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농업경제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업경제학은 희소한 자원의 배분에 대한 경제학적 원리를 농업 생산에 적용하여 농업 생산자와 관련된 의사 결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20세기 초에 학문 분야로 발전했으며, 토지 경제학 연구에서 기원한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농업 생산 및 경영, 농업 환경 및 천연 자원, 식량 및 소비자 경제학, 농업 개발 및 정책 등이 있으며, 환경 경제학, 개발 경제학, 식량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연구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업경제학 - 제1차 산업
    제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 자연에 직접 의존하는 산업 활동으로, 식량 및 원자재 공급, 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별 분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세계적으로 GDP 및 고용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 농업경제학 - 농업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은 농민의 경제적 이익 증진을 위해 농업 투입재 구매, 생산품 가공, 자금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17세기 유럽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 식품산업 - 농산물
    농산물은 농업을 통해 생산되는 다양한 종류의 산물로, 곡물, 채소, 과일, 콩류, 꽃, 축산물 등 종류가 다양하며, 세척 및 온도와 습도 관리를 통해 보관된다.
  • 식품산업 - 유전자 변형 식품
    유전자 변형 식품은 유전 공학적 방법으로 DNA를 변형한 유기체에서 생산되는 식품으로, 식량 생산 증대와 영양 강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안전성과 환경 영향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며 국가별로 규제가 다르다.
농업경제학
개요
학문 분야경제학
연구 대상농업 부문, 농산물 시장, 농업 관련 정책, 농촌 지역 경제
관련 학문농학, 경제학, 지역 개발학, 환경학
역사
초기 연구튀넨의 고립국 이론, 코브-더글러스 생산 함수
발전계량경제학 발전과 함께 실증 분석 활발
현대행동경제학, 실험경제학 등 새로운 분야와 접목 시도
주요 연구 분야
농업 생산 경제생산 요소 투입, 생산 효율성, 기술 변화 분석
농산물 시장 경제수요 및 공급 분석, 가격 결정, 시장 구조 연구
농업 정책정부 보조금, 가격 지지 정책, 무역 정책 효과 분석
농촌 경제농촌 지역 개발, 농가 소득 증대 방안 연구
환경 및 자원 경제농업 환경 영향, 지속 가능한 농업, 자원 관리 연구
주요 연구 방법
경제 이론 모델수요-공급 모델, 생산 함수 모델 등
계량경제학적 분석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등
실험경제학적 방법소비자 행동, 생산자 의사 결정 실험
설문 조사 및 통계 분석농가 경영 실태, 소비자 선호도 조사
주요 학술지
국내한국농업경제학회 학술지
농촌경제연구원 학술지
국제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European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Agricultural Economics
주요 연구자
초기 연구자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
현대 연구자시어도어 슐츠
엘리노어 오스트롬
관련 개념
거미집 이론Mordecai Ezekiel, The Cobweb Theorem,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52(2), 255–280, 1938
헤도닉 가격 모형Waugh, F., Quality Factors Influencing Vegetable Prices, Journal of Farm Economics, 10(2), 185–196, 1928
잡종 옥수수Zvi Griliches, Hybrid Corn: An Exploration in the Economics of Technical Change, Econometrica, 25(4), 501–522, 1957

2. 역사

농업경제학은 19세기 후반, 토지 경제학 연구에서 시작되어 20세기 초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헨리 찰스 테일러는 1909년 위스콘신 대학교에 농업 경제학과를 설립하여 이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5] 시어도어 슐츠는 개발 경제학을 연구하고 계량 경제학을 농업 경제학 분석에 도입하여 197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6][7]

