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롯데카드는 1989년 동양크레디트카드로 설립되어, 1995년 동양카드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2년 롯데그룹에 인수되어 롯데카드가 되었고, 2019년 MBK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에 매각되었다. 롯데카드는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를 발급하며, 다양한 은행 및 비은행 금융기관과 제휴하고 있다. 비자, 마스터카드, 유니온페이 등 다양한 브랜드의 카드를 취급하며, 선불 및 후불 교통카드 기능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양의 이전 자회사 - 한일합섬
한일합섬은 서울, 안성, 대구, 의령에 지점을 둔 회사로, 본점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다. - 동양의 이전 자회사 - SK매직
SK매직은 1985년 동양시멘트 기계사업부에서 출발하여 주방기기를 생산해 온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SK네트웍스에 인수 후 SK매직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정수기, 비데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여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며, 특히 직수형 정수기 기술을 선도하고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 동양그룹 - 한일합섬
한일합섬은 서울, 안성, 대구, 의령에 지점을 둔 회사로, 본점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다. - 동양그룹 - SK매직
SK매직은 1985년 동양시멘트 기계사업부에서 출발하여 주방기기를 생산해 온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SK네트웍스에 인수 후 SK매직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정수기, 비데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여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며, 특히 직수형 정수기 기술을 선도하고 디자인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카드사 - 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본부는 대한민국의 우편,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등 우정 사업을 관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으로, 우편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조직 형태와 명칭의 시대별 변천, 그리고 다양한 이슈들을 겪어왔다. - 대한민국의 카드사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롯데카드 | |
---|---|
회사 정보 | |
이름 | 롯데카드 |
원어 | Lotte Card CO., LTD. |
이전 상호 | 동양크레디트카드 (1989~1995) 동양카드 (1995~2002) |
설립일 | 1989년 8월 1일 |
설립일 (영어) | December 12, 2002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76 (신문로1가, 콘코디언빌딩) |
산업 | 여신전문금융업 |
제품 | 롯데카드 |
경영진 | |
대표이사 | 조좌진 |
재무 정보 | |
자본금 | 373,700,305,000원 (2019.12) |
매출액 | 1,758,316,769,261원 (2019) |
영업이익 | 81,626,535,538원 (2019) |
순이익 | 71,438,747,071원 (2019) |
자산총액 | 13,653,067,346,800원 (2019.12) |
주주 정보 | |
주주 | 한국리테일카드홀딩스주식회사: 59.83% 우리은행주식회사: 20.00% 롯데쇼핑주식회사: 20% 신영자: 0.17% |
모기업 | 한국리테일카드홀딩스주식회사 |
자회사 및 관계사 | |
자회사 | 주식회사 로카모빌리티 |
계열사 | (정보 없음) |
기타 | |
종업원 수 | 1,649명 (2019.12) |
공식 웹사이트 | 롯데카드 홈페이지 |
2. 연혁
- 1989년 8월: 동양크레디트카드(Tongyang Credit Card) 설립.
- 1995년 9월: 아메리칸 엑스프레스의 대한민국 내 영업권 양수도 계약.
- 1995년 10월: 동양카드(Tongyang Card)로 사명 변경.
- 1998년 1월: 동양그룹 계열사인 동양할부금융과 흡수 합병.
- 2002년 12월: 롯데그룹에 흡수 합병되면서 롯데카드로 사명 변경.
- 2003년 12월: 롯데백화점 카드와 통합.[1]
- 2006년 3월: 롯데멤버스 출범 및 롯데포인트 통합.[1]
- 2009년 12월: 서울 중구 남창동 남대문 사옥으로 본사 이전.[1]
- 2015년 1월: 롯데멤버스 부문을 롯데멤버스 주식회사로 분사.[1]
- 2015년 4월: 롯데멤버스를 L.POINT로 변경.[1]
- 2016년 4월: 키자니아 부산 내 'E-키조 카드센터' 체험관 개장.[1]
- 2018년 11월: 산업자본 지주사가 금융계열사를 둘 수 없는 금산분리법에 의해 지분 매각 발표.[1]
- 2019년 10월: 롯데그룹 자회사 탈퇴 및 MBK파트너스와 우리은행 컨소시엄으로 최대주주 변경.[1]
- 2020년 5월 18일: 서울 중구 남창동에서 종로구 신문로1가 콘코디언빌딩(구 금호아시아나그룹 사옥)으로 본사 이전.[1]
2. 1. 동양카드 시절
- 1989년 8월: 동양크레디트카드(Tongyang Credit Card)를 설립하였다.
