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는 라틴 문자의 첫 번째 글자이며, 다양한 언어에서 "아" 또는 "에이"로 발음된다. 소를 의미하는 그림 문자에서 유래되었으며, 페니키아 문자 알레프를 거쳐 그리스 문자 알파로 발전했다. A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모음 소리를 나타내며, 수학,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호로 사용된다. 또한 학점, 크기, 품질 등을 나타내는 데에도 활용되며, 컴퓨터 부호 및 상표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자 - U
U는 라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로, 주로 후설 원순 좁은 모음 /u/ 소리를 내지만, 언어에 따라 /y/나 다양한 발음으로 사용되며, 세미트 문자 와우에서 기원하여 웁실론을 거쳐 라틴 알파벳에 정착했고, V와 함께 쓰이다가 17세기 이후 분리되었으며, 우라늄 기호, 합집합 기호, 랙 유닛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모음자 - Y
Y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셈어 문자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문자를 거쳐 라틴 알파벳에 도입되었고, 현대 영어에서는 모음과 자음으로 모두 사용되며 여러 분야에서 기호나 약자로 활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주로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A | |
|---|---|
| 문자 정보 | |
| 문자 | A a |
| 문자 종류 | 알파벳 |
| 문자 설명 | ic |
| 사용 언어 | 라틴어 |
| 음운 | /a/ /ɑ/ /ɒ/ /æ/ /ə/ /ɛ/ /oː/ /ɔ/ /e/ /ʕ/ /ʌ/ /ɐ/ /eɪ/ |
| 유니코드 | U+0041, U+0061 |
| 알파벳 번호 | 1 |
| 문자 계통 | |
| 상형 문자 | |
| 원시 시나이 문자 | [[File:Proto-semiticA-01.svg|20px|원시 시나이 문자 'alp']] |
| 원시 가나안 문자 | [[File:Protoalef.svg|20px|원시 가나안 문자 aleph]] |
| 페니키아 문자 | [[File:Phoenician_aleph.svg|20px|페니키아 문자 aleph]] |
| 그리스 문자 | Α α |
| 고대 그리스 문자 | 𐌀[[File:Greek-uncial-1.jpg|20px|그리스 고전기 언셜체]] |
| 초기 라틴 문자 | [[File:Semitic-2.jpg|20px|초기 라틴 문자 A]][[File:Latin-uncial-1.jpg|20px|라틴 300 AD 언셜체, 버전 1]] |
| 파생 문자 | |
| 관련 문자 | |
| 연관 문자 | |
| 발음 | |
| 한국어 발음 | /에이/ |
| 기타 정보 | |
| 복수 형태 | A's, a's |
2. 이름
영어에서는 '긴 A' 소리로, 로 발음된다. 다른 대부분의 언어에서 이 글자의 이름은 개방음절에서의 발음과 일치한다.[1]
- 라틴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인도네시아어, 베트남어, 에스페란토: 아 [aː][1]
-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아 [a][1]
- 영어: 에이 [eɪ][1]
- *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아이 [aɪ][1]
3. 역사
A는 소를 의미하는 그림 문자에서부터 왔다. A의 가장 오래된 조상은 페니키아 문자의 첫 글자인 알레프(aleph)이다.[1] 알레프의 조상은 이집트 상형 문자의 영향을 받아 두 개의 뿔이 뻗어 나온 삼각형 머리 모양으로 묘사된 소의 머리 그림인 프로토시나이 문자일 가능성이 있다.[1]
고대 그리스인들은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글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모음 를 나타내는 기호로 이 글자를 채택하여 ''알파(alpha)''라고 불렀다. 초기 그리스 비문에서는 이 글자가 옆으로 누워 있었으나, 후대에는 현대 대문자 형태와 유사한 여러 지역 변종이 나타났다.[1]
에트루리아인들은 그리스 알파벳을 이탈리아 반도로 가져왔고, 알파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았다. 로마인들이 라틴어를 쓰기 위해 에트루리아 알파벳을 채택했을 때, 라틴 문자에서 사용된 결과물 형태는 영어를 포함한 다른 많은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다.
| 이집트 | 프로토시나이 | 프로토가나안 | 페니키아 | 서기 그리스 | 에트루리아 | 라틴 |
|---|---|---|---|---|---|---|
페니키아 문자와 원 가나안 문자의 알레프는 "황소의 머리"를 본뜬 히에로글리프(F1)에서 유래했다고 여겨진다. 오늘날에도 히브리 문자에서 A에 해당하는 א는 황소를 의미한다.
