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트빈트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트빈트 작전은 1944년 12월 말 독일군이 벌지 전투의 실패를 만회하고 알자스 평원과 보주 산맥에서 미국 제7군과 프랑스 제1군을 격멸하기 위해 시도한 공세 작전이다. 이 작전은 스트라스부르를 점령하고 미국 제3군의 측면을 공격하려는 의도였으며, 루프트바페의 보덴플라테 작전과 함께 진행되었다. 그러나 연합군의 저항과 증원, 보급 부족으로 인해 독일군의 공세는 실패로 돌아갔고, 미 제6군단은 많은 사상자를 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5년 프랑스 - 독일의 항복문서
    독일의 항복문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의 무조건 항복을 규정하며, 독일의 완전한 군사적 패배 인정, 무장 해제, 분할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 1945년 프랑스 - 1945년 프랑스 총선
    1945년 프랑스 총선은 1945년 10월 21일에 치러졌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의 정치적 재편을 결정하는 중요한 선거로서, 3당 연합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고 국민의회가 헌법 제정 및 제4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노르트빈트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노르트빈트 작전
노르트빈트 작전
명칭노르트빈트 작전
전투 정보
작전 기간1944년 12월 31일 ~ 1945년 1월 25일
장소프랑스, 알자스 로렌, 라인란트팔츠 주, 독일
결과연합군의 방어 성공
교전 세력
교전국 1flagcountry:
미국
1912
br
flagcountry:
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
교전국 2flagcountry:
나치 독일
지휘관
연합군 지휘관ubl:
flagicon:
미국
1912
제이콥 L. 데버스
flagicon:
미국
1912
알렉산더 패치
flagicon:
미국
1912
에드워드 H. 브룩스
nowrap:
flagicon:
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
장 d.L. 드 타시니
flagicon:
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
조제프 드 몽사베르
독일군 지휘관ubl:
flagicon:
나치 독일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flagicon:
나치 독일
한스 폰 옵스트펠더
flagicon:
나치 독일
하인리히 힘러
flagicon:
나치 독일
지크프리트 라스프
부대 규모
연합군flagicon:
미국
1912
제7군
clist:
title:
nobold:
VI 군단
42보병사단
45보병사단
70보병사단
79보병사단
clist:
title:
nobold:
XV 군단
103보병사단
44보병사단
100보병사단
63보병사단
clist:
title:
nobold:
XXI 군단
36보병사단
12기갑사단
14기갑사단
flagicon:
프랑스 공화국 임시 정부
제1군
clist:
title:
nobold:
I 군단
제1보병사단
2기갑사단
3알제리사단
clist:
title:
nobold:
II 군단
1기갑사단
1식민지사단
3모로코사단
4모로코사단
5기갑사단
10보병사단
독일군clist:
title:
nobold:
flagicon:
나치 독일
제1군
25판저그레나디어사단
21판저사단
제6SS산악사단
clist:
title:
nobold:
XIII SS 군단
19국민척탄병사단
36국민척탄병사단
17SS판저그레나디어사단
clist:
title:
nobold:
XC 군단
제559국민척탄병사단
257국민척탄병사단
clist:
title:
nobold:
LXXXIX 군단
361국민척탄병사단
245보병사단
256국민척탄병사단
clist:
title:
nobold:
flagicon:
나치 독일
제19군
10SS기갑사단
clist:
title:
nobold:
LXIV 군단
189보병사단
198보병사단
708국민척탄병사단
clist:
title:
nobold:
LXIII 군단
159보병사단
716보병사단
269보병사단
제30무장척탄병사단
clist:
title:
nobold:
제14SS군단
제553국민척탄병사단
10SS기갑사단
병력 규모
연합군230,000명 (평균 병력)
독일군알 수 없음
사상자 규모
연합군미국: 11,609명 사망, 부상, 포로, 실종
프랑스: 7,000명 사망 및 부상
독일군23,000명 사망, 부상 또는 포로

