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화력 발전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화력 발전소는 화석 연료의 연소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1882년 뉴욕과 런던에서 상업적 화력 발전이 시작되었으며, 증기 터빈의 발명으로 효율이 향상되었다. 1970년대 석유 파동 이후 원자력 발전이 부상했으나, 2010년대 이후 지구 온난화 문제로 인해 석탄 화력 발전의 감축이 요구되고 있다. 화력 발전은 기력, 내연력, 복합화력 발전소로 분류되며, 석탄, 석유, 천연가스, 암모니아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한다. 발전소는 보일러, 터빈, 복수기, 급수 가열기, 탈기기 등으로 구성되며, 효율은 열역학적 한계에 따라 제한된다. 화력 발전은 대기 오염 물질과 온실 가스 배출, 폐열 발생 등의 환경 문제를 야기하며,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배연 탈황,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공학 - 석유화학
    석유화학은 석유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합성수지, 합성섬유 원료, 합성고무 등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석유 자원 고갈 및 환경 문제에 따라 대체 연료 및 원료 개발과 탄소 중립 정책에 따른 지속 가능한 발전 노력이 요구된다.
  • 화학공학 - 석영유리
    석영유리는 고순도 실리카를 고온에서 용융하여 제조된 비결정질 유리로, 뛰어난 내열성, 내화학성, 높은 광투과율 등의 특성으로 광섬유, 반도체, 광학 기기 등 첨단 산업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사용되지만 불화수소에 취약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 대한민국의 발전소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대한민국의 발전소 - 팔당댐
    팔당댐은 수도권 지역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전력을 생산하는 다목적 댐으로, 팔당호는 한때 유원지였으나 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댐 관리교는 차량 통행이 일부 제한된다.
  • 대한민국 배경이 적용된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대한민국 배경이 적용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화력 발전소
지도
기본 정보
유형발전소
에너지원열에너지
발전 방식증기 터빈 등을 사용한 열기관 작동
열에너지원석탄
석유
천연 가스
바이오매스
작동 원리
작동 방식연료 연소로 열에너지 생성
생성된 열로 물을 가열하여 증기 생성
증기가 터빈을 회전시켜 발전기 작동
발전된 전기를 송전망으로 전송
주요 구성 요소
주요 시설보일러
터빈
발전기
복수기
냉각탑
탈황 장치
집진 장치
효율 및 환경 영향
효율평균 효율: 30% ~ 48%
최신 발전소 효율: 최대 60%까지 가능
환경 영향온실 기체 배출
대기 오염 물질 배출
수질 오염
열 오염
배출 물질이산화탄소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역사
발전소 효율 변화1900년대 초반: 약 5%
2000년대: 30% ~ 50%
참고 자료
서적Power Plant Engineering by Manoj Kumar Gupta
웹사이트Power plant efficiency since 1900

2. 화력 발전의 역사

톨레도 에디슨 증기발전소 내부, 오하이오주 톨레도, 약 1900년


왕복동 증기 기관은 18세기부터 기계적 동력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제임스 와트에 의해 눈에 띄는 개선이 이루어졌다. 1882년 뉴욕 펄 스트리트 발전소와 런던 홀본 고가도로 발전소에 최초의 상업적 중앙 발전소가 설립되었을 때 왕복동 증기 기관이 사용되었다. 1884년 증기 터빈의 개발은 더 크고 효율적인 기계 설계를 가능하게 했다. 1892년까지 터빈은 왕복동 기관보다 더 나은 대안으로 여겨졌으며,[3] 더 높은 속도, 더 작은 크기, 안정적인 속도 조절을 제공하여 발전기의 병렬 작동을 용이하게 했다. 1905년경 이후 터빈은 거의 모든 대형 중앙 발전소에서 왕복동 기관을 완전히 대체하였다.

1901년 맨해튼 고가철도를 위해 건설된 가장 큰 왕복동 기관-발전기 세트는 17개의 장치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치는 약 500톤의 무게와 6000킬로와트의 정격을 가졌다. 비슷한 정격의 당시 터빈 세트는 약 20%의 무게였다.[4]

1970년대 석유 파동으로 원자력 발전 이용이 촉진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선진국에서 원자력 개발이 둔화되면서 증가율은 연평균 약 0.6%에 그쳤다.[28] 2016년 세계 발전 설비 용량에서 화력발전은 61.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발전 전력량에서는 석탄 화력 38.4%, 석유 화력 3.7%, 가스 화력 23.2%를 기록했다.[29]

2010년대에는 지구온난화 대책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석탄 화력발전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졌다. 2016년 제22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2)에서 프랑스(2023년), 영국(2025년), 캐나다(2030년)는 석탄 화력발전 폐지 방침을 발표했다.[30] 반면, 일본은 동일본대지진 영향으로 원자력 발전소 재가동이 어려워 대체 에너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2018년에야 신규 석탄 화력발전소 설치 규제 방침을 제시했지만,[31] 2019년 제2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5)에서 비난을 받았다.[32]

