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창희 (물리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창희는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을 전공하고, 카이스트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플라즈마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를 역임하며 페타와트 레이저를 이용한 상대론 영역의 레이저 과학 분야를 개척했다. 120편 이상의 학술지 논문을 발표하고 국제 학회에서 초청 강연을 했으며, 2020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웅비장을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스마 물리학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플라스마 물리학자 - 한네스 알벤
    한네스 알벤은 플라스마 물리학과 자기유체역학 분야에 기여하여 197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우주 플라스마 이론과 알벤파 연구를 통해 플라스마 우주론을 제창했다.
  • 광학자 - 피에르 아고스티니
    피에르 아고스티니는 아토초 과학 분야의 선구적인 프랑스 실험 물리학자로, 다광자 이온화 연구를 통해 임계이상 이온화를 최초로 관측하고 250아토초 펄스 열을 생성하는 데 성공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광학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김은준
    김은준은 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이자 IBS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단장으로, 뇌과학 분야, 특히 시냅스 기능과 관련된 뇌 질환 연구에 기여하며 ADHD 및 자폐증 관련 연구를 통해 질환 기전 규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네이처, 셀 등 저명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고 아산상, 포스코 청암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남창희 (물리학자)
기본 정보
이름남창희
출생일1957년 2월 14일
출생지광주, 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분야플라스마 물리학
소속 기관기초과학연구원
광주과학기술원
KAIST
프린스턴 플라스마 물리학 연구소
부산대학교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
알려진 업적펨토초 레이저 및 아토초 물리학
박사 지도교수S. Suckewer
웹사이트https://corels.ibs.re.kr
로마자 표기Nam Chang-hui
한글 표기남창희
종교기독교
자녀1남 1녀
수상
수상 내역대한민국 학술원상 (2010년)
학력
학사서울대학교 핵공학
석사KAIST 물리학
박사프린스턴 대학교

2. 생애

남창희는 서울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을 전공하고 카이스트에서 물리학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플라즈마 물리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12년 12월에는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으로 임명되어 광주과학기술원 물리광과학과 교수로 부임하였고, 페타와트 레이저를 이용한 상대론 영역의 레이저과학 분야를 개척하고 있다.

남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핵공학을 전공하여 1977년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197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강사로서 강단에 선 그는 1982년까지 부산대학교에서 강의했다. 프린스턴 대학교에 입학하여 미국으로 건너간 그는 1988년 플라스마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그는 프린스턴에 1년 더 머물며 프린스턴 플라스마 물리학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1989년 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조교수로 부임하여 1992년 부교수, 1998년 정교수로 승진했다. 1999년부터는 KAIST 초고속 X선 연구센터 소장을 겸임하며 극초단 레이저 과학을 연구했다.[2] 그는 2012년 KAIST를 떠나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이자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지원을 받는 GIST 센터인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의 초대 센터장이 되었다.[3]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남창희는 서울대학교에서 원자핵공학을 전공하여 1977년 학사 학위를 받았다.[1] 197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물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1982년까지 부산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했다.[1]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플라스마 물리학을 전공하여 1988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 박사 학위 취득 후 1년 동안 프린스턴 플라스마 물리학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다.[1]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조교수로 부임하여, 1992년 부교수, 1998년 정교수로 승진했다.[2] 1999년부터 KAIST 초고속 X선 연구센터 소장을 겸임하며 극초단 레이저 과학을 연구했다.[2] 2012년에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이자 기초과학연구원(IBS)의 지원을 받는 GIST 센터인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의 초대 센터장이 되었다.[3]

2. 2. 주요 경력

1973년 3월부터 1982년 7월까지 부산대학교 기계공학과 전임강사로 근무했다.[1] 1988년 5월부터 1989년 8월까지 프린스턴 플라스마 물리학 연구소에서 Staff Research physicist로 재직했다.[1] 1989년 8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를 역임했다.[2] 1999년 10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결맞는 X-선 연구단(과학기술부창의연구단/도약연구단)에서 연구했다.[2] 2012년 12월부터 광주과학기술원 물리광과학과 교수 및 기초과학연구원 초강력 레이저과학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다.[3]

