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꽃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꽃은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빛과 열을 동반하는 현상이다. 불꽃의 색깔과 온도는 연료의 종류, 산소 공급량, 그리고 연소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흑체 복사, 스펙트럼 띠 방출, 스펙트럼 선 방출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불꽃은 확산 불꽃과 예혼합 불꽃으로 나뉘며, 구조는 산소 혼합 여부에 따라 외염, 내염, 염심으로 구분된다. 불꽃 시험은 금속 이온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열핵 불꽃은 항성 내부의 핵융합 반응에서 발생한다. 불꽃의 온도는 연료, 산소, 대기압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물질의 연소 시 불꽃 온도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 - 방화
    방화는 고의로 불을 질러 재산 또는 인명 피해를 입히는 행위로, 형법상 중대한 범죄이며, 다양한 동기에 의해 발생하고 국가별로 처벌 수위가 다르게 적용된다.
  • 불 - 화재
    화재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 현상으로, 원인과 연소 물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인명 및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 환경에 관한 - 생물 다양성
    생물 다양성은 특정 지역 내 유전자, 종, 생태계의 총체로서, 종 내, 종 간,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식량, 의약품, 산업 원료 등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생태계 서비스 및 문화적 가치를 지니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에 관한 -
    땅은 지구의 단단한 표면을 의미하며 천연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토지 피복, 수계, 지하수, 대기의 일부, 인간 활동의 결과 등을 포함하여 지구과학, 생명과학, 인문학적으로 연구되고, 지형 형성, 생태계, 토지 이용, 환경 문제와 관련되며, 문화권에 따라 의미와 중요성이 다양하게 해석된다.
불꽃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어원라틴어 flamma
정의물질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이는 기체 부분
화학 반응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 (주로 열과 빛)가 가시화된 형태
플라스마
포함 여부일반적인 연소 화염은 플라스마 상태가 아님
플라스마 화염은 매우 높은 온도에서 발생
과학 질문과 놀라운 답변에 따르면 일반적인 불꽃은 플라스마를 포함하지 않음.
연소 물리
연소C. K. Law의 연소 물리학에 따르면 층류 예혼합 화염에 대한 설명이 있음

2. 메커니즘

불꽃의 색깔과 온도는 연소에 관여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라이터를 양초에 가져다 대면, 가해진 열에 의해 양초 왁스의 연료 분자가 기화된다. 기화된 연료 분자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고, 이 열은 더 많은 연료를 기화시켜 일정한 불꽃을 유지한다. 불꽃의 높은 온도는 기화된 연료 분자를 화학적 분해시켜 여러 가지 불완전 연소 생성물과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며, 이들은 다시 서로, 그리고 산화제와 반응한다.

차가운 금속 스푼을 양초 불꽃에 대면 불꽃의 여러 부분을 조사할 수 있다.[4] 불꽃 상부에서는 수증기가 응축되고, 중간의 노란색 부분에서는 그을음이 생성되며, 심지 근처에서는 연소되지 않은 왁스가 생성된다. 금세공인들은 금과 은을 녹이기 위해 금속 블로우 파이프로 불꽃의 상부를 사용한다.

산소 외 다른 산화제를 사용해 불꽃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염소에서 연소되는 수소는 불꽃을 생성하며, 염화수소(HCl)를 방출한다.[5] 히드라진과 사산화이질소는 자발 발화성이 있어 로켓 엔진에 사용된다. 플루오로폴리머는 마그네슘/테플론/비톤 조성물처럼 금속 연료의 산화제로 플루오린을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불꽃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 속도론은 매우 복잡하며, 많은 수의 화학 반응과 중간 종(대부분 라디칼)을 포함한다. 바이오가스 연소를 설명하는 GRI-Mech[6]는 53종과 325개의 기본 반응을 사용한다.

불꽃에 연소에 필요한 성분을 분배하는 방법에는 확산 불꽃(산소와 연료가 확산되며 만나는 곳에서 연소)과 예혼합 불꽃(산소와 연료가 미리 혼합)이 있다. 양초 불꽃은 확산 불꽃으로, 연료 증발을 통해 뜨거운 가스의 층류로 상승, 주변 산소와 혼합되어 연소된다.