2017년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구온난화 문제에 회의적이었고 파리협정에서 탈퇴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미국 내에서는 비용 문제 등으로 많은 석탄 화력발전소가 폐쇄되었다.[33]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 정권이 출범하면서 미국도 정책 전환을 모색했고,[34] 세계적으로 석탄 화력발전에 대한 비판 여론이 커졌다.[35]

2. 1. 세계 화력 발전의 역사

1882년 뉴욕 펄 스트리트 발전소와 런던 홀본 고가도로 발전소에서 최초로 상업적 화력 발전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제임스 와트에 의해 개선된 왕복동 증기 기관이 사용되었다.[3] 1884년 증기 터빈이 개발되면서 더 크고 효율적인 발전소 설계가 가능해졌다. 1892년 이후 터빈은 더 높은 속도, 더 작은 크기, 안정적인 속도 조절 등의 장점으로 인해 왕복동 기관을 대체하며 대형 발전소의 주류가 되었다. 1905년경 이후로 터빈은 거의 모든 대형 중앙 발전소에서 왕복동 기관을 완전히 대체하였다.[3]

1882년 9월, 토마스 에디슨이 건설한 뉴욕 맨해튼의 펄 스트리트 화력발전소는 세계 최초의 상용 발전소였다. 이 발전소는 석탄 연료를 사용하는 175HP 왕복동식 증기기관으로 가동되었으며, 전등 수요 지역에 가까운 도시 내에 위치하여 직류 송전을 했다.

1880년대 후반, 니콜라 테슬라와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에 의한 고압 교류 송전 기술의 실용화로 화력발전소는 도시 외곽, 교외, 냉각수 확보가 용이한 하천변이나 연안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이와 함께 수력발전 기술과 장거리 고압 송전 기술이 발전하면서, 세계 각국에서 화력발전과 수력발전을 병용하여 전력 수급을 조절하는 방식이 확산되었다.

1890년대 이후, 더 고속이고 대형화에 적합한 증기터빈이 실용화되면서 화력발전소의 대형화가 가속화되었다. 수력발전에 비해 입지 자유도가 높고, 석탄 외에 석유, 천연가스 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요에 따른 확장이 용이하다는 장점 덕분에 수력발전이 어려운 지역에서 화력발전은 주된 발전 수단이 되었다.

2. 2. 대한민국의 화력 발전 역사

대한민국 최초의 화력발전소는 1887년 서울에 건설된 제2전등국이다.[47] 1970년대까지는 석유 발전이 주를 이루었으나, 1차 오일쇼크와 2차 오일쇼크를 거치면서 석탄 및 천연가스(LNG) 발전량이 증가했다.[48] 1990년대 후반 전력시장 개방 이후에는 저렴한 석탄 발전으로 전환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 환경 문제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및 LNG 발전으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자력 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인해 화력 발전 의존도가 일시적으로 높아졌으나, 장기적으로는 탈석탄 및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35]

3. 화력 발전의 종류

화력 발전은 사용하는 열원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석탄, 원자력, 지열, 태양열, 쓰레기 소각, 천연 가스, 바이오매스 등이 열원으로 사용된다. 천연 가스는 보일러 연소뿐만 아니라 가스터빈을 이용한 발전에도 쓰이며, 가스터빈에서 나오는 폐열은 복합 화력 발전소에서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36]

석탄 화력 발전소, 석유, 원자력, 지열, 태양열 발전, 쓰레기 소각장, 그리고 천연가스 발전소는 대부분 열을 이용해 발전을 한다. 천연 가스는 연소되어 가스 터빈보일러에서 자주 사용된다. 가스 터빈의 폐열은 열회수증기발생기(HRSG)를 통해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는 복합 발전 설비의 증기 터빈을 구동하여 효율을 높인다.

상업용 발전소는 대규모로 건설되어 지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3상 발전기를 사용하여 50Hz 또는 60Hz의 주파수로 교류(AC) 전력을 생산한다. 일부 기업이나 시설에서는 자체 발전소를 운영하여 전기와 열, 증기를 공급받기도 한다. 열병합 발전소는 전기와 함께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하여 지역 난방을 제공하는 종합 에너지 시스템(Total Energy System)이다.

3. 1. 발전 방식에 따른 분류


  • '''기력 발전소'''[36]

연료 연소로 방출되는 화학에너지를 이용해 수증기를 만들고, 증기터빈을 회전시켜 발전하는 화력발전 설비를 갖춘 발전소이다.

발전 기술의 발전과 함께 대용량화가 진행되어 현재는 1기당 출력 105만kW급이 일본 국내에서 최대이다.

단순히 화력발전이라고 하면 원자력발전, 지열발전, 태양열발전도 포함된다.

