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분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용 분석은 텍스트, 이미지, 기타 커뮤니케이션 내용의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방법이다. 클라우스 크리펜도르프는 내용 분석에 대한 여섯 가지 질문을 제시하며, 분석 목표와 데이터 정의, 관련 맥락 등을 포함한다. 내용 분석은 단어 빈도 분석과 같은 단순한 형태에서 사전 기반, 질적 분석과 같은 복잡한 형태로 발전하며,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으로 나뉜다. 양적 분석은 빈도수와 통계적 분석을 강조하며 연역적 접근 방식을, 질적 분석은 텍스트의 의미와 패턴에 집중하며 귀납적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내용 분석의 도구로는 코드북이 사용되며, 코드북은 코딩 지침과 변수 정의를 포함한다. 신뢰도와 타당도는 내용 분석의 중요한 요소이며, 코더 간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홀스티는 내용 분석의 용도를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 특성, 영향에 대한 추론으로 분류한다. 내용 분석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을 정량적으로 설명하려 시도하지만, 크립펜도르프는 내용 분석이 메시지를 왜곡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질적 연구 - 근거 이론
근거 이론은 질적 연구 방법론의 하나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론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며, 사회 과학 이론과 경험적 데이터 간의 격차를 좁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질적 연구 - 참여 관찰
참여 관찰은 사회과학 연구 방법으로, 연구자가 대상 집단에 참여하여 관찰 및 자료를 수집하는 질적 연구 방법이지만, 연구자의 주관성 개입, 일반화의 어려움 등 한계를 지니므로 윤리적 고려가 필수적이며, 멤버 체크와 삼각측량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 양적 연구 - 실험계획법
실험계획법은 실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험 전 상세 계획을 세우는 방법론이며, 비교, 무작위화, 반복 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다양한 설계 방식을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 양적 연구 - 설문
설문은 특정 주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질문을 활용하는 조사 방법으로, 사회 과학과 통계학의 발전과 함께 발전했으며, 고대 인구 조사에서 기원하여 현대에는 다양한 기법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요소를 고려한다. - 해석학 (철학) - 폴 리쾨르
폴 리쾨르는 프랑스의 철학자로서 현상학과 해석학을 융합한 해석학적 현상학을 발전시켰으며, 철학, 윤리학, 언어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깊이 있는 사상을 제시하고 2005년에 사망했다. - 해석학 (철학) -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마르틴 하이데거의 "형이상학 서론"은 1935년 강의를 토대로 1953년 출판된 책으로, 전(前) 소크라테스 철학자들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존재와 무(無)를 탐구하며, 하이데거 사상의 전환점인 '케어레'를 보여주지만 나치즘 연관 논란과 함께 한국에서 수용과 비판이 공존하는 저서이다.
내용분석 | |
---|---|
개요 | |
![]() | |
유형 | 연구 방법 |
특징 | |
초점 | 텍스트의 내용과 맥락 |
방법 |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데이터 분석 |
목적 | 텍스트 내의 패턴과 추세를 파악 커뮤니케이션의 의미 해석 사회적, 문화적 현상 분석 |
적용 분야 | |
커뮤니케이션 연구 | 미디어 콘텐츠 분석 정치적 담론 분석 광고 효과 분석 |
사회학 | 사회적 태도 및 가치 연구 문화적 트렌드 분석 사회 운동 연구 |
심리학 | 개인의 심리적 특성 분석 정신 건강 연구 상담 및 치료 효과 평가 |
마케팅 | 소비자 행동 분석 브랜드 이미지 연구 시장 조사 |
정치학 | 정치적 메시지 분석 여론 조사 정책 결정 과정 연구 |
분석 수준 | |
현시적 내용 | 텍스트에 명시적으로 드러난 내용 분석 |
잠재적 내용 | 텍스트에 내포된 의미와 함축 분석 |
