첨가하여 활용한다. 예를 들어 "깨뜨리다"라는 뜻의 어근 (sbr)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다.

5. 1. 특징

티그리냐어는 문법적으로 대부분의 면에서 전형적인 에티오피아 반유대어(ES) 언어이다.

티그리냐어는 다른 셈어와 마찬가지로, 자음만으로 된 어근에 모음을 첨가하여 활용한다.

예: (sbr) “깨뜨리다”

5. 2. 티그리냐어만의 특징

티그리냐어 문법은 여러 면에서 에티오피아어파 내에서 독특하다.

티그리냐어는 다른 셈어와 마찬가지로, 자음만으로 된 어근에 모음을 첨가하여 활용한다.

예: (sbr) “깨뜨리다”

6. 문자 체계

티그리냐어는 그으즈 문자로 표기되며, 이 문자는 원래 그으즈어를 위해 개발되어 에티오피아 문자라고도 알려져 있다. 그으즈 문자는 아부기다의 일종으로, 각 기호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을 나타낸다.

아부기다의 각 자음에는 표준 또는 고유 모음이 뒤따르는 표시되지 않은 기호를 가진다. 에티오피아 아부기다의 경우 이 표준 모음은 'ä'이다. 그러나 티그리냐어(및 기타 에티오피아 셈어)의 인두음과 성문음은 이 모음이 뒤에 올 수 없기 때문에, 해당 자음에 대한 첫 번째 열의 기호는 네 번째 열과 마찬가지로 모음 'a'로 발음된다. 이러한 중복 기호는 티그리냐어에서 사용되지 않고 있다. 모음이 없는 자음을 나타낼 필요가 있는 경우 '자음'+'ə' 형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무엇?'이라는 뜻의 단어는 እንታይ|'으-nǝ-ta-yǝ'gez로 쓰인다.

게에즈어에서 명확하게 구분되었던 것 중 일부는 티그리냐어에서 사라졌기 때문에, ‹ḥ›, ‹s›, ‹sʼ› 자음에 대해 각각 두 줄의 기호가 있다. 에리트레아에서는 적어도 ‹s›와 ‹sʼ›의 경우, 이 중 하나는 티그리냐어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이제는 구식으로 간주된다.

이 표기법은 겹자음을 표시하지 않으므로, '그는 다가왔다'는 뜻의 ''qärräbä''와 '그는 가까이 있었다'는 뜻의 ''qäräbä''라는 단어는 모두 ቀረበ|qäräbägez로 쓰여진다. 이러한 최소 대립쌍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언어 사용자에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10]

6. 1. 티그리냐 문자표

티그리냐어는 그으즈 문자로 기록된다. 원래 그으즈어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에티오피아어라고도 알려져 있다. 그으즈 문자는 아부기다 문자 체계로, 각각의 기호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을 나타낸다.

'''티그리냐 문자 체계'''
 äuiae(ə)owiwawe
h 
l 
 
m 
ś 
r 
s 
š 
ḳʰ
b 
v 
t 
č 
n 
ñ 
ʾ 
k
x
w 
ʿ 
z 
ž 
y 
d 
ǧ 
g
 
č̣ 
 
 
ṣ́ 
f 
p 
 äuiae(ə)owiwawe


7. 게에즈어에서 티그리냐어로의 변화

티그리냐어는 구어체 에티오피아어인 게에즈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동사구를 사용하고 문장에서 주어가 아니라 서술어가 문장의 끝에 오는 어순을 사용한다. 그러나 특히 기독교 생활과 관련된 용어, 성경 이름 등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이 티그리냐 문학에 강하게 나타난다.[4] 게에즈어는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 문화에서의 지위와 아마도 단순한 구조 때문에 비교적 최근까지 문학적 매체로 기능했다.[5]

티그리냐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예는 에리트레아 남부, 로고사르다 지역(데부브 주)에서 발견된 13세기의 지방 법률 문서이다.

에리트레아에서는 영국 행정 기간 동안 정보부가 5센트에 판매되는 주간 신문을 티그리냐어로 발행했는데, 주간 판매량이 5,000부에 달했다. 당시 이 신문은 그 종류의 첫 번째 사례로 알려졌다.[6]

티그리냐어는(아랍어와 함께) 에티오피아와의 짧은 연방 시대 동안 에리트레아의 공용어 중 하나였다. 1958년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에 병합되기 전에 남에티오피아어인 암하라어로 대체되었다. 1991년 에리트레아 독립 후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공용어 지위를 유지했다. 에티오피아가 2020년 티그리냐어를 국가 차원에서 인정하도록 변경하기 전까지 에리트레아는 티그리냐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세계 유일의 국가였다.

참조

[1] 웹사이트 Tigrinya https://www.ethnolog[...] SIL International 2024-02-22
[2] 백과사전 Tigrinya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4-03-06
[3] 백과사전 Tigrinya language https://www.britanni[...] 2024-03-06
[4] 서적 The Bible in Tigrinya United Bible Society
[5] 서적 The Ethiopians Oxford University Press
[6] 보고서 The First to be Freed—The record of British military administration in Eritrea and Somalia, 1941–1943 His Majesty's Stationery Office
[7] 웹사이트 ʾEs Bi ʾEs Təgrəñña https://www.sbs.com.[...]
[8] 서적 Documents Tigrigna (Éthiopien Septentrional): Grammaire et Textes Librairie C. Klincksieck
[9] 학술지 Tigrinya vowel features and vowel coalescence
[10] 서적 English Tigrigna Dictionary: A Dictionary of the Tigrinya Language Simon Wallenberg Press 2024-02-18
[11]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