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타르두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타르두스는 샤를마뉴의 궁정 시인 안길베르트와 샤를마뉴의 딸 베르타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로, 서프랑크 왕국의 사촌 카를 2세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바이킹과 교전했다. 그는 퐁테우 백작을 역임했으며, 스트라스부르크 서약 작성에 참여했다. 저서로는 '경건한 루도비쿠스와 그의 아들들의 역사'가 있으며, 844년 또는 845년 노스망에서 전사했다. 그의 저술은 카롤링거 제국의 붕괴 원인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군사적 지식으로서도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크인 작가 - 킬데브란두스 1세
힐데브란두스 1세는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피핀 2세의 아들이자 카를 마르텔의 형제 또는 이복 형제이며, 카를 마르텔 치세 동안 궁정 역사가로 활동하며 부르군트 백작과 프로방스 공작 직위를 물려받아 사라센 원정에 참여하고 카를 마르텔을 찬양하는 작품을 남겼다. - 프랑크인 시인 - 안길베르투스 켄툴렌시스
안길베르투스 켄툴렌시스는 샤를마뉴 대제의 신임을 받은 외교관이자 생-리키에 수도원장으로서, 프랑크 왕국과 교황청의 관계를 조율하고 수도원 재건과 학문 연구에 기여했으며, 카롤링거 르네상스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 시인이자 학자이다. - 프랑크인 시인 - 킬데브란두스 1세
힐데브란두스 1세는 아우스트라시아 궁재 피핀 2세의 아들이자 카를 마르텔의 형제 또는 이복 형제이며, 카를 마르텔 치세 동안 궁정 역사가로 활동하며 부르군트 백작과 프로방스 공작 직위를 물려받아 사라센 원정에 참여하고 카를 마르텔을 찬양하는 작품을 남겼다. - 844년 사망 - 교황 그레고리오 4세
로마 출신으로 827년부터 844년까지 재임한 교황 그레고리오 4세는 카롤링거 제국 내분 속에서 교황의 권위를 주장하고 프랑크 왕국 계승 분쟁에 관여하는 정치적 활동과 산 마르코 성당 보수 및 성 베드로 대성전 안마당 포장 등 교회 건축 사업을 추진했다. - 844년 사망 - 후고 (생 캉탱)
후고(생 캉탱)는 1115년경 출생하여 수도원장과 성 베르티노 수도원장을 지낸 인물이자, 802년경 카롤루스 대제의 서자로 태어나 백작, 수상, 대법관, 대주교, 제국의회 의원 등 정치 활동을 펼치고 841년 퐁트누아 전투에 참전, 855년 사망한 인물로, 공정하고 포용적인 리더십과 교육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니타르두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니타르트 |
출생 | 약 795년 |
사망 | 844년 6월 14일 |
직업 | 역사가 |
국적 | 프랑크 왕국 |
가족 | |
아버지 | 앙길베르트 |
어머니 | 베르타 |
형제자매 | 성녀 앙길트루드 루이 1세 (이복형) |
배우자 | 이름 미상 |
자녀 | 딸 (이름 미상) |
경력 | |
샤를마뉴 궁정 | 샤를마뉴 궁정에서 성장 |
루이 경건왕 궁정 | 루이 경건왕 궁정에서 영향력 행사 |
군 복무 | 루이 경건왕의 아들들 간의 내전에서 샤를 2세 대머리왕 지지 |
전투 참여 | 841년 6월 25일 퐁트네 전투 참전 |
작위 | 속인 수도원장 |
저술 | |
작품 | 《루이 경건왕의 아들들의 투쟁사》 (프랑크 제국 내전사) |
2. 생애
니타르두스는 샤를마뉴의 궁정 시인인 안길베르트와 샤를마뉴의 딸 베르타 사이에서 태어났다. 일설에는 사생아라는 설도 있다. 형제로는 하르트니드(Hartnid)가 있었다. 그는 800년 12월 샤를마뉴가 황제로 즉위할 무렵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1]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외삼촌인 황제 경건왕 루트비히 1세의 궁정에서 자랐으며, 제국의 궁전과 성 리퀴에 대수도원을 오갔다. 그의 아버지 안길베르트는 한때 성 리퀴에 대수도원의 원장을 지냈으며, 니타르두스 역시 나중에 재속 수도원장이 되었다. 그는 황실 ''스콜라''에서 군사 훈련과 문학 교육을 포함한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1]