2. 배경

1944년 말, 서부 전선에서 벌지 전투의 초기 공세가 실패로 돌아가자 독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는 새로운 반격을 계획했다. 이는 아르덴 지역에서 고전하는 독일군의 부담을 덜고 전세를 만회하기 위한 시도였다.[6][8] 히틀러는 두 가지 주요 작전을 승인했는데, 하나는 연합군 공군력에 타격을 주기 위한 보덴플라테 작전이었고, 다른 하나가 바로 알자스-로렌 지역을 목표로 한 노르트빈트 작전(Unternehmen Nordwindde)이었다.[8] 이 작전은 벌지 전투에 집중된 연합군의 시선을 분산시키고, 특히 남쪽에서 바스토뉴 방면으로 이동한 미국 제3군의 배후를 위협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8]

2. 1. 벌지 전투의 상황 악화

1944년 12월 16일 벨기에 아르덴 숲에서 독일군이 침공하여 벌지 전투가 시작되었지만, 12월 말에는 독일군의 기세가 꺾이고 연합군은 각지에서 강력한 반격을 시작했다. 벌지 전투에서 독일군에 포위된 바스토뉴를 구원하기 위해 미국 제3군이 남쪽에서 진격하여, 12월 26일에는 제3군의 선두 부대가 바스토뉴에 도달하며 양측의 격전이 벌어졌다. 독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는 벌지 전투의 불리해진 전황을 타개하기 위해 두 가지 작전을 인가했다. 하나는 연합군 비행장에 대한 대규모 공습 작전인 보덴플라테 작전이었고, 다른 하나가 바로 노르트빈트 작전(북풍 작전)이었다. 이 작전의 초기 목적은 미국 제3군의 남쪽 알자스 평원에서 새로운 전선을 열어, 제3군이 바스토뉴로 증원되는 것을 견제하는 것이었다[8]

히틀러는 노르트빈트 작전 개시 3일 전인 1944년 12월 28일, 사단장들에게 한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 이 공격에는 매우 명확한 목적, 즉, 적군의 파괴라는 목적이 존재한다. 여기에 따르는 위신의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가 발견한 적군을 어디에 있든 파괴, 근절하는 문제이다. 이 때, 알자스 전체를 해방하는 문제도 간단해질 것이다. 그것은 독일 사람들에게 헤아릴 수 없는 심리적으로 결정적인 좋은 인상을 주고, 프랑스 사람들에게 우울한 세상의 인상을 준다는 훌륭한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중요하지 않다. 내가 말했듯이, 적의 인적 자원을 멸망시키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다.

이처럼 작전의 목적은 보주 산맥과 알자스 평원에 있는 미국 제7군프랑스 제1군의 방어선을 돌파하고 섬멸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잔아르츠트 작전(Operation Zahnarzt영어)을 위한 통로를 확보하고, 주력 부대가 미국 제3군의 배후를 공격할 계획이었다.

2. 2. 히틀러의 새로운 공세 지시

1944년 12월 16일 벨기에 아르덴 숲에서 독일군의 공세로 시작된 벌지 전투는 12월 말에 이르러 기세가 꺾이기 시작했다. 12월 21일까지 독일의 공세는 둔화되었고, 작전이 실패 직전에 놓여 있음이 분명해졌다.[6] 연합군은 각지에서 강력한 반격을 개시했으며, 특히 벌지 전투에서 독일군에 포위된 바스토뉴를 구원하기 위해 남쪽에서 진격한 미국 제3군의 선두 부대가 12월 26일 바스토뉴에 도달하면서 격전이 벌어졌다.[8]

이러한 전황 속에서 독일 총통 아돌프 히틀러는 기울어가는 전세를 만회하기 위해 새로운 작전을 구상했다. 미국 제3군이 바스토뉴 방면으로 이동하면서 비워진 남쪽의 알자스 지역을 방어하던 미국 제7군에 대한 공격을 통해, 아르덴 전선에서 독일군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6][8]

이에 따라 히틀러는 두 가지 작전을 승인했는데, 하나는 연합군 비행장에 대한 대규모 공습인 보덴플라테 작전(Unternehmen Bodenplatte)이었고, 다른 하나가 바로 노르트빈트 작전(Unternehmen Nordwind)이었다.[8] 노르트빈트 작전의 목표는 미국 제3군의 남쪽인 알자스 평원에서 새로운 전선을 열어 미국 제3군의 바스토뉴 증원을 견제하는 것이었다.[8]

히틀러는 작전 개시 3일 전인 1944년 12월 28일, 아들러호르스트의 군사 지휘 본부에서 사단장들에게 다음과 같이 연설하며 작전의 목표를 명확히 했다.