기체 외 물질이 연소할 때에도 불꽃이 보이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도 가연성 기체가 생성되어 연소하는 것이다. 석유는 열에 의해 일부가 기화하여 연소(증발 연소)하고, 목재는 열에 의해 분해되어 가연성 기체가 발생, 연소(분해 연소)한다.

2. 1. 연료의 기화 및 분해

고체 또는 액체 연료는 열에 의해 기화되고, 기화된 연료 분자는 고온에서 분해되어 자유 라디칼을 형성한다.[4] 예를 들어, 양초에 라이터를 가져다 대면, 가해진 열에 의해 양초 왁스의 연료 분자가 기화된다. 이 상태에서 연료 분자는 공기 중의 산소와 쉽게 반응하여, 그 후의 발열 반응에서 더 많은 연료를 기화시킬 만큼의 열을 방출하고, 따라서 일정한 불꽃을 유지한다. 불꽃의 높은 온도는 기화된 연료 분자를 분해시켜 여러 가지 불완전 연소 생성물과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며, 이러한 생성물들은 서로 그리고 다음 불꽃(화재) 반응에 관여하는 산화제와 반응한다.[3]

석유의 연소에서는 열에 의해 일부가 기화하여 연소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증발 연소라고 한다. 목재의 연소에서는 열에 의해 목재를 구성하는 물질의 일부가 분해되어 가연성 기체를 발생시키고, 그것이 연소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는데, 이를 분해 연소라고 한다.

2. 2. 산화 반응

기화된 연료 분자는 공기 중의 산소와 쉽게 반응하며, 그 후의 발열 반응에서 더 많은 연료를 기화시킬 만큼의 열을 방출하여 일정한 불꽃을 유지한다. 불꽃의 높은 온도는 기화된 연료 분자를 화학적 분해시켜 여러 가지 불완전 연소 생성물과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며, 이러한 생성물들은 서로, 그리고 불꽃(화재) 반응에 관여하는 산화제와 반응한다.[3]

산소 이외의 다른 산화제를 사용하여 불꽃을 생성할 수도 있다.

2. 3. 반응 중간체

불꽃의 높은 온도는 기화된 연료 분자를 화학적 분해시켜 여러 가지 불완전 연소 생성물과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며, 이러한 생성물들은 서로, 그리고 불꽃(화재) 반응에 관여하는 산화제와 반응한다. 불꽃의 충분한 에너지는 메틸리딘 라디칼(CH) 및 이원자 탄소(C2)와 같은 일시적인 반응 중간체의 일부 전자를 여기시키는데, 이는 이러한 물질이 과잉 에너지를 방출함에 따라 가시광선의 방출을 초래한다.[4] 불꽃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 속도론은 매우 복잡하며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화학 반응과 중간 종(대부분 라디칼)을 포함한다.

2. 4. 확산 불꽃과 예혼합 불꽃

확산 불꽃은 연료와 산소가 서로 확산되면서 만나는 곳에서 연소되는 불꽃이다. 예혼합 불꽃은 연료와 산소가 미리 혼합되어 연소되는 불꽃이다. 양초 불꽃은 확산 불꽃의 한 예로, 연료가 증발하여 뜨거운 가스의 층류 형태로 상승하면서 주변 산소와 혼합되어 연소한다.

촛불의 불꽃 구조


촛불의 불꽃은 가연성 기체와 주변 공기 중의 산소가 확산으로 혼합되어 연소하는 확산 연소 형태이다. 불꽃의 바깥쪽일수록 산소 농도가 높아지며, 이에 따라 불꽃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 외염(外炎): 불꽃의 가장 바깥쪽 부분으로, 산소와 충분히 접촉하여 산화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낸다. '''산화염'''(酸化炎)이라고도 불리며, CH, C2 등의 반응 중간체가 열에 의해 여기되어 주로 파란색의 선 스펙트럼 빛을 방출하지만, 밝은 곳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 내염(内炎): 외염 안쪽에 위치하며,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산화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환원염'''(還元炎)이라고도 불리며, 불완전 연소로 인해 탄소 미립자(그을음)가 발생한다. 이 미립자들은 열복사에 의해 주로 주황색의 연속 스펙트럼 빛을 방출하여 불꽃 중 가장 밝게 보인다.

  • 염심(炎心): 불꽃의 중심부로, 산소가 거의 공급되지 않고 온도도 낮아 미반응 가연성 기체가 존재한다. 빛을 방출하지 않아 어둡게 보인다.


