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각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냉각탑은 증기 기관의 응축기 개발에서 시작되어, 산업 시설에서 열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다양한 형식과 공기 흐름 방식, 물과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른 분류, 그리고 형태에 따라 구분되며, 습식, 건식, 하이브리드 등 열 전달 방식에 따라 나뉜다. 냉각탑은 물의 증발, 공기 흐름, 열교환을 통해 작동하며, 물의 손실과 농축, 그리고 레지오넬라균 관리와 동절기 운전 등의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환경적인 측면에서 수자원 소비, 염분 배출, 소음 등의 영향을 미치며, 한국에는 여러 냉각탑 제조업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축물 - 옹벽
옹벽은 토사의 안식각을 초과하는 지반 고도 변화에 대응하여 토압에 저항하도록 설계된 구조물이며, 재료, 구조, 시공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토압, 수압, 배수 등을 고려하여 관련 기준 및 정책에 따라 시공된다. - 구축물 - 도랑
도랑은 지표수 유출로 토양이 침식되어 생긴 좁고 얕은 수로로, 토양 보전 조치가 없다면 더 큰 침식 지형으로 발전하여 환경적,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관리 노력이 요구된다. - 화학공학 - 석유화학
석유화학은 석유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합성수지, 합성섬유 원료, 합성고무 등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석유 자원 고갈 및 환경 문제에 따라 대체 연료 및 원료 개발과 탄소 중립 정책에 따른 지속 가능한 발전 노력이 요구된다. - 화학공학 - 석영유리
석영유리는 고순도 실리카를 고온에서 용융하여 제조된 비결정질 유리로, 뛰어난 내열성, 내화학성, 높은 광투과율 등의 특성으로 광섬유, 반도체, 광학 기기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사용되지만 불화수소에 취약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 건축공학 - 에너지 효율
에너지 효율은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투입된 에너지 대비 유용하게 사용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무차원 수이며, 다양한 형태와 분야에서 적용된다. - 건축공학 -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는 철도 승강장에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설비로, 열차 사고 예방, 무인 운전 가능, 쾌적한 승강장 유지를 위해 다양한 종류로 설치되며,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 열차 지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냉각탑 | |
---|---|
냉각탑 | |
![]() | |
개요 | |
유형 | 열 제거 장치 |
작동 원리 | 물 스트림 냉각을 통한 폐열 대기 방출 |
설명 | |
높이 | 약 200m |
직경 | 약 100m |
병목 지점 직경 | 약 40m |
상단 직경 | 약 80m |
2. 역사
냉각탑은 19세기에 증기 기관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응축기 개발을 통해 시작되었다.[4] 응축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적 차가운 물을 사용하여 실린더나 터빈에서 나오는 증기를 응축시켜 배압을 감소시켰다. 이는 증기 소비와 연료 소비를 줄이고, 출력을 증가시키며 보일러 물을 재활용할 수 있게 했다.[5] 그러나 응축기는 충분한 냉각수 공급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실용적이지 않았다.[7][6]
20세기 초, 수자원 공급이 부족하거나 불안정한 지역, 도시의 상수도관으로는 냉각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여러 증발식 냉각수 재활용 방법이 사용되었다.[4][6] 부지가 충분한 지역에서는 냉각 연못을 사용했고, 도시와 같이 부지가 제한된 지역에서는 냉각탑을 사용했다.[7][8]
초기 냉각탑은 건물 지붕이나 독립된 구조물에 설치되었으며, 팬을 이용하거나 자연 기류에 의존했다.[7][8] 1911년의 미국 공학 교과서는 한 설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원형 또는 직사각형 쉘로, 가벼운 판재로 만들어졌으며, 수직으로 매우 짧아진 굴뚝(높이 20~40피트)이며, 측면으로 매우 확장되었다. 상단에는 응축기에서 물을 펌핑해야 하는 분배용 홈통 세트가 있다. 여기에서 나무 널빤지나 짠 철망으로 만든 '매트' 위로 물이 흘러내려 탑 내부 공간을 채운다."[8]
네덜란드 엔지니어 프레데릭 판 이터슨(Frederik van Iterson)과 제라르 쿠이퍼스(Gerard Kuypers)는 1916년 8월 16일 쌍곡면 냉각탑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9] 최초의 쌍곡면 철근 콘크리트 냉각탑은 1918년 헤를렌에 있는 네덜란드 국영 광산(DSM) 에마(Staatsmijn Emma)에 의해 건설되었다.[10] 영국에서는 1924년 잉글랜드 리버풀의 리스터 드라이브 발전소에 처음 건설되었다.[11]
2. 1. 한국에서의 발전
한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경제 성장에 따라 냉각탑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초기에는 주로 일본 등 해외 기술에 의존하였으나, 현재는 국내 기업들이 자체 기술력을 확보하여 다양한 냉각탑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 효율 향상과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고효율, 친환경 냉각탑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노후 냉각탑 교체 및 신규 냉각탑 설치 시 고효율, 친환경 제품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3. 형식
냉각탑은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 '''냉수지''': 자연 또는 인공 호수 표면에서 일어나는 증발만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넓은 면적이 필요하지만, 동력 소비는 적다.
