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른도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른도요는 북아메리카 툰드라 지역에서 번식하며 남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겨울을 나는 철새이다. 몸길이는 약 20cm이며, 등 부분은 갈색이고, 짧은 부리와 노란 다리를 가지고 있다. 기수호, 간석지, 논, 하구 등에서 조개류, 갑각류, 갯지렁이 등을 먹으며, "프리리리리" 소리로 운다. 한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며, 수컷은 과시 행동으로 날개를 들어 흰색 아랫부분을 드러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9년 기재된 새 - 검은머리황새
    검은머리황새는 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는 대형 조류로, 물고기 등을 먹고 강과 연못 근처에서 무리 생활을 하며, 둥지를 반복해서 사용하고 2~5개의 알을 낳아 기르며, IUCN에서는 관심 필요종으로 분류한다.
  • 1819년 기재된 새 - 흰허리도요
    흰허리도요는 갯가도요속에 속하는 작은 물새로, 칙칙한 회갈색 윗부분과 흰색 허리를 지녔으며,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 분포하고 툰드라에서 번식하며 무척추동물을 먹고 땅에 둥지를 짓는다.
  • 북극의 새 - 흰올빼미
    흰올빼미는 부엉이과의 대형 조류로 북극 툰드라 지역에 서식하며, 흰색 깃털과 검은색 반점이 특징이고, 레밍을 주로 먹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 거래가 규제된다.
  • 북극의 새 - 붉은가슴도요
    붉은가슴도요는 몸길이 23~26cm의 비교적 큰 도요새로, 북극 지방에서 번식 후 전 세계 해안으로 이동하는 철새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남아메리카의 새 -
    매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뛰어난 비행 능력으로 조류를 사냥하는 맹금류로, 과거 살충제 사용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복원 노력으로 회복되었고 매사냥과 속도 및 권력의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남아메리카의 새 - 아메리카레아
    아메리카레아는 남아메리카에 서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대형 비행불능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취약종으로 분류되며 독일에는 야생 개체군이 존재하고, 식물 외 곤충류와 소형 척추동물도 섭취하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돌보는 특징을 가진다.
누른도요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상태취약 (VU)
코몬시기의 모습
코몬시기의 모습
학술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Charadriiformes)
시깃과(Scolopacidae)
오바시깃속 (Calidris)
코몬시 기
학명Calidris subruficollis
명명자(Vieillot, 1819)
이명Tryngites subruficollis
일반 정보
영어 이름Buff-breasted Sandpiper

2. 형태

누른도요는 등 부분이 갈색이며, 모든 깃털에서 누르스름한 얼굴과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 짧은 부리와 노란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어린 새는 성체와 비슷하지만 뒷부분과 아랫부분이 더 옅을 수 있다.

2. 1. 성체

누른도요는 등 부분이 갈색이며, 모든 깃털에서 누르스름한 얼굴과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 짧은 부리와 노란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표준 측정
몸 길이191mm ~ 226mm
무게63g
날개 길이457mm
날개128.2mm ~ 138.7mm
꼬리56.8mm ~ 61.4mm
부리마루19.9mm ~ 21.3mm
새발31.8mm ~ 34mm



몸길이는 약 20cm이다. 머리에서 목덜미까지는 황갈색이며 검은 반점이 있다. 등에서 날개, 꼬리는 흑갈색이다. 몸의 아랫면은 옅은 황갈색이다. 얼핏 보면 넓적부리도요의 어린 새 깃털과 비슷하다.

2. 2. 어린 새

어린 새는 성체와 비슷하지만 뒷부분과 아랫부분이 더 옅을 수 있다. 얼핏 보면 넓적부리도요의 어린 새 깃털과 비슷하다.

2. 3. 표준 측정

표준 측정
몸 길이190.5mm ~ 226.06mm
무게63g
날개 길이457.2mm
날개128.2mm ~ 138.7mm
꼬리56.8mm ~ 61.4mm
부리마루19.9mm ~ 21.3mm
새발31.8mm ~ 34mm


3. 분포 및 서식지

왼쪽


누른도요는 북아메리카의 탁 트인 북극 툰드라에서 번식하며, 매우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이다. 번식기가 아닌 시기에는 주로 남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보낸다.

