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나장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림나장조는 B♭, C, D, E♭, F, G, A 음으로 구성된 조이다. 샤르팡티에는 "장려하고 즐겁다"라고 평했으며, 바이올린 연주에 용이하고 관악기, 특히 B♭관 악기에 적합하여 취주악, 군가, 프로 야구 응원가에 많이 사용된다. 18세기에는 호른 종류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요제프 하이든의 교향곡 98번이 트럼펫과 팀파니를 포함하여 이 조성을 사용한 최초의 교향곡으로 여겨진다. 바흐, 베토벤, 슈베르트, 쇼팽, 브람스 등 많은 작곡가들이 이 조성을 사용하여 곡을 작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음계 - 가장조
가장조는 으뜸음이 A인 장음계로 A, B, C#, D, E, F#, G# 음으로 구성되며 교향곡, 실내악, 현악기 음악 등 다양한 작품에서 사용되고 작품의 분위기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 장음계 - 마장조
마장조는 으뜸음이 E인 장음계로 E, F♯, G♯, A, B, C♯, D♯ 음으로 구성되며, 바이올린의 최고 개방현인 E선을 으뜸음으로 하여 밝은 울림을 내고 바로크 시대 대위법 음악과 낭만주의 시대 다단조 작품의 느린 악장에 주로 사용되었다. - 조성 - 조 (음악)
조 (음악)는 특정 시대, 지역,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스타일이나 양식을 의미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고 한국 사회에서도 고유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있다. - 조성 - 마단조
마단조는 마(E)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단음계로, 바이올린과 기타 연주에 용이하며 샤르팡티에 의해 "요염함과 슬픔"을 나타내는 조성으로 평가받았고 바흐, 베토벤, 쇼팽 등 여러 작곡가들의 작품에 사용되었다. - 내림나장조 작품 - 올림픽 찬가
올림픽 찬가는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 연주되었고, 스피리돈 사마라스가 작곡하고 코스티스 팔라마스가 작사했으며, 1958년 IOC 총회에서 공식 올림픽 찬가로 지정되어 올림픽 행사에서 연주된다. - 내림나장조 작품 - 교향곡 1번 (슈만)
로베르트 슈만이 1841년에 작곡한 교향곡 1번 내림 나장조 Op. 38은 '봄 교향곡'이라는 부제로도 알려져 있으며 펠릭스 멘델스존의 지휘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 트럼펫, 트롬본, 팀파니, 트라이앵글, 현악기로 편성되어 슈만은 이 곡에서 팀파니의 활용을 혁신적으로 확장했다.
내림나장조 | |
---|---|
조성 정보 | |
이름 | 내림나장조 |
영어 | B flat major |
독일어 | B-Dur, Hes-Dur |
프랑스어 | Si bémol majeur |
이탈리아어 | Si bemolle maggiore |
나란한조 | 사단조 |
같은으뜸조 | 내림나단조 |
딸림조 | 바장조 |
버금딸림조 | 내림마장조 |
첫째 음 | B |
둘째 음 | C |
셋째 음 | D |
넷째 음 | E |
다섯째 음 | F |
여섯째 음 | G |
일곱째 음 | A |
관련 정보 | |
상대조 | 사단조 |
병행조 | 내림나단조 |
딸림조 | 바장조 |
버금딸림조 | 내림마장조 |
첫 음 | B |
둘째 음 | C |
셋째 음 | D |
넷째 음 | E |
다섯째 음 | F |
여섯째 음 | G |
일곱째 음 | A |
![]() | |
![]() |
2. 음계와 화음
내림나장조의 음계는 B♭, C, D, E♭, F, G, A, B♭이다. 주요 3화음은 다음과 같다.
2. 1. 내림나장조의 음계 구성음
내림나장조의 음계 구성음은 B♭, C, D, E♭, F, G, A, B♭이다.2. 2. 내림나장조의 화음 구성음
- '''으뜸화음''' – 내림나장조
- '''겹쳐으뜸음''' – 다단조
- '''가운데음''' – 라단조
- '''딸림화음''' – 내림마장조
- '''딸림음''' – 바장조
- '''버금가운데음''' – 사단조
- '''이끔음''' – 가 감3화음
3. 특징
샤르팡티에는 내림나장조를 "장려하고 즐겁다"라고 표현했으며, 마테존은 "매우 기분 전환에 풍부하고 장려한 조"라고 언급했다.[1] 바이올린은 현의 소리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연주하기 쉽고, 배음의 울림이 풍부한 조이다. 현대의 많은 관악기, 특히 클라리넷과 트럼펫은 내림나장조를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어 연주하기 용이하다. 취주악에서 선호하는 조성이며, 군대, 행진곡, 프로 야구 응원가 등에 자주 사용된다.
3. 1. 역사적 특징
18세기까지의 관현악에서 내림나장조 곡에 사용하는 내추럴 호른은 높은 내림나장조와 낮은 내림나장조 두 종류가 있었다. 통상적으로는 높은 내림나장조(알토 내림나관)를 사용했는데, 호른 특유의 장려한 울림이 특징이었다. 같은 관장의 트럼펫은 사용할 수 없었다.[1] 11 배음 이상은 내기 어려워 두 사람이 한 조로 사용해야 했고, 사용할 수 있는 화음도 다른 조보다 적어 단순한 울림이 되었다. 바소 내림나관은 중후한 울림이 나고 B♭관 트럼펫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관이 매우 길어 응답성이 나빴다. 또한, 저차 배음을 내기 어려웠고 트럼펫이나 팀파니의 울림도 좋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4. 내림나장조의 유명한 곡
내림나장조로 작곡된 곡은 클래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에 걸쳐 존재한다. 다음은 내림나장조로 작곡된 곡들의 예시이다.
4. 1. 클래식
다음은 내림나장조로 작곡된 클래식 곡들이다.작곡가 | 곡명 |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6번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피아노 협주곡 2번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교향곡 4번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피아노 소나타 29번 (함머클라비어) |
프란츠 슈베르트 | 피아노 삼중주 1번, D. 898 |
프란츠 슈베르트 | 교향곡 5번 |
프레데리크 쇼팽 |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그대 손을 잡고"에 의한 변주곡, 작품 2 |
요하네스 브람스 | 피아노 협주곡 2번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교향곡 5번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피아노 소나타 7번 |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 | 전람회의 그림의 "프롬나드" |
4. 2. 기타
내림나장조 조성의 곡은 분류:내림나장조에서 찾을 수 있다.5. 같이 보기
분류:내림나장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