분젠 버너의 불꽃은 공기와 가연성 기체를 미리 섞어 연소시키는 예혼합 연소 방식이다. 불꽃 전체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므로, 확산 연소의 외염과 같이 푸른색 불꽃이 나타나며 뚜렷한 구조를 보이지 않는다.

3. 구조



불꽃의 구조는 연소하는 가연성 기체에 미리 산소가 섞여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르다.

촛불의 불꽃에서는 열에 의해 발생한 가연성 기체와 주변 공기 중의 산소가 확산에 의해 혼합됨으로써 연소한다(확산연소). 이러한 경우 불꽃 바깥쪽일수록 산소 농도가 높아지며, 그 농도에 따라 불꽃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불꽃의 가장 바깥쪽은 '''외염'''(外炎, 산화염), 그 안쪽은 '''내염'''(内炎, 환원염), 중심부는 '''염심'''(炎心)이라고 불린다.

분젠 버너의 불꽃에서는 미리 공기와 가연성 기체를 일정 비율로 섞어 연소시킨다(예혼합 연소). 이러한 불꽃에서는 불꽃 전체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기 때문에 뚜렷한 구조를 갖지 않고, 전체적으로 확산 연소의 외염과 같은 푸른 불꽃이 된다.

3. 1. 외염 (산화염)

외염은 불꽃의 가장 바깥쪽 영역이다. 이곳은 산소와 충분히 접촉하여 산화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 열을 발생시키므로, 불꽃 중에서 온도가 가장 높다. 다른 물질을 투입하면 풍부한 산소와 높은 온도로 인해 산화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산화염'''이라고도 불린다.[1]

외염에는 CH, C₂와 같은 반응 중간체가 존재하며, 이들이 열에 의해 여기되어 빛을 낸다. 이들은 주로 파란색의 선 스펙트럼을 가진 빛을 방출하지만, 이 빛은 그리 강하지 않아 밝은 곳에서는 눈에 띄지 않는다.[1]

3. 2. 내염 (환원염)

내염은 바깥쪽 외염에서 산소가 소비되어 산소 공급이 부족하기 때문에 산화 반응은 거의 진행되지 않고 온도가 약간 낮다. 산소가 부족하므로 여기에 산화물을 투입하면 산화물에서 산소를 빼앗는 환원 반응이 진행된다. 따라서 환원염(還元炎)이라고도 불린다. 내염에서는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고 탄소 미립자(그을음)가 발생한다. 이 미립자는 열복사에 의해 주로 주황색의 연속 스펙트럼을 가진 빛을 방출한다. 불꽃 중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부분이다.

3. 3. 염심

불꽃의 중심부는 '''염심'''(炎心)이라고 불리며, 산소가 거의 공급되지 않고 온도도 낮기 때문에 미반응의 가연성 기체가 존재한다. 여기는 빛을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어둡게 보인다.

4. 형태

불꽃의 형태는 주변 공기의 밀도 변화와 상승 기류에 의해 결정된다. 큰 불꽃에서는 난류도 발생한다. 무중력 상태에서는 상승 기류가 생기지 않아 불꽃은 구형이 되고, 산소 공급이 어려워 곧 사라진다.[1]

4. 1. 상승 기류

불꽃은 그 열에 의해 주변 공기의 밀도를 낮추고, 자신의 주변에 상승 기류를 발생시킨다. 이 상승 기류에 의해 불꽃을 형성하는 기체가 불어가면서 불꽃의 촉과 같은 형태가 만들어진다. 이 상승 기류는 연소 결과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새로운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도 한다.[1]

4. 2. 난류

큰 불꽃에서는 난류가 발생한다.[1]

4. 3. 무중력 상태

무중력 상태에서는 대류에 의해 연소 생성물이 연료원에서 멀어지지 않아 구형의 화염 전면이 형성된다.