- '''분수지''': 연못 표면에 물을 위로 분무하여 냉각하는 방식이다. 강제 통풍식 냉각탑보다 1000배 이상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하다. 분수 형태의 장식 효과를 겸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 '''대기식 냉각탑''': 격자 모양 판을 상하로 겹쳐 위에서 물을 떨어뜨리고, 가로 방향에서 자연 통풍으로 냉각하는 방식이다. 냉각 효율이 낮고 강제 통풍식 냉각탑보다 10배 이상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하여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자연 통풍 냉각탑''': 거대한 굴뚝 하부에 향류형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공기 온도 상승에 따른 상승 기류(굴뚝 효과)로 통풍하여 냉각하는 방식이다. 굴뚝 높이가 100m를 넘는 경우도 많다. 운전 경비가 적게 들기 때문에 대기 습도가 낮은 지역의 화력·원자력 발전소, 화학 플랜트 등에서 사용된다. 자연 통풍을 촉진하기 위해 쌍곡선 형태를 띤다.
- '''스프레이 탑''': 고압수를 분무하여 공기를 유인해 냉각하는 방식이다. 송풍기·충전물이 없어 저소음이지만, 성능 저하를 막기 위해 노즐을 정기적으로 청소해야 한다. 수온 저하가 크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 '''강제 통풍 냉각탑''': 송풍기를 이용해 대기를 강제적으로 통풍시키는 방식이다. 성능이 안정적이고 설치 면적이 작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3. 1. 열 전달 방식에 따른 분류
열 전달 방식에 따라 냉각탑은 개방형과 밀폐형으로 분류된다.개방형 냉각탑은 상부에서 물을 떨어뜨려 대기와 접촉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물을 냉각하는 방식이다. 냉각수 자체를 직접 증발시켜 증발열을 방출하므로 효율이 좋고, 이론적으로는 습구 온도까지 낮출 수 있다.[1] 본체의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1] 하지만 대기 중의 분진, 오염 물질로 인해 물이 오염되며, 증발에 의한 농축도 발생하므로 정기적으로 일정량의 물을 교체해야 한다.[1] 또한 냉각수 내에서 조류나 원생동물이 번식하면, 이에 기생하는 레지오넬라균이 번식하여 에어로졸을 통해 레지오넬라증을 유발할 수 있다.[1] 따라서 물 교체나 약품 처리가 필요할 수 있다.[1]
밀폐형 냉각탑은 배관 회로 내에 열 매체를 밀폐하여 순환시키고, 경우에 따라 열교환기에 살수하여 열교환을 하는 방식이다. 증발열을 이용할 수 없어 효율은 개방형에 비해 떨어진다.[2] 반면 대기 중의 분진, 오염 물질에 의한 순환 열 매체의 열화가 적다.[2]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열교환기 내의 물이 동결, 팽창하여 배관 파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강제 통수 등의 동결 방지 조치를 해야 한다.[2] 부동액 등을 이용하는 경우, 히트 펌프를 위한 저온 시의 온열원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2]
일반적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흐름 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향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대향하여 흐르는 것으로, 효율이 가장 좋지만 설치에 유의해야 한다.
- 직교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직교하도록 흐르는 것으로, 다수를 나란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효율은 향류형보다 떨어진다.