니타르두스는 카롤링거 제국의 황제 루이 1세의 아들들 사이의 갈등, 특히 838년부터 843년까지의 혼란기를 다룬 4권의 역사서를 남겼다. 이 책은 ''역사서''(Historiaela) 또는 ''루이 경건왕의 아들들의 불화에 관하여''(De dissensionibus filiorum Ludovici piila)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으며, 카롤링거 제국 붕괴의 원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니타르두스의 글은 과거 샤를마뉴 시대를 그리워하는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탄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니타르두스의 주요 저술인 ''역사서''(''Historiae'') 또는 ''루이 경건왕의 아들들의 불화에 관하여''(''De dissensionibus filiorum Ludovici pii'')는 총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카롤링거 제국의 황제였던 경건왕 루이의 아들들 사이에서 벌어진 불안정한 관계, 특히 838년부터 843년까지의 격동기를 다룬다. ''역사서''는 카롤링거 제국의 붕괴를 초래한 원인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니타르두스의 글은 때때로 과거 샤를마뉴 시대를 그리워하는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탄식"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814년 퐁테우(Ponthieu) 백작에 임명되었다. 성인이 된 뒤에는 사촌인 서프랑크 왕국의 대머리왕 카를 2세를 위해 봉사하며 그의 총신이자 후견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카를 2세를 따라 서프랑크 해안을 침략하는 바이킹(노르만족)과 교전하였다.
경건왕 루트비히 사후 발생한 카롤링거 제국의 시민전쟁 중에는 대머리 카를 2세를 지지하여 로타르 1세와 맞서 싸웠다. 841년 6월에는 퐁트누아 전투에 참전하여 카를 2세 곁에서 싸웠다.[1] 842년 2월 12일, 서프랑크 왕국의 국왕 카를 2세와 동프랑크 왕국의 국왕 루트비히 2세 사이의 동맹 서약인 스트라스부르크 서약의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서로는 카를 2세의 명으로 집필한 《경건한 루도비쿠스와 그의 아들들의 역사》(Historiae libri quattuor) 4권을 남겼다.
그의 사망 시점은 학자들 간에 논쟁이 있으나, 현재는 844년 6월 14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그는 앙굴렘 근처에서 노르만족(스칸디나비아인)과의 전투 중 입은 부상의 후유증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1] 아키텐의 피핀 2세와 싸우다 전사했다는 설도 있다. 11세기경, 전투 중 입은 치명적인 상처 흔적이 남아있는 그의 유골이 아버지 안길베르트가 안치된 곳 근처에서 발견되었다.[1] 그의 유골이 있다는 전승에 따라 조사가 이루어졌고, 1989년 6월 프랑스의 교수 호노레 버나드(Honoré Bernard)의 발굴팀에 의해 아버지 안길베르트의 유골과 함께 성 리퀴에 성당에서 다시 발견되었다. 2016년 2월 16일 공개된 그의 유골은 골절 상태였고 두개골에는 금이 가 있었다.
3. 저술 활동
>
> 기억할 만한 샤를마뉴 시대에는
> 거의 30년 전에 돌아가셨지만, 평화와 화합이 모든 곳을 지배했다.
> 우리 백성이 올바른 길,
> 공동 복지의 길, 즉 하느님의 길을 따랐기 때문이다.
> 그러나 이제 각자가 자기 길을 가기에 분열과 투쟁이 만연하다.
> 한때는 모든 곳에 풍요와 행복이 있었지만,
> 이제 모든 곳에 결핍과 슬픔이 있다.
>
처음 세 권은 니타르두스가 842년 겨울, 생 리퀴에 수도원의 속인 수도원장으로 임명되기 전에 쓰였고, 마지막 네 번째 책은 수도원장 직무를 시작한 후인 843년 봄에 완성되었다. 그의 글은 때때로 거칠고 편향적이며 세부적인 부분에서 부정확하다는 비판도 받지만, 자신이 직접 경험하고 목격한 사건들을 생생하게 기록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그의 저술은 은둔 학자가 아닌 실제 전쟁에 참여했던 군인이자 행동가의 시각을 보여준다. 이 책들은 대머리 샤를의 요청으로 쓰여 그에게 헌정되었다.