발전소명호기출력비고
홋카이도전력 토마토 아쓰마 발전소4호기700MW
JERA
네자키 화력발전소1호기600MW일본 최초의 초임계압 보일러 및 증기터빈 채용.
아오나미 화력발전소3호기700MW일본 최초의 초초임계압 보일러 및 증기터빈 채용.
가시마 화력발전소5, 6호기각 1,000MW일본 최초의 100만kW급.
전력개발(J-POWER) 다치바나만 화력발전소1, 2호기각 1,050MW단기 출력은 화력발전소에서는 일본 국내 최대.


  • '''내연력 발전소'''

연료의 연소로 방출되는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연기관을 돌리는 내연력발전 설비를 갖춘 발전소이다.

사용되는 내연기관은 디젤 엔진이 주류이며, 가스 엔진이나 가스터빈을 사용하는 발전소도 있다.

시동이 빠르고, 수요 조절이 가장 용이하며, 소규모 수요를 위한 발전 시설을 만들기 쉬운 점 때문에 사도가섬, 오키나와 제도, 오가사와라 제도 지역의 전력원, 발전소의 비상용 전원으로 설치되어 있다.

1900년대-1920년대에는 석탄가스를 연료로, 실린더 수가 적은 대형 가스 엔진을 동력으로 사용하여 당시 증기발전소에 필적하는 출력의 내연력발전소가 도시 근교에 건설되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의 저속 가스 엔진은 소음과 진동이 커서 발전소 밖으로 소음이 퍼지거나 발전소의 콘크리트 건축물에 균열이 생길 정도의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증기발전을 대체하는 존재가 되지 못하고 쇠퇴했다.

내연력발전소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내연기관의 고속화, 저진동화가 진행된 이후부터이다.

발전소명호기출력비고
동북전력네트워크 료쓰화력발전소1, 3 - 9호기총 53MW내연력발전소(디젤 발전)로 일본 최대급 발전 규모.
홋카이도전력 오토베쓰발전소1, 2호 가스터빈총 148MW가스터빈 발전소.
간사이전력 간사이공항에너지센터1, 2호 가스터빈총 40MW가스터빈 발전소.
도쿄전력 요코스카화력발전소1, 2호 가스터빈총 174MW동 발전소는 증기발전이 주력이며, 가스터빈 발전 설비는 예비적인 존재이다. 1호 가스터빈은 비상용.
오키나와전력 마키나토화력발전소1, 2호 가스터빈총 163MW동 발전소는 증기발전이 주력이며, 가스터빈 발전 설비는 예비적인 존재이다.


  • '''복합화력 발전소'''

가스터빈의 배열을 이용하여 증기터빈 발전도 함께 하는 복합화력발전 설비를 갖춘 발전소이다.

이중으로 발전을 하기 때문에 다른 발전 방식에 비해 열효율이 높고, 가스터빈이기 때문에 기동성도 좋다.

가스터빈과 증기터빈을 조합한 소용량의 유닛을 여러 개 설치하여 3~6대씩 그룹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기동·정지 및 출력 변화가 빠르다.

계열당 출력은 대용량이면서도 상기 운용 방식에 따라 효율 저하가 적다는 특징이 있다.

발전소명호기출력비고
홋카이도전력 도마토우아쓰마 발전소3호기85MW상용으로는 세계 최초의 가압유동층 복합발전(PFBC) 방식을 채용. ※2005년 10월 폐지
JR동일본 가와사키 화력발전소1호기144.2MW일본 최초의 복합화력발전 방식을 채용.
도호쿠전력 히가시니가타 화력발전소3호 계열1,210MW일본 최초의 대용량 복합화력(CC) 발전 방식을 채용.
중국전력 야나이 발전소2호 계열700MW일본 최초의 1,300℃급 개량형 복합화력(ACC) 발전 방식을 채용.
제라(JERA)
가와사키 화력발전소1호 계열1,500MW일본 최초의 1,500℃급 복합화력(MACC) 발전 방식을 채용.
치타 제2 화력발전소1, 2호기각 854MW가스터빈 발전 설비를 추가 설치하여 배기 재연소형 1,300℃급 ACC 방식으로 변경.
중국전력 미즈시마 발전소1호기285MW설비 갱신으로 1,400℃급 ACC 방식으로 변경.


3. 2. 연료 종류에 따른 분류

연료 종류에 따라 화력 발전소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석탄 화력 발전소''': 석탄을 연소시켜 발전하는 방식이다. 효율이 높고 연료 공급이 안정적이지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36]
  • * 예시
  • ** JERA 헤키난 화력 발전소
  • ** 전력개발 마쓰시마 화력발전소
  • '''석유 화력 발전소''': 중유, 원유, 경유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유연한 운용이 가능하지만, 연료비가 비싸고 공급 안정성이 낮다. 제2차 오일쇼크의 여파로 1979년 5월에 개최된 제3차 국제에너지기구(IEA) 장관회의에서 채택된 '''「석탄 이용 확대에 관한 IEA 선언」'''에 '''석유 화력발전소 신설 금지'''가 포함되어, 일본에서는 원칙적으로 석유(원유) 화력발전소를 신설할 수 없게 되었다.[47]
  • '''천연가스(LNG) 화력 발전소''':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환경 부하가 적고 효율이 높지만, 부대 설비 건설에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 * 예시
  • ** JERA 후츠 화력 발전소
  • ** JERA 소데가우라 화력발전소
  • '''혼소 화력 발전소''': 여러 종류의 연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 * 예시
  • ** 도호쿠 전력 니가타 화력 발전소
  • '''암모니아 화력 발전소 (개발 중)''':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식으로, 현재 연구 개발 중이다.