- 병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효율이 나빠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혼합류형
3. 2. 공기 흐름 방식에 따른 분류
자연 통풍 냉각탑은 거대한 굴뚝 하부에 향류형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공기의 온도 상승에 따른 상승 기류(굴뚝 효과)로 통풍하여 냉각하는 방식이다. 굴뚝 높이가 100m를 넘는 경우도 많다. 운전 경비가 낮기 때문에 대기의 습도가 낮은 지역의 화력 · 원자력 발전소, 화학 플랜트 등에서 사용된다. 자연 통기를 촉진하기 위해 쌍곡선 형태를 띤다.[23][24][25][26]쌍곡면 냉각탑은 구조적 강도와 최소한의 재료 사용으로 인해 모든 자연 통풍 냉각탑의 설계 표준이 되었다.[23][24][25][26] 쌍곡선 모양은 상승하는 대류 기류를 가속화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다.[27][28] 이러한 설계는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와 관련이 있지만, 대형 석탄 화력 발전소와 일부 지열 발전소에서도 동일한 종류의 냉각탑이 자주 사용된다. 증기 터빈은 냉각탑을 필요로 한다. 반대로, 모든 원자력 발전소가 냉각탑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호수, 강 또는 바닷물로 작동 유체를 냉각시킨다.
강제 통풍 냉각탑은 송풍기로 대기를 강제적으로 통풍시키는 방식이다. 성능이 안정되고 설치 면적이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3. 3. 물과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른 분류

- 향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마주보며 흐르는 방식이다. 효율이 가장 좋지만 설치에 주의해야 한다.[1]
- 직교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직각으로 교차하며 흐르는 방식이다. 여러 개를 나란히 설치할 수 있지만, 효율은 향류형보다 떨어진다.[1]
- 병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방식으로, 효율이 좋지 않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1]
- 혼합류형[1]
3. 4. 형태에 따른 분류
형태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습식 냉각탑 (개방 회로 냉각탑): 증발 냉각의 원리로 작동한다. 작동 냉각수(주로 물)는 증발되는 유체이며, 외부에 노출된다.
- 밀폐 회로 냉각탑 (유체 냉각기): 작동 냉각수를 대형 열교환기(주로 방열기)를 통과시키고, 깨끗한 물을 분사하고 팬으로 통풍을 유도한다. 열 전달 성능은 습식 냉각탑과 거의 동일하며, 작동 유체를 환경 노출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한다.
- 단열 냉각탑: 공랭식 열교환기를 통과하기 전에 들어오는 공기 또는 판지 패드에 물을 분사하여 공기를 냉각시킨다. 다른 냉각탑보다 물을 적게 사용하지만 유체를 습구 온도만큼 가깝게 냉각시키지는 못한다. 대부분 단열 냉각탑은 하이브리드 냉각탑이기도 하다.
- 건식 냉각탑 (건식 냉각기): 열 전달을 통해 작동하는 밀폐 회로 냉각탑으로, 방열기와 같이 작동 냉각수를 주변 공기로부터 분리하는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대류 열 전달을 활용한다. 증발을 사용하지 않으며 공랭식 열교환기이다.
- 하이브리드 냉각탑 (습건식 냉각탑): 습식 또는 단열 작동과 건식 작동 간에 전환할 수 있는 밀폐 회로 냉각탑이다.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 물과 에너지 절약을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다. 일부 하이브리드 냉각탑은 건식, 습식 및 단열 모드 간에 전환할 수 있다.[20]
일반적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흐름 방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향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역방향으로 대향하여 흐르는 것으로, 효율이 가장 좋지만 설치에 유의해야 한다.
- 직교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직교하도록 흐르는 것으로, 다수를 나란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효율은 향류형보다 떨어진다.
- 병류형: 대기와 열매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효율이 나빠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혼합류형
4. 이론
냉각탑의 냉각 성능은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열을 제거하는 원리에 기반한다. 냉각탑의 효율은 물과 공기의 접촉 면적, 접촉 시간, 공기의 습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냉각탑을 통해 공기를 끌어들이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자연 통풍: 높은 굴뚝을 통해 부력을 활용한다.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건조하고 차가운 외부 공기에 비해 밀도 차이로 인해 자연적으로 상승한다. 따뜻한 습한 공기는 동일한 압력에서 더 건조한 공기보다 밀도가 낮다. 이 습한 공기의 부력은 탑을 통해 위쪽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 기계 통풍: 동력 팬 모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탑을 통해 강제로 또는 끌어들인다.