주로 북아메리카 중부를 통해 철새 이동하며 해안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서유럽에서 정기적으로 발견되며, 영국이나 아일랜드에서도 희귀종으로 분류되지 않아 작은 무리가 발견되기도 한다. 엷은부리도요만이 유럽에서 더 흔하게 관찰되는 아메리카 해안 조류이다.

알래스카를 포함한 캐나다 북쪽까지 둥지를 튼다.[3] 번식기 외에는 물가 근처보다는 비행장이나 골프장과 같은 짧은 풀이 있는 서식지에서 주로 발견된다.

일본에서는 미조로서, 홋카이도, 혼슈, 아마미오섬에서 관찰 기록이 있다.

3. 1. 번식지



누른도요는 북아메리카의 탁 트인 북극 툰드라에서 번식하며 매우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로, 번식기가 아닌 시기에는 주로 남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보낸다.[3]

알래스카를 포함한 캐나다 북쪽까지 둥지를 틀며 땅에 네 개의 새알을 낳는다. 수컷은 흰색 아랫부분을 드러내기 위해 날개를 들어 올리는 과시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다른 누른도요가 없을 때에도 이동 중에 나타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미조로서, 홋카이도, 혼슈, 아마미오섬에서의 관찰 기록이 있다. 본래는 작은 무리를 지어 활동하지만, 일본에서의 기록은 단독으로 도래한 것뿐이다.

3. 2. 월동지

누른도요는 북아메리카의 탁 트인 북극 툰드라에서 번식하며 매우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로, 번식기가 아닌 시기에는 주로 남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보낸다.[3]

일본에서는 미조로서, 홋카이도, 혼슈, 아마미오섬에서의 관찰 기록이 있다. 본래는 작은 무리를 지어 활동하지만, 일본에서의 기록은 단독으로의 도래뿐이다.

3. 3. 이동 경로

누른도요는 북아메리카의 탁 트인 북극 툰드라에서 번식하며 매우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로, 번식기가 아닌 시기에는 주로 남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보낸다.[3] 주로 북아메리카 중부를 통해 이동하며 해안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서유럽에서 정기적으로 방황하며, 영국이나 아일랜드에서도 희귀종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작은 무리가 발견되기도 한다. 유럽에서 더 흔하게 관찰되는 아메리카 해안 조류는 엷은부리도요이다.

일본에서는 미조로서, 홋카이도, 혼슈, 아마미오섬에서 관찰 기록이 있다. 본래는 작은 무리를 지어 활동하지만, 일본에서의 기록은 단독으로 도래한 경우뿐이다.

3. 4. 한국

한국에서의 기록은 없다. 일본에서는 미조로서, 홋카이도, 혼슈, 아마미오섬에서의 관찰 기록이 있다.[1] 본래는 작은 무리를 지어 활동하지만, 일본에서의 기록은 단독으로 도래한 경우뿐이다.[1]

3. 5. 기타 지역

누른도요는 북아메리카 외에도 다양한 지역에서 관찰된다. 서유럽에서는 정기적으로 발견되며, 영국이나 아일랜드에서도 희귀종으로 분류되지 않고 작은 무리가 발견되기도 한다. 유럽에서 누른도요보다 더 흔하게 관찰되는 아메리카 해안 조류는 엷은부리도요뿐이다.[3]

남아시아에서는 최소 세 차례 관찰되었다. 2011년 11월에는 인도 케랄라 주 칸누르 근처에서 관찰되었고, 2023년에는 칸누르 마다이파라에서 다시 기록되었다.[4] 이 새는 아르헨티나로 가는 대신 북아메리카의 대평원 철새 이동 경로에서 바람에 날려 남아시아에 도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알락도요는 호주에서도 최소 8차례 기록되었다.