포드 런지(Ford Runge)는 농업 경제학이 19세기 후반에 등장하여 기업 이론, 마케팅 및 조직 이론을 결합했으며, 20세기 동안 일반 경제학의 경험적 분야로 크게 발전했다고 요약했다. 이 학문은 수학 통계의 경험적 응용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계량 경제학 방법에 초기의 중요한 기여를 했다. 1960년대 이후 OECD 국가의 농업 부문이 축소되면서 농업 경제학자들은 빈곤 국가의 개발 문제, 무역 및 거시 경제 정책적 의미, 다양한 생산, 소비, 환경 및 자원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8]

농업 경제학자들은 거미집 모형,[9] 헤도닉 회귀 가격 모형,[10] 신기술 및 확산 모형 (즈비 그리릴체스),[11] 다요인 생산성 및 효율성 이론, 측정,[12][13] 임의 계수 회귀[14]와 같은 모형으로 경제 분야에 많은 기여를 했다.

아시아에서는 1919년 9월 홋카이도 대학에 농업 경제학부가 설립되었고, 일본 도쿄 대학 농학부도 농업 과학 제2학과에서 농업 경제학부를 시작했다. 필리핀에서는 1919년 필리핀 대학교 로스 바뇨스 농업 경제학과에서 처음으로 농업 경제학을 제공했다.

1970년대 이후 농업 경제학은 농업 환경 및 자원, 위험 및 불확실성, 식량 및 소비자 경제학, 가격 및 소득, 시장 구조, 무역 및 개발, 기술 변화인적 자본의 일곱 가지 주요 주제에 주로 초점을 맞춰 왔다.[15]

경제학과 농업경제학의 관계에는 여러 설이 있다. 농업경제학을 경제학의 한 분야로 보는 시각도 있고, 독립된 과학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30] 자본주의 경제 이전에는 농업 경제가 일반 경제였지만, 농업 경제는 일반 경제에서 부분화되고 특수화되었다.[30] 공업 생산과 농업 생산의 중요한 차이점은 공업 생산은 공학적·화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반면, 농업 생산은 생물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다는 것이다.

농업 내부의 문제로는 산업 간 농업 소득이 상대적으로 작아진 점이 있으며, 농업의 자본주의화 지연은 토지 소유 문제가 배경에 있다고 생각되었다.[30] 농업 외부의 문제로는 자본주의 경제에서 노동자를 고용하여 상품을 생산하고 이윤을 올리는 공업과, 주로 업주와 그 가족에 의해 생산을 하는 자본과 노동의 미분리된 농업이 있다.[30]

19세기 후반에는 유럽 대륙과 미국의 농업 칼리지 등에서 경쟁 시장에서의 가격 이론, 농업 재정·세제·토지 평가 등이 가르쳐지게 되었다.[31] 또한, 대학의 경제학부에서는 지대론과 토지 보유 형태 등도 강의되었다.[31]

농업은 토지를 생산 요소로 하는 토지 집약적 산업이며, 생산 요소로서의 토지에는 생산 불가능성, 이동 불가능성, 외연성, 불가멸성, 지역성이 있다. 농지는 엄밀히 말하면 황무지 개척 등으로 넓힐 수 있지만(생산), 조성 비용(투자 지출)을 작물에 의한 수익으로 회수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농지의 추가나 갱신은 매우 적다.

2. 1. 독일

독일의 농업경제학은 역사학파의 영향을 받아 발달했다.[30]

1842년 프리드리히 리스트는 『농지 제도론』(Die Ackerverfassung,die Zwergwirtschaft und die Auswanderung)을 저술했는데, 이는 경제학의 국민적 체계에 농업을 포함시킨 것이었다.[32]

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은 『농업 및 국민경제에 관한 고립국』(Der isolierte Staat in Beziehung auf Landwirtschaft und Nationalökonomie)을 통해 개별 경제 단위로서의 농업 경영을 국민경제학의 학문적 수준으로 끌어올렸다.[32]