- 유인 통풍: 배출구(상단)에 팬이 있는 기계 통풍 탑으로, 탑을 통해 공기를 위로 끌어당긴다. 팬은 배출구를 통해 뜨겁고 습한 공기를 *유도*한다. 이렇게 하면 낮은 유입 속도와 높은 배출 속도가 생성되어 배출된 공기가 공기 흡입구로 다시 유입되는 *재순환* 가능성을 줄인다.
- 강제 통풍: 흡입구에 송풍기 유형 팬이 있는 기계 통풍 탑이다. 팬은 공기를 탑으로 *강제*하여 높은 유입 속도와 낮은 배출 속도를 생성한다. 낮은 배출 속도는 재순환에 훨씬 더 취약하다. 팬이 공기 흡입구에 있기 때문에 팬은 결빙 조건으로 인해 더 많은 문제를 겪기 쉽다. 또 다른 단점은 강제 통풍 설계가 일반적으로 동등한 유인 통풍 설계보다 더 많은 모터 마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강제 통풍 설계의 장점은 높은 정압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팬 보조 자연 통풍: 자연 통풍 설정과 유사하게 보이지만 팬이 공기 흐름을 돕는 하이브리드 유형이다.
냉각 능력은 수량, 풍량, 냉각수 온도, 대기 온도 및 습도 등 많은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이동 단위 수(NTU)라는 무차원수를 사용하면 변수를 줄여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NTU에는 냉각탑이 낼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유효 NTU((available NTU, (NTU)a)와 온도 등의 사양 조건에서 계산되는 필요 NTU(required NTU, (NTU)r)의 두 종류가 있다.
:
:
여기서
- ''t''w, in, ''t''w, out : 냉각수의 입구 온도, 출구 온도(℃)
분석 시에는 가로축에 (물의 질량 유량 / 공기의 질량 유량)을 취하여 각 NTU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이들의 교점, 즉 (NTU)a = (NTU)r가 되는 이 실제 운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이용하여 냉각 능력 등을 구한다.
4. 1. 용어
- 냉각 톤(冷却トン): 냉각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1 냉각 톤은 13 L/min의 물을 표준적인 온도 조건(입구 냉각수 온도 37°C, 출구 냉각수 온도 32°C, 입구 공기 습구 온도 27°C)에서 냉각시킬 때의 냉각 열량으로 정의되며, 약 4.535 kW이다.
- 레인지, 어프로치: 일반적인 열교환기와 마찬가지로, 냉각탑에 들어가는 물의 온도와 나오는 물의 온도 차이를 레인지라 하고, 냉각탑에서 나오는 물의 온도와 외부 공기의 습구온도 차이를 어프로치라고 한다.
4. 2. 열교환 기초식
냉각탑의 열교환부에서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수온 저하로 물이 잃는 열량" = "증발 잠열을 포함한 열교환으로 공기가 얻는 열량"이 성립한다. 즉, 다음 식이 성립한다.[54]:
- : 열교환부에서 교환되는 열량 (W)
- : 수량 (kg/s)
- : 물의 비열 (J/(kg K))
- : 수온 (℃)
- : 공기량 (kg(DA)/s)
- : 젖은 공기의 엔탈피 (J/kg(DA))
이 열량은 뉴턴의 냉각 법칙, 피크의 법칙, 루이스 관계를 이용하여 경계막의 엔탈피와 공기의 엔탈피 차이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
- : 엔탈피 기준 총 용적 열전달률. , 를 개별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워 실용상 묶어서 하나의 양으로 간주한다. 의 단위는 kcal/(m3h)[55] 또는 kW/(m3(kJ/kg(DA)))[54] 등으로 표기되며, 대략 7~35 kW/(m2)의 값을 갖는다.[56]
- * : 열교환부의 엔탈피 기준 총괄 열전달률 (kg(DA)/(m2 s))
- * : 열교환부 단위 체적당 물과 공기의 접촉 면적 (m-1). 물방울 및 수막 표면으로 구성된다.
- : 열교환부의 체적 (m3)
- : 온도 에서 포화 증기의 엔탈피 (J/kg(DA)).
향류형의 경우, , 등의 미소량은 흐름 방향에 따른 미분 ( 등)으로 대체된다. 직교류형은 물의 흐름 방향을 x축, 공기 흐름 방향을 y축 등으로 놓고 다음 식으로 다시 쓸 수 있다.
:
여기서 , 는 단위 단면적당 흐르는 수량과 공기량이다.