3. 연구 업적

남창희는 카이스트 물리학과에 재직하는 동안에 창의적 연구진흥사업과 도약연구사업을 수행하는 걸맞은 엑스선 연구단 과제를 1999년에 시작하여 2012년에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러한 과제를 통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고출력 펨토초 레이저를 고차조화파 발생연구에 활용하여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고차조화파가 갖고 있는 아토초 펄스 형성 특성과 계측 방법 연구를 통하여 63아토초 펄스열 생성에 성공한 바 있으며, 헬륨과 같은 원자의 초고속 동력학 연구에서도 주목받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고차조화파가 갖고있는 우수한 결맞음 특성을 이용하여 고분해능 연엑스선 간섭계와 현미경 기술연구에서도 좋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남창희는 120편 이상의 학술지 논문을 발표했으며 국제 학회에서 초청 강연을 해왔다. 그는 궁극적으로 IUPAP(국제 순수 및 응용 물리 연합)의 실무 그룹인 ICUIL(초고강도 레이저 국제 위원회)이 된 OECD 글로벌 과학 포럼의 소형 고강도 짧은 펄스 레이저(2001-2003)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11년부터 시작된 헝가리의 PW 레이저 시설을 위한 EU 프로그램인 ELI-ALPS(극한광 인프라/아토초 펄스 광원)의 과학 자문위원회 위원이다.

그는 학회 의장(2010년 ICXRL, 2012년 ISUILS)직, 조직위원장(2008년, 2010년, 2012년 APLS)직 또는 프로그램 위원장(2007년, 2009년 CLEO-Pacific Rim)직을 역임했다. J. Phys. B 편집위원회에 2007년부터 국제 자문위원, 2012년에는 게스트 에디터로 참여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IEEE Photonics Journal의 부편집장을 역임했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ICQE, 2012년부터 CLEO-PR, 2008년부터 IUPAP 양자전자위원회 등 국제 위원회에서 한국을 대표했다. 그는 2004년 아시아 고강도 레이저 네트워크 출범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초대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3. 1. 고차조화파 발생 및 아토초 과학 연구

남창희는 카이스트 물리학과에 재직하면서 엑스선 연구단 과제를 1999년에 시작하여 2012년에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과제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고출력 펨토초 레이저를 고차조화파 발생 연구에 활용하였다.

고차조화파의 아토초 펄스 형성 특성과 계측 방법 연구를 통하여 63아토초 펄스열 생성에 성공하였으며, 헬륨과 같은 원자의 초고속 동력학 연구에서도 주목받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고차조화파의 결맞음 특성을 이용하여 고분해능 연엑스선 간섭계와 현미경 기술연구에서도 좋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남창희는 120편 이상의 학술지 논문을 발표했으며 국제 학회에서 초청 강연을 해왔다. 그는 OECD 글로벌 과학 포럼의 소형 고강도 짧은 펄스 레이저(2001-2003)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11년부터 헝가리의 PW 레이저 시설을 위한 EU 프로그램인 ELI-ALPS(극한광 인프라/아토초 펄스 광원)의 과학 자문위원회 위원이다.

그는 학회 의장(2010년 ICXRL, 2012년 ISUILS)직, 조직위원장(2008년, 2010년, 2012년 APLS)직 또는 프로그램 위원장(2007년, 2009년 CLEO-Pacific Rim)직을 역임했다. J. Phys. B 편집위원회에 2007년부터 국제 자문위원, 2012년에는 게스트 에디터로 참여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IEEE Photonics Journal의 부편집장을 역임했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ICQE, 2012년부터 CLEO-PR, 2008년부터 IUPAP 양자전자위원회 등 국제 위원회에서 한국을 대표했다. 그는 2004년 아시아 고강도 레이저 네트워크 출범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초대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3. 2. 고분해능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연구

남창희는 카이스트 물리학과에 재직하는 동안 엑스선 연구단 과제를 1999년에 시작하여 2012년에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과제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한 고출력 펨토초 레이저를 고차조화파 발생 연구에 활용하였다.

고차조화파의 아토초 펄스 형성 특성과 계측 방법 연구를 통하여 63아토초 펄스열 생성에 성공하였으며, 헬륨과 같은 원자의 초고속 동력학 연구에서도 주목받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고차조화파의 결맞음 특성을 이용하여 고분해능 연엑스선 간섭계와 현미경 기술 연구를 수행하였다.

Nam은 120편 이상의 학술지 논문을 발표했으며 국제 학회에서 초청 강연을 해왔다. 그는 OECD 글로벌 과학 포럼의 소형 고강도 짧은 펄스 레이저(2001-2003)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11년부터 시작된 헝가리의 PW 레이저 시설을 위한 EU 프로그램인 ELI-ALPS(극한광 인프라/아토초 펄스 광원)의 과학 자문위원회 위원이다.