3. 1. 형태 변화
로마 시대에는 A라는 문자에 많은 변형이 있었다. 돌이나 다른 더 영구적인 매체에 새길 때 사용되었던 기념비적 또는 비석 양식이 있었다. 또한 더 잘 부패하는 표면에 쓰인 일상적이거나 실용적인 글쓰기에 사용되는 필기체 양식도 있었다. 이러한 표면의 부패성 때문에 이 양식의 예는 기념비적 양식만큼 많지 않지만, 마주스큘 필기체, 미누스큘 필기체, 세미 커시브 미누스큘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필기체에 대한 많은 생존 예가 여전히 있다. 기념비적 양식과 필기체 양식의 중간 형태인 변형도 존재했는데, 초기 세미운셜, 운셜, 후기 세미운셜이 알려진 변형에 포함된다.[1]
로마 제국(서기 5세기) 말기에 서유럽 전역에서 여러 가지 필기체 미누스큘 변형이 발전했다. 여기에는 이탈리아의 세미 커시브 미누스큘, 프랑스의 메로빙거식 서체, 스페인의 비스고트식 서체, 그리고 영국의 인슐라 또는 앵글로-아일랜드 세미운셜 또는 앵글로색슨 마주스큘이 있다. 9세기까지 현대 형태와 매우 유사한 카롤링거 소문자체가 인쇄술이 등장하기 전에 책 제작에 사용되는 주요 형태였다. 이 형태는 이전 형태의 결합을 통해 파생되었다.[1]
15세기 이탈리아에서는 오늘날 알려진 두 가지 주요 변형인 이탤릭체와 로마체가 형성되었다. 이탤릭체 ɑ는 스크립트 a라고도 하며, 종종 필기체에 사용되며, 오른쪽에 수직선이 있는 원으로 구성된다. 중세 아일랜드와 영국 서기관들의 손에서 이 형태는 그리스 문자 타우 τ와 유사한 5세기 형태에서 점차 발전했다.[2] 로마체 a는 대부분의 인쇄물에서 발견되며, 작은 고리와 그 위의 호로 구성된다.[1] 둘 다 대문자 A에서 파생되었다. 그리스 필기체에서는 왼쪽 다리와 수평 획을 단일 고리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운셜 버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많은 글꼴이 오른쪽 다리를 수직으로 만들었다. 이 중 일부에서는 오른쪽 다리 획을 시작하는 세리프가 호로 발전하여 인쇄 형태가 되었고, 다른 일부에서는 삭제되어 현대 필기 형태가 되었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이탤릭체와 로마체를 각각 "단층 a"와 "이층 a"라고 부른다.
이탤릭체는 강조를 표시하거나 일반적으로 로마체로 설정된 텍스트의 나머지 부분과 구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국제 음성 기호와 같이 이탤릭체 외에도 스크립트 a ɑ(라틴 알파라고도 함)가 라틴 a와 대조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4. 음소
국제음성기호(IPA)에서 [a]는 전설 비원순 저모음, [ɑ]는 후설 비원순 저모음을 나타낸다.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모음 소리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대모음 이동으로 인해 [æ], [eɪ] 등 다양한 소리로 발음된다.