는 수량과 풍량에 의존하며, 향류형의 경우 다음 식으로 정리된다.[57]
:
여기서 는 충전물의 단면적, , 은 실험으로 결정되는 상수이다. 는 수온에 따른 물성 변화에도 의존하며, 다음 무차원식으로 정리되기도 한다.[55]
:
- , , : 실험으로 결정되는 상수
- : 충전물의 공기 측 수력학적 상당 직경
- : 포화 공기의 엔탈피를 온도로 미분한 것
- : 열전도율
- : 밀도
- : 동점도
- , : 향류형의 경우 충전물의 단면적, 높이
물성값은 실용상 편리하도록 평균 수온 값을 사용한다.
5. 운전 및 유지 관리
크로스플로우 냉각탑은 공기 흐름이 물 흐름에 수직인 설계 방식이다. 공기는 냉각탑 한쪽 면 이상으로 들어가 충전재를 통과하고, 물은 중력에 의해 충전재 아래로 떨어진다. 공기는 충전재를 지나 물과 만나 열교환을 하고, 열린 공간을 거쳐 팬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온수 분배 장치는 냉각탑 상단에 있으며, 노즐을 통해 물을 충전재 전체에 고르게 분배한다.
크로스플로우 방식은 중력식 물 분배로 펌프와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비가압 스프레이 방식으로 유량 조절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역흐름(카운터플로우) 방식보다 동결에 취약하고, 특정 조건에서 유량 조절이 어려우며,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 충전재 오염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개방형 냉각탑은 레지오넬라균 번식 위험이 있어 정기적인 점검, 청소, 소독이 필요하다. 특히 레지오넬라균 발생에 주의해야 하며, 관련 법령(건축물 위생 관리 기준)에 따라 냉각수와 냉각탑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청소해야 한다.[30] 순환 과정에서 부패나 조류 발생을 막기 위해 방부제나 방청제 등을 투입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라 냉각탑수 내 레지오넬라균 기준을 정하고 관리하며, 더불어민주당은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레지오넬라균 관리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겨울철에는 냉각탑 동파 방지를 위해 저수조 히터, 배수 등 동결 방지 조치가 필요하다.[31] 결빙 방지를 위해 물 조절 바이패스 시스템 사용을 자제하고, 가변 속도 모터 등을 활용해 제어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 냉각탑 무인 작동을 피하고 원격 센서와 경보를 통해 상태를 지속 감시해야 하며, 열 부하 없이 냉각탑을 가동하지 않아야 한다. 저수조 히터나 열선을 사용해 물 온도를 어는점 이상으로 유지하고, 충전재 위 유량 속도를 설계 기준에 맞추며, 공기 흐름을 조절해 물 온도를 어는점 위로 유지해야 한다.[32]
5. 1. 냉각수 온도 제어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제어가 사용된다.- 송풍기 속도 제어 - 대기와의 접촉 효율을 변화시킨다.
- 순환 유량 제어 - 순환 유량을 변화시켜 대기와의 접촉 시간을 변화시킨다.
5. 2. 백연 (Plume)
냉각탑에서 배출되는 물 증기 기둥은 특정 주변 조건에서 화재 연기처럼 보일 수 있다. 이는 실외 공기가 포화 상태에 가깝고 냉각탑이 공기에 더 많은 물을 추가하면서 액체 물방울을 포함한 포화 공기가 배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서늘하고 습한 날씨에 발생하지만, 많은 기후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냉각탑과 관련된 안개 및 구름은 비행운, 선박 자국과 같은 인공 구름의 일종으로, '호모게니투스'라고 불린다.[46]
이러한 현상은 배출되는 포화 공기의 상대 습도를 낮춰 예방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타워에서는 포화된 배출 공기와 가열된 저습도 공기를 혼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일부 공기는 드리프트 제거기 위쪽으로 탑에 들어가 열 교환기를 거치며, 건조 공기는 가열되면서 상대 습도가 더욱 낮아진다. 이렇게 혼합된 공기는 상대 습도가 낮아 안개가 생기지 않는다.