분석 방법 | |
양적 분석 | 빈도 분석, 통계 분석 |
질적 분석 | 의미 분석, 주제 분석, 담론 분석 |
장점 | |
객관성 |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주관성 최소화 |
신뢰성 | 분석 결과의 일관성 및 재현성 확보 |
일반화 가능성 |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결론 도출 |
시간 및 비용 효율성 | 다른 연구 방법에 비해 비교적 적은 비용과 시간 소요 |
단점 | |
맥락 무시 가능성 | 텍스트의 사회적, 문화적 맥락 간과 가능성 |
표면적 의미 집중 | 심층적인 의미 파악의 어려움 |
주관적 해석 개입 여지 | 분석가의 주관적인 판단이 결과에 영향 |
주요 절차 | |
연구 질문 설정 | 분석 목적 및 범위 설정 |
분석 단위 결정 | 단어, 문장, 주제 등 분석 대상 선정 |
코딩 범주 개발 | 분석 기준 및 규칙 정의 |
코딩 수행 | 텍스트 내용에 따라 코딩 범주에 할당 |
데이터 분석 | 코딩 결과 바탕으로 통계 분석 또는 질적 분석 수행 |
결과 해석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질문에 대한 결론 도출 |
2. 내용 분석의 목표 및 정의
클라우스 크리펜도르프에 따르면 모든 내용 분석은 다음 여섯 가지 질문에 답해야 한다.[16]
내용 분석은 광범위한 기술의 한 갈래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좋다. 효과적인 연구자는 자신의 실질적인 질문에 가장 잘 답하는 기술을 선택한다. 내용 분석은 크게 사전 기반(정량적) 접근 방식과 질적 접근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전 기반 접근 방식은 단어 빈도 목록에서 파생된 범주 목록을 설정하고, 텍스트에서 단어와 해당 범주의 분포를 확인한다. 정량적 내용 분석은 발견된 범주에 대한 관찰을 정량적 통계 데이터로 변환하는 반면, 질적 내용 분석은 의도성과 그 의미에 더 중점을 둔다. 질적 내용 분석과 주제 분석 사이에는 강력한 유사점이 있다.[4]
# 어떤 데이터를 분석할 것인가?
# 데이터는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어떤 모집단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것인가?
# 관련된 맥락은 무엇인가?
# 분석의 경계는 무엇인가?
#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가장 단순하고 객관적인 형태의 내용 분석은 단어 빈도, 신문 칼럼이 차지하는 페이지 영역, 또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길이와 같이 텍스트의 모호하지 않은 특성을 고려한다. 단순한 단어 빈도 분석은 단어의 의미가 주변 텍스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제한적이다. 문맥 내 핵심어(KWIC) 루틴은 단어를 텍스트 맥락에 배치하여 이를 해결한다. 이는 동의어와 동음이의어에 의해 발생하는 모호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분석의 또 다른 단계는 사전 기반(정량적) 접근 방식과 질적 접근 방식의 구별이다. 사전 기반 접근 방식은 단어의 빈도 목록에서 파생된 범주 목록을 설정하고 텍스트에서 단어와 해당 범주의 분포를 제어한다. 이처럼 정량적 내용 분석의 방법은 발견된 범주에 대한 관찰을 정량적 통계 데이터로 변환하는 반면, 질적 내용 분석은 의도성과 그 의미에 더 중점을 둔다. 질적 내용 분석과 주제 분석 사이에는 강력한 유사점이 있다.[4]
정치학자 해럴드 라스웰은 20세기 초중반 주류 버전에서 내용 분석의 핵심 질문을 공식화했다.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왜, 어느 정도, 그리고 어떤 효과로 말하는가?"[17] 라스웰이 강조한 양적 접근 방식은 내용 분석의 또 다른 "아버지"인 버나드 베렐슨에 의해 마침내 수행되었으며, 그는 이러한 관점에서 상징적인 내용 분석의 정의를 제안했다. "의사 소통의 명시적 내용을 객관적, 체계적, 정량적으로 설명하는 연구 기법"이다.[18]
양적 내용 분석은 최근 몇 년 동안 기술 발전과 대중 매체 및 개인 의사 소통 연구에 대한 유익한 적용으로 인해 새로운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장치에서 생성된 텍스트 빅데이터의 내용 분석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언어로부터 의미가 형성되는 과정인 기호 작용의 복잡성을 무시하고 언어에 대한 단순화된 관점을 취한다. 양적 내용 분석가들은 내용 분석의 범위를 단순한 계산으로 제한하고 사회 과학에 대한 적절성을 비판적으로 반영하지 않고 자연 과학의 측정 방법을 적용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19] 반대로 질적 내용 분석가들은 충분히 체계적이지 않고 너무 인상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19] 크리펜도르프는 내용 분석에 대한 양적 및 질적 접근 방식이 겹치는 경향이 있으며, 어떤 접근 방식이 우수한지에 대한 일반화 가능한 결론은 없다고 주장한다.[19]