| 표기 | 음소 |
|---|---|
| 표준 중국어(병음) | |
| 영어 | , , , , , , |
| 프랑스어 | , |
| 독일어 | , |
| 포르투갈어 | , |
| 세니치 | |
| 스페인어 | |
| 튀르키예어 |
| 음소 | 표기 |
|---|---|
| scope="row" style="text-align: center" | | 추바시어, 프랑스어, 독일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말레이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스타방에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타갈로그어, 튀르키예어, 유트레흐트 네덜란드어 |
| scope="row" | | 네덜란드어 (겹모음), 독일어 |
| scope="row" | | 아프리칸스어, 불가리아어, 스페인어 |
| scope="row" | | 뉴질랜드 영어, 리투아니아어, 림뷔르흐어 (겹모음), 룩셈부르크어 |
| scope="row" | | 카탈루냐어, 체코어, 프랑스어, 잉글랜드 북부 영어, 트렝가누 말레이어, 폴란드어 |
| scope="row" | | 서프리지아어 (겹모음) |
| scope="row" style="text-align: center" | | 바시키르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핀란드어, 프랑스어, 카잉강어, 림뷔르흐어, 노르웨이어, 러시아어, 서프리지아어 |
| scope="row" | | 아프리칸스어 (겹모음), 덴마크어, 독일어, 잉글랜드 남부 영어, 쿠르드어, 노르웨이어 |
| scope="row" | | 아제르바이잔어, 카자흐어, 룩셈부르크어 |
| scope="row" style="text-align: center" | | 잉글랜드 남부 영어, 헝가리어, 케다 말레이어 |
| scope="row" | | 헝가리어 |
| scope="row" | | 스웨덴어 |
| scope="row" | | 마스트리흐트 림뷔르흐어, 얼스터 아이리시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덴마크어, 영어, 러시아어, 제타-라슈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불가리아어, 중앙 카탈루냐어, 에밀리아어, 갈리시아어, 리투아니아어, 포르투갈어, 타갈로그어, 우크라이나어 |
| scope="row" | | 마푸둥군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뉴질랜드 영어, 페락 말레이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켐니츠 독일어,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켐니츠 독일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잉글랜드 남부 영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영어, 동부 카탈루냐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세니치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영어 |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에서 'ㅏ'를 나타내며, 'ㅐ', 'ㅑ', 'ㅒ', 'ㅘ', 'ㅙ' 등에도 사용된다.
5. 쓰임
- 자리의 밑이 십을 초과하는 위치 기수법에서 십을 A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AB(12) = 131(10), AB(16) = 171(10), AB(20) = 211(10)과 같다.
- a는 국제음성기호에서 전설 비원순 저모음을 나타낸다.
- a는 면적의 단위인 아르의 기호이다.
- A는 전류의 단위인 암페어의 기호이다.
- 현대 영어 철자법에서 문자 A는 적어도 7가지의 다른 모음 소리를 나타낸다.

| 표기 | 음소 |
|---|---|
| 표준 중국어 (병음) | |
| 영어 | , , , , , , |
| 프랑스어 | , |
| 독일어 | , |
| 포르투갈어 | , |
| 세니치 | |
| 스페인어 | |
| 튀르키예어 |
| 음소 | 표기 |
|---|---|
| scope="row" style="text-align: center" | | 추바시어, 프랑스어, 독일어, 인도네시아어, 이탈리아어, 말레이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스타방에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타갈로그어, 튀르키예어, 유트레흐트 네덜란드어 |
| scope="row" | | 네덜란드어 (겹모음), 독일어 |
| scope="row" | | 아프리칸스어, 불가리아어, 스페인어 |
| scope="row" | | 뉴질랜드 영어, 리투아니아어, 림뷔르흐어 (겹모음), 룩셈부르크어 |
| scope="row" | | 카탈루냐어, 체코어, 프랑스어, 잉글랜드 북부 영어, 트렝가누 말레이어, 폴란드어 |
| scope="row" | | 서프리지아어 (겹모음) |
| scope="row" style="text-align: center" | | 바시키르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핀란드어, 프랑스어, 카잉강어, 림뷔르흐어, 노르웨이어, 러시아어, 서프리지아어 |
| scope="row" | | 아프리칸스어 (겹모음), 덴마크어, 독일어, 잉글랜드 남부 영어, 쿠르드어, 노르웨이어 |
| scope="row" | | 아제르바이잔어, 카자흐어, 룩셈부르크어 |
| scope="row" style="text-align: center" | | 잉글랜드 남부 영어, 헝가리어, 케다 말레이어 |
| scope="row" | | 헝가리어 |
| scope="row" | | 스웨덴어 |
| scope="row" | | 마스트리흐트 림뷔르흐어, 얼스터 아이리시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덴마크어, 영어, 러시아어, 제타-라슈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불가리아어, 중앙 카탈루냐어, 에밀리아어, 갈리시아어, 리투아니아어, 포르투갈어, 타갈로그어, 우크라이나어 |
| scope="row" | | 마푸둥군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뉴질랜드 영어, 페락 말레이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켐니츠 독일어,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켐니츠 독일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잉글랜드 남부 영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영어, 동부 카탈루냐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세니치어 |
| scope="row" style="text-align:center" | | 영어 |
- 이중 aa 순서는 원어민 영어 단어에는 없지만, ''Aaron''과 ''아르마딜로''와 같은 외국어에서 유래된 일부 단어에서 발견된다.[3]
- A는 많은 일반적인 이중자음에 나타나는데, 모두 고유한 소리 또는 소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ai, au, aw, ay, ea 및 oa가 있다.