"이 공격은 매우 명확한 목표, 즉 적군을 파괴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명예 문제가 관련된 것이 아니다. 우리가 그들을 발견하는 곳에서 적군을 파괴하고 전멸시키는 문제이다."[7] 그는 또한 "알자스 전체를 해방하는 문제도 간단해질 것"이며, 이는 독일 국민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적의 인적 자원을 멸망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작전 목표는 상부 보주 산맥과 알자스 평원에서 미국 제7군과 프랑스 제1군의 전선을 돌파하여 섬멸하고,[7] 하인리히 힘러가 1월 30일까지 점령하겠다고 약속한 스트라스부르를 탈환하는 것이었다.[7] 더 나아가, 이는 미국 제3군의 후방을 공격하여 괴멸시키려는 Unternehmen Zahnarzt|운터네멘 차나르츠트de(작전 치과의사)를 위한 길을 열어주는 것을 목표로 했다.[7]

3. 목표

1944년 12월 16일 시작된 벌지 전투에서 독일군의 공세는 12월 말에 이르러 기세가 꺾이기 시작했다.[6][8] 미국 제3군이 바스토뉴 구원을 위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8] 남쪽의 미국 제7군 전선이 약화되자, 독일 최고 사령부는 이 지역에 대한 공격을 통해 아르덴 전선에 가해지는 연합군의 압력을 완화하고자 했다.[6] 이것이 노르트빈트 작전의 배경이 되었다.

아돌프 히틀러는 작전 개시 3일 전인 1944년 12월 28일, 아들러호르스트 군사 복합 시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사단 지휘관들에게 작전 목표를 명확히 밝혔다. 그는 이 공격의 분명한 목적이 "적 병력을 분쇄하는 것"이며, "적을 발견하는 대로 사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1][7] 히틀러는 명예나 위신보다는 적군 자체의 섬멸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으며, 알자스 전체를 해방하는 것이 독일 국민에게 큰 심리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언급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적의 인적 자원을 멸망시키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8]

구체적인 작전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 상부 보주산맥과 알자스 평원에서 미국 제7군과 프랑스 제1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여 이들을 격멸한다.[11][7][8]
  • 하인리히 히믈러가 1월 30일까지 점령하겠다고 약속한 스트라스부르를 탈환한다.[7]
  • 궁극적으로 자나르츠 작전(Unternehmen Zahnarzt|운터네멘 차나르츠트de)을 위한 통로를 확보하여, 미국 제3군의 후방을 공격하고 격파한다.[11][7][8] 이는 벌지 전투에서 바스토뉴로 향하는 미국 제3군의 증원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었다.[8]

4. 전개 과정

1944년 12월 31일 밤, 독일 G 집단군(사령관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과 라인 상부 집단군(사령관 하인리히 힘러)은 약 110km에 걸쳐 얇게 배치된 미국 제7군의 방어선을 향해 대규모 공세인 노르트빈트 작전을 시작했다. 당시 미 제7군은 벌지 전투 지원을 위해 병력과 장비를 북쪽으로 보낸 상태였기 때문에, 독일군의 공세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이는 연합군 총사령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

작전 개시와 동시에 루프트바페(독일 공군)는 약 1,000대의 항공기를 동원하여 연합군 공군력 무력화를 목표로 한 보덴플라테 작전을 감행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실패했다.