3. 내용 분석의 유형: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
정량적 내용 분석은 빈도수와 이러한 코딩된 빈도수의 통계적 분석을 강조하며, 분석이 시작되기 전에 결정된 코딩과 함께 틀이 잡힌 가설로 시작하고 연역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6] 반면에 질적 분석은 패턴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 연구자가 찾을 수 있는 잠재적 의미를 기반으로 연구 과정이 변경될 수 있으며, 열린 연구 질문으로 시작하는 귀납적 방식이다.[6]
3. 1. 질적 내용 분석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는 정량적 내용 분석이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신뢰성을 높인다고 비판했다. 반면 질적 내용 분석은 잠재적 해석의 복잡성을 다루는 반면, 정량적 분석은 현시적 의미에 중점을 둔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질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의 "중첩"을 인정한다.[5] 질적 분석은 패턴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 연구자가 찾을 수 있는 잠재적 의미를 기반으로 연구 과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가설과 달리 열린 연구 질문으로 시작하는 귀납적 방식이다.[6]
3. 2. 양적 내용 분석
클라우스 크립펜도르프에 따르면 모든 내용 분석에서는 다음 여섯 가지 질문에 답해야 한다.[16]
# 어떤 데이터를 분석할 것인가?
# 데이터는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어떤 모집단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것인가?
# 관련된 맥락은 무엇인가?
# 분석의 경계는 무엇인가?
#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가장 단순하고 객관적인 형태의 내용 분석은 단어 빈도, 신문 칼럼이 차지하는 페이지 영역, 또는 라디오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길이와 같이 텍스트의 모호하지 않은 특성을 고려한다. 단순한 단어 빈도 분석은 단어의 의미가 주변 텍스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제한적이다. 문맥 내 핵심어(KWIC) 루틴은 단어를 텍스트 맥락에 배치하여 이를 해결한다. 이는 동의어와 동음이의어에 의해 발생하는 모호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분석의 또 다른 단계는 사전 기반(정량적) 접근 방식과 질적 접근 방식의 구별이다. 사전 기반 접근 방식은 단어의 빈도 목록에서 파생된 범주 목록을 설정하고 텍스트에서 단어와 해당 범주의 분포를 제어한다. 이처럼 정량적 내용 분석의 방법은 발견된 범주에 대한 관찰을 정량적 통계 데이터로 변환하는 반면, 질적 내용 분석은 의도성과 그 의미에 더 중점을 둔다. 질적 내용 분석과 주제 분석 사이에는 강력한 유사점이 있다.[4]
정량적 내용 분석은 빈도수와 이러한 코딩된 빈도수의 통계적 분석을 강조한다.[5] 또한, 정량적 내용 분석은 분석이 시작되기 전에 결정된 코딩과 함께 틀이 잡힌 가설로 시작한다. 이러한 코딩 범주는 연구자의 가설과 엄격하게 관련되어 있다. 정량적 분석은 또한 연역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6] 예를 들어, 내용 분석 변수 및 구성의 예는 오픈 액세스 데이터베이스 [https://www.hope.uzh.ch/doca DOCA]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커뮤니케이션 및 정치 과학 연구 분야 및 주제와 관련된 내용 분석 변수를 편집, 체계화 및 평가한다.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는 정량적 분석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며, 정량적 분석이 더 신뢰할 수 있도록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질적 분석은 잠재적 해석의 복잡성을 다루는 반면, 정량적 분석은 현시적 의미에 중점을 둔다.[5]
3. 3.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의 비교
클라우스 크립펜도르프에 따르면 모든 내용 분석에서는 다음 여섯 가지 질문에 답해야 한다.[16]