- 1995년 9월: 아메리칸 엑스프레스의 대한민국 내 영업권 양수도 계약을 체결하였다.
- 1995년 10월: 동양카드(Tongyang Card)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다.
- 1998년 1월: 동양그룹 계열사인 동양할부금융과 흡수 합병하였다.
2. 2. 롯데카드 시절
1989년 8월 동양크레디트카드(Tongyang Credit Card)를 설립하였다. 1995년 9월 아메리칸 엑스프레스의 대한민국 내 영업권 양수도 계약을 체결하고, 1995년 10월 동양카드(Tongyang Card)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1998년 1월 동양그룹 계열사인 동양할부금융과 흡수 합병하였다. 2002년 12월 롯데그룹에 흡수 합병되면서 롯데카드로 회사명을 변경하였고, 2003년 12월 롯데백화점 카드를 통합하였다.[1]2006년 3월 롯데멤버스를 출범하여 롯데포인트를 통합하였다. 2009년 12월 서울 중구 남창동 남대문 사옥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2015년 1월 롯데멤버스 부문을 롯데멤버스 주식회사로 분사하였고, 같은 해 4월 롯데멤버스를 L.POINT로 변경하였다. 2016년 4월 키자니아 부산 내 'E-키조 카드센터' 체험관을 개장하였다.[1]
2018년 11월 산업자본 지주회사가 금융계열사를 소유할 수 없도록 한 금산분리법에 따라 지분 매각을 발표하였다. 2019년 10월 롯데그룹 자회사에서 탈퇴하였고, MBK파트너스와 우리은행 컨소시엄으로 최대주주가 변경되었다. 2020년 5월 18일 서울 중구 남창동에서 종로구 신문로1가 콘코디언빌딩(구 금호아시아나그룹 사옥)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1]
3. 특징
2019년 5월 MBK 파트너스-우리은행 컨소시엄에 지분을 매각하면서 롯데쇼핑의 지분율은 20%로 축소되었다. 하지만 매각 후에도 롯데그룹과의 협업 관계를 유지하고, 향후 5년 간 고용 보장 등 롯데그룹과 관계를 유지하기로 하여 고객에게 체감되는 혜택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21년 말부터 우리카드에서 독자 가맹점 구축을 선언하고 자체 가맹점 모집을 개시하며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게 됐다.[1] 결국 우리카드는 롯데카드 인수 대신, 자체 가맹점망을 구축하고 2023년 7월 24일에 자체 매입망을 이용하는 신용/체크카드를 내놓았다.
2023년 5월 23일 롯데카드에서는 재매각에 난항을 겪게 되자, 로카모빌리티를 맥쿼리자산운용에 분리 매각했다.
4. 발급기관
롯데카드는 다양한 금융기관과 제휴하여 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발급 기관 |
---|
4. 1. 은행
각 제휴 카드는 제휴 금융기관의 현금카드 탑재가 가능하며, 카드 등록과 함께 현금카드 기능이 활성화된다. 특정 금융기관 제휴형 외에 롯데체크카드, 포인트플러스 체크카드(은련 포함), 플래티넘(마일리지형 포함-비자 연회비 부과) 위클리(비자, 은련) 체크카드, LIKIT(ALL, FUN, ON), L페이 by 롤라(우리은행만 연결 가능) 체크카드 한정으로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에 IC현금카드 등록이 가능하다. 신한은행은 인터넷뱅킹, ATM, 창구에서 등록이 가능하고, 우리은행은 창구에서만 등록할 수 있다. 한국외환은행도 해당 체크카드에 IC현금카드 등록이 가능했으나, 하나은행으로 통합된 후에는 등록할 수 없다. 현재는 단종된 부산은행 썸뱅크 제휴 카드는 썸뱅크 앱에서 신청을 받았다.4. 2. 비은행 금융기관
각 제휴 카드는 제휴 금융기관의 현금카드 탑재가 가능하며, 카드 등록과 함께 현금카드 기능이 활성화된다. 특정 금융기관 제휴형 외에 체크카드는 기본형인 롯데체크카드, 포인트플러스 체크카드(은련 포함), 플래티넘(마일리지형 포함-비자 연회비 부과) 위클리(비자, 은련) 체크카드, LIKIT(ALL, FUN, ON), L페이 by 롤라(우리은행만 연결 가능) 체크카드 한정으로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에 IC현금카드 등록이 가능하다. 신한은행은 인터넷뱅킹, ATM, 창구에서 등록이 가능하고, 우리은행은 창구에서만 등록할 수 있다. 한국외환은행도 해당 체크카드에 IC현금카드 등록이 가능했으나, 하나은행으로 통합된 후에는 등록할 수 없다. 현재는 단종된 부산은행 썸뱅크 제휴 카드는 썸뱅크 앱에서 신청을 받았다.5. 취급카드
롯데카드에서 취급하는 카드는 다음과 같다.
