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그리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그리냐어는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에서 사용되는 셈어족 언어이다.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아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며, 에리트레아에서는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티그리냐인으로 불리며,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외에도 여러 국가의 이민자 커뮤니티에서 사용된다. 티그리냐어는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조합을 가지며, 그으즈 문자로 표기된다. 문법적으로는 에티오피아어족 언어의 특징을 따르며, 명사, 형용사, 동사의 활용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리트레아의 언어 - 아파르어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파르족이 사용하며 사호어, 소말리어와 친족 관계를 가지고 지부티의 국어이자 에티오피아의 공식 업무 언어이며 에리트레아의 국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짧고 긴 모음 구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다양한 문자 체계, 여러 방언 존재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에리트레아의 언어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아파르어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파르족이 사용하며 사호어, 소말리어와 친족 관계를 가지고 지부티의 국어이자 에티오피아의 공식 업무 언어이며 에리트레아의 국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짧고 긴 모음 구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다양한 문자 체계, 여러 방언 존재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에티오피아의 언어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셈어파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티그리냐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정보 | |
사용 국가 |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
사용자 수 | 970만 6960명 (2022년) |
사용자 민족 | 티그라이족 티그리냐족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남셈어군 에티오피아 셈어군 북에티오피아어 |
문자 | 게에즈 문자 (티그리냐 문자) |
공용어 지정 국가 |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
ISO 639-1 | ti |
ISO 639-2 | tir |
ISO 639-3 | tir |
Glottolog | tigr1271 |
추가 정보 | |
![]() | |
![]() |
2. 역사와 문학
티그리냐어는 구어체 에티오피아어인 게에즈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동사구를 사용하고 문장에서 주어가 아니라 서술어가 문장의 끝에 오는 어순을 사용한다. 그러나 특히 기독교 생활과 관련된 용어, 성경 이름 등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이 티그리냐 문학에 강하게 나타난다.[4] 게에즈어는 에리트레아와 에티오피아 문화에서의 지위와 아마도 단순한 구조 때문에 비교적 최근까지 문학적 매체로 기능했다.[5]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은 없다. 에리트리아에서는 티그리냐어 사용자를 공식적으로 베헤르-티그리냐(Bəher-Təgrəñña|티그리냐어 사용자의 민족ti) 또는 티그리냐인으로 부른다. 에티오피아에서는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티그라이 출신 주민을 티그라이인이라고 하며, 티그리냐어로는 남성은 təgraway|테그라와이ti, 여성은 təgrawäyti|테그라왜티ti, 복수는 tägaru|테가루ti라고 한다. 베헤르(Bəher)는 티그리냐어, 티그레어, 암하라어, 게에즈어에서 민족이라는 의미로 대략 "국가"를 뜻한다. 에리트리아의 예베르티인도 티그리냐어를 사용한다.
티그리냐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예는 에리트레아 남부, 로고사르다 지역(데부브 주)에서 발견된 13세기의 지방 법률 문서이다.
에리트레아에서는 영국 행정 기간 동안 정보부가 5센트에 판매되는 주간 신문을 티그리냐어로 발행했는데, 주간 판매량이 5,000부에 달했다. 당시 이 신문은 그 종류의 첫 번째 사례로 알려졌다.[6]
티그리냐어는(아랍어와 함께) 에티오피아와의 짧은 연방 시대 동안 에리트레아의 공용어 중 하나였다. 1958년 에리트레아가 에티오피아에 병합되기 전에 남에티오피아어인 암하라어로 대체되었다. 1991년 에리트레아 독립 후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공용어 지위를 유지했다. 에티오피아가 2020년 티그리냐어를 국가 차원에서 인정하도록 변경하기 전까지 에리트레아는 티그리냐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세계 유일의 국가였다.
3. 사용자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리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에리트리아의 인구통계 참조), 에티오피아에서는 암하라어, 오로모어, 소말리아어 다음으로 네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또한 수단,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덴마크,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 영국, 캐나다, 미국 등 전 세계의 많은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호주에서는 다문화 방송인 SBS를 통해 공영 라디오에서 티그리냐어 방송이 이루어진다.[7]
티그리냐어 방언은 음운론적으로, 어휘적으로, 문법적으로 다르다.[8] 표준어로 받아들여지는 방언은 없다. 비록 책, 영화, 뉴스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아스마라 방언이지만.
4. 음운
치경음 경구개음/
치경구개음연구개음 인두음 성문음 무기음 순음화 비음 파열음 무성음 유성음 격음 마찰음 무성음 유성음 (v) 격음 유사음 R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