# 어떤 데이터를 분석할 것인가?
# 데이터는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어떤 모집단에서 데이터를 추출할 것인가?
# 관련된 맥락은 무엇인가?
# 분석의 경계는 무엇인가?
#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
가장 단순하고 객관적인 형태의 내용 분석은 단어 빈도, 신문 칼럼이 차지하는 페이지 영역, 또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길이와 같이 텍스트의 모호하지 않은 특성을 고려한다. 단순한 단어 빈도 분석은 단어의 의미가 주변 텍스트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제한적이다. 문맥 내 핵심어(KWIC) 루틴은 단어를 텍스트 맥락에 배치하여 이를 해결한다. 이는 동의어와 동음이의어에 의해 발생하는 모호성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분석의 또 다른 단계는 사전 기반(정량적) 접근 방식과 질적 접근 방식의 구별이다. 사전 기반 접근 방식은 단어의 빈도 목록에서 파생된 범주 목록을 설정하고 텍스트에서 단어와 해당 범주의 분포를 제어한다. 이처럼 정량적 내용 분석의 방법은 발견된 범주에 대한 관찰을 정량적 통계 데이터로 변환하는 반면, 질적 내용 분석은 의도성과 그 의미에 더 중점을 둔다. 질적 내용 분석과 주제 분석 사이에는 강력한 유사점이 있다.[4]
정량적 내용 분석은 빈도수와 이러한 코딩된 빈도수의 통계적 분석을 강조한다.[5] 또한, 정량적 내용 분석은 분석이 시작되기 전에 결정된 코딩과 함께 틀이 잡힌 가설로 시작한다. 이러한 코딩 범주는 연구자의 가설과 엄격하게 관련되어 있다. 정량적 분석은 또한 연역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6]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는 정량적 분석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며, 정량적 분석이 더 신뢰할 수 있도록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지나치게 단순화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질적 분석은 잠재적 해석의 복잡성을 다루는 반면, 정량적 분석은 현시적 의미에 중점을 둔다. 그는 또한 질적 및 정량적 내용 분석의 "중첩"을 인정한다.[5] 질적 분석에서는 패턴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 연구자가 찾을 수 있는 잠재적 의미를 기반으로 연구 과정이 변경될 수 있다. 이는 가설과 달리 열린 연구 질문으로 시작하는 귀납적 방식이다.[6]
4. 내용 분석의 도구: 코드북 (Codebook)
내용 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 수집 도구는 코드북 또는 코딩 체계이다. 질적 내용 분석에서 코드북은 코딩 ''중''에 구성되고 개선되는 반면, 양적 내용 분석에서는 코딩 ''전''에 코드북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개발하고 사전 테스트해야 한다.[12] 코드북에는 인간 코더(coder)를 위한 자세한 지침과 코딩할 각 개념 또는 변수의 명확한 정의, 그리고 할당된 값이 포함된다.
4. 1. 코드북의 구성 요소
코드북은 내용 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 수집 도구이다. 질적 내용 분석에서는 코딩 중에 코드북이 구성되고 개선되지만, 양적 내용 분석에서는 코딩 전에 코드북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개발하고 사전 테스트해야 한다.[12] 코드북에는 인간 코더를 위한 자세한 지침, 코딩할 각 개념 또는 변수의 명확한 정의, 할당된 값이 포함된다.4. 2. 코드북의 개발 과정
코드북은 내용 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 수집 도구이다. 질적 내용 분석에서는 코딩 중에 코드북이 구성되고 개선되지만, 양적 내용 분석에서는 코딩 전에 코드북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개발하고 사전 테스트해야 한다.[12] 코드북에는 인간 코더를 위한 자세한 지침과 코딩할 각 개념 또는 변수의 명확한 정의, 그리고 할당된 값이 포함된다.초기 코딩 방식 또는 코딩 접근 방식의 과정은 선택된 특정 내용 분석 접근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지향적 내용 분석을 통해 학자들은 기존 이론이나 가정을 바탕으로 예비 코딩 방식을 초안한다. 반면, 전통적인 내용 분석 접근 방식에서는 초기 코딩 방식이 데이터로부터 개발된다.
위의 두 가지 접근 방식 모두, 연구자는 전체적인 그림을 얻기 위해 데이터에 몰입할 수 있다. 일관되고 명확한 코딩 단위가 중요하며, 선택의 폭은 단어 하나에서 여러 단락에 이르기까지, 텍스트에서 아이콘 기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특정 범주 또는 주제 내에서 코드를 분류하여 코드 간의 관계를 구축한다.[37]
5. 내용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는 정량적 분석이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신뢰도를 높인다고 비판했다. 반면 질적 분석은 잠재적 해석의 복잡성을 다루지만, 정량적 분석은 현시적 의미에 중점을 둔다. 그는 또한 질적 및 정량적 내용 분석의 "중첩"을 인정한다.[5] 질적 분석에서는 패턴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 연구자가 찾을 수 있는 잠재적 의미를 기반으로 연구 과정이 변경될 수 있는데, 이는 가설과 달리 열린 연구 질문으로 시작하는 귀납적 방식이다.[6]
내용 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 수집 도구는 코드북 또는 코딩 체계이다. 질적 내용 분석에서 코드북은 코딩 ''중''에 구성되고 개선되는 반면, 양적 내용 분석에서는 코딩 ''전''에 코드북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개발하고 사전 테스트해야 한다.[12] 코드북에는 인간 코더를 위한 자세한 지침과 코딩할 각 개념 또는 변수의 명확한 정의, 그리고 할당된 값이 포함된다.