저탄소 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금융기관이 석탄 화력발전소 신설 및 확장에 대한 융자를 중단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35]

4. 화력 발전소의 구성 요소 및 작동 원리

화력 발전소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의 화석연료나 바이오매스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의 힘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원자력 발전소, 지열 발전소, 태양열 발전소 등도 열을 이용해 증기를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화력 발전소에 포함된다.

일반적인 석탄 화력 발전소의 도해


번호설명
1냉각탑
33상 송전선
43상 승압 변압기
53상 발전기
6저압 증기터빈
7복수기 펌프
8복수기
9중간 압력 증기터빈
10송풍기
12탈기기
13급수가열기
14석탄 운반장치
15저탄기
16석탄 분쇄기
17보일러 증기 드럼
18석탄 바닥재 모음장치
19재열기
20공기 흡입기
21이코노마이저
22공기예열기
23집진기
24통풍 촉진용 송풍기
25굴뚝



화력 발전소는 크게 보일러, 터빈, 발전기, 복수기 등으로 구성된다.


  • '''보일러''' (증기 발생기):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증기로 바꾸는 장치이다.
  • '''터빈''': 증기의 힘으로 회전하는 장치로,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다.
  • '''발전기''': 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 '''복수기''': 터빈을 돌린 증기를 다시 물로 응축시키는 장치이다.


이 외에도 연료 공급 및 처리, 연소, 증기 발생 및 순환, 발전, 폐열 회수, 환경 관리 등 다양한 설비와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상업용 전력회사 발전소는 대규모로 건설되어 지속적인 운전을 하며, 3상 발전기를 사용하여 50 Hz 또는 60 Hz의 주파수로 교류(AC) 전력을 생산한다.

열병합 발전 설비(CHP)는 전력과 열(증기, 온수)을 함께 생산한다.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발생기는 가압경수로(PWR)에서 1차 계통과 2차 계통을 연결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열교환기이다. 비등경수로(BWR)에서는 원자로에서 직접 물을 끓인다.

지열 발전소는 보일러 없이 천연 증기를 사용하지만, 증기가 부식성이 강하거나 부유물질이 많으면 열교환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화석 연료 증기 발생기에는 절탄기, 증기 드럼, 증기 발생 튜브, 과열기 코일, 용광로, 안전밸브, 강제 통풍(FD) 팬, 공기 예열기(AP), 유도 통풍(ID) 팬, 비산재 수집기(전기집진기 또는 배가스 필터), 배가스 스택 등이 있다.[9][10][11]

4. 1. 증기 발생기 (보일러)

일반적인 화력 발전소에서 보일러는 순도가 높은 고온 고압의 증기를 만들어 증기터빈으로 보내 발전기를 돌리는 역할을 한다. 원자력 발전소가압수형 원자로에서는 증기발생기가 이 역할을 담당하고, 비등수형 원자로에서는 원자로에서 직접 물을 끓인다.[53][54][55] 보일러에는 이코노마이저(절탄기), 증기 드럼, 증기발생 튜브, 과열기 등이 있으며, 보일러 압력 조절을 위한 안전 밸브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공기와 배기가스 조절을 위해 통풍기, 공기예열기, 통풍 촉진용 송풍기, 집진기(정전기식 또는 필터 이용), 굴뚝 등이 사용된다.[53][54][55]

지열 발전소는 자연적으로 나오는 증기를 사용하므로 보일러가 필요 없다. 하지만 지열 증기가 부식성이 강하거나 부유물을 많이 포함하는 경우 열교환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보일러에 들어간 물은 기화열(엔탈피)이 추가되는 과정을 거친다. 연료 연소 시 발생하는 화학적 에너지가 물에 전달된다.

물은 보일러에 들어가기 전 이코노마이저(절탄기)를 거쳐 증기드럼으로 이동한다. 증기드럼에 들어간 물은 자연 순환에 의해 다운콤마 라인을 통해 아래로 내려가고, 보일러에서 가열되어 증기로 변한 후 다시 증기 드럼으로 올라간다. (다운콤마부터 드럼으로 돌아오는 구간을 에바포레이터(증발기)라 부른다.)

증기 드럼에 들어간 증기는 증기와 물로 분리된 후, 드럼 상부의 건조기를 통과한다. 이후 보일러 고온부의 슈퍼히터(과열기)를 통과하며 압력은 유지한 채 고온의 메인스팀이 되어 스팀 터빈을 가동한다.

