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아쇠는 화기에서 탄약을 격발시키는 데 사용되는 부품으로, 고대 석궁에서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방아쇠는 해머 또는 스트라이커를 작동시켜 뇌관을 타격하고, 뇌관의 점화로 탄약이 발사되는 과정을 시작한다. 방아쇠의 작동 방식은 싱글 액션, 더블 액션, 더블 액션/싱글 액션, 더블 액션 온리, 프리셋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 방식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방아쇠는 작동 방식에 따라 사격의 정확성, 속사, 안전성 등에 영향을 미치며, 특수 작동 방식과 세트 트리거와 같은 추가 기능을 갖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아쇠 | |
|---|---|
| 방아쇠 (화기) | |
| 개요 | |
| 유형 | 화기 부품 |
| 기능 | 발사 메커니즘 활성화 |
| 구성 요소 | |
| 주요 부품 | 방아쇠쇠 (트리거) 시어 (Sear) 해머 (Hammer) 디스커넥터 (Disconnector) 스프링 (Spring) 핀 (Pin) |
| 작동 원리 | |
| 작동 방식 | 방아쇠를 당겨 시어를 해제 해머가 전진하여 탄약을 격발 |
| 안전 장치 | |
| 안전장치 유형 | 수동 안전 장치 자동 안전 장치 하프칵 |
| 기타 | |
| 관련 용어 | 발사 제어 장치 (Fire control group) 격발 (Firing) |
| 주의사항 | |
| 오발 사고 방지 | 안전 수칙 준수 필수 |
2. 역사
최초의 방아쇠 기구는 고대 동양과 서양의 석궁에 사용되었다. 초기 화기는 휴대용 불씨를 점화구에 직접 삽입하는 점화구 방식이었지만, 곧 화승을 고정하는 금구와 레버 형태의 방아쇠가 일체형인 서펜타인 록 방식이 등장하였다. 14~15세기 무렵에는 기구의 고정과 용수철 구동 메커니즘을 방아쇠로 조작하는 마치락 방식으로 발전했다.
화기는 약실 내의 탄약을 발사하는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 방아쇠를 사용한다. 발사 과정은 타격 장치가 스프링의 힘과 운동 에너지를 격침에 전달하고, 격침이 뇌관을 때려 발화시키는 것으로 완료된다.[1]
방아쇠의 작동 방식은 방아쇠가 총기에 대해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따라 분류된다. 주요 기능은 해머 또는 스트라이커를 해제하여 사격을 개시하는 것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부가 기능이 있을 수 있다.

3. 기능
타격을 가하는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해머와 스트라이커이다. 해머는 스프링의 힘이 걸린 금속 덩어리로, 해방되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격침을 때려 탄약을 발사한다.[1] 스트라이커는 기본적으로 스프링의 힘이 걸린 격침으로, 탄약과 같은 축선 위를 움직이며, 독립된 해머는 필요 없다.[1]
방아쇠와 해머의 접촉 부분은 일반적으로 시어(sear)라고 불린다.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며, 방아쇠와 해머가 직접 접촉하는 것, 독립된 갈고리를 거치는 것, 또는 다른 부품을 사용하는 것 등이 있다.[1]
4. 작동 방식
방아쇠 장치는 일반적으로 싱글 액션(Single Action)과 더블 액션(Double Action)으로 나눌 수 있다. 방아쇠 작동은 세 가지 기계적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테이크업(Takeup)''' 또는 '''프리트래블(Pre-travel)''': 노치가 움직이기 *전* 방아쇠의 움직임.
2. '''브레이크(Break)''': 노치가 움직이는 *동안* 방아쇠의 움직임으로, 느껴지는 저항이 갑자기 감소하는 해제 지점까지 이어진다.
3. '''오버트래블(Overtravel)''': 노치가 이미 해제된 *후* 방아쇠의 움직임.
