뉘고르스볼 내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뉘고르스볼 내각은 1935년부터 1945년까지 노르웨이 노동당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요한 뉘고르스볼 총리가 이끈 내각이다. 대공황 시기에 집권하여 사회 복지 정책을 확대하고 경제 회복을 위해 노력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의 침공으로 영국으로 망명하여 망명 정부를 수립하고 연합군에 참여했다. 뉘고르스볼 내각은 사회 민주주의 정책을 통해 노르웨이 복지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독일의 침공에 대한 초기 대응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뉘고르스볼 내각 | |
---|---|
개요 | |
내각명 | 뉘고르스볼 내각 |
기 | Flag of Norway.svg |
관할권 | 노르웨이 |
대수 | 33 |
유형 | 내각 |
그림 | Nygaardsvold_Cabinet.jpg |
임기 | 1935년-1945년 |
조각 | 1935년 3월 20일 |
해산 | 1945년 6월 25일 |
구성 | |
국가 원수 | 국왕 호콘 7세 |
정부 수반 | 총리 요한 뉘고르스볼 |
각료 수 | 12 |
총 각료 수 | 19 |
여당 | 노르웨이 노동당 |
정황 | 망명 정부 |
정치적 상황 | |
예비 내각 | 제1차 크비슬링 내각(1940년) 크리스티안센 내각(1940년) 테르보벤 내각(1940년-1942년) 제2차 크비슬링 내각(1942년-1945년) |
선거 | 1936년 노르웨이 의회 선거 |
다음 선거 | 1945년 노르웨이 의회 선거 |
연혁 | |
이전 내각 | 제3차 모빙켈 내각 |
다음 내각 | 제1차 게르하르센 내각 |
2. 내각 구성
뉘고르스볼 내각은 1935년 3월 20일부터 1945년 6월 25일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한 내각이다. 노르웨이 노동당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요한 뉘고르스볼 총리가 내각을 이끌었다.
직위 | 장관 | 임기 | 정당 |
---|---|---|---|
국무총리 | 요한 뉘고르스볼 | 1935년 3월 20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농업부 장관 | 한스 이스트고르 | 1935년 3월 20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교회 및 교육부 장관 | 닐스 옐름트베이트 | 1935년 3월 20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국방부 장관 | 크리스티안 프레드릭 몬센 | 1935년 3월 20일 – 1935년 11월 1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아돌프 인드레뵈 | 1935년 11월 15일 – 1935년 12월 20일 | ||
오스카 토르프 | 1935년 12월 20일 – 1936년 8월 15일 | ||
크리스티안 프레드릭 몬센 | 1936년 8월 15일 – 1939년 12월 22일 | ||
비르거 류웅베르 | 1939년 12월 22일 – 1942년 11월 28일 | 노르웨이 보수당 | |
오스카 토르프 | 1942년 11월 28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
재무부 장관 | 아돌프 인드레뵈 | 1935년 3월 20일 – 1936년 11월 13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코르넬리우스 베르그스빅 | 1936년 11월 13일 – 1939년 7월 1일 | ||
오스카 토르프 | 1939년 7월 1일 – 1941년 11월 28일 | ||
파울 에른스트 빌헬름 하르트만 | 1941년 11월 28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레지스탕스 운동 | |
외무부 장관 | 할브단 코트 | 1935년 3월 20일 – 1940년 11월 19일 | 노르웨이 노동당 |
트리그베 리 | 1940년 11월 19일 – 1945년 6월 25일 | ||
법무부 장관 | 트리그베 리 | 1935년 3월 20일 – 1939년 11월 19일 | 노르웨이 노동당 |
테리에 볼 | 1939년 11월 19일 – 1945년 6월 25일 | ||
노동부 장관 | 요한 니고르스볼 | 1935년 3월 20일 – 1939년 10월 2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올라브 힌달 | 1939년 10월 2일 – 1945년 6월 25일 | ||
사회부 장관 | 코르넬리우스 베르그스빅 | 1935년 3월 20일 – 1936년 11월 13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오스카 토르프 | 1936년 11월 13일 – 1939년 7월 1일 | ||
스베레 스토스타드 | 1939년 7월 1일 – 1945년 6월 25일 | ||
해운부 장관 | 아르네 순데 | 1942년 10월 1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자유당 |
물자부 장관 | 트리그베 리 | 1939년 10월 2일 – 1940년 11월 19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아르네 순데 | 1940년 11월 19일 – 1942년 10월 1일 | 노르웨이 자유당 | |
안데르스 라스무스 프리하겐 | 1942년 10월 1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
통상, 해운, 산업, 수공업 및 어업부 장관 | 알프레드 마드센 | 1935년 3월 20일 – 1939년 7월 1일 | |
트리그베 리 | 1939년 7월 1일 – 1939년 10월 2일 | ||