냉각탑 배출 공기는 거의 포화 증기 상태이므로, 비가 오거나 겨울철처럼 외부 상대 습도가 높으면 배출 가스가 과포화되어 결로 현상, 즉 흰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 흰 연기는 주변 시야를 가리거나 화재로 오인될 수 있어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흰 연기를 방지하려면 열 교환 후 공기 상대 습도를 낮춘 뒤 배출해야 하며, 공기 가열 또는 외기와의 혼합 방법 등이 사용된다.[58]
5. 3. 레지오넬라균 관리
개방형 냉각탑은 레지오넬라균 번식의 위험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점검, 청소, 소독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레지오넬라균 발생에 주의해야 하며, 법령(건축물 위생 관리 기준)에 따라 냉각탑 및 냉각수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청소해야 한다.[30] 순환하는 동안 부패하거나 조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방부제나 방청제 등의 약품을 투입하기도 한다. 이 물이 비산하면 방부제가 섞인 비가 내리게 되므로, 낡은 건물 아래를 걸을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한국에서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라 냉각탑수 내 레지오넬라균 기준을 설정하고 관리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레지오넬라균 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5. 4. 동절기 운전
동절기에는 냉각탑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조치가 필요하다. 추운 날씨에는 저수조 히터, 타워 배수 등의 동결 방지 방법을 사용한다.[31] 작동 중인 냉각탑이라도 매우 추운 날씨에는 얼 수 있는데, 특히 열 부하가 적거나 없는 냉각탑 모서리에서부터 얼기 시작한다. 심한 결빙은 얼음 부피를 증가시켜 구조적 손상이나 붕괴를 유발할 수 있는 구조적 하중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32]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물 조절 바이패스 시스템은 결빙이 우려되는 날씨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대신 가변 속도 모터, 2단 속도 모터 등을 활용하여 제어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 냉각탑을 무인으로 작동시키지 말고, 원격 센서와 경보를 설치하여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해야 한다.
- 열 부하 없이 냉각탑을 가동하지 않는다. 저수조 히터를 사용하여 냉각탑 팬의 물 온도를 어는점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열선(가열 테이프)을 수도관에 설치하여 동결을 방지할 수도 있다.
- 냉각탑 충전재 위에 설계된 유량 속도를 유지한다.
- 물 온도를 어는점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기류를 조절하거나 줄인다.
6. 환경 영향
냉각탑의 환경 영향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냉각수조와 표면의 먼지, 이물질, 생물막(예: 슬라임) 등을 제거해야 한다. 냉각탑과 온탕의 소독제 및 기타 화학 물질의 수준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33] 수질, 특히 호기성 박테리아 수준은 딥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는데, 이는 다른 유기체의 존재가 레지오넬라가 번성하는 데 필요한 유기 영양분을 생성하여 레지오넬라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수를 보충수로 사용하는 습식 냉각탑의 경우, 냉각탑에서 배출되는 미세 물방울에 약 6%의 염화나트륨이 포함되어 인근 토지에 침전된다.[48] 이러한 나트륨 염의 침전은 인근 농경지와 초지에 영향을 미쳐 토양을 나트륨성 염류 토양 또는 나트륨성 알칼리 토양으로 변환시키고, 나트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48]
담수를 보충수로 사용하는 습식 냉각탑은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총 입자 배출량은 훨씬 적지만, PM10 및 PM2.5 (10 μm 미만, 2.5μm 미만의 호흡성 부유 입자상 물질)는 더 많이 포함한다. 이는 담수 비산의 염분 함량(2,000ppm 미만)이 해수 비산의 염분 함량(60,000ppm)보다 적기 때문이다.[48]
6. 1. 수자원 소비
대규모 산업용 냉각탑 시스템에서는 순환 냉각수를 처리하여 스케일링과 오염을 최소화한다. 또한, 물은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과정을 거쳐야 하며,[29] 연속적인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살생물제와 조류 제거제를 투여해야 한다.[29]특정 조건에서 세균, 곰팡이, 조류와 같은 미생물의 바이오필름은 냉각수에서 매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으며, 이는 냉각탑의 열 전달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이오필름은 아염소산 나트륨 또는 기타 염소 기반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산업 관행은 산화성 및 비산화성 유형과 같은 두 가지 살생물제를 사용하여 서로의 강점과 약점을 보완하고 더 넓은 범위의 공격을 보장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지속적인 낮은 수준의 산화성 살생물제를 사용한 다음, 주기적인 충격 용량의 비산화성 살생물제로 교대한다.