그는 학회 의장(2010년 ICXRL, 2012년 ISUILS)직, 조직위원장(2008년, 2010년, 2012년 APLS)직 또는 프로그램 위원장(2007년, 2009년 CLEO-Pacific Rim)직을 역임했다. J. Phys. B 편집위원회에 2007년부터 국제 자문위원, 2012년에는 게스트 에디터로 참여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IEEE Photonics Journal의 부편집장을 역임했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ICQE, 2012년부터 CLEO-PR, 2008년부터 IUPAP 양자전자위원회 등 국제 위원회에서 한국을 대표했다. 그는 2004년 아시아 고강도 레이저 네트워크 출범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초대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3. 3. 국제 협력 및 학술 활동

남창희는 120편 이상의 학술지 논문을 발표하고 국제 학회에서 초청 강연을 해왔다. 그는 국제 순수 및 응용 물리 연합(IUPAP)의 실무 그룹인 초고강도 레이저 국제 위원회(ICUIL)의 전신인 OECD 글로벌 과학 포럼의 소형 고강도 짧은 펄스 레이저(2001-2003) 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또한 2011년부터 헝가리의 PW 레이저 시설을 위한 EU 프로그램인 극한광 인프라/아토초 펄스 광원(ELI-ALPS)의 과학 자문위원회 위원이었다.

그는 학회 의장(2010년 ICXRL, 2012년 ISUILS), 조직위원장(2008년, 2010년, 2012년 APLS), 프로그램 위원장(2007년, 2009년 CLEO-Pacific Rim)을 역임했다. 2007년부터 국제 자문위원, 2012년에는 게스트 에디터로 J. Phys. B 편집위원회에 참여했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IEEE Photonics Journal의 부편집장을 역임했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 ICQE, 2012년부터 CLEO-PR, 2008년부터 IUPAP 양자전자위원회 등 국제 위원회에서 한국을 대표했다. 그는 2004년 아시아 고강도 레이저 네트워크 출범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초대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4. 수상

남창희는 2020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웅비장(3등급)을 받았다.[11][12] 1998년에는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우수논문상을, 2002년에는 과학기술부/과학재단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 2003년 한국물리학회 학술상, 2007년 한국광학회 학술상을 수상했으며, 2008년에는 미국 물리학회 펠로우, 2009년에는 미국 광학회 펠로우에 선정되었다.[9][10] 2010년 대한민국 학술원상, 2011년 성도광과학상을 수상하였다. 2020년에는 정부 과학의 날 시상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4][5] 2011년에는 한국광학회 숭도 광과학상을, 2010년에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을 수상했다.[6][7][8]

참조

[1] 웹사이트 Nam, Chang Hee https://archive.toda[...] 2013-12-20
[2] 웹사이트 Center for Relativistic Laser Science - Physics - Research Centers https://www.ibs.re.k[...] 2019-01-28
[3] 웹사이트 남창희 GIST 물리광과학과 교수 http://www.scinews.k[...] Nobel Science 2019-01-28
[4] 웹사이트 2020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개최 https://www.gov.kr/p[...] 2020-06-24
[5] 웹사이트 남창희 단장과 김창영 부단장, 과학의날 정부포상 수상: 2020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서 과학기술훈장 및 대통령 표창 수상 2020-04-22
[6] 웹사이트 대한민국학술원상 남창희 교수 등 4명 수상 https://news.naver.c[...] Yonhap News Agency 2019-01-28
[7] 웹사이트 대한민국학술원상 남창희 교수 등 4명 선정 http://news.donga.co[...] 2019-01-28
[8] 웹사이트 [남창희교수]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https://physics.kais[...] KAIST 2019-01-28
[9] 웹사이트 2009 Fellows - Awards & Grants - The Optical Society https://www.osa.org/[...] The Optical Society 2019-01-28
[10] 웹사이트 Chang Hee Nam: International Councilor https://www.aps.org/[...] American Physical Society 2019-01-28
[11] 웹인용 2020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 개최 https://www.gov.kr/p[...] 2020-06-24
[12] 웹인용 남창희 단장과 김창영 부단장, 과학의날 정부포상 수상: 2020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서 과학기술훈장 및 대통령 표창 수상 2020-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