5. 1. 신뢰도 (Reliability)
로버트 웨버(Robert Weber)는 "텍스트에서 유효한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분류 절차가 일관성이라는 의미에서 신뢰성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즉,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텍스트를 동일한 방식으로 코딩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11] 타당성, 코더 간 신뢰도 및 코더 내 신뢰도는 오랜 시간에 걸쳐 집중적인 방법론적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16]노이엔도르프(Neuendorf)는 내용 분석에 인간 코더가 사용될 때는 최소한 두 명 이상의 독립적인 코더를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인간 코딩의 신뢰도는 종종 ''코더 간 신뢰도'' 또는 "두 명 이상의 코더 간의 일치 또는 부합 정도"의 통계적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12] 레이시(Lacy)와 리페(Riffe)는 코더 간 신뢰도 측정을 양적 내용 분석의 강점으로 파악하며, 내용 분석가가 코더 간 신뢰도를 측정하지 않으면 해당 데이터는 단일 독자의 주관적인 인상만큼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13]
오늘날의 보고 기준에 따르면, 양적 내용 분석은 완전한 코드북과 코드북의 모든 변수 또는 측정에 대해 게시되어야 하며, 적절한 코더 간 또는 평가자 간 신뢰도 계수는 경험적 사전 테스트를 기반으로 보고되어야 한다.[12][31][14] 또한, 코드북의 모든 변수 또는 측정의 타당도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는 이전 연구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확립된 측정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코드북의 코딩 지침, 정의 및 예시를 면밀히 검토하고 승인하거나 수정하여 측정의 내용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다.
5. 2. 타당도 (Validity)
로버트 웨버(Robert Weber)는 "텍스트에서 유효한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분류 절차가 일관성이라는 의미에서 신뢰성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즉,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텍스트를 동일한 방식으로 코딩해야 한다."라고 언급했다.[11] 타당성, 코더 간 신뢰도 및 코더 내 신뢰도는 오랜 시간에 걸쳐 집중적인 방법론적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16]노이엔도르프(Neuendorf)는 내용 분석에 인간 코더가 사용될 때는 최소한 두 명 이상의 독립적인 코더를 사용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인간 코딩의 신뢰도는 종종 '코더 간 신뢰도' 또는 "두 명 이상의 코더 간의 일치 또는 부합 정도"의 통계적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12] 레이시(Lacy)와 리페(Riffe)는 코더 간 신뢰도 측정을 양적 내용 분석의 강점으로 파악하며, 내용 분석가가 코더 간 신뢰도를 측정하지 않으면 해당 데이터는 단일 독자의 주관적인 인상만큼 신뢰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13]
오늘날의 보고 기준에 따르면, 양적 내용 분석은 완전한 코드북과 코드북의 모든 변수 또는 측정에 대해 게시되어야 하며, 적절한 코더 간 또는 평가자 간 신뢰도 계수는 경험적 사전 테스트를 기반으로 보고되어야 한다.[12][31][14] 또한, 코드북의 모든 변수 또는 측정의 타당도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는 이전 연구에서 타당성이 입증된 확립된 측정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더불어,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코드북의 코딩 지침, 정의 및 예시를 면밀히 검토하고 승인하거나 수정하여 측정의 내용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다.