지상에서는 독일 제1군 예하 군단들을 중심으로 공세가 시작되었고, 곧이어 기갑 부대까지 투입되면서 전투는 격화되었다. 1월 중순까지 콜마 포켓 내부 부대를 포함한 다수의 독일 사단이 전투에 참여했으며, 스트라스부르 남쪽에서도 프랑스군을 향한 공격이 있었으나 저지되었다. 독일군의 공세를 정면으로 받은 미국 제6군단은 여러 방면에서 전투를 치르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특히 보주 산맥 동쪽 기슭의 리터스호펜과 하텐 마을에서는 스트라스부르 보급선을 차단하려는 독일군과 이를 저지하려는 미군 사이에 2주간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미 제7군의 전면적인 붕괴를 우려한 아이젠하워는 다른 전선에서 부대들을 차출하여 100km 이상 떨어진 제7군 전선으로 급파했으나, 증원군의 도착은 지연되었다. 결국 보급품과 탄약 부족에 시달리던 미 제7군은 1월 21일, 일부 부대를 모데르 강 남쪽으로 후퇴시켜 방어선을 재정비해야 했다.

1월 25일, 미군 부대가 아게노 근처에서 독일군의 마지막 공세를 성공적으로 저지하면서 독일군의 공세는 마침내 중단되었다. 같은 날, 벌지 전투 지역에서 이동한 미군 증원 부대가 도착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스트라스부르는 성공적으로 방어되었지만, 콜마 포켓에 갇힌 독일군 부대는 여전히 위협으로 남아 작전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게 되었다.

4. 1. 독일군의 공세 시작 (1945년 1월 1일)

1944년 12월 31일 밤부터 1945년 1월 1일에 걸쳐, 독일 G 집단군(사령관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장군)과 라인 상부 집단군(사령관 하인리히 힘러)은 약 110km에 걸쳐 얇게 배치된 미국 제7군의 방어선을 향해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다. 노르트빈트 작전으로 명명된 이 공세는 이미 벌지 전투 지원을 위해 병력과 장비를 북쪽으로 보낸 상태였던 미 제7군을 심각한 위기에 빠뜨렸다. 이는 연합군 총사령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

공세 시작일인 1월 1일, 루프트바페(독일 공군)는 약 1,000대의 항공기를 동원하여 보덴플라테 작전을 실행했다. 이는 유럽 북서부 연합군 공군력을 무력화하려는 시도였으나, 주요 목표 달성에 실패하며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초기 공격은 G 집단군 예하 독일 제1군의 3개 군단이 주도했으며, 1월 9일부터는 XXXIX 기갑 군단도 전투에 깊숙이 관여했다. 1월 15일까지 콜마 포켓 내부 부대를 포함하여 최소 17개의 독일 사단이 G 집단군과 라인 상부 집단군 소속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여기에는 제6SS 산악사단 노르트, 제17SS 기갑척탄병, 제21기갑, 제25기갑척탄병 사단 등이 포함되었다. 스트라스부르 남쪽에서는 프랑스군 진지를 향한 소규모 공격도 있었으나 저지되었다. 독일군의 공세를 정면으로 받은 미국 제6군단은 1월 15일경에는 3면에서 전투를 벌이는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

한스 폰 룩 대령이 지휘하는 제21기갑사단 제125연대는 보주 산맥 동쪽 기슭을 따라 진격하여 라인강변의 자연 돌출부 북서쪽을 점령함으로써 스트라스부르로 향하는 미군 보급선을 차단하고자 했다. 1월 7일, 룩의 부대는 비셈부르크 남쪽의 리터스호펜과 하텐 마을에 접근했으나, 제79보병사단, 제14기갑사단, 제42보병사단 소속 부대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다. 1월 10일, 룩은 마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지만, 이후 2주간 독일군과 미군이 마을 일부를 각각 점령한 채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 민간인들은 지하실에 숨어 지내야 했다.

미 제7군의 완전한 붕괴를 우려한 아이젠하워는 이미 벌지 전투에서 소모된 부대들을 100km 이상 떨어진 남동쪽 전선으로 급파하여 제7군을 증원하도록 지시했다. 그러나 증원군의 도착은 지연되었고, 보급품과 탄약 부족에 직면한 제7군은 1월 21일, 큰 피해를 입은 제79보병사단과 제14기갑사단에게 리터스호펜에서 철수하여 모데르 강 남쪽의 새로운 방어선으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월 25일, 아게노 근처에서 미 제222보병연대가 독일군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저지하면서 독일군의 공세는 마침내 중단되었다. 이 공로로 제222보병연대는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같은 날, 벌지 전투에서 이동한 미군 증원 부대가 도착하기 시작했다. 스트라스부르는 성공적으로 방어되었지만, 콜마 포켓에 갇힌 독일군 부대는 여전히 위협으로 남아 있었다.