무중력 상태에서는 상승 기류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불꽃은 구형이 되고, 새로운 산소가 공급되기 어렵기 때문에 곧 사라진다.[14] 2000년, NASA의 실험은 중력이 화염 형성과 구성에 간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일반적인 중력 조건에서 화염은 대류에 의존하는데, 그을음이 화염의 상단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 노란색을 띤다. 미세 중력 또는 무중력 상태(궤도)에서는 자연 대류가 발생하지 않아 화염은 구형이 되며, 더 푸르고 효율적인 경향이 있다. 이러한 차이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설명이 있는데,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온도가 충분히 고르게 분포되어 그을음이 형성되지 않고 완전 연소가 일어난다는 가설이다.[15] NASA의 실험에 따르면, 미세 중력에서 확산 화염은 지구상의 확산 화염보다 생성된 후 더 많은 그을음이 완전히 산화되도록 허용하는데, 이는 일반 중력 조건과 비교할 때 미세 중력에서 다르게 작동하는 일련의 메커니즘 때문이다.[16] 이러한 발견은 응용 과학과 민간 산업, 특히 연료 효율과 관련하여 잠재적인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5. 색깔

불꽃의 색깔은 흑체 복사, 스펙트럼 띠 방출, 스펙트럼 선 방출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 중 흑체 복사와 스펙트럼 띠 방출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스펙트럼 선 방출 및 흡수는 상대적으로 작은 영향을 준다.

탄화수소 불꽃의 색깔은 주로 산소 공급량과 연료-산소 예혼합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연소 속도, 온도, 반응 경로에 영향을 주어 다양한 색조를 만들어낸다.

확산(불완전 연소) 불꽃은 온도가 낮을 때는 빨간색을 띠지만,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흑체 복사 스펙트럼 변화로 인해 주황색, 노란색, 흰색으로 변한다. 흰색에 가까울수록 해당 불꽃 영역의 온도가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8]

밝은 방출 스펙트럼 선을 가진 여기성 종은 불꽃에 특정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불꽃 구조는 가연성 기체에 산소가 미리 섞여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촛불 불꽃은 열에 의해 발생한 가연성 기체와 주변 공기 중의 산소가 확산하여 혼합되면서 연소한다(확산연소). 이 경우 산소 농도에 따라 불꽃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 '''외염'''(外炎): 불꽃 가장 바깥쪽. 산소와 충분히 접촉하여 산화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며,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낸다. '''산화염'''(酸化炎)이라고도 한다.
  • '''내염'''(内炎): 외염 안쪽.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산화 반응이 거의 없고,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환원염'''(還元炎)이라고도 한다.
  • '''염심'''(炎心): 불꽃 중심부. 산소가 거의 공급되지 않고 온도가 낮아, 미반응 가연성 기체가 존재한다.


분젠 버너 불꽃은 공기와 가연성 기체를 미리 섞어 연소시키기 때문에(예혼합 연소), 불꽃 전체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 뚜렷한 구조를 보이지 않는다.

수소 연소 불꽃은 거의 색깔이 없지만, 연소 불꽃은 청색을 띤다.

5. 1. 흑체 복사

불꽃의 색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흑체 복사와 스펙트럼 띠 방출이다. 탄화수소 불꽃에서 색을 결정하는 주된 요인은 산소 공급량과 연료-산소 예혼합 정도인데, 이는 연소 속도와 온도, 반응 경로를 조절하여 다양한 색을 만들어낸다.

분젠 버너는 공기 유입구를 닫으면 약 2000K(화씨 3140도)의 노란색 불꽃(안전 불꽃)으로 연소한다. 노란색은 불꽃 속 그을음 입자의 백열 때문에 나타난다. 공기 유입구를 열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면 그을음과 일산화탄소가 적게 생성되어 불꽃이 파란색이 된다. 이 파란색은 주로 여기된 분자 라디칼의 방출로 인해 발생하며,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청록색 영역(약 565nm 이하)에서 빛을 방출한다.[7]

불꽃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흑체 복사 스펙트럼이 변하면서 색깔도 빨간색에서 주황색, 노란색, 흰색으로 변한다. 흰색에 가까울수록 불꽃의 해당 부분이 더 뜨겁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란색 불꽃은 그을음 양이 감소하고 여기된 분자 라디칼의 파란색 방출이 강해질 때 나타난다.[8]

산소 공급량에 따른 색깔 차이. 숫자가 클수록 산소 공급량이 많다.


유기물이 연소할 때 불꽃 색은 바깥 불꽃에서는 CH, C₂와 같은 물질의 발광, 안쪽 불꽃에서는 탄소 미립자의 발광에 의해 결정된다. 탄소 함량이 적고 산소를 포함하는 유기물(예: 메탄올)은 탄소 미립자가 적게 발생하여 불꽃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5. 2. 스펙트럼 띠 방출

뷰테인 토치에서 나오는 파란색(예혼합, 즉 완전 연소) 불꽃의 스펙트럼. 분자 라디칼 띠 방출과 스완 띠를 보여준다.


