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는 라틴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는 알파벳 문자로, 국제음성기호에서 무성 순치 마찰음 [f]를 나타낸다. F는 셈족 문자 와우에서 유래되었으며, 페니키아 문자를 거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를 통해 로마 문자에 도입되었다. F는 수학, 과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호로 사용되며, 학점, 연필 흑연 등급, 인터넷 밈 등에서도 특정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페니키아의 '와우'는 그리스로 전해지면서 두 가지 형태로 분화되었다. 하나는 모음 웁실론(Υ)으로 발전하여 나중에 로마자 U, V, W, Y의 조상이 되었고, 다른 하나는 자음 디감마(Ϝ)로 발전하여 페니키아어에서처럼 /w/ 발음을 나타냈다.
그리스어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w/ 음가가 사라지자, 디감마는 문자로서의 기능을 잃고 숫자를 나타내는 기호로만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디감마는 다른 알파벳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에트루리아에서는 디감마에서 유래한 문자를 'F' 형태로 받아들여 그리스어와 같이 /w/ 음가를 나타내는 데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에트루리아어에는 /f/ 음가도 존재했는데, 이를 표기하기 위해 'FH'라는 이중자음을 사용했다. 이는 문자를 받아들일 당시 그리스 문자에 /f/ 음가를 나타내는 글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 그리스 문자 파이(Φ)는 유기음인 /pʰ/를 나타냈으나,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f/를 나타낸다.)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로부터 알파벳을 받아들이면서, 모음 /u/와 반모음 /w/를 모두 'V'(그리스 문자 웁실론에서 유래)로 표기하고, 'F'는 /f/ 음가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기로 했다. 이로써 'F'는 원래의 /w/ 음가가 아닌 /f/ 음가를 가지게 되어 로마자에 포함되었고, 이는 오늘날 영어와 다른 많은 언어에서 사용되는 알파벳의 기초가 되었다.
소문자 'f'는 시각적으로 유사한 긴 s(ſ)와는 관련이 없다. 19세기 초반까지 사용되었던 긴 s는 가로획이 짧은 'f'와 혼동될 수 있다는 이유로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영어에서는 주로 /f/로 발음되며, 모음 사이나 단어 끝에서는 'ff'로 쓰기도 한다. 단, 'of'와 그 파생어에서는 예외적으로 유성 순치 마찰음(/v/)으로 발음된다. F는 영어에서 11번째로 사용 빈도가 낮은 글자(G, Y, P, B, V, K, J, X, Q, Z 다음)이며, 단어에서 약 2.23%의 빈도를 가진다.
프랑스어에서는 /f/를 나타내지만, 드물게 단어 끝의 'f'가 묵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예: 음자리표를 뜻하는 'clef'는 /kle/로 발음).
구어체 아이슬란드어에서는 단어 중간의 'f'가 /v/로 유성음화되기도 한다(예: Að sofa - 자다).
일부 언어에서는 다른 발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일본어의 헵번식 로마자 표기에서 'f'는 무성 양순 마찰음(/ɸ/)을 나타낸다. 이는 /h/의 변이음으로, /u/ 앞에서 [ɸ]로 발음된다. 외래어의 /f/ 발음을 음차할 때 가타카나 ファ행(ファ, フィ, フ, フェ, フォ)을 사용하고 로마자 표기 시 'f'를 쓰지만, 실제 발음은 /f/가 아닌 /ɸ/이다.
기동전사 건담 F91을 중심으로 한 건담 시리즈 작품군 및 등장 병기 『F(포뮬러)』 시리즈를 지칭한다.
코나미의 리듬 게임 비트매니아 IIDX 19 Lincle 수록곡 「F」 (작곡: D.J.Amuro).
5. 1. 과학 및 수학
수학에서 이탤릭체 소문자 ''f''는 주로 함수(function)나 사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f''(''x'')와 같이 표기한다. 관련 개념을 나타낼 때 대문자 ''F''를 사용하기도 하며, 이때 ''F''(''x'')와 ''f''(''x'')는 원시 함수와 도함수처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체(field)를 나타낼 때 대문자 F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유한체는 '''F'''''p''와 같이 표기한다. 스크립트체 ℱ는 완비 가법족(σ-field), 층(faisceau),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등을 나타낼 때 쓰인다.
16진법에서 대문자 F는 10진법의 수 15를 나타낸다. 이는 20진법과 같이 16 이상의 밑을 사용하는 위치 기수법에서도 15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물리학에서 대문자 F는 힘(force)을 나타내는 기호로 널리 쓰이며,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Free energy)를 나타내기도 한다. 소문자 f는 진동수 또는 주파수(frequency)를 나타낸다. 전기 회로 이론에서는 2단자쌍 회로를 분석할 때 사용되는 F 매개변수(F 행렬)가 있다.
[1]
서적
F
Oxford English Dictionary
[2]
서적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Harvard University Press Reference Library
[3]
웹사이트
Forte
https://web.archive.[...]
2012-03-19
[4]
뉴스
Press F to pay respects
https://knowyourmeme[...]
2014-12-20
[5]
웹사이트
L2/03-174R2: Proposal to Encode Phonetic Symbols with Middle Tilde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03-09-30
[6]
웹사이트
L2/04-132 Proposal to add additional phonetic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4-04-19
[7]
간행물
Lautzeichen und ihre Anwendung in verschiedenen Sprachgebieten
Reichsdruckerei
[8]
웹사이트
Latin Extended-D
https://www.unicode.[...] [9]
웹사이트
L2/11-202: Revised proposal to encode "Teuthonista" phonetic characters in the UCS
https://www.unicode.[...]
2011-06-02
[10]
웹사이트
L2/06-027: Proposal to add Medievalist charac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6-01-30
[11]
웹사이트
L2/20-251: Unicode request for modifier Latin capital letters
https://www.unicode.[...]
2020-09-25
[12]
웹사이트
L2/06-266: Proposal to add Latin letters and a Greek symbol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6-08-06
[13]
웹사이트
L2/06-269: Proposal to Add Additional Ancient Roman Characters to UCS
https://www.unicode.[...]
2006-08-01
[14]
웹사이트
L2/05-193R2: Proposal to add Claudian Latin letters to the UCS
https://www.unicode.[...]
2005-08-12
[15]
웹사이트
新しい日本銀行券特設サイト
https://www.npb.go.j[...] [16]
웹사이트
お札が「F一万円券」、「E千円券」などとアルファベットを付けて呼ばれることがあると聞きましたが、なぜですか?
https://www.boj.or.j[...]
2024-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