보조적인 보일러 가열에는 석탄 공급 노즐, 점화기, 검댕 송풍기 등이 사용된다. 연소 영역에서 석탄을 태우기 전, 석탄에서 나온 가연성 가스를 전기로 점화시켜 보일러를 가열한다.

화석 연료 발전소는 증기 발생로에 과열기 구간을 갖는 경우가 많다. 증기 드럼 내부의 건조기를 통과한 증기는 과열기를 거치며 고온 배가스로부터 더 많은 에너지를 흡수, 온도가 포화 온도 이상으로 과열된다. 과열된 증기는 주 증기관을 통해 고압 터빈 앞 밸브로 보내진다.

열회수증기발생기(HRSG)는 가스터빈의 배기열을 이용하여 과열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로, 복합화력발전소에서 기존의 수증기 발전 사이클에 사용된다.

물은 대류 통로의 열교환기 구간을 통해 보일러로 들어간다. 열교환기에서 증기 드럼으로 이동한 후, 수벽 하단의 입구 헤더로 내려가는 관을 통해 내려간다. 이 헤더에서 물은 용광로의 수벽을 통해 상승하며, 그 중 일부는 증기로 변환되고 물과 증기의 혼합물은 다시 증기 드럼으로 들어간다. 이 과정은 자연 순환(내려가는 관의 물이 수벽의 물/증기 혼합물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의해 순수하게 구동되거나 펌프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증기 드럼에서 물은 내려가는 관으로 되돌아가고 증기는 일련의 증기 분리기와 건조기를 통과하여 증기에서 물방울을 제거한다. 건조된 증기는 과열기 코일로 흐릅니다.

보일러 용광로 보조 장비에는 석탄 공급 노즐과 점화총, 소오트 블로어, 워터 랜싱, 그리고 용광로 내부 관찰을 위한 관찰구(용광로 벽에 있음)가 포함된다. 정지 후 가연성 가스가 축적되어 발생하는 용광로 폭발은 석탄에 점화하기 전에 연소 구역에서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방지된다.

증기 드럼(그리고 과열기 코일 및 헤더)에는 초기 시동에 필요한 통풍구와 배수구가 있다.

4. 2. 연료 예열 시스템



번호설명
1냉각탑
33상 송전선
43상 승압 변압기
53상 발전기
6저압 증기터빈
7복수기 펌프
8복수기
9중간 압력 증기터빈
10송풍기
12탈기기
13급수가열기
14석탄 운반장치
15저탄기
16석탄 분쇄기
17보일러 증기 드럼
18석탄 바닥재 모음장치
19재열기
20공기 흡입기
21이코노마이저
22공기예열기
23집진기
24통풍 촉진용 송풍기
25굴뚝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는 먼저 석탄을 작게 조각낸 다음 저탄기에 저장한다. 저탄기에 저장된 석탄은 미분기(분쇄기)에서 고운 가루로 만들어 공기예열기에서 나온 고온의 공기와 함께 보일러로 불어넣는다.[53][54][55]

석유 화력 발전소에서는 석유를 탱크 안에서 가열하여 굳는 것을 방지한다. 석유는 보통 보일러의 분사 노즐로 들어가기 전에 100°C 정도로 가열된다.

천연가스 화력 발전소에서는 천연가스를 가공하여 사용하며, 몇몇 화력 발전소에서는 보조 연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4. 3. 증기 터빈 발전기

발전소에서 쓰이는 현대 증기 터빈의 로터


증기터빈 발전기는 만족스럽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보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증기터빈의 로터(회전자)는 일반적으로 거대한 직경의 샤프트(축)로 구성되어, 증기터빈에서 지탱될 뿐만 아니라 가동 중에도 제자리를 유지한다. 가동 중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샤프트에는 베어링이 달려 있다. 샤프트 베어링에는 배빗 합금과 같이 마찰 저항이 작은 합금과 급유 장치를 통해 샤프트와의 마찰 저항을 줄이고 마찰열을 발산한다. 터빈 내부 압력이 외부(대기)보다 높으면 증기가 유출되고, 낮으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압 터빈, 중압 터빈, 저압 터빈(1~3개)이 한 축에 연결되어 발전기를 구동한다. 증기가 시스템을 통과하면서 압력과 열에너지를 잃고 부피가 팽창하므로, 각 단계에서 직경이 커지고 블레이드가 길어져 남은 에너지를 추출한다. 전체 회전 질량은 200톤, 길이는 약 30.48m에 달할 수 있다. 정지 시에도 축이 휘거나 불균형이 생기지 않도록 분당 3rpm으로 천천히 회전해야 한다. 이는 매우 중요하여 현장 정전 시 비상 전원 배터리의 여섯 가지 기능 중 하나이다. (나머지 다섯 가지는 비상 조명, 통신, 스테이션 경보, 발전기 수소 밀봉 시스템, 터보발전기 윤활유 공급이다.)