4. 2. 독일 공군의 보덴플라테 작전 실패

1944년 12월 31일, 노르트빈트 작전이 시작된 바로 그날, 루프트바페(독일 공군)는 지상군 지원을 위해 약 1,000대의 항공기를 동원하여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이는 보덴플라테 작전으로 알려졌으며, 북서부 유럽에 주둔한 연합군의 공군력을 무력화하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이 작전은 주요 목표를 전혀 달성하지 못한 채 실패로 끝났다.

4. 3. 격전과 미군의 저항

1944년 12월 31일 밤부터 1945년 1월 1일에 걸쳐, 독일 G 집단군(사령관: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과 라인 상부 집단군(사령관: 하인리히 힘러)은 110km에 걸쳐 얇게 분산된 미 제7군 방어선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다. 노르트빈트 작전 개시 당시 미 제7군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장군의 명령에 따라 벌지 전투 지역으로 병력과 장비를 보내 전력이 약화된 상태였기에 심각한 상황에 직면했다.

공세 시작일과 같은 날, 독일 루프트바페(독일 공군)는 약 1,000대의 항공기를 동원하여 보덴플라테 작전을 감행했다. 이는 유럽 북서부 연합군 공군력 무력화를 시도한 것이었으나, 주요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초기 공격은 G 집단군 소속 제1군 예하 3개 군단이 주도했으며, 1월 9일까지 XXXIX 기갑 군단 역시 격렬한 전투에 돌입했다. 1월 15일까지 G 집단군과 오버라인 집단군 소속의 최소 17개 독일 사단(콜마 포켓 내 부대 포함)이 전투에 투입되었는데, 여기에는 제6SS 산악사단, 제17SS 기갑척탄병사단, 제21기갑사단, 제25기갑척탄병사단 등이 포함되었다. 스트라스부르 남쪽 프랑스군 진지에 대한 소규모 공격도 있었으나 저지되었다.

독일군의 공세를 정면으로 받은 미 제6군단은 1월 13일에서 15일경 세 방향에서 전투를 벌이고 있었다. 특히 한스 폰 룩 대령이 이끄는 제21기갑사단 제125연대는 보주 산맥 동쪽 기슭을 따라 라인강변의 비셈부르크 남쪽 리터스호펜과 하텐 마을 점령을 시도했다. 이는 스트라스부르로 향하는 미군 보급선을 차단하려는 목적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연합군은 마지노 선의 방어 시설을 활용했다. 1월 7일부터 미 제79보병사단, 제14기갑사단, 제42보병사단 소속 부대들과 독일군 사이에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다. 2주간의 치열한 전투 끝에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으며, 룩 대령은 훗날 이 전투를 "역대 가장 치열하고 엄청난 피해를 입힌 전투 중 하나"였다고 회고했다.

제7군의 전면적인 붕괴를 우려한 아이젠하워는 벌지 전투 지역에서 100km 이상 떨어진 남동쪽으로 부대들을 급파했으나, 이들의 도착은 지연되었다. 결국 보급품과 탄약 부족에 직면한 미 제7군은 1월 21일, 큰 피해를 입은 제79보병사단과 제14기갑사단에 리터스호펜에서 철수하여 모데르 강 남쪽의 새로운 방어선으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월 25일, 미 제222보병연대가 아게노 근처에서 독일군의 진격을 결정적으로 저지하면서 독일군의 공세는 중단되었다. 이 공로로 해당 연대는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같은 날, 벌지 전투 지역에서 이동한 미군 증원 부대가 도착하기 시작했다. 스트라스부르는 방어되었으나, 콜마 포켓에 갇힌 독일군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4. 4. 미군의 증원과 독일군 공세 저지

한스 폰 룩 대령이 이끄는 제21기갑사단 제125연대는 보주산맥 동쪽 기슭을 따라 진격하여 라인강 서쪽의 하텐과 리터스호펜 마을 근처 마지노 선 방어선을 돌파하고, 스트라스부르로 향하는 미군의 보급선을 차단하려 시도했다. 1월 7일, 룩은 비셈부르크 남쪽의 리터스호펜과 하텐 마을에 도달했다. 이곳에서 미 제79보병사단, 제14기갑사단, 제42보병사단 소속 부대들과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다. 1월 10일, 룩은 마을에 진입했고, 이후 2주 동안 독일군과 미군은 마을의 일부를 각각 점령한 채 격렬한 시가전을 벌였다. 룩은 이 전투를 "역대 가장 치열하고 엄청난 피해를 입힌 전투 중 하나"였다고 회고했다.