2. 2. 미국

미국의 농업경제학은 고전파 경제학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30] 헨리 찰스 테일러는 1909년 위스콘신 대학교에 농업 경제학과를 설립하여 이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5] 시어도어 슐츠는 개발 경제학을 연구하고 계량 경제학을 농업 경제학 분석에 도입하여 197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6][7][33] E.O. 헤디는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에서 농업경제학을 가르치며 미시경제학을 농업경제학에 적용했다.[33]

2. 3. 영국

영국에서 농업경제학이 농업과학의 한 분야로 독립한 것은 20세기 초로 여겨지며,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대학의 교과 과정에 추가되었다[31]。그 이전에도 아서 영(Arthur Young) 등의 농업 경제 연구가 있었지만, 농업 연구 또는 농업 과학에서 독립된 것은 아니었다[31]에든버러 대학교의 농업 강좌(1790년)나 옥스퍼드 대학교의 농업 강좌(1796년)가 있었지만, 농업 전반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농업 경제만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었다[31]

1902년에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농업 시험장인 로섬스테드 농업 시험장의 장으로 취임한 홀(Sir Daniel Hall)은 1908년에 미국 농무성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하여, 미국에서 농업 경제학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고, 1910년에 신설된 개발 위원회(Development Commission)의 멤버가 되었다[31]。홀은 개발 위원회의 멤버로서 옥스퍼드 대학교에 요청하여, 1913년 1월에 대학 내에 농업 경제 연구소(Agricultural Economics Institute at Oxford)가 발족했다[31]。이 농업 경제 연구소의 소장 오윈(Charles S. Orwin)과 연구원 애시비(Arthur W. Ashby)는 영국 최초의 농업 경제학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자로 여겨진다[31]

또한, 스코틀랜드에서는 덩컨(Joseph Duncan)이 1912년에 스코틀랜드 농업 노동자 조합(Scottish Farm Servants Union)을 조직했고, 제1차 세계 대전 후에 오윈과 애시비와 교류했다[31]。제1차 세계 대전 종전 무렵에는 애시비와 덩컨은 농업 위원회(Royal Commission on Agriculture)의 멤버가 되었다[31]

2. 4. 한국

1919년 9월, 홋카이도 제국대학(현재의 홋카이도 대학)에 농업경제학과가 최초로 설치되었고, 같은 해 3월 도쿄 제국대학 농학부에 농업경제학을 연구하는 학과가 설치되었다.[1] 이후 1922년 우츠노미야 고등농림학교(현재의 우츠노미야 대학), 1924년 1월 교토 제국대학(현재의 교토 대학) 등에도 농업경제학 관련 학과가 설치되었다.[1]

3. 주요 연구 분야

경제학은 희소성 하에서 자원 배분에 대한 연구로 정의되어 왔다. 농업 생산자가 내리는 결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경제적 방법을 적용하는 농업 경제학은 20세기 초에 두각을 나타냈다. 농업 경제학 분야는 토지 경제학 연구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헨리 찰스 테일러는 1909년 위스콘신 대학교에 농업 경제학과를 설립하여 이 시대에 크게 기여했다.[5]

미국 대통령 캘빈 쿨리지가 McNary–Haugen Farm Relief Bill을 쓰레기통에 버리는 모습을 묘사한 만화


1979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시어도어 슐츠는 농업과 직접 관련된 문제로 개발 경제학을 연구한 선구자 중 한 명이다.[6] 슐츠는 계량 경제학을 농업 경제학 분석 도구로 확립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1956년 논문에서 농업 공급 분석이 "모래 위에 지어진 집"과 같다고 지적하며, 당시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시사했다.[7]

농업 경제학자들은 거미집 모형,[9] 헤도닉 회귀 가격 모형,[10] 신기술 및 확산 모형 (즈비 그리릴체스),[11] 다요인 생산성 및 효율성 이론과 측정,[12][13] 임의 계수 회귀 등 다양한 모형을 통해 경제학 분야에 기여했다.[14] 농업 부문은 완전 경쟁 경제 패러다임의 대표적인 예시로 자주 언급된다.