뷰테인 토치의 파란색 불꽃(예혼합, 즉 완전 연소) 스펙트럼은 분자 라디칼 띠 방출과 스완 띠를 보여준다. 생성되는 빛의 대부분은 약 565나노미터 이하의 스펙트럼 청록색 영역에 있으며, 이는 그을음 없는 탄화수소 불꽃의 푸른색을 설명한다.[8] 이 파란색은 불꽃 속 여기된 분자 라디칼의 방출로 인해 발생하며,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청록색 영역에서 대부분의 빛을 방출한다.

5. 3. 스펙트럼 선 방출 (염색 반응)

특정 금속 이온이 불꽃 속에 존재하면, 열에 의해 여기되어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한다. 이러한 현상을 염색 반응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나트륨 이온은 노란색 불꽃을 방출한다. 금속의 종류에 따라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불꽃의 색깔을 통해 금속 이온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금속의 정성 분석 및 정량 분석에 이용되는 프레임 발광의 원리이다. 화약류에서는 화약류 착색제를 사용하여 불꽃놀이의 선명한 색상을 만들어 낸다.[8]

5. 4. 불꽃 시험



분석 화학에서 불꽃 시험은 일부 금속 이온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8] 염색 반응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금속의 염을 불꽃 속에 넣으면 열에 의해 금속 이온이 발생하고, 이것이 열여기(熱勵起)되어 발광하는 원리이다. 금속의 종류에 따라 불꽃의 색깔이 달라지며, 이 특성을 이용하여 금속의 정성 분석 및 정량 분석(프레임 발광)을 할 수 있다.

6. 온도

나트륨의 불꽃 시험. 이 가스 불꽃의 노란색은 흑체 방출에 의한 그을음 입자 때문이 아니고 나트륨 원자의 스펙트럼 선 방출, 특히 매우 강한 나트륨 D선 때문이다.


불꽃의 온도는 연료의 종류, 산소 공급량, 대기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불꽃의 색깔은 흑체 복사 외에도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므로, 색깔만으로 온도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불꽃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단열 불꽃: 대기로의 열 손실이 없는 상태 (불꽃의 특정 부분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대기압
  • 대기의 산소 함량 비율
  •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연소 속도와 격렬함에 영향을 미친다.
  • 연료의 산화
  • 대기 온도: 단열 불꽃 온도와 관련되며, 열은 더 차가운 대기로 더 빨리 전달된다.
  • 연소 과정의 화학양론적 비율: 1:1 화학양론 비율일 때 해리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최고 불꽃 온도를 가진다. 과도하거나 부족한 공기/산소는 온도를 낮춘다.
  • 불꽃 원점으로부터의 거리: 불꽃 원점에서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진다.


주택 화재와 같은 경우, 붉은색 불꽃은 산소 부족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 때문에 발생하며 온도가 낮고(600°C~850°C) 연기가 많이 발생한다. 이 경우 일산화탄소가 많이 생성되어 역화 위험이 커진다. 역화 발생 시 가연성 가스가 산소 등과 접촉하여 연소되면서 최대 2000°C의 온도가 발생할 수 있다.

6. 1. 일반적인 불꽃 온도

연소 물질불꽃 온도
부탄약 300°C (저중력에서의 냉염[12])
750°C~1200°C
메탄(천연가스)900°C~1500°C
분젠 버너 불꽃900°C~1600°C (공기 조절 밸브 개방 또는 폐쇄 여부에 따라 다름)
촛불약 1100°C (대부분); 고온 지점은 1300°C~1400°C일 수 있음
프로판 토치1200°C~1700°C
역화 불꽃 최고점1700°C~1950°C
마그네슘1900°C~2300°C
수소 토치최대 약 2000°C
MAPP 가스2020°C
아세틸렌 램프/토치최대 약 2300°C
산소-아세틸렌최대 3300°C



연소 물질최대 불꽃 온도 (공기 중, 확산 불꽃)[8]
동물성 지방800°C~900°C
등유990°C
휘발유1026°C
나무1027°C
메탄올1200°C
(강제 통풍)1390°C


6. 2. 최고 온도

디시아노아세틸렌(Dicyanoacetylene)은 화학식 C₄N₂을 가지는 탄소와 질소의 화합물로, 산소에서 밝은 청백색 불꽃으로 연소하며, 온도는 5,260,000에 이르고, 오존에서는 최대 6,000,000에 이른다.[9] 이렇게 높은 불꽃 온도는 연료(디시아노아세틸렌은 탄화수소가 아님)에 수소가 없기 때문인데, 그 결과 연소 생성물 중에 물이 없다.