6. 2. 염분 배출 (해수 사용 시)
해안 지역이나 그 근처에 위치한 산업 시설에 해수를 보충수로 사용하는 습식 냉각탑을 설치할 경우, 냉각탑에서 배출되는 미세 물방울에는 약 6%의 염화나트륨이 포함되어 인근 토지에 침전된다.[48] 이러한 나트륨 염의 침전은 인근 농경지와 초지에 영향을 미쳐 토양의 특성에 따라 나트륨성 염류 토양 또는 나트륨성 알칼리 토양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나트륨도를 증가시킨다.[48] 해수를 보충수로 사용하는 습식 냉각탑의 비산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오염 제어 기준이 적용되지 않거나 시행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냉각탑에서 발생하는 염분 침전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48]담수를 보충수로 사용하는 습식 냉각탑의 총 입자 배출량은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적지만, PM10 및 PM2.5 (10 μm 미만, 2.5μm 미만의 호흡성 부유 입자상 물질)는 더 많이 포함한다. 이는 담수 비산의 염분 함량(2,000ppm 미만)이 해수 비산의 염분 함량(60,000ppm)보다 적기 때문이다.[48]
6. 3. 소음
냉각탑 시스템에 가장 큰 손상과 부담을 주는 문제 중 하나는 스케일링이다. 물 속의 원치 않는 물질이나 오염 물질이 특정 영역에 축적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는 침전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파이프의 협착에서부터 완전한 막힘 및 장비 고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34]냉각탑의 물 소비는 드리프트, 배출, 증발 손실에서 비롯된다. 손실로 인해 냉각탑에 즉시 보충되는 물을 보충수라고 한다. 보충수의 기능은 기계 및 장비가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7. 한국의 냉각탑 제조업체
한국의 냉각탑 제조업체는 아니지만, 일본의 냉각탑 제조업체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신일본 레이키 주식회사
- 주식회사 에바라 신와
- 공연 공업 주식회사
- 주식회사 신강 환경 솔루션
- 세이코 화학기 주식회사
- 다이킨 공업 주식회사
- 일본 스핀들 제조 주식회사
- 일본 비・에이・시 주식회사 ([http://www.baltimoreaircoil.com/ Baltimore Aircoil Company 일본 법인])
-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주식회사
- 미쓰비시 수지 주식회사
- MHI 플랜트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주식회사 IHI 플랜트 엔지니어링
8.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Identifying Nuclear Reactors in Google Earth
http://blog.cleanene[...]
2012-12-31
[2]
웹사이트
Myth of cooling towers is symptomatic of global warming information shortage
https://www.rsc.org/[...]
2007-02-15
[3]
웹사이트
What you need to know about nuclear cooling towers
https://nuclear.duke[...]
2017-07-24
[4]
서적
A Textbook on Steam Engineering
https://archive.org/[...]
International Textbook Co.
1902
[5]
서적
Steam-Engine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22
[6]
학술지
Power plant and allied industries
https://books.google[...]
Taylor Publishing Co.
1906
[7]
서적
The Steam Engine and Turbine: A Text-Book for Engineering Colleges
https://archive.org/[...]
D. Van Nostrand
1911
[8]
서적
The Steam Engine: A Practical Guide to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care of Steam Engines, Steam Turbines, and Their Accessories
https://archive.org/[...]
American School of Correspondence
1908
[9]
웹사이트
GB108863A Improved Construction of Cooling Towers of Reinforced Concrete.
http://v3.espacenet.[...]
1918-04-11
[10]
웹사이트
koeltorens van de Staatsmijn Emma
https://www.gluckauf[...]
[11]
잡지
Power Plant Cooling Tower Like Big Milk Bottle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30-02
[12]
학술지
Power-generation system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to changes in climate and water resources
2016
[13]
웹사이트
MIT steam collector captures pure water for reuse in power plants
https://newatlas.com[...]
2021-08-04
[14]
서적
Handbook of Chemical Processing Equipment
Butterworth-Heinemann
2000
[15]
보고서
Profile of the Fossil Fuel Electric Power Generation Industry
http://www.epa.gov/c[...]
United States
1997
[16]
웹사이트
Cooling System Retrofit Costs
http://www.epa.gov/w[...]
2003-05
[17]
웹사이트
Department of Energy/Office of Fossil Energy's Power Plant Water Management R&D Program.
http://204.154.137.1[...]
U.S. Department of Energy
2005-07
[18]
뉴스
Fire Prompts Renewed Calls to Close the Indian Point Nuclear Plant
https://www.nytimes.[...]