아시아에서는 1919년 9월 홋카이도 대학에 농업 경제학부가 설립되었고, 일본 도쿄 대학 농학부에서도 농업 과학 제2학과에 농업 경제학부를 설치했다.

필리핀에서는 1919년 필리핀 대학교 로스 바뇨스에서 농업 경제학을 처음으로 개설했다. 오늘날 농업 경제학은 농장 관리 및 생산 경제학, 농촌 금융 및 기관, 농업 마케팅 및 가격, 농업 정책 및 개발, 식량 및 영양 경제학, 환경 및 천연 자원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통합 학문으로 발전했다.

1970년대 이후 농업 경제학은 농업 환경 및 자원, 위험 및 불확실성, 식량 및 소비자 경제학, 가격 및 소득, 시장 구조, 무역 및 개발, 기술 변화인적 자본 등 주요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5]

농업 경제학은 다음과 같은 여러 분야와 연계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3. 1. 농업 생산 및 경영

농업 경제 연구는 농민의 비용 및 공급 반응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의 수확 체감에 대해 다루었다.[45] 많은 연구가 농장 수준의 결정에 경제 이론을 적용했다. 불확실성 하에서의 위험 및 의사 결정에 대한 연구는 농작물 보험 정책에 대한 실제 적용과 개발도상국의 농부들이 기술 채택에 대한 선택을 이해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제는 물 부족 및 기후 변화와 같은 새로운 자원 및 환경 문제에 직면한 증가하는 세계 인구를 위해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한 전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45]

3. 2. 농업 환경 및 천연 자원

농업 경제학자들은 환경 경제학 분야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영역에 기여해왔다.

  • 환경 외부성(예: 농업 생산으로 인한 수질 오염)을 제어하기 위한 인센티브 설계
  • 매력적인 농촌 경관과 같은 자연 자원 및 환경 편익의 비시장적 가치 추정
  • 경제 활동과 환경 결과 간의 복잡한 상호 관계[16]


또한, 천연 자원과 관련하여 농업 경제학자들은 토지 관리 개선, 침식 방지, 해충 관리, 생물 다양성 보호, 가축 질병 예방을 위한 정량적 도구를 개발했다.[17][43]

3. 3. 식량 및 소비자 경제학

농업경제학자들은 가격과 소득의 영향뿐만 아니라, 정보와 품질 속성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해 왔다.[44] 이들은 가계의 식품 구매 또는 자가 조리 방식, 식품 가격 결정 방식, 빈곤 기준 정의, 소비자의 가격 및 소득 변화에 대한 일관된 반응 방식, 소비자 선호도 이해를 위한 조사 및 실험 도구 활용 등에 대한 연구에 기여했다.[44]

3. 4. 농업 개발 및 정책

개발경제학은 저소득 국가의 생활 조건 개선 및 저소득 환경의 경제적 성과 개선과 관련되어 있다. 농업은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고용과 국내총생산(GDP) 점유율 측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농업 경제학자들은 개발 경제학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최전선에 서서 경제 발전, 경제 성장 및 구조적 변화에서 농업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46][47] 많은 농업 경제학자들은 개발도상국의 식량 시스템, 농업과 영양 간의 연결, 농업이 자연 환경과 같은 다른 영역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관심이 있다.[46][47]

3. 5. 기타 분야

농업 경제학은 환경 경제학, 개발 경제학, 식량 경제학, 비교 경제학, 농촌 사회학, 농정학, 농업 경영학, 지역 계획학, 농업사, 농업 부기학, 농업 평가학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하여 연구를 수행한다.