독일군의 공세가 거세지자, 연합군 총사령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미 제7군의 완전한 붕괴를 우려했다. 그는 이미 벌지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은 부대들을 아르덴 지역에서 빼내어 100km 이상 떨어진 남동쪽의 제7군 전선으로 급파하여 증원하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이들 증원군의 도착은 지연되었다.

1월 21일, 보급품과 탄약이 고갈된 미 제7군은 결국 큰 피해를 입은 제79보병사단과 제14기갑사단에게 리터스호펜에서 철수하여 모데르 강 남쪽의 새로운 방어선으로 후퇴하라고 명령했다.

1월 25일, 아게노 근처에서 미 제222보병연대가 독일군의 마지막 공세를 성공적으로 저지하면서 독일군의 공세는 마침내 중단되었다. 이 공로로 제222보병연대는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같은 날, 아르덴에서 출발한 미군 증원군이 전선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스트라스부르는 성공적으로 방어되었지만, 콜마 포켓에 갇힌 독일군 부대는 여전히 위협으로 남아 있었다.

5. 결과

노르트빈트 작전의 격렬한 전투에서 미 제6군단은 총 14,716명의 사상자를 냈다. 미 제7군 전체의 손실은 정확히 집계되지는 않았으나, 전사 3,000명, 부상 9,000명, 그리고 질병 및 기타 부상으로 17,000명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다.[9]

이 작전과 동시에 진행된 보덴플라테 작전은 지상에 주기된 다수의 연합군 항공기를 파괴하는 데 성공했으나, 루프트바페 역시 수많은 항공기와 숙련된 조종사를 잃는 큰 대가를 치렀다. 이는 결과적으로 독일 공군의 전투력을 크게 약화시켜 연합군이 제공권을 완전히 장악하는 결과를 낳았다.[10]

작전 종료 후인 1945년 2월, 미 제21군단의 지원을 받은 프랑스 제1군은 콜마르 포켓을 성공적으로 섬멸하여 라인강 서안, 스트라스부르 남쪽에 위치한 독일군 병력을 제거했다.

6. 참여 부대

노르트빈트 작전은 나치 독일독일 국방군무장친위대 부대들이 공세를 펼쳤고, 이에 맞서 미국 육군 제7군과 프랑스 제1군이 방어에 나섰다.

6. 1. 독일군

(XIII.SS-Armeekorps)제90군단
(LXXXX.Armeekorps)제89군단
(LXXXIX.Armeekorps)지원 부대
제19국민척탄병사단 로고



제64군단
(LXIV.Armeekorps)
제63군단
(LXIII.Armeekorps)
제14SS군단
(XIV.SS-Armeekorps)
예비군


참조

[1] 웹사이트 Cirillo 2003 https://history.army[...] 2018-08-16
[2] 웹사이트 Cirillo 2003 https://history.army[...] 2018-08-16
[3] 서적 Riviera To The Rhine
[4] 간행물 Grandes Unités Françaises
[5] 서적 U.S. Army in World War II European Theater of Operations: Riviera to the Rhin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993
[6] 서적 U.S. Army in World War II European Theater of Operations: Riviera to the Rhine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993
[7] 서적 Riviera to the Rhine (CMH Pub 7–10) http://www.history.a[...]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2016-05-01
[8] 서적 ライフ バルジの戦い
[9] 서적 Riviera To The Rhine
[10] 서적 The Fall of Berlin 1945 Viking 2002
[11] 서적 Riviera to the Rhine (CMH Pub 7-10) http://www.history.a[...]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