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이버페이는 네이버가 제공하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은행 및 카드사와 제휴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결제를 지원한다. 사용자들은 네이버페이를 통해 결제 시 포인트를 적립받고, 간편한 결제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 신한카드와의 제휴를 통해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를 출시했으며, 삼성페이와도 연동된다. 카카오페이와 경쟁하며, 소규모 쇼핑몰 중심의 가맹점과 1%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바일 결제 서비스 - LG 페이
LG 페이는 LG전자가 개발하여 MST와 NFC 방식을 모두 지원하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였으나, LG 스마트폰 사업 철수로 인해 2023년 6월 30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모바일 결제 서비스 - 삼성 월렛
삼성 월렛은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모바일 결제 및 디지털 자산 관리 서비스로, MST와 NFC 방식을 모두 지원하여 신용카드, 체크카드, 멤버십 카드, 교통카드 등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자산 및 디지털 키 저장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 뉴스
네이버 뉴스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로, 뉴스 스탠드와 뉴스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뉴스 스탠드는 이용률 저조 등의 문제점을 겪고, 뉴스 라이브러리는 과거 신문 기사를 제공한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는 2003년 시작된 네이버의 블로그 서비스로, 다양한 기능과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며 다른 네이버 서비스와 연계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 모바일 결제 -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는 2014년 카카오톡 연동으로 시작하여 송금 기능을 제공하는 간편결제 서비스이며, 금융 서비스로 확장되어 카카오페이 주식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 모바일 결제 - NH농협은행
NH농협은행은 1907년 금융조합에서 시작하여 농업은행으로 성장, 2012년 NH농협금융지주 자회사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은행으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와 농업 정책 자금 지원을 통해 농업 및 농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국내외에 넓은 영업망을 갖추고 있다.
네이버페이 | |
---|---|
기본 정보 | |
![]() | |
개발사 | 네이버 주식회사 |
운영 체제 | 안드로이드 iOS |
플랫폼 | 안드로이드 기기 iOS 기기 |
라이선스 | 사유 소프트웨어 |
웹사이트 | 네이버페이 웹사이트 |
2. 제휴 은행 및 카드사
네이버페이는 NH농협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여러 은행 및 카드사와 제휴를 맺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
제휴 은행 | 제휴 카드사 |
---|---|
NH농협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수협은행, 우체국,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BC카드, KB국민카드, 하나카드, 롯데카드, NH농협카드, 씨티카드 |
2. 1. 제휴 은행
2. 2. 제휴 카드사
네이버와 제휴를 맺은 카드사는 다음과 같다.
네이버페이는 핀테크의 장점인 비교적 간단한 결제 절차를 제공한다. 과거 전자상거래에서는 공인인증서 및 휴대폰 인증 등 복잡한 절차가 필요했지만, 네이버페이는 구매 마지막 단계에서 초기 설정한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구매가 완료되어 간편하다.[1]
네이버와 신한카드가 체크카드에 이어 신용카드까지 정식 출시하면서, 네이버페이 메인에 있던 "체크카드" 탭이 "제휴카드"로 변경되었다. 이는 신한카드 외 다른 카드사와도 제휴하여 네이버페이 제휴카드를 출시할 가능성을 보여준다.[1]
3. 혜택
3. 1. 포인트 적립
네이버페이는 각 카드의 혜택과 별도로, 네이버페이로 일정 금액을 구매할 시 1%의 포인트를 적립해 준다.[1] 또한 핀테크의 장점인 비교적 간단한 절차도 혜택 중 하나로 볼 수 있다.[1] 과거 전자상거래 고객들은 공인인증서 및 휴대폰 인증까지 거쳐야 하는 등 거래 절차가 비교적 복잡했다.[1] 하지만 네이버페이는 구매 마지막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구매가 완료되어, 고객들에게 간편하다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1]3. 2. 간편한 결제 절차
핀테크의 장점인 비교적 간단한 결제 절차를 제공한다. 과거 전자상거래에서는 공인인증서 및 휴대폰 인증 등 복잡한 절차가 필요했지만, 네이버페이는 구매 마지막 단계에서 초기 설정한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구매가 완료되어 간편하다.
4. 카카오페이와의 비교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는 인터넷을 통한 간편 결제 서비스라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포털 사이트 기반의 플랫폼을 자사가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같다.
구분 | 네이버페이 | 카카오페이 |
---|---|---|
출시 | 2015년 6월 | 2016년 9월 |
가맹점 수 | 9만 7,000여 개 (소규모 쇼핑몰 중심) | 900여 개 (중대형 쇼핑몰 중심) |
누적 이용자 수 | 1,600만 명 | 850만여 명 |
누적 결제 건수 | 6,500만 건 | 2,500만 건 |
거래액 | 월 28억원, 누적 2조원 | 비공개 |
체크카드 발행 건수 | 10만 건 | 5만 건 |
하지만 네이버페이는 가맹점이 소규모 쇼핑몰 중심으로 비교적 많이 존재하는 반면, 카카오페이는 중대형 쇼핑몰을 유치하여 적은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또한, 네이버페이가 비록 늦게 도입되었으나, 기존에 존재하던 네이버 체크아웃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라 카카오페이보다 이용자 수와 결제 건수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1]
다만 오프라인 결제는 카카오페이가 약간 앞서서 진출했으며, 오프라인 직불결제 및 QR코드 송금, 카드 바코드 결제를 모두 지원한다. 반면 네이버페이는 오프라인에서 제로페이만 지원했지만 모든 페이기반 결제를 출시해 결제가 가능한 가맹점이 확대되었다.