화기의 실제 정확도를 고려할 때, 방아쇠 작동 중 '''테이크업'''은 종종 가장 중요하지 않은 단계로 여겨진다. 방아쇠는 테이크업에 따라 단동식 또는 이단식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단동식 방아쇠는 사냥용 소총에, 이단식 방아쇠는 경기용 소총에 많이 사용된다. 일부 조정 가능한 방아쇠는 테이크업을 조정하여 단동식 또는 이단식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글록(Glock) 세이프 액션 방아쇠나 새비지 AccuTrigger와 같은 일부 단동식 방아쇠에는 안전장치가 있어 기능적으로 이단식 방아쇠를 모방할 수 있다.
방아쇠의 '끊김(break)'은 격발 직전에 발생하며, 사수의 손에서 원치 않는 흔들림을 유발할 수 있어 정확도에 매우 중요하다. 방아쇠 ''오버트래블(overtravel)''은 방아쇠가 당겨진 직후에 발생하며, 탄환이 총열을 떠나기 전에 흔들림을 유발할 수 있어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사용자가 방아쇠를 놓으면 방아쇠는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반자동 화기의 경우, 재설정 위치를 지나 방아쇠를 다시 당기면 격철이 해제된다. 재설정 과정은 더블 액션 화기와 전자동 화기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방아쇠 설계에는 여러 유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방아쇠가 수행하도록 설계된 기능, 즉 방아쇠의 '''작동'''에 따라 분류된다. 방아쇠는 주로 해머/타격기를 해제하여 사격을 개시하도록 설계되었지만, 해머/타격기를 장전하거나, 리볼버의 실린더를 회전시키거나, 내부 안전장치를 해제하거나, 다른 사격 모드 간 전환 또는 당기는 힘을 줄이는 등의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중 초승달 방아쇠'''는 사격 모드 선택 스위치 없이 선택 사격 기능을 제공한다. 방아쇠의 위쪽 부분을 누르면 반자동 사격이, 아래쪽 부분을 누르면 자동 사격이 이루어졌다. 예로는 MG 34, m/40 자동소총, M1946 지크 자동소총, 스타 모델 Z62 등이 있다.
'''점진식''' 또는 '''단계식 방아쇠'''는 방아쇠를 당기는 정도에 따라 발사 속도가 달라지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살짝 당기면 단발로 발사되고, 더 세게 당기면 자동 사격으로 발사된다.[8] 예시로는 FN P90, 자티매틱, PM-63, F1 기관단총, 슈타이어 AUG 등이 있다.
4. 1. 싱글 액션 (Single Action)
싱글 액션(SA) 방아쇠는 공이 또는 공이치기가 장전된 상태에서 방아쇠를 당기면 격발되는 방식이다.[1] 해머 스프링이 미리 장전된 상태에서 격발이 시작되므로, 방아쇠 압력을 일정 범위 안에서 조절할 수 있다. 더블 액션보다 방아쇠 압력이 낮아 짧은 시간 안에 정확한 사격을 할 수 있지만, 격발 전에 수동으로 장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1]
싱글 액션 방아쇠는 망치/타격기를 발사하는 *단일* 기능만 수행한다.[1] 거의 모든 단발식 및 반복식 장총(소총, 샷건, 기관단총, 기관총 등)에 사용된다.[1]
19세기 중후반의 "고전적인" 싱글 액션 권총에는 흑색화약 캡록 화승식총(콜트 1860 "아미" 모델, 콜트 1851 "네이비" 모델 등)과 금속약협 권총(콜트 모델 1873 "싱글 액션 아미" 등)이 있으며, 모두 발사 전에 엄지손가락으로 망치를 장전해야 했다.