시안겐(Cyanogen)은 화학식 (CN)₂을 가지는 화합물로, 산소 중에서 연소할 때 4525°C가 넘는 온도로, 두 번째로 높은 온도의 자연적인 불꽃을 생성한다.[10][11]

6. 3. 냉염

섭씨 약 120°C의 낮은 온도에서도 연료-공기 혼합물은 화학 반응을 일으켜 냉염(Cool flames)이라 불리는 매우 약한 불꽃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현상은 1817년 험프리 데이비에 의해 발견되었다.[12][13] 냉염 생성 과정은 반응 혼합물의 온도와 농도의 미세한 균형에 의존하며, 조건이 맞으면 외부 점화원 없이도 시작될 수 있다. 특히 반응 중간 생성물의 화학 물질 균형의 순환적인 변화는 불꽃의 진동을 일으키며, 일반적인 온도 변화는 약 100°C 이거나 "냉염"과 완전 점화 사이이다. 때로는 이러한 변화가 폭발로 이어질 수도 있다.

7. 열핵 불꽃

항성 내부에서는 가벼운 원자핵(탄소나 헬륨 등)을 무거운 원자핵(철족 원소까지)으로 연소시키는 핵융합 반응에 의해 추진되는 아음속 연소 전면이 불꽃처럼 전파된다. 이는 Ia형 초신성의 일부 모델에서 중요하다. 열핵 불꽃에서는 열전도가 종 확산보다 지배적이므로, 불꽃의 속도와 두께는 열핵 에너지 방출과 열전도율(주로 축퇴된 전자의 형태)에 의해 결정된다.[17]

8. 기타

불꽃, 특히 외염은 고온이어서 인간의 피부에 직접 닿으면 화상을 입는다.

불꽃이 격렬하게 타오르는 모습 때문에, 신체 일부가 세균이나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열이나 발적을 일으키는 증상을 염증이라고 한다.

또한, 강한 연애 감정이나 증오와 같은 감정은 불꽃에 비유되기도 한다.

9. 한국 문화 속의 불

한국 전통 문화에서 불은 긍정적이면서도 부정적인 의미를 함께 지닌다.

참조

[1] 서적 Combustion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Do flames contain plasma? https://wtamu.edu/~c[...] 2022-06-26
[3] 학술지 Measurement of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and emissivity of a candle flame using hyperspectral imaging technique https://www.scienced[...] 2019-04-01
[4] 웹사이트 What Is Fire? https://www.youtube.[...] 2015-08-03
[5] 웹사이트 Reaction of Chlorine with Hydrogen http://genchem.chem.[...]
[6] 웹사이트 GRI-Mech 3.0 http://www.me.berkel[...] 2007-11-08
[7] 서적 Combustion Phenomena: Selected Mechanisms of Flame Formation, Propagation and Extinc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8] 서적 The analysis of burned human remain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9] 학술지 The Combustion of Carbon Subnitride, NC4N, and a Chemical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ontinuous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5000–6000K 1956-05-01
[10] 학술지 Cyanogen Flames and the Dissociation Energy of N2
[11] 학술지 The Temperature of the Cyanogen-Oxygen Flame
[12] 웹사이트 Cool Flames and Autoignition in Microgravity http://www.grc.nasa.[...] NASA 2000-04-24
[13] 서적 Hydrocarbon process safety: a text for students and professionals PennWell 2003-09-01
[14] 웹사이트 Spiral flames in microgravity https://science.nasa[...] NASA 2000-01-01
[15] 웹사이트 Candle Flame in Microgravity http://quest.nasa.go[...] NASA
[16] 웹사이트 Laminar Soot Processes Experiment Shedding Light on Flame Radiation https://ntrs.nasa.go[...] NASA
[17] 학술지 The conductive propagation of nuclear flames. I - Degenerate C + O and O + Ne + Mg white dwarfs 1992-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