2015-05-12
[19]
웹사이트
Pingshan II: the largest Cooling Tower in the world designed by Hamon
https://www.hamon.co[...]
Hamon.com
[20]
학술지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Hybrid: Induced-Forced Draft Cooling Tower
http://www.piche.org[...]
2015-06-18
[21]
뉴스
Falling giants: Britain's vanishing cooling towers
https://www.ft.com/c[...]
2020-07-31
[22]
특허
Improved Construction of Cooling Towers of Reinforced Concrete
[23]
학술지
analysis and design of a hyperbolic (sic) cooling tower
https://krex.k-state[...]
Kansas State University
1976
[24]
웹사이트
Nuclear Cooling Towers
https://large.stanfo[...]
Stanford University
2015-02-26
[25]
웹사이트
How Does a Cooling Tower Work?
https://sciencing.co[...]
2017-04-24
[26]
웹사이트
The inside of a cooling tower looks like no place on earth
https://www.drax.com[...]
2018-11-29
[27]
웹사이트
Cooling Towers Explained: How does a cooling tower work?
https://www.engineer[...]
2018-09-13
[28]
웹사이트
Cooling tower design and construction
https://www.designin[...]
[29]
서적
Aqueous Wastes from Petroleum and Petrochemical Plants
John Wiley and Sons
1967
[30]
학술지
How To Calculate Cooling Tower Control Variables
1952-10
[31]
웹사이트
Best Management Practice Cooling Tower Management
http://energy.gov/ee[...]
Department of Energy
2005-04-30
[32]
웹사이트
Technical Information for Cooling Towers Using Recycled Water
http://www.sdcwa.org[...]
San Diego County Water Authority
2009-07
[33]
웹사이트
Developing a Water Management Program to Reduce Legionella Growth & Spread in Buildings: A Practical Guide to Implementing Industry Standards
https://www.cdc.gov/[...]
CDC
2017-06-05
[34]
웹사이트
Cooling Tower Chemicals – Robinson India
https://robinsonindi[...]
2021-07-23
[35]
서적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McGraw Hill
2004
[36]
웹사이트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http://wwwnc.cdc.gov[...]
[37]
논문
Legionnaires' disease.
2016-01-23
[38]
웹사이트
Legionella (Legionnaires' Disease and Pontiac Fever) About the Disease
https://www.cdc.gov/[...]
2016-01-26
[39]
웹사이트
Airborne Legionella May Travel Several Kilometres
https://web.archive.[...]
[40]
웹사이트
How do you Prevent Legionnaires' Disease in Cooling Towers? | Delta Cooling Towers, Inc.
https://deltacooling[...]
2017-06-04
[41]
웹사이트
Guidelines Library | Infection Control | CDC
https://www.cdc.gov/[...]
2020-09-09
[42]
웹사이트
Cooling Tower Institute, July 2008. Page 5 of 12, column 1, paragraph 3. Most professional and government agencies do not recommend testing for ''Legionella'' bacteria on a routine basis.
https://web.archive.[...]
[43]
서적
Retrofitting for energy conservation
McGraw-Hill Professional
[44]
간행물
Proceedings, Volume 1982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Americ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45]
서적
Chemical treatment for cooling water
Fairmont Press
[46]
뉴스
Cloud Atlas leaps into 21st century with 12 new cloud types
https://www.theweath[...]
2017-03-23
[47]
논문
Observations of cooling tower and stack plumes and their comparison with plume model "ALINA"
Elsevier
[48]
웹사이트
Wet Cooling Tower Guidance For Particulate Matter, Environment Canada
https://web.archive.[...]
[49]
웹사이트
Standard on Water-Cooling Towers
https://web.archive.[...]
[50]
웹사이트
Standard on Water-Cooling Towers.
https://web.archive.[...]
[51]
뉴스
Ferrybridge C Power Station officially closes after 50 years
https://www.bbc.com/[...]
2016-03-31
[52]
서적
クーリングタワー
[53]
서적
クーリングタワー
[54]
서적
クーリングタワー
[55]
서적
新版 冷凍空調便覧 第4版 応用編
[56]
서적
クーリングタワー
[57]
서적
湿り空気と冷却塔
裳華房
[58]
서적
空気線図の読み方・使い方
オーム社
[59]
방송
세계테마기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