4. 농업 경제학의 특징

경제학과 농업경제학의 관계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그 대상을 어떻게 파악하는가에 따라 기술적, 경영적, 정책적, 사회경제적 파악 등으로 나뉜다. 농업경제학을 경제학의 한 분야로 보는 시각도 있고, 농업경제학을 경제학에서 분과된 독립된 과학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그 이론과 근거는 일치하지 않는다.[30]

19세기 후반, 유럽 대륙과 미국의 농업 칼리지 등에서는 경쟁 시장에서의 가격 이론, 농업 재정·세제·토지 평가 등을 가르쳤다.[31] 또한, 대학의 경제학부에서는 지대론과 토지 보유 형태 등도 강의했다.[31]

4. 1. 농업 생산의 특수성

농업 생산은 공업 생산이 공학적·화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반면, 생물학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다는 특성을 지니며, 이는 농업경제학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이다.[30]

농업은 토지를 생산 요소로 하는 토지 집약적 산업이며,[30] 토지는 생산 불가능성, 이동 불가능성, 외연성, 불가멸성, 지역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은 농업 경제 문제를 분석할 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30]

농지는 황무지 개척 등으로 넓힐 수 있지만, 조성 비용을 작물 수익으로 회수하기가 쉽지 않아 추가나 갱신이 매우 적다.[30] 또한, 경작지는 생태계 영향, 화학 비료 및 농약에 의한 환경 부하 등 환경 문제의 과제를 안고 있다.[30]

농지는 이동이 어렵고, 지역 기상 조건에 맞는 다른 생산 요소의 특징을 지닌다.[30]

4. 2. 농업과 자본주의 경제

자본주의 경제 이전 혹은 자본주의 경제 건설기에는 농업 경제가 일반 경제였지만, 농업 경제는 일반 경제에서 부분화되고 특수화되었다.[30] 학문적으로는 공업의 진흥이 경제학을 전개시켰지만, 한편으로는 경제를 지배하던 농업은 경제의 일부로 특수화되어 농업경제학의 과제로 여겨지게 되었다.[30]

농업 내부의 문제로는 자본주의 경제학의 전개 과정에서 농업경제학이 경제학의 일반적인 위치에서 부분적인 위치로 옮겨가면서 산업 간 농업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작아진 점이 있으며, 농업의 자본주의화 지연은 토지 소유 문제가 배경에 있다고 생각되었다.[30] 농업 외부의 문제로는 자본주의 경제에서 노동자를 고용하여 상품을 생산하고 이윤을 올리는 공업과, 주로 업주와 그 가족에 의해 생산을 하는 자본과 노동의 미분리된 농업이 있으며, 이 양자 간의 자본과 노동의 이동과 상품의 유통에 관한 관련성이 문제로 다루어졌다.[30]

농업은 토지를 생산 요소로 하는 토지 집약적 산업이며, 생산 요소로서의 토지에는 생산 불가능성, 이동 불가능성, 외연성, 불가멸성, 지역성이 있어서 농업상의 경제 문제를 생각할 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농지는 엄밀히 말하면 황무지 개척 등으로 넓힐 수 있지만(생산), 조성 비용(투자 지출)을 작물에 의한 수익으로 회수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농지의 추가나 갱신은 매우 적다. 또한, 경작지에 관해서는 생태계에 대한 영향이나 화학 비료 및 농약에 의한 환경 부하 등 환경 문제에 대해서도 과제가 되고 있다.

농지는 움직이는 것이 어렵고, 지역의 기상 조건에 맞춘 다른 생산 요소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자본주의 일반 경제에 대한 농업 경제의 모습은 각국에서 동일하지 않으며, 농업경제학의 전개에도 다른 특징이 나타난다.[31]

5. 한국 농업 경제학의 과제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농업경제학' 문서의 '한국 농업 경제학의 과제' 섹션 내용을 빈칸으로 둡니다.)