20세기 후반의 일반적인 발전소에서 보일러의 과열 증기는 약 35.56cm 에서 약 40.64cm 배관을 통해 2400psi 및 약 537.8°C의 압력과 온도로 고압 터빈에 공급된다. 고압 터빈에서 압력은 600psi, 온도는 약 315.6°C로 떨어진다. 이후 약 60.96cm 에서 약 66.04cm의 재열 라인을 통해 보일러로 돌아가 특수 재열 튜브에서 약 537.8°C까지 재가열된다. 고온의 재열 증기는 중압 터빈으로 유입되어 온도압력이 모두 떨어진 후, 길고 넓은 블레이드를 가진 저압 터빈을 거쳐 응축기로 배출된다.

터보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길이 약 약 9.14m, 지름 약 3.66m이며, 수 마일 길이의 두꺼운 구리 도체가 포함된 고정된 고정자와 회전하는 회전자로 구성된다. 영구 자석이 없어 블랙 스타트가 불가능하다. 작동 중에는 3,000 또는 3,600 rpm으로 회전하며 전력망과 동기화되어 최대 21,000 암페어의 24,000 볼트 AC(504 MWe)를 생성한다. 회전자는 수소 냉각 밀폐 공간에서 회전하는데, 수소는 열전달 계수가 가장 높고 점도가 낮아 풍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시동 시 이산화탄소로 공기를 대체한 후 수소를 채우는 특별한 취급이 필요하다. 이는 수소-산소 혼합 폭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력망 주파수는 북아메리카에서 60 Hz, 유럽, 오세아니아, 아시아(한국과 일부 일본은 예외), 아프리카 일부에서 50 Hz이다. 원하는 주파수는 특정 속도에 맞춰 최적화되므로 대형 터빈 설계에 영향을 미친다.

전기는 변전소로 흘러가 변압기를 통해 전압이 높아져 목적지로 송전된다.

증기 터빈 구동 발전기에는 만족스럽고 안전한 작동을 위한 보조 시스템이 있다. 회전 장비인 증기 터빈 발전기는 무겁고 지름이 큰 축을 가진다. 축은 지지뿐 아니라 작동 중 위치 유지를 위해 여러 베어링으로 지지된다. 축이 회전하는 베어링 쉘에는 바비트 금속과 같은 저마찰 재료가 사용된다. 오일 윤활은 축과 베어링 표면 사이 마찰을 줄이고 발생 열을 제한한다.

4. 4. 복수기

복수기는 몸통과 냉각수가 흐르는 튜브로 구성된 열교환기이다.[54][56][57][58] 저압터빈을 나온 증기는 복수기에서 물로 바뀌게 된다.

354px


주 터빈 배기 증기, 글랜드 증기 응축기 응축수, 저압 가열기 응축수의 열 부하를 해소하기 위해 주 응축기에 지속적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응축을 유도한다.

4. 5. 급수 가열기

급수 가열기는 터빈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하여 보일러로 공급되는 물을 예열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54][55]

4. 6. 탈기기

화력 발전소의 보일러는 급수된 물에 공기나 다른 가스가 포함될 경우, 보일러 금속이 빨리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54][55][59]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는 탈기기를 사용하여 보일러에 급수되는 물에서 공기와 다른 가스를 제거한다. 탈기기는 보일러 급수 탱크 꼭대기에 돔 형식의 탈기 구획을 설치하여 작동한다. 다양한 디자인과 제조 회사가 있으며, 제대로 작동한다면 대부분 산소를 무게당 7ppb (0.005 cm³/L)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보장한다.[59][60][61]

4. 7. 기타 시스템

발전소는 대부분 자동으로 운전을 조절하지만, 수동 조작이 필요할 때도 있다. 발전소에는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어, 전체 운전 상태가 정상 범위 안에 있도록 발전소 운전자들에게 알려준다.[53]

납 축전지를 이용한 중앙 축전지 시스템은 필요시 필수적인 발전소 제어 시스템, 통신 시스템, 터빈 오일 펌프, 비상등에 비상 전원을 공급한다. 이 비상 시스템은 발전소가 비상사태일 때 안전하게 발전소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53]

대부분의 화력 발전소는 석탄을 주 연료로 사용한다. 탄광에서 캐낸 가공되지 않은 석탄은 트럭, 바지선, 석탄선 또는 철도로 운반된다. 일반적으로 철도로 운반될 시에는 모든 화차를 석탄 수송으로 바꾼다. 석탄은 도착해서 크기별로 위치된다. 화차에서 석탄을 내릴 때 로터리 덤퍼 또는 틸트 덤퍼가 컨베이어 벨트로 운반한다. 석탄은 일반적으로 분쇄기에서 6mm 크기로 분쇄된다. 분쇄된 석탄은 컨베이어 벨트로 보내진다. 일반적으로 분쇄된 석탄은 불도저를 이용하여 압축되며, 이러한 압축은 석탄의 자연 발화를 막는다.[53]

압축된 석탄은 저장 더미로 보내지거나, 보일러의 급탄기로 보내지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로 보내진다.[53]

5. 화력 발전의 효율

일반적인 상업 발전소의 전력 효율은 약 33%에서 48% 정도이다. 이는 모든 열기관이 따르는 열역학 법칙에 의해 제한된다. 나머지 에너지는 열로 빠져나가는데, 이 폐열은 주로 복수기에서 냉각수와 냉각탑을 통해 배출된다. 폐열을 지역난방에 사용하는 발전소를 열병합 발전소라고 한다. 사막 국가의 화력 발전소는 전력과 함께 폐열을 이용하여 탈염 설비를 가동하기도 한다.