- A는 영어에서 E와 T 다음으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문자이며, 프랑스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페인어에서는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고 포르투갈어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된다. A는 영어 텍스트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약 8.2%,[4] 프랑스어에서는 약 7.6%,[5] 스페인어에서는 11.5%,[6] 포르투갈어에서는 14.6%이다.[7]
-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A는 , , 또는 와 같이 열린 무원순 모음을 나타낸다. 예외적으로 사니치에서는 A와 글리프 Á가 중고전면무원순모음 을 나타낸다.
5. 1. 학술
- 16진법 표기에서 A 또는 a는 숫자 10에 해당한다.
- 대수학에서 문자 'a'는 변수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되며,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관례적 의미를 지닌다. 1637년 르네 데카르트는 "방정식에서 미지수를 x, y, z로, 알려진 수를 a, b, c로 나타내는 관례를 고안했으며",[8] 이 관례는 특히 초등 대수학에서 여전히 자주 사용된다.
- 기하학에서 대문자 A는 선분, 직선, 반직선 등의 기하학적 대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또한 삼각형의 각을 나타내는 문자 중 하나로 사용되며, 소문자 a는 각 A의 대변을 나타낸다.
- A는 더 우수하거나 더 권위 있는 품질이나 지위를 가진 것 또는 사람을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학생의 학교 과제에 대해 교사가 부여할 수 있는 최고 학점(A−, A 또는 A+), 깨끗한 식당에 대한 "A 등급", A급 유명인, 선박에 대한 로이드 선급 A1 등급 등이 있다. 이러한 연상은 동기 부여 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 다른 문자와 비교했을 때 문자 A에 노출되면 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A는 신발의 좁은 사이즈[9] 또는 브래지어의 작은 컵 사이즈와 같이 크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알려진 수를 나타내는 수학 기호(관습).
- 알려진 집합을 나타내는 수학 기호(관습).
- 알려진 행렬을 나타내는 수학 기호(관습).
- 대문자로 환을 나타냄(관습).
- 프랙투어 소문자로 이데알을 나타냄(관습).
- 기하학에서 궤도 장반경을 나타냄.
- 십을 의미하는 숫자. 16진법이나 20진법 등, 십일진법 이상 (참조: 위치 기수법#N이 열을 초과)에서 십(십진법의 '''10''')을 한 자릿수로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 하나의 부품에 0을 사용하지 않고 열 개 이상의 채널을 결합하는 경우, 9를 "9", 10을 "A", 십이를 "C", 십오를 "F", 이십을 "K" 등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5. 2. 기타
- 16진법에서 A 또는 a는 숫자 10에 해당한다.
- 대수학에서 문자 'a'는 변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르네 데카르트가 방정식에서 미지수를 x, y, z로, 알려진 수를 a, b, c로 나타내는 관례를 고안했다.[8]
- 기하학에서 대문자 A는 선분, 직선, 반직선 등을 나타내며, 삼각형의 각을 나타내는 문자로 사용되고, 소문자 a는 각 A의 대변을 나타낸다.
- A는 우수한 품질이나 지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예: A-, A, A+ 학점, A등급 식당, A급 유명인, 로이드 선급 A1 등급 선박)
- A는 신발의 좁은 사이즈나 브래지어의 작은 컵 사이즈와 같이 크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9]
- 영어에서 A는 단수 부정관사이다.
- 암페어는 SI 단위에서 전류의 단위이며, 대문자 A로 표시한다.
- 아르는 면적의 단위이며, 소문자 a로 표시한다.
- 아토는 SI 접두어이며, 소문자 a로 표시한다.