콜트 드래곤과 같은 싱글 액션 리볼버는 총을 발사할 때마다 손으로 해머를 장전해야 한다. 싱글 액션 반자동 권총은 첫 발을 발사할 때 해머를 장전해야 하지만, 대부분 해머를 장전하는 동작이 장전 동작의 일부이다. 예를 들어, 탄창을 삽입하고 슬라이드를 작동시켜 첫 번째 탄환을 약실에 장전하면 해머 또는 스트라이커도 발사 가능한 위치로 장전된다.[12]
첫 발을 발사한 후에는 슬라이드가 자동으로 움직여 다음 발사를 위해 해머를 장전한다. 이러한 권총은 한 번 장전되면 탄창이 빌 때까지 한 발을 발사하는 데 방아쇠를 한 번 당기기만 하면 된다. M1911과 브라우닝 하이파워는 이러한 권총의 예이다.[12]
4. 2. 더블 액션 (Double Action)
더블 액션(Double action)은 방아쇠를 당기면 공이 또는 공이치기가 후퇴했다가 전진하여 격발하는 두 가지 동작이 모두 이루어지는 격발 방식이다. 더블 액션은 더블 액션 온리(Double-action only, DAO)라고도 불린다. SIG Sauer DAK 방아쇠나 Sig P250이 그 예시이다.[2]
더블 액션 방식은 약실에 탄이 들어있으면 별도의 장전 절차 없이 바로 격발할 수 있어 신속하게 사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싱글 액션과 달리 장전도 방아쇠로 해결하므로 방아쇠 압력이 더 높고, 더 긴 거리를 당겨야 해서 정확한 사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더블 액션은 주로 호신용 권총에 많이 사용된다. 근접전에서는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고, 정확도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기 때문이다. DAO 리볼버는 기존 DA/SA 모델을 개조하여, 해머를 덮개로 덮거나 엄지 걸이를 제거하여 해머에 접근할 수 없도록 만든 경우가 많다. 이는 해머 걸이가 옷이나 홀스터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반자동 권총에서 DAO 액션은 첫 발사와 이후 발사 간의 방아쇠 당김 변화를 없애고, 장전된 싱글 액션 권총을 휴대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타우러스 24/7과 같은 스트라이커 방식 권총의 경우, 스트라이커는 재장전 주기 전체에 걸쳐 휴지 상태로 유지된다.
DAO라는 용어는 대부분 반자동 권총에 적용되지만, 스미스 앤드 웨슨 센테니얼, 26년식 권총, 엔필드 No. 2 Mk I* 및 Mk I** 리볼버와 같이 외부 해머 걸이가 없거나 해머를 장전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내부 격발 장치가 없는 일부 리볼버에도 적용될 수 있다.
4. 3. 더블 액션/싱글 액션 (Double-action/single-action, DA/SA)
DA/SA(Double-action/single-action) 방아쇠는 싱글 액션과 더블 액션 메커니즘의 특징을 결합한 설계 방식이다. 대부분의 현대식 "더블 액션" 권총(리볼버와 반자동 권총 모두)이 이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더블 액션'''(TDA, Traditional double-action)이라고도 한다.
"더블 액션"은 방아쇠를 한 번 당기는 동작으로 해머를 장전하고 격발(시어 해제)하는 두 가지 "동작"을 모두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더블 액션 권총은 해머를 따로 장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방아쇠의 동작을 하나(싱글 액션)로 줄일 수 있다. 이는 싱글 액션 모드로 발사할 수 없는 "더블 액션 전용"(DAO) 화기와 대조된다.
DA/SA 방아쇠에서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리볼버의 경우, 해머가 내려온 상태에서 방아쇠를 당기면 해머가 장전되고 격발된다.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해머를 뒤로 당기면(방아쇠를 누르지 않은 경우) 메커니즘은 방아쇠를 누를 때까지 해머를 장전된 위치에 고정한다(싱글 액션). 더블 액션 모드로 발사하면 속사를 더 빨리 시작할 수 있지만, 더 길고 무거운 방아쇠 당김으로 인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DA/SA 반자동 권총에서 방아쇠 메커니즘은 DA 리볼버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그러나 반자동 권총은 발사 시 피스톨 슬라이드가 해머를 자동으로 장전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따라서 무기는 장전된 약실에 해머를 내린 상태로 휴대할 수 있어, 싱글 액션 반자동 권총 휴대 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발사 준비가 되면 방아쇠를 당겨 더블 액션 모드로 해머를 장전하고 격발한다. 무기가 발사되면 슬라이드가 자동으로 해머를 뒤로 장전하므로, 이후 발사는 싱글 액션 모드로 이루어진다.