6. 내용 분석의 활용
내용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해석학과 문헌학에서는 오랫동안 내용 분석을 사용하여 신성하거나 세속적인 텍스트를 해석하고, 텍스트의 저작자 및 진위성을 밝히는 데 사용했다.[3][16]
최근에는 대중 매체의 등장과 함께 미디어 내용과 미디어 논리를 깊이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내용 분석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치학자 해럴드 라스웰은 20세기 초중반에 내용 분석의 핵심 질문을 "누가, 누구에게, 무엇을, 왜, 어느 정도, 그리고 어떤 효과로 말하는가?"[17]로 공식화했다. 버나드 베렐슨은 "의사 소통의 명시적 내용을 객관적, 체계적, 정량적으로 설명하는 연구 기법"으로 내용 분석을 정의하며 양적 접근 방식을 강조했다.[18]
최근 몇 년 동안 기술 발전과 소셜 미디어, 모바일 장치 등에서 생성된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에 유용하게 적용되면서 양적 내용 분석이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호 작용의 복잡성을 무시하고 언어를 단순하게 본다는 비판도 받는다.[19] 질적 내용 분석은 체계성이 부족하고 인상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9] 클라우스 크립펜도르프는 양적, 질적 접근 방식이 겹치는 경향이 있으며, 어느 한쪽이 우월하다고 일반화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19]
홀스티는 내용 분석의 15가지 용도를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 특성, 영향에 대한 추론을 수행하는 세 가지 기본 범주로 분류했다.[22]
목적 | 요소 | 질문 | 용도 |
---|---|---|---|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에 대한 추론 수행 | 발신자 | 누구? | |
인코딩 과정 | 왜? | ||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에 대한 설명 및 추론 | 채널 | 어떻게? | |
메시지 | 무엇을? | ||
수신자 | 누구에게? | ||
커뮤니케이션의 결과에 대한 추론 수행 | 디코딩 과정 | 어떤 효과로? | |
참고. 홀스티의 목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및 질문.[22] 주로 베렐슨의 용도를 홀스티가 적용.[23][22] |
내용 분석은 직접적인 측정 기술이 더 나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한적일 수 있다.[24] 클라우스 크립펜도르프는 "이해는 ... 대부분의 내용 분석이 진행하는 분류 및/또는 계산 과정에 전혀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하며,[36] 내용 분석이 메시지를 왜곡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7. 내용 분석의 한계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는 정량적 내용 분석이 복잡한 커뮤니케이션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여 신뢰도를 높이려 한다고 비판했다. 질적 분석은 잠재적 해석의 복잡성을 다루는 반면, 정량적 분석은 현시적 의미에 중점을 둔다는 것이다. 그는 또한 질적 내용 분석과 정량적 내용 분석이 "중첩"됨을 인정한다.[5] 질적 분석은 패턴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 연구자가 찾을 수 있는 잠재적 의미를 기반으로 연구 과정이 변경될 수 있는 귀납적 방식이다.[6]
최근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장치에서 생성된 텍스트 빅데이터의 내용 분석이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기호 작용의 복잡성을 무시하고 언어에 대한 단순화된 관점을 취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양적 내용 분석가들은 내용 분석의 범위를 단순 계산으로 제한하고, 사회 과학에 대한 적절성을 비판적으로 반영하지 않고 자연 과학의 측정 방법을 적용한다는 비판을 받는다.[19] 반대로 질적 내용 분석가들은 충분히 체계적이지 않고 너무 인상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19] 클라우스 크립펜도르프는 내용 분석에 대한 양적 및 질적 접근 방식이 겹치는 경향이 있으며, 어떤 접근 방식이 우수한지에 대한 일반화 가능한 결론은 없다고 주장한다.[19]
내용 분석은 과거의 문서인 흔적 증거와 비언어적 문서인 유물을 연구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텍스트는 광범위한 의미에서 의사 소통 과정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되며, 종종 귀추법을 통해 의미를 얻는다.[3][20]
홀스티는 내용 분석의 15가지 용도를 3가지 기본 범주로 분류하고, 이를 목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질문으로 나타냈다.