참조

[1] 간행물 agricultural economics The New Palgrave: A Dictionary of Economics 1987
[2] 간행물 Agriculture, Economics of https://dx.doi.org/1[...]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2001
[3] 간행물 agricultural economics http://www.dictionar[...]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008
[4] 논문 Evolution of the Economics of Agricultural Polic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010
[5]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1909-1972 http://www.aae.wisc.[...] 2009-09-17
[6] 서적 Economic Growth and Agriculture MacGraw-Hill
[7] 논문 Reflections on Agricultural Production, Output and Supply
[8] 웹사이트 Agricultural Economics: A Brief Intellectual History http://ageconsearch.[...] 2006-06
[9] 논문 The Cobweb Theorem http://www.econ-pol.[...] 1938-02
[10] 논문 Quality Factors Influencing Vegetable Prices
[11] 논문 Hybrid Corn: An Exploration in the Economics of Technical Change
[12] 간행물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13] 보고서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Meatpacking Industry, 1919-47 USDA Marketing Research Report No. 59
[14] 논문 Some Estimators for a Linear Model with Random Coefficients
[15] 웹사이트 Agricultural Economics: A Brief Intellectual History http://ageconsearch.[...] 2006-06
[16] 논문 Environmental Economics: How Agricultural Economists Helped Advance the Fiel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010
[17] 논문 Natural Resource Economics and Conservation: Contributions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Agricultural Economist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010
[18] 논문 Food and Consumer Economic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010
[19] 논문 Production Economics and Farm Management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010
[20] 논문 The Role of Agriculture in Develop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2002
[21] 간행물 Agricul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Handbook of Agricultural Economics 2002
[22] 웹사이트 Agricultural Economics http://www.iaae-agec[...] 2009-12-14
[23] 웹사이트 Careers in Agricultural Economics: Job Options and Requirements http://education-por[...] 2014-10-11
[24] 웹사이트 What's the Value of an Agricultural Economics Degree? http://aede.osu.edu/[...] Department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 Economics at the Ohio State University 2014-10-11
[25] 웹사이트 What's It Worth? The Economic Value of College Majors http://cew.georgetow[...] 2014-10-11
[26] 간행물 agricultural economics The New Palgrave: A Dictionary of Economics 1987
[27] 간행물 Agriculture, Economics of https://doi.org/10.1[...]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2001
[28] 간행물 agricultural economics http://www.dictionar[...]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2008
[29] 논문 Evolution of the Economics of Agricultural Polic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010
[30] 논문 経済学と農業経済学との関連 http://id.nii.ac.jp/[...] 北海道教育大学
[31] 논문 イギリス農業経済学の形成とプロフェッションの誕生 https://hdl.handle.n[...] 京都産業大学
[32] 논문 ドイツ農業経営と会計記録の史的考察 -シュマーレンバッハの所論を中心として- https://agriknowledg[...] 明治大学農学部
[33] 뉴스 清水徹朗「戦後日本の農業思想と農政論」農林金融2020・6 https://www.nochuri.[...] 農林中金総合研究所 2022-07-27
[34] 문서 李登輝元[[中華民国総統]]は[[1943年]]10月に当時の京都帝国大学農学部に進学をし、農業経済学を学んでいたが、学徒出陣により出征をしている。
[35] 간행물 agricultural economics The New Palgrave: A Dictionary of Economics 1987
[36] 논문 Agriculture, Economics of https://dx.doi.org/1[...] 2001
[37] 서적 agricultural economics http://www.dictionar[...] 2008
[38] 논문 Evolution of the Economics of Agricultural Policy 2010
[39] 저널 The Cobweb Theorem https://web.archive.[...] 1938-02
[40] 저널 Quality Factors Influencing Vegetable Prices 1928
[41] 저널 Hybrid Corn: An Exploration in the Economics of Technical Change 1957
[42] 논문 Environmental Economics: How Agricultural Economists Helped Advance the Field 2010
[43] 논문 Natural Resource Economics and Conservation: Contributions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Agricultural Economists 2010
[44] 논문 Food and Consumer Economics 2010
[45] 논문 Production Economics and Farm Management 2010
[46] 논문 The Role of Agriculture in Development 2002
[47] 서적 Agricul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