안데르스 라스무스 프리하겐 | 1939년 10월 2일 – 1940년 6월 7일 | ||
테리에 볼 | 1940년 6월 7일 – 1942년 4월 | ||
안데르스 라스무스 프리하겐 | 1942년 4월 – 1942년 10월 1일 | ||
올라브 힌달 | 1942년 10월 1일 – 1945년 3월 9일 | ||
스벤 닐센 | 1945년 3월 9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보수당 |
2. 1. 총리
요한 뉘고르스볼 (노르웨이 노동당)은 1935년 3월 20일부터 1945년 6월 25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했다.2. 2. 각료
직위 | 장관 | 임기 | 정당 |
---|---|---|---|
농업부 장관 | 한스 이스트고르(Hans Ystgaard) | 1935년 3월 20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교회 및 교육부 장관 | 닐스 옐름트베이트(Nils Hjelmtveit) | 1935년 3월 20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국방부 장관 | 크리스티안 프레드릭 몬센(Christian Fredrik Monsen) | 1935년 3월 20일 – 1935년 11월 1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아돌프 인드레뵈(Adolf Indrebø) | 1935년 11월 15일 – 1935년 12월 20일 | ||
오스카 토르프(Oscar Torp) | 1935년 12월 20일 – 1936년 8월 15일 | ||
크리스티안 프레드릭 몬센(Christian Fredrik Monsen) | 1936년 8월 15일 – 1939년 12월 22일 | ||
비르거 류웅베르(Birger Ljungberg) | 1939년 12월 22일 – 1942년 11월 28일 | 노르웨이 보수당 | |
오스카 토르프(Oscar Torp) | 1942년 11월 28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
재무부 장관 | 아돌프 인드레뵈(Adolf Indrebø) | 1935년 3월 20일 – 1936년 11월 13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코르넬리우스 베르그스빅(Kornelius Bergsvik) | 1936년 11월 13일 – 1939년 7월 1일 | ||
오스카 토르프(Oscar Torp) | 1939년 7월 1일 – 1941년 11월 28일 | ||
파울 에른스트 빌헬름 하르트만(Paul Hartmann) | 1941년 11월 28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레지스탕스 운동 | |
외무부 장관 | 할브단 코트(Halvdan Koht) | 1935년 3월 20일 – 1940년 11월 19일 | 노르웨이 노동당 |
트리그베 리(Trygve Lie) | 1940년 11월 19일 – 1945년 6월 25일 | ||
법무부 장관 | 트리그베 리(Trygve Lie) | 1935년 3월 20일 – 1939년 11월 19일 | 노르웨이 노동당 |
테리에 볼(Terje Wold) | 1939년 11월 19일 – 1945년 6월 25일 | ||
노동부 장관 | 요한 니고르스볼(Johan Nygaardsvold) | 1935년 3월 20일 – 1939년 10월 2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올라브 힌달(Olav Hindahl) | 1939년 10월 2일 – 1945년 6월 25일 | ||
사회부 장관 | 코르넬리우스 베르그스빅(Kornelius Bergsvik) | 1935년 3월 20일 – 1936년 11월 13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오스카 토르프(Oscar Torp) | 1936년 11월 13일 – 1939년 7월 1일 | ||
스베레 스토스타드(Sverre Støstad) | 1939년 7월 1일 – 1945년 6월 25일 | ||
해운부 장관 | 아르네 순데(Arne Sunde) | 1942년 10월 1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자유당 |
물자부 장관 | 트리그베 리(Trygve Lie) | 1939년 10월 2일 – 1940년 11월 19일 | 노르웨이 노동당 |
아르네 순데(Arne Sunde) | 1940년 11월 19일 – 1942년 10월 1일 | 노르웨이 자유당 | |
안데르스 라스무스 프리하겐(Anders Rasmus Frihagen) | 1942년 10월 1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노동당 | |
통상, 해운, 산업, 수공업 및 어업부 장관 | 알프레드 마드센(Alfred Madsen) | 1935년 3월 20일 – 1939년 7월 1일 | |
트리그베 리(Trygve Lie) | 1939년 7월 1일 – 1939년 10월 2일 | ||
안데르스 라스무스 프리하겐(Anders Rasmus Frihagen) | 1939년 10월 2일 – 1940년 6월 7일 | ||
테리에 볼(Terje Wold) | 1940년 6월 7일 – 1942년 4월 | ||
안데르스 라스무스 프리하겐(Anders Rasmus Frihagen) | 1942년 4월 – 1942년 10월 1일 | ||
올라브 힌달(Olav Hindahl) | 1942년 10월 1일 – 1945년 3월 9일 | ||
스벤 닐센(Sven Nielsen) | 1945년 3월 9일 – 1945년 6월 25일 | 노르웨이 보수당 |
1940년 나치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으로 요한 뉘고르스볼 내각은 위기를 맞았다. 독일군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동시에 침공하는 베저위붕 작전(Unternehmen Weserübung)을 개시했고, 노르웨이 정부와 왕실은 영국으로 망명해야 했다.[1]