1978년 필립스는 이 종을 스리랑카에서 기록했으며, 그 이후 관찰 사례는 거의 없었다. 2001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마리베일에서도 한 마리가 기록되었다.[5]

일본에서는 미조로서, 홋카이도, 혼슈, 아마미오섬에서의 관찰 기록이 있다. 본래는 작은 무리를 지어 활동하지만, 일본에서의 기록은 단독으로 도래한 것뿐이다.

4. 생태

누른도요는 기수호, 간석지, 논, 하구 등에서 서식한다. 조개류, 갑각류, 갯지렁이 등을 먹는다. "프리리리리" 하고 울며, 이 울음소리로 알락꼬리마도요와 구별할 수 있다.

4. 1. 서식 환경



누른도요는 북아메리카의 탁 트인 북극 툰드라에서 번식하며 매우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로, 번식기가 아닌 시기에는 주로 남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보낸다.[3] 주로 북아메리카 중부를 통해 철새 이동하며 해안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서유럽에서 정기적으로 방황하며, 영국이나 아일랜드에서도 희귀종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작은 무리가 발견되기도 한다. 엷은부리도요만이 유럽에서 더 흔하게 관찰되는 아메리카 해안 조류이다.

이 종은 알래스카를 포함한 캐나다 북쪽까지 둥지를 틀며 땅에 네 개의 새알을 낳는다. 수컷은 흰색 아랫부분을 드러내기 위해 날개를 들어 올리는 과시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다른 누른도요가 없을 때에도 이동 중에 나타나기도 한다. 번식기 외에는 이 새는 물가 근처보다는 비행장이나 골프장과 같은 짧은 풀이 있는 서식지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 새들은 시각으로 먹이를 찾으며 주로 곤충과 기타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누른도요는 북극권에서 발견되는 꿀벌의 일종인 북극뒤영벌(''Bombus polaris'')을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꿀벌을 먹거나 새끼에게 먹인다. 종종 매우 길들여지기도 한다.

누른도요는 추정상 흰허리도요 또는 배르드도요와 잡종을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 기수호, 간석지, 논, 하구 등에 서식한다. 조개류, 갑각류, 갯지렁이 등을 포식한다. "프리리리리" 하고 운다. 울음소리의 차이로, 알락꼬리마도요와 구별할 수 있다.

4. 2. 먹이

누른도요는 시각을 이용해 먹이를 찾으며, 주로 곤충과 기타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북극권에서 발견되는 꿀벌의 일종인 ''Bombus polaris''(북극뒤영벌)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꿀벌을 먹거나 새끼에게 먹인다. 매우 온순한 편이다. 기수호, 간석지, 논, 하구 등에서 조개류, 갑각류, 갯지렁이 등을 먹는다.

4. 3. 번식



'''누른도요'''는 북아메리카의 탁 트인 북극 툰드라에서 번식하며 매우 장거리를 이동하는 철새로, 번식기가 아닌 시기에는 주로 남아메리카,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보낸다.

이 종은 알래스카를 포함한 캐나다 북쪽까지 둥지를 틀며[3] 땅에 네 개의 새알을 낳는다. 수컷은 흰색 아랫부분을 드러내기 위해 날개를 들어 올리는 과시 행동을 보이는데, 이는 다른 누른도요가 없을 때에도 이동 중에 나타나기도 한다. 번식기 외에는 이 새는 물가 근처보다는 비행장이나 골프장과 같은 짧은 풀이 있는 서식지에서 주로 발견된다.

4. 4. 울음소리

"프리리리리" 하고 운다. 울음소리의 차이로 알락꼬리마도요와 구별할 수 있다.

5. 잡종 형성

누른도요는 흰허리도요 또는 배르드도요와 잡종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3]

참조

[1] 간행물 "''Calidris subruficollis''" 2017-01-01
[2]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3] 서적 "The Life of Birds" BBC 1998-01-01
[4] 뉴스 Rare bird from arctic tundra brings cheer to top birders https://www.thehindu[...] 2023-10-12
[5] 웹사이트 Buff-breasted Sandpiper Tryngites subruficollis from northern Kerala : a third record for India http://indianbirds.i[...]
[6] 간행물 "''Calidris subruficollis''" https://www.iucnredl[...]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