DA/SA 무기의 잠재적인 단점은 사수가 더 길고 무거운 DA 첫 발과 더 짧고 가벼운 후속 SA 발이라는 두 가지 다른 방아쇠 당김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비상 상황에서 처음 몇 발의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DA/SA 권총은 해머를 내린 상태로 장전하여 휴대할 때 안전장치가 필요하지 않지만, 첫 발사 후에는 해머가 장전되고 약실이 장전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DA/SA 권총은 해머가 실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나 해머를 안전하게 내리는 레버인 "디코커"를 갖추고 있다.
DA/SA 반자동 권총의 예로는 리틀 톰 권총(최초 모델)[3][4], 발터 PPK, 발터 P38, 베레타 92 등이 있다. 스미스 앤 웨슨 모델 27, S&W 모델 60, 콜트 폴리스 포지티브, 콜트 파이썬 등 대부분의 리볼버는 더블 액션과 싱글 액션 모드 모두로 발사할 수 있다.
4. 4. 릴리스 트리거 (Release trigger)
릴리스 트리거는 사수가 방아쇠를 당기는 것이 아니라, 방아쇠를 놓을 때 해머 또는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방식이다.[5][13] 주로 함정 사격용 산탄총에 사용된다.
4. 5. 세트 트리거 (Set trigger)
세트 트리거는 사수가 방아쇠 압력(트리거 풀)을 매우 가볍게 조절하여 정밀 사격을 돕는 기능이다. 싱글 세트 트리거와 더블 세트 트리거 두 가지 유형이 있다.[6] 세트 트리거는 주로 정밀 사격이 필요한 경기용 소총이나 커스텀 무기에 사용된다.
| 종류 | 설명 |
|---|---|
| 이중 세트, 단일 단계 트리거 | 먼저 준비 방아쇠를 당긴 다음 발사 방아쇠를 당겨야만 작동한다. |
| 이중 세트, 이중 단계 트리거 | 준비 방아쇠를 당기지 않으면 표준 방아쇠로 작동하고, 준비 방아쇠를 먼저 당기면 세트 방아쇠로 작동한다. 표준 방아쇠와 세트 방아쇠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4. 6. 프리셋 (Pre-set)
프리셋 방식의 격철과 해머는 반자동 권총에만 적용된다. 탄약을 발사하거나 약실에 장전하면, 해머 또는 격철은 부분적으로 장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방아쇠는 장전 사이클을 완료한 다음 격철 또는 해머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기술적으로 두 가지 동작이지만, 방아쇠가 격철 또는 해머를 완전히 장전할 수 없다는 점에서 더블액션 방아쇠와 다르며, 격철 또는 해머가 해제되더라도 일반적으로 뇌관을 점화할 수 없다는 점에서는 싱글액션과 다르다.프리셋 스트라이커를 사용한 예시로는 글록, 스미스 앤드 웨슨 M&P, 스프링필드 사 XD-S, 카르 암즈, FN FNS 시리즈, 루거 SR 시리즈 권총 등이 있다. 이러한 방아쇠 메커니즘을 스트라이커 발사 방식(Striker Fired Action, SFA)이라고도 한다. 프리셋 해머를 사용한 예시로는 켈텍 P-32 및 루거 LCP 권총이 있다.
4. 6. 1. 프리셋 하이브리드
프리셋 하이브리드 방아쇠는 DA/SA 방아쇠와 비슷하지만 반대되는 개념이다. 처음 방아쇠를 당길 때는 프리셋 방식이다. 스트라이커 또는 해머가 탄약 발화에 실패한 경우, 방아쇠를 다시 당기면 작동 불량이 해소되거나 탄환이 발사될 때까지 더블액션 온리(DAO)와 마찬가지로 작동한다.이를 통해 불발이 발생했을 때 탄약 발화를 다시 시도할 수 있다. 타우러스 PT 24/7 (1세대 24/7은 일반 프리셋이므로 주의)은 2006년에 이 기능을 추가했다. 발터 P99 AS(Anti-Stress) 또한 프리셋 하이브리드 방아쇠이다.