군인 출신 역사가로서 니타르두스는 크세노폰,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플라비우스 메로바우데스와 같은 군사 저술가들의 계보를 잇는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가 묘사한 갈리아 지역의 복잡한 기병 훈련 방식은 아리아누스의 ''전술 핸드북''을 보완하고 카롤링거 시대의 군사 기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여 군사사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역사서''의 원본은 전해지지 않으며, 현재 남아있는 필사본은 단 두 개뿐이다. 하나는 니타르두스와 거의 동시대에 만들어진 것이고, 다른 하나는 르네상스 시대의 불완전한 사본으로 텍스트 복원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주요 판본'''종류 저자/편집자 출판 정보 비고 표준 비평판 필립 로어 (Philippe Lauer) 파리: 챔피언, 1926 프랑스어 번역 포함 라틴어판 에른스트 뮐러 (Ernst Müller) 1907 (1965년 MGH 재출판) 영어 번역 버나드 월터 숄츠 (Bernard Walter Scholz), 바바라 로저스 (Barbara Rogers) 앤아버: 미시간 대학교, 1972 카롤링거 연대기에 포함
4. 평가
>
> 기억할 만한 샤를마뉴 시대에는
> 거의 30년 전에 돌아가셨지만, 평화와 화합이 모든 곳을 지배했다.
> 우리 백성이 올바른 길,
> 공동 복지의 길, 즉 하느님의 길을 따랐기 때문이다.
> 그러나 이제 각자가 자기 길을 가기에 분열과 투쟁이 만연하다.
> 한때는 모든 곳에 풍요와 행복이 있었지만,
> 이제 모든 곳에 결핍과 슬픔이 있다.
>
''역사서''의 처음 세 권은 니타르두스가 842년 겨울 생 리퀴에 수도원의 속인 수도원장으로 임명되기 전에 쓰였으며, 마지막 네 번째 책은 그가 직무를 시작한 후인 843년 봄에 완성되었다. 그의 문체는 다소 거칠고 편향된 시각을 보이며, 세부적인 내용에서 일부 부정확한 점도 발견된다. 그러나 이 책들은 저자가 묘사하는 사건들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었으며, 명석하고 강인한 정신을 지닌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그가 단순히 학문적인 은둔자가 아니라 실제 사건에 참여했던 행동하는 사람이었음을 드러낸다. 이 책은 니타르두스에게 저술을 요청했던 대머리 샤를에게 헌정되었다.
군사 지식인으로서 니타르두스의 저술은 크세노폰,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 그리고 플라비우스 메로바우데스와 같은 인물들의 전통을 잇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군사 역사가들에게는 니타르두스가 묘사한 갈리아 지역의 복잡한 기병 훈련 방식이 아리아누스의 ''전술 핸드북''을 보완하는 자료로서, 그리고 카롤링거 시대의 군사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역사서''의 필사본은 단 두 개만이 현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는 저술된 시기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고, 다른 하나는 르네상스 시대에 제작된 불완전한 형태의 텍스트로, 원본 내용을 복원하는 데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니타르두스의 ''역사서''에 대한 표준 비평판으로는 필립 로어가 편집하고 프랑스어로 번역한 ''루이 경건왕의 아들들의 역사''(파리: 챔피언, 1926)가 있다. 에른스트 뮐러가 1907년에 편집한 라틴어판은 1965년 모누멘타 게르마니에 히스토리카 시리즈의 일부로 재출판되었다. 영어 번역본으로는 버나드 월터 숄츠와 바바라 로저스가 번역한 ''카롤링거 연대기: 왕립 프랑크 연대기 및 니타르두스의 역사''(앤아버: 미시간 대학교, 1972)가 있다.
5. 가족 관계
참조
[1]
서적
Early Carolingian Warfare: Prelude to Empi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1
[2]
서적
Past Convictions: The Penance of Louis the Pious and the Decline of the Carolingians
2012
[3]
서적
Early Carolingian Warfare: Prelude to Empi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