- 음명 중 하나는 A(영미식, 독식)이다. (이탈리아식: lait, 한국식: 이), 음높이 440Hz)
- ABO식 혈액형 중 A형이 있다.
- 1998년 모리 타츠야 감독의 오움진리교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A (영화)가 있다.
- 16진법이나 20진법 등 십일진법 이상에서 십(십진법의 10)을 한 자릿수로 나타내는 데 A가 사용된다.
6. 컴퓨터 부호
유니코드와 ASCII에서 A와 a는 각각 65(0x41)와 97(0x61)로 표현된다. 전각 문자 A와 a는 각각 U+FF21과 U+FF41이다. EBCDIC에서는 A는 193, a는 129로 표현된다.
| 문자 | A | a | ||
|---|---|---|---|---|
| 유니코드 이름 | LATIN CAPITAL LETTER A | LATIN SMALL LETTER A | ||
| 인코딩 | 10진수 | 16진수 | 10진수 | 16진수 |
| 유니코드 | 65 | U+0041 | 97 | U+0061 |
| UTF-8 | 65 | 41 | 97 | 61 |
| 수치 문자 참조 | A | A | a | a |
| EBCDIC | 193 | C1 | 129 | 81 |
| ASCII | 65 | 41 | 97 | 61 |
| 문자 | A | a | ||
| 유니코드 이름 | FULLWIDTH LATIN CAPITAL LETTER A | FULLWIDTH LATIN SMALL LETTER A | ||
| 인코딩 | 10진수 | 16진수 | 10진수 | 16진수 |
| 유니코드 | 65313 | U+FF21 | 65345 | U+FF41 |
| UTF-8 | EF BC A1 | EF BD 81 | ||
| 수치 문자 참조 | A | A | a | a |
7. 기타 표현법
상표 등에서는 A에서 가운데 가로줄을 빼서 'Λ'처럼 쓰기도 하는데, 이러면 그리스 문자 Λ나 키릴 문자 Л와 모양이 같아진다. 예를 들면 SΛMSUNG이나 KIΛ가 있다. 국제음성기호에서는 A와 비슷하되 다른 발음으로 Λ를 쓰기도 한다.[1]
음성 코드는 ANSI에서는 "Alpha", ICAO, ITU, IMO, FAA에서는 "Alfa"이다.[1]
참조
[1]
백과사전
Latin alphabet
https://www.britanni[...]
[2]
학술지
A Is for Apple: the Role of Letter-Word Associations in the Development of Grapheme-Colour Synaesthesia
https://sussex.figsh[...]
2023-12-16
[3]
harvnb
[4]
웹사이트
Letter frequency (English)
http://en.algoritmy.[...]
2022-01-03
[5]
웹사이트
Corpus de Thomas Tempé
https://web.archive.[...]
2007-06-15
[6]
서적
Secret and Urgent: The story of codes and ciphers
Blue Ribbon
[7]
웹사이트
Frequência da ocorrência de letras no Português
https://web.archive.[...]
2009-06-16
[8]
서적
Descartes: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Bra Book: The Fashion Formula to Finding the Perfect Bra
Benbella
[10]
인용
L2/04-132 Proposal to Add Additional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1]
인용
L2/02-141: Uralic Phonetic Alphabet Characters for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2]
인용
L2/04-191: Proposal to Encode Six Indo-Europeanist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3]
인용
L2/11-202: Revised Proposal to Encode "Teuthonista"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8-03-24
[14]
인용
L2/17-076R2: Revised Proposal for the Encoding of an Egyptological YOD and Ugaritic Characters
https://www.unicode.[...]
2019-03-08
[15]
서적
Sign, Symbol, and Script
G. P. Putman's Sons
[16]
뉴스
Hebrew Lesson of the Week: The Letter Aleph
https://www.timesofi[...]
2018-05-25
[17]
백과사전
Cyrillic Alphabet
https://www.britanni[...]
2018-05-25
[18]
서적
Universal Palaeography
https://books.google[...]
Henry G. Bohn
2020-10-27
[19]
학술지
Italic Studies
https://books.google[...]
2020-10-27
[20]
서적
Understanding Relations Between Scripts: The Aegean Writing Systems
https://books.google[...]
Oxbow
2020-10-27
[21]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iley
2020-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