5. 특수 작동 방식
'''이중 초승달 방아쇠'''는 사격 모드 선택 스위치 없이 선택 사격 기능을 제공한다. 방아쇠 위쪽을 누르면 반자동 사격, 아래쪽을 누르면 자동 사격이 가능하다. 당시에는 혁신적이었지만, 복잡성 때문에 대부분의 화기에서 이 기능은 제거되었다. 이중 초승달 방아쇠가 사용된 예로는 MG 34 등이 있다.
'''점진식''' 또는 '''단계식 방아쇠'''는 방아쇠를 당기는 정도에 따라 발사 속도가 달라지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살짝 당기면 단발로 발사되고, 더 세게 당기면 자동 사격으로 발사된다.[8]
5. 1. 이중 초승달 방아쇠 (Double-crescent trigger)
'''이중 초승달 방아쇠'''는 사격 모드 선택 스위치 없이 선택 사격 기능을 제공한다. 방아쇠 위쪽을 누르면 반자동 사격, 아래쪽을 누르면 자동 사격이 가능하다. 당시에는 혁신적이었지만, 복잡성 때문에 대부분의 화기에서는 이 기능이 제거되었다. 이중 초승달 방아쇠가 사용된 예로는 MG 34, 쿨스프루테게베르 m/40 자동소총, M1946 지크 자동소총, 오사리오 셀렉티바,[7] 및 스타 모델 Z62 등이 있다.
5. 2. 점진식/단계식 방아쇠 (Progressive/staged trigger)
방아쇠를 당기는 정도에 따라 발사 속도가 달라지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살짝 당기면 단발로 발사되고, 더 세게 당기면 자동 사격으로 발사된다.[8] 이 방식을 사용하는 총기로는 FN P90, 자티매틱, CZ 25형, PM-63, BXP, F1 기관단총, 비그네롱 기관단총, 빔머스페르크 Spz-kr, 슈타이어 AUG가 있다.6. 각 작동 방식의 장단점
각 방아쇠 작동 방식은 정확도, 발사 속도, 안전성, 편의성 등에서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진다.
| 작동 방식 | 장점 | 단점 | 비고 |
|---|---|---|---|
| 싱글액션 (SA) | |||
| 더블액션 전용 (DAO) | |||
| 더블액션/싱글액션 (DA/SA) | |||
| 프리셋 (Pre-set) |
자동 화기 및 대용량 탄창 규제 강화, 총기 구매자의 신원 조회 철저, 총기 안전 교육 의무화 등 총기 관련 사고를 줄이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총기 규제 강화에 적극적인 입장이다. 한국은 총기 소지가 엄격히 제한된 국가이므로, 총기 관련 논의는 주로 군, 경찰 등 특수 직업군에 한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rigger Analysis
http://www.ballistic[...]
[2]
웹사이트
Dreyse / Kufahl Needle Fire Revolver
https://collegehilla[...]
[3]
웹사이트
RIA: Little Tom – the World's First DAO Automatic
https://www.forgotte[...]
2016-06-08
[4]
웹사이트
Little Tom Pistol: First DA/SA Ever Made -
https://www.thefirea[...]
2016-06-03
[5]
특허
US Patent 2027950
[6]
웹사이트
Trigger Function and Terminology
http://home.insightb[...]
[7]
웹사이트
Osorio Selectiva: A Nicaraguan .22 Rimfire Machine Pistol
https://www.forgotte[...]
2019-10-10
[8]
웹사이트
Trigger mechanism providing a short burst of fire capability for submachine guns
http://www.freepaten[...]
[9]
웹사이트
Trigger Options of the Semi-Automatic Service Pistol
http://www.chuckhawk[...]
[10]
웹사이트
Choosing A Carry Pistol – Part V – The Double Action Only (DAO) Pistol
https://www.velocity[...]
2019-07-01
[11]
웹사이트
Trigger Analysis
http://www.ballistic[...]
2019-01-02
[12]
웹사이트
Trigger Options of the Semi-Automatic Service Pistol
http://www.chuckhawk[...]
2019-01-02
[13]
특허
US Patent 2027950
[14]
웹사이트
Trigger Function and Terminology
http://home.insightb[...]
2019-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