목적 | 요소 | 질문 | 용도 |
---|---|---|---|
커뮤니케이션의 전제 조건에 대한 추론 수행 | 발신자 | 누구? | |
인코딩 과정 | 왜? | ||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에 대한 설명 및 추론 | 채널 | 어떻게? | |
메시지 | 무엇을? | ||
수신자 | 누구에게? | ||
커뮤니케이션의 결과에 대한 추론 수행 | 디코딩 과정 | 어떤 효과로? | |
참고. 홀스티의 목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및 질문.[22] 주로 베렐슨의 용도를 홀스티가 적용.[23][22] |
내용 분석은 주로 명목 척도 또는 순위 척도로 제한된다. ''커뮤니케이션''을 선택된 개념 단위(''단위화'')를 통해 정량적으로 설명하려 시도하고, 이는 값을 할당받고(''범주화'') ''열거''를 위해 ''코더간 신뢰도''를 모니터링한다. 반면 대상 수량이 이미 직접적으로 측정 가능하며(특히 연속적인 물리량), 일반적으로 간격 척도 또는 비율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면, 이러한 대상은 내용 분석의 "주관적인" 선택 및 공식화가 필요한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25][26][27][28][29][30][31][32] 클라우스 크립펜도르프는 "이해는 ... 대부분의 내용 분석이 진행하는 분류 및/또는 계산 과정에 전혀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단언하며,[36] 내용 분석이 메시지를 실질적으로 왜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서적
Business research metho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
서적
The interpretation of documents and material culture
https://books.google[...]
Sage
[3]
서적
L'analisi del contenuto e i mass media
https://www.mulino.i[...]
Il Mulino
[4]
간행물
Content analysis and thematic analysis: Implications for conducting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2013-09-01
[5]
간행물
The Challenge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1952
[6]
간행물
Content Analysis: A Flexible Methodology
2006
[7]
문서
Automatic audio content analysis
https://ub-madoc.bib[...]
Technical Reports 96 (1996)
[8]
문서
Text as data: The promise and pitfalls of automatic content analysis methods for political texts
https://web.stanford[...]
Political analysis 21.3 (2013): 267-297
[9]
문서
Sentiment analysis: Capturing favorability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http://nactem.ac.uk/[...]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capture. ACM, 2003
[10]
간행물
The Subjective Precision of Computers: A Methodological Comparison with Human Coding in Content Analysis
2006-03
[11]
서적
Basic Content Analysis
https://archive.org/[...]
Sage
[12]
서적
The Content Analysis Guidebook
https://books.google[...]
SAGE
2016-05-30
[13]
간행물
Sins of Omission and Commission in Mass Communication Quantitative Research
1993
[14]
간행물
On the choice of measur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content-analysis of texts
https://doi.org/10.1[...]
2014
[15]
간행물
News about News
2001-07
[16]
서적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https://books.google[...]
Sage
[17]
서적
The Communication of Ideas
http://sipa.jlu.edu.[...]
Harper and Row
1948
[18]
서적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Free Press
[19]
서적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https://archive.org/[...]
Sage
[20]
간행물
Theory Constru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http://grap.ulb.ac.b[...]
2018-12-09
[21]
서적
Proceedings of the 34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IEEE Comput. Soc
[22]
서적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ddison-Wesley
[23]
서적
Content Analysis in Communication Research
Free Press
[24]
서적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ddison-Wesley
[25]
서적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Addison-Wesley
[26]
서적
The Content Analysis Guidebook
Sage
[27]
서적
Categorical Data Analysis
Wiley
[28]
서적
Content Analysis: A Methodology for Structuring and Analyzing Written Material
https://www.gao.gov/[...]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29]
서적
Content Analysis: A Methodology for Structuring and Analyzing Written Material
https://www.govinfo.[...]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30]
간행물
Content Analysis: A Review Essay
https://doi.org/10.1[...]
1971
[31]
서적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https://usu.instruct[...]
Sage
[32]
서적
The Content Analysis of Dreams
Appleton-Century-Crofts
[33]
간행물
ASPECTS, The Mismeasure of Stroke: A Metrological Investigation
https://doi.org/10.3[...]
2020
[34]
간행물
ASPECTS Distorts Infarct Volume Measurement
https://doi.org/10.3[...]
2020
[35]
서적
Basic Content Analysis
Sage
[36]
논문
Review of Thomas F. Carney, ''Content Analysis: A Technique for Systematic Inference from Communications''
https://repository.u[...]
1974
[37]
서적
Content Analysis
http://methods.sagep[...]
Sage
2019-12-16
[38]
브리태니커국제대백과사전
内容分析とは
https://kotobank.jp/[...]
[39]
서적
Business research method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40]
서적
The interpretation of documents and material culture
https://books.google[...]
Sage
[41]
서적
L'analisi del contenuto e i mass media
https://www.mulino.i[...]
Il Mulino
[42]
서적
The Content Analysis Guidebook
https://books.google[...]
SAGE
2016-05-30
[43]
서적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https://books.google[...]
Sa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