화력 발전소의 효율은 증기의 절대 온도 비율에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기를 고온 고압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카르노 효율에 따르면 증기 온도를 높이면 더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초임계 압력 설계는 40%대 중반의 효율을 가지며, 4400psi 이상의 압력과 다단 재가열을 사용하는 새로운 "초초임계" 설계는 45~48%의 효율에 도달한다.[6] 임계점인 약 373.9°C 이상에서는 물에서 증기로의 상전이가 없고, 밀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뿐이다.

발전에 사용되지 않는 에너지는 환경으로 열의 형태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 폐열은 응축기를 통과하여 냉각수 또는 냉각탑으로 배출될 수 있다. 폐열이 대신 지역난방에 사용되는 경우 열병합발전이라고 한다.

6. 환경 문제 및 대응

화력 발전소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로 물을 끓여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이 과정에서 여러 환경 문제가 발생하는데,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미세먼지 및 대기오염화력 발전소, 특히 석탄 화력 발전소는 미세먼지,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 다양한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한다. 이러한 오염 물질은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하고, 산성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20]

플라이애쉬는 미세한 구형의 재 입자로, 직물 백 필터나 전기집진기를 통해 제거된다. 제거된 플라이애쉬는 콘크리트 제조에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연가스 정화 시설은 모든 발전소에 설치되어 있지는 않다. 유럽, 일본, 미국 등에서는 법률을 통해 배연가스 정화 기술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중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오염 문제가 심각하다.
온실가스 배출화석 연료 연소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2) 등 온실가스가 대량으로 배출된다.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탄소 포집 및 저장(CCS) 기술은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지하에 저장하는 기술이지만, 비용 문제와 저장된 CO2에 대한 장기적인 책임 문제, 그리고 사회적 수용성 부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23][24]
열 오염화력 발전소는 냉각수를 사용하여 증기를 식히는데, 이때 사용된 물은 온도가 높아진 채로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된다. 이를 열 오염이라고 하며,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입장더불어민주당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후 석탄 화력 발전소 폐쇄 및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Power Plant Engineering PHI Learning Pvt. Ltd.
[2] 웹사이트 Power plant efficiency since 1900 https://visualizinge[...] Boston University Institute for Global Sustainability 2023-08-23
[3] 서적 the early days of the power station industry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4] 서적 The Power Makers: Steam, Electricity, and the Men Who Invented Modern America Bloomsbury Publishing USA
[5] 웹사이트 DOE – Fossil Energy: How Turbine Power Plants Work https://web.archive.[...] Fossil.energy.gov 2010-05-27
[6] 웹사이트 The Efficiency of Power Plants of Different Types https://www.brighthu[...] 2019-04-24
[7] 간행물 5. Efficiency in Thermal Power Generation https://hub.globalcc[...] Global CCS Institute 2014-03-01
[8] 간행물 Hydropower http://www.c2es.org/[...] Pew Center on Global Climate Change 2009-10
[9] 서적 Modern Power Station Practice: incorporating modern power system practice Pergamon
[10] 서적 Steam: Its Generation and Use
[11] 서적 Standard Handbook of Powerplant Engineering McGraw-Hill Professional
[12] 웹사이트 Pressurized deaerators http://www.spiraxsar[...]
[13] 웹사이트 Evoqua Water Technologies http://www.usfilter.[...]
[14] 웹사이트 Air Pollution Control Orientation Course http://www.epa.gov/o[...]
[15] 웹사이트 Energy savings in steam systems https://web.archive.[...] 2007-09-27
[16] 서적 Kents' Mechanical Engineers' Handbook John Wiley & Sons (Wiley Engineering Handbook Series)
[17] 보고서 Economic Analysis for the Final Section 316(b) Existing Facilities Rule https://www.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2014-05
[18] 웹사이트 Cooling Water Intakes https://www.epa.gov/[...] EPA 2017-08-30
[19] 웹사이트 Cooling System Retrofit Costs https://web.archive.[...] EPA 2008-03-09