3. 제2차 세계 대전과 망명 정부
요한 뉘고르스볼 총리가 이끄는 망명 정부는 런던을 거점으로 삼아 연합군과 협력하며 노르웨이 해방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트리그베 리 외무장관은 연합국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데 힘썼으며, 오스카 토르프는 국방장관으로 노르웨이 군대를 재건하고 연합군과의 합동 작전을 이끌었다.[1]
망명 정부 시기(1940년~1945년) 주요 직책과 담당자는 다음과 같다.직위 장관 임기 정당 국무총리 요한 뉘고르스볼(Johan Nygaardsvold) 1935년 3월 20일 – 1945년 6월 25일 노르웨이 노동당 외무부 장관 트리그베 리(Trygve Lie) 1940년 11월 19일 – 1945년 6월 25일 노르웨이 노동당 국방부 장관 오스카 토르프(Oscar Torp) 1942년 11월 28일 – 1945년 6월 25일 노르웨이 노동당
망명 정부는 전쟁 중에도 노르웨이의 미래를 준비하며 전후 복구 계획과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3. 1. 독일의 침공과 점령
1940년 4월 9일, 독일군이 노르웨이를 침공했다. 독일의 침공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우선, 노르웨이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노르웨이의 항구들은 독일 해군이 대서양으로 진출하는 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특히 나르비크 항구는 스웨덴의 철광석을 독일로 수송하는 데 필수적인 항구였다. 또한, 영국 해군이 노르웨이 연안을 봉쇄할 경우 독일의 전쟁 수행 능력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도 독일의 침공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1]
독일군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동시에 침공하는 베저위붕 작전(Unternehmen Weserübung)을 개시했다. 노르웨이군은 독일군의 기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후퇴해야 했다. 노르웨이 정부와 왕실은 영국으로 망명했고, 노르웨이는 독일의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1]
노르웨이에서는 비드쿤 크비슬링이 이끄는 친독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국민들의 광범위한 저항에 직면했다. 노르웨이인들은 소극적인 저항뿐만 아니라 무장 투쟁, 정보 제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독일에 저항했다. 이러한 저항은 노르웨이의 해방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
3. 2. 망명 정부의 활동
1940년 4월 9일, 나치 독일이 노르웨이를 침공하자 요한 뉘고르스볼 총리와 내각은 영국으로 망명하여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1] 망명 정부는 런던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연합군과 긴밀히 협력했다.
망명 정부는 노르웨이의 해방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우선, 노르웨이 상선단을 연합군 수송 작전에 투입하여 연합군의 전쟁 수행을 지원했다. 또한, 노르웨이 국내의 레지스탕스 운동을 지원하고, 연합군과 함께 노르웨이 해방 작전을 계획하고 실행했다.
트리그베 리 외무장관은 연합국과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노르웨이의 입장을 대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오스카 토르프는 국방장관으로서 노르웨이 군대를 재건하고 연합군과의 합동 작전을 지휘했다.
망명 정부는 전쟁 중에도 노르웨이의 미래를 준비했다. 전후 복구 계획을 수립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한 준비를 진행했다. 1945년 5월, 독일이 항복하고 노르웨이가 해방되자 망명 정부는 귀국하여 노르웨이 재건을 이끌었다.
4. 국내 정책
노르웨이 노동당 소속 요한 뉘고르스볼 총리가 이끈 뉘고르스볼 내각은 1935년부터 1945년까지 대공황 극복과 제2차 세계 대전 대응이라는 두 가지 큰 과제에 직면했다. 이를 위해 사회 복지 확대와 경제 안정화에 초점을 맞춘 정책을 추진했다.
뉘고르스볼 내각은 노동자 권익 보호, 실업 문제 해결, 사회 보장 제도 확대를 통해 국민 생활 안정을 도모했다. 또한, 정부 주도의 적극적인 재정 정책으로 공공 사업을 확대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전시 경제 체제로 전환하여 물자 생산과 공급을 통제했다.
4. 1. 사회 복지 정책
노르웨이 노동당의 요한 뉘고르스볼 총리가 이끈 뉘고르스볼 내각은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실업 문제 해결, 사회 보장 제도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뉘고르스볼 내각에서 사회부 장관직을 수행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1935년 ~ 1936년: 코르넬리우스 베르그스빅
- 1936년 ~ 1939년: 오스카 토르프
- 1939년 ~ 1945년: 스베레 스토스타드
4. 2. 경제 정책
산업, 수공업 및 어업부 장관산업, 수공업 및 어업부 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