체크카드는 비자카드와 유니온페이만 가능하다. 롯데 유니온페이 체크카드는 해외에서 사용할 수 없고 국제현금카드로만 사용할 수 있다. 비자 체크카드는 2018년 3월부터 해외 사용이 가능하며, 그 전에 발급받은 비자 체크카드는 재발급받아야 해외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시출금식이다.
6. 교통카드
롯데카드는 캐시비를 사용하는 선불교통카드와, 복합형 또는 멀티교통카드 기능이 적용된 후불교통카드를 제공한다.
몇몇 롯데카드 상품은 M형(마이비 후불교통카드) 또는 T형(티머니 후불교통카드)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2] 체크카드는 "체크플러스"에만 후불교통카드가 적용된다.
; T형 (티머니 후불교통카드)
구분 | 사용 지역 |
---|---|
지하철, 버스 |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춘천 |
전 지역 버스 | 세종, 제주, 강원도 (원주, 횡성 제외), 충남 (아산, 천안 제외) |
지하철 | 아산, 천안 |
경전철 |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 |
버스 |
; MT형 (티머니, 마이비 멀티후불교통카드)
- T형 지역과 M형 지역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
6. 1. 선불교통카드
현재 롯데카드에서 발행하는 상품 중 선불교통카드를 탑재할 수 있는 카드는 다음과 같으며, 모두 캐시비를 사용한다.6. 2. 후불교통카드
롯데카드의 후불교통카드는 복합형 또는 멀티교통카드 기능이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모든 카드상품에 MT형 후불교통카드를 적용하지 않아 일부 카드상품은 M형 전용, T형 전용 후불교통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발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후불교통카드 이용 시 M형 전용 후불교통카드와 T형 전용 후불교통카드를 따로 챙겨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이용에 유의해야 한다.[2]체크카드는 "체크플러스"에만 후불교통카드가 적용된다.
; T형 (티머니 후불교통카드)
구분 | 사용 지역 |
---|---|
지하철, 버스 |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춘천 |
전 지역 버스 | 세종, 제주, 강원도 (원주, 횡성 제외), 충남 (아산, 천안 제외) |
지하철 | 아산, 천안 |
경전철 |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 |
버스 |
; MT형 (티머니, 마이비 멀티후불교통카드)
- T형 지역과 M형 지역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참조
[1]
뉴스
우리카드, 독자 결제망 구축 ... 롯데카드 인수전 새 변수?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
문서
T형지역 이외에 사용불가 및 M형지역에 사용불가
[3]
문서
함평군민교통 100번에만 사용가능
[4]
문서
M형지역 이외에 사용불가 및 T형지역에 사용불가
[5]
문서
함평교통 500번에만 사용가능
[6]
문서
BC는 포함되지 않는다.
[7]
문서
KB국민카드의 가맹점망을 공유하기도 한다.
[8]
문서
독립된 기업이 아닌 NH농협은행 소속 브랜드이다.
[9]
문서
BC는 포함되지 않는다.
[10]
문서
농협은행과 농축협이 각각 다른 회원사로 취급된다.
[11]
문서
한미은행(현재:한국씨티은행)이 신세계백화점 카드 신용부문을 인수하였다.
[12]
문서
롯데카드와 롯데백화점카드를 롯데카드로 통합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