5. 네이버페이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네이버페이 체크카드[3]와 신용카드는 네이버페이를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카드이다. 네이버는 신한카드와 제휴하여 2016년 4월 15일에 체크카드를, 2017년 6월 29일에 신용카드를 각각 사전 발급을 통해 출시했다. 케이뱅크, 우리카드와 제휴한 체크카드도 출시되었으나, 2020년에 모두 단종되었다.
5. 1. 네이버페이 체크카드
네이버페이 체크카드[3]는 네이버페이를 오프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체크카드이다.네이버와 신한카드가 제휴를 맺어 2016년 4월 15일에 네이버페이 체크카드가 사전 발급을 통해 출시되었다. 신한은행 계좌가 없더라도 이미 개설되어있는 계좌를 연결하여 체크카드를 발급받아 사용이 가능하다. 사전예약을 통해 체크카드를 발급받은 고객들은 2016년까지 포인트가 두 배로 적립되었다. 신한카드 가맹점에서는 네이버페이 적립 외에도 마이신한 포인트가 별도 적립된다. 오프라인 ATM 사용은 신한은행 ATM에 한해서만 제공되고 있으며, 신한은행 ATM의 별도 메뉴를 통해 출금하는 방식이다.
2017년 8월 18일 네이버와 케이뱅크가 제휴를 맺어 케이뱅크 네이버페이 체크카드(약칭: 케네카드)가 출시되었다. 2020년 2월 13일 신한 네이버페이 체크카드가 단종됐고, 2020년 4월 23일에는 우리카드가 연회비 5000KRW을 받는 네이버페이 체크카드를 출시했다. 2020년 6월 18일 케이뱅크 네이버페이 체크카드는 단종됐다.
5. 2. 네이버페이 신용카드
네이버페이 신용카드는 네이버페이를 오프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신용카드이다. 네이버페이 체크카드는 네이버와 신한카드가 제휴를 맺어 2017년 6월 29일에 사전 발급을 통해 출시되었다.네이버페이 체크카드와 혜택은 비슷하거나 같지만, 네이버페이 신용카드 연회비가 경쟁사인 카카오페이 신용카드(신한카드)에 비해 약 2배가량 높다. 연회비에 비해 혜택은 거의 없다는 게 다수 유저들의 큰 불만이다. 사전 예약 시 카드 소개에는 기존 체크카드만 쓰겠다는 유저가 많으며, 발급 후 연말까지 쓰다 버리는 카드 등 의견이 많았다.
신한카드 홈페이지에서는 비슷한 상품으로 '''"신한카드 Simple Platinum#"'''라는 상품이 있다. 네이버페이의 주 무기인 무실적에 페이백이 되고 일부 생활 밀착형은 조금 더 주는 캐시백 형태의 신용카드다.
네이버페이 신용카드의 향후 전망은 출시 후 시간이 지나봐야 알 것 같다. 네이버와 신한카드가 체크카드에 이어 신용카드까지 정식 출시한 날 네이버페이 메인에 있는 "체크카드" 탭이 "제휴카드"로 바뀌었다. 이는 신한카드 외에도 타 카드사와 제휴하여 네이버페이 제휴 카드를 출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남겨둘 수 있는 항목이다. 게릴라성 페이백, 할인, 적립 이벤트가 아닌 제휴 카드이다. 예를 들어 경쟁사의 카카오페이를 볼 수 있다.
5. 3. 제휴 카드 혜택 (신용카드 기준)
네이버페이 신용카드는 네이버페이를 오프라인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신용카드이다. 네이버페이 신용카드의 연회비는 경쟁사인 카카오페이 신용카드(신한카드)에 비해 약 2배가량 높다. 연회비에 비해 혜택은 거의 없다는 것이 다수 유저들의 큰 불만이다.[1]신한카드 홈페이지에는 비슷한 상품으로 "'''신한카드 Simple Platinum#"'''라는 상품이 있다.[1]
네이버페이의 주 무기인 무실적 페이백 및 일부 생활 밀착형 추가 캐시백 형태의 신용카드이다.[1]
6. 네이버페이 x 삼성페이 제휴
7.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방법
- 지식iN에서 룰렛을 돌려 당첨되면 최소 100원에서 최대 10,000원의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받을 수 있다.
- 지식iN, 블로그, 카페 등에서 진행하는 이벤트에 참여하면 정해진 양의 네이버페이 포인트를 적립받을 수 있다.
- 네이버 블로그의 광고 수익인 애드포스트 수입도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전환할 수 있다.
- 해피빈에서 콩을 한 달 동안 최대 10만 원까지 기부하면 다음 달 14일에서 18일 사이에 네이버페이 포인트 1만 원이 적립된다.
- 기타 이벤트, 쇼핑 리뷰 등을 통해서도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 지식iN에서 자신의 답변이 채택된 후 '포인트로 감사하기'를 받으면 포인트가 쌓인다.
- 지정된 가맹점에서 현장 결제 시에도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다.
- 삼성페이 등과 같은 협업 이벤트를 통해서도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다.
8. 경쟁 모바일 결제 서비스
참조
[1]
웹사이트
Naver Pay launches in Korea
https://www.nfcworld[...]
NFC World
2015-06-25
[2]
뉴스
식당서 네이버페이, 네이버쇼핑서 삼성페이 결제…애플페이 반격 나선 토종페이
https://newsis.com/v[...]
뉴시스
[3]
웹사이트
pay.naver.com/send/p[...]
[4]
블로그
https://m.blog.naver[...]
네이버블로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