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 (동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숙(동오)은 동오의 인물로, 노숙의 유복자이다. 장승에게 후계자로 주목받았으며, 손휴 대에 무창독, 손호 대에 하구독을 역임했다. 영안 연간에 소무장군, 도정후, 무창독이 되었고, 건형 연간에는 가절을 받았다. 273년 서진의 익양을 공격했으나 왕혼에게 격파당했으며, 274년에 사망하여 아들 노목이 작위와 병마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7년 출생 - 가충
가충은 삼국시대 위나라부터 서진 시대까지 사마씨 일가를 섬긴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조모 시해에 가담했으며, 서진 건국 공신으로서 《진율령》 편찬에 기여했지만, 딸 가남풍으로 인해 서진 멸망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217년 출생 - 왕원희
왕원희는 삼국시대 위나라 왕숙의 딸이자 진 무제 사마염의 어머니로, 어려서부터 재능이 뛰어났으며 사마소와 결혼하여 5남 1녀를 두었고, 사마소가 섭정이 된 후 종회의 위험성을 경고했으며, 사마염이 황제가 된 후 황태후가 되어 검소한 생활을 하다 사마소와 합장되었다. - 218년 출생 - 갈리에누스
갈리에누스는 253년부터 268년까지 로마 황제로 재위했으며, 게르만족 격퇴, 군사 개혁을 시도했으나 여러 반란과 암살을 겪고 사후 로마 제국은 분열되었다. - 218년 출생 - 나헌
나헌은 삼국 시대 촉나라와 진나라의 장군으로, 촉한 멸망 후에도 영안을 지키며 오나라의 침략을 막아낸 인물이다. - 274년 사망 - 마니 (예언자)
마니는 3세기 페르시아에서 마니교를 창시하고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등을 융합한 교리를 설파했으며, 스스로를 마지막 예언자라고 칭했으나 박해를 받아 처형되었다. - 274년 사망 - 무원황후
무원황후 양염은 서진 무제의 황후로, 총명하고 아름다워 사마염과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태자 옹립에 기여했지만 질투심으로 후궁 선발에 영향을 주고 가남풍을 태자비로 추천하여 서진 멸망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노숙 (동오) | |
---|---|
기본 정보 | |
이름 | 魯淑 (노숙) |
로마자 표기 | Lǔ Shū |
칭호/직책 | 소무장군 도정후 하구독 |
출생 | 건안 22년 (217년)? |
출신지 | 서주하비국 동성현 |
사망 | 봉황 3년 (274년) |
주군 | 손휴 손호 |
기타 정보 | |
자 | (기록 없음) |
시호 | (기록 없음) |
묘호 | (기록 없음) |
별명 | (기록 없음) |
특기 사항 | 노숙의 유복자임. |
2. 생애
노숙(魯肅)의 유복자로, 장승에게서 자신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주목받았다.
손휴(孫休) 대에는 무창독, 손호(孫皓) 대에는 하구독을 역임하며 엄정한 통치를 실시했다.
273년 7월, 서진의 익양을 포위했으나 왕혼에게 격파당했다.[4]
274년에 사망하여 아들 노목(魯睦)이 뒤를 이었다.
2. 1. 초기 생애와 평가
노숙(魯肅)의 유복자이다. 장년에 이르러 유수의 장승으로부터 자신과 같은 지위에 오를 것이라고 평가받았다.[3]영안 연간(258년 - 264년)에 소무장군, 도정후, 무창독이 되었다.[3] 건형 연간(269년 - 271년)에 가절을 받았으며, 하구독으로 옮겨갔다. 임지에서는 엄정하였고, 지방을 다스리는 재능이 있었다.[3]
봉황 3년(274년)에 사망하였다. 아들 노목이 작위와 병마를 계승했다.
2. 2. 군사적 활동과 통치
노숙은 노숙(魯肅)의 유복자이다. 유수독(濡須督) 장승에게서 자신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주목받았다.손휴(孫休) 대에는 무창독(武昌督)이 되었으며, 손호(孫皓) 대에는 하구독(夏口督)이 되었다. 임지에서는 항상 엄정한 통치를 실시했다.[3]
274년에 죽어 그 아들 노목(魯睦)이 뒤를 이었다.[4]
2. 3. 서진과의 전투
영안 연간(258년~264년)에 소무장군, 도정후, 무창독이 되었다.[3] 건형 연간(269년~271년)에 가절을 받았으며, 하구독으로 옮겨갔다. 임지에서는 엄정하였고, 지방을 다스리는 재능이 있었다.봉황 2년(273년) 7월, 서진의 영지인 익양을 포위했으나 왕혼에게 격파당했다.[4]
2. 4. 죽음과 계승
노숙의 유복자이다. 유수독(濡須督) 장승에게서 자신의 뒤를 이을 후계자로 주목받았다.[3]손휴 대에는 무창독, 손호 대에는 하구독을 역임했다. 임지에서는 엄정한 통치를 실시했다.[3]
274년 사망했으며, 아들 노목(魯睦)이 뒤를 이었다.[4]
3. 가계
- 아버지 : 노숙
- 아들 : 노목
참조
[1]
문서
魯粛の遺腹の子であり、魯粛の没年が建安22年。すなわち建安23年([[218年]])生の可能性もある。
[2]
서적
『三国志』魯粛伝記載の、魯粛の本貫は[[臨淮郡]]。ただし当時、臨淮郡は置かれておらず、東城県は下邳国に属す。[[范曄]]『[[後漢書]]』下邳恵王衍伝より。
s:zh:後漢書/卷50#下邳惠王衍
[3]
서적
『三国志』呉書 [[呂岱]]伝によると、武昌督は右部督・左部督に分かれていたが、魯淑が左右どちらに就いたかは不明。
s:zh:三國志/卷60#呂岱
[4]
서적
[[房玄齢]]等『[[晋書]]』世祖武帝紀より。なお、同書王渾伝ではこの時、魯淑に連動して[[薛瑩]]が新息に侵攻し、王渾により撃ち破られたのは薛瑩とし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