[20] 서적 Fundamentals Of Stack Gas Dispersion http://www.air-dispe[...] author-published
[21] 보고서 Guideline for Determination of Good Engineering Practice Stack Height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the Stack Height Regulations), Revised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2] 보고서 Determination of Good Engineering Practice Stack Height: A Demonstration Study for a Power Pla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3] 학술지 Feasible deployment of carbon capture and storage and the requirements of climate targets https://www.nature.c[...] 2024-10
[24] 웹사이트 Net Zero Roadmap: A Global Pathway to Keep the 1.5 °C Goal in Reach – Analysis https://www.iea.org/[...] 2023-09-26
[25] 웹사이트 Global Status Report 2024 https://www.globalcc[...]
[26] 학술지 Power-generation system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to changes in climate and water resources 2016-01-04
[27] 뉴스 九電出資火力に環境相異議、千葉に建設計画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5-08-29
[28] 웹사이트 「平成30年度エネルギーに関する年次報告」(エネルギー白書2019)第3節 二次エネルギーの動向 https://www.enecho.m[...] 資源エネルギー庁 2020-05-02
[29] 웹사이트 第3節 二次エネルギーの動向 https://www.enecho.m[...] 経済産業省 2019-12-28
[30] 웹사이트 石炭火力「全廃」へ、英国・フランス・カナダ https://www.itmedia.[...] スマートジャパン 2016-11-24
[31] 웹사이트 石炭火力の新設規制、小型は事実上禁止に 経産省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7-25
[32] 웹사이트 COP25、CO2排出量首位の中国をスルーで日本叩きの「謎」「日本だけ非難されるのはおかしい」の声 https://www.zakzak.c[...] zakzak 2019-12-13
[33] 웹사이트 米国の石炭火力発電所、トランプ政権下で50か所閉鎖 新設わずか1か所 https://www.afpbb.co[...] 2019-05-10
[34] 웹사이트 バイデン新大統領 “パリ協定復帰” 署名 政策転換をアピール https://web.archive.[...] NHK 2021-01-21
[35] 웹사이트 大手金融グループ 脱炭素で石炭火力発電所向け融資停止へ https://web.archive.[...]
[36] 웹사이트 橘湾火力発電所 火力発電所開放イベント開催予定 https://www.jpower.c[...] 電源開発 2020-05-03
[37] 웹사이트 発電設備と発電電力量 https://www.fepc.or.[...] 電気事業連合会 2020-05-03
[38] 간행물 第5次エネルギー基本計画 https://www.enecho.m[...] 経済産業省 資源エネルギー庁 2018-07
[39] 웹사이트 戦後日本のイノベーション100選 現代まで 高効率石炭火力発電 http://koueki.jiii.o[...] 公益社団法人発明協会 2020-04-15
[40] 웹사이트 石炭火力発電の石炭に関する放射線規制免除について http://www.mext.go.j[...]
[41] 웹사이트 日本の石炭火力発電所はクリーン もっと知ってほしい石炭火力発電 https://www.jpower.c[...] 電源開発 2020-05-03
[42] 뉴스 北京周辺の石炭消費、大気汚染悪化の原因に=11年に1万人死亡―中国 https://www.recordch[...] レコードチャイナ 2013-06-20
[43] 웹사이트 大阪製油所の精製停止へ JXTG、発電事業に転換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9-07-23
[44] 문서 沖縄ガスと沖縄電力の天然ガス転換
[45] 웹사이트 40MW級アンモニア専焼火力発電、三菱パワーが2025年にも https://xtech.nikkei[...] 日経クロステック 2021-06-19
[46] 웹사이트 世界初,2,000kW級ガスタービンで液体アンモニアの70%混焼に成功 ~航空エンジン技術の応用により,安定燃焼が困難な液体アンモニアの燃焼技術を開発~ https://www.ihi.co.j[...] IHI 2021-06-15
[47] 웹사이트 「わが国における「石油火力発電」の扱いと石油業界の考え方について」 https://www.paj.gr.j[...] 石油連盟
[48] 문서 電源開発の概要 経済産業省資源エネルギー庁・ガス事業部
[49] 웹사이트 次世代⽕⼒発電協議会 (第5回会合資料)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19-03-13
[50] 뉴스 中国に石炭火力発電所がさらに464基建設されたら韓国はどうなるの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3-09
[51] 웹사이트 【第223-1-6】主要国の発電電力量と発電電力量に占める各電源の割合(2016年) https://www.enecho.m[...] 経済産業省 2019-12-28
[52] 웹사이트 主要国の電源別発電電力量の比率 http://www.ene100.jp[...] 電気事業連合会 2019-07-09
[53] 서적 Modern Power Station Practice: incorporating modern power system practice Pergamon
[54] 서적 Steam: Its Generation and Use
[55] 서적 Standard Handbook of Powerplant Engineering McGraw-Hill Professional
[56] 웹사이트 Air Pollution Control Orientation Course http://www.epa.gov/o[...] Air Pollution Training Institute
[57] 웹사이트 Energy savings in steam systems http://kolmetz.com/p[...] 2007-09-27
[58] 서적 Kents’ Mechanical Engineers’ Handbook John Wiley & Sons (Wiley Engineering Handbook Series)
[59] 웹사이트 Pressurized deaerators http://www.spiraxsar[...]
[60] 웹인용 Tray deaerating heaters http://www.usfilter.[...] 2010-02-03
[61] 웹사이트 Deaerator Presentation http://www.termochim[...]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