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한마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닭한마리는 닭 한 마리와 채소, 마늘 등을 넣고 끓인 탕 요리이다. 서울 동대문 시장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닭고기를 건져 양념장에 찍어 먹고 남은 국물에 국수를 끓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닭백숙보다는 칼국수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닭의 담백한 맛으로 일본인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끌었으며, 외국인들에게도 신선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요리 - 회오리감자
회오리감자는 감자를 나선형으로 잘라 꼬치에 꿰어 튀긴 후 다양한 맛의 파우더를 뿌려 먹는 음식으로, 각 나라별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길거리 음식이나 축제 음식 등으로 판매된다. - 서울 요리 - 설렁탕
설렁탕은 소의 뼈, 고기, 내장 등을 푹 고아 만든 한국 전통 국 요리로, 뽀얀 국물과 담백한 맛이 특징이며 선농단 또는 몽골 음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뼈로 국물을 내는 설렁탕과 달리 고기로 국물을 내는 곰탕과 차이가 있으며, 소금, 후추, 파 등으로 간을 하여 깍두기, 김치와 함께 먹는 대중적인 음식이다. - 대한민국의 닭고기 요리 - 양념치킨
양념치킨은 튀긴 닭고기에 물엿, 고추장, 케첩 등을 넣어 만든 소스를 발라 조리하는 한국식 치킨 요리이며, 튀김옷이 눅눅해지기 쉽고 높은 열량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 대한민국의 닭고기 요리 - 불닭
불닭은 2004년 대한민국에서 매운맛으로 인기를 얻은 닭고기 요리이며, 상표권 분쟁 후 일반 명사로 인정받았고, 현재는 불닭볶음면 등 파생 상품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한국의 국물 요리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한국의 국물 요리 - 닭볶음탕
닭볶음탕은 닭고기와 채소를 고추장 양념에 볶다가 끓이는 한국 요리로, 얼큰하고 매콤한 맛이 특징이며, '닭도리탕'의 어원 논쟁이 있지만 밥반찬이나 술안주로 즐겨 먹는다.
닭한마리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닭한마리 |
다른 이름 | 닭한마리 칼국수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서울 도심 (동대문시장) |
관련 요리 | 대한민국 요리 |
주요 재료 | 닭고기 |
부재료 | 감자, 마늘, 대파 |
![]() | |
비슷한 음식 | 칼국수, 닭백숙 |
추가 정보 | |
특징 | 서울의 역사가 담긴 음식 |
2. 유래
수도 서울은 전국 각지에서 온 사람들이 모여 다양한 음식 문화를 공유하는 곳이라 요리의 기원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지만, 닭한마리는 도심의 동대문시장(종로 신진시장)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정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4] 다만 '닭한마리'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기록은 없고 여러 가설만 전해진다. 한 가지 설은 동대문시장에서 바쁜 손님들이 "닭 한 마리 빨리 달라"고 주문하면서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다. 다른 설로는 닭 한 마리를 백숙처럼 푹 고아 먹은 뒤 남은 국물에 칼국수까지 끓여 '완전하게 먹는다'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닭한마리'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주장도 있다.[5]
닭한마리는 대개 커다란 냄비에 8호에서 9호 크기의 닭 한 마리와 감자, 대파, 마늘을 넣고 탕을 끓인다.[5] 닭고기는 조리되지 않은 날것이 아니라 미리 어느 정도 익혀둔 것을 내놓는다.[4] 익은 닭고기를 간장, 식초, 겨자와 매운 다지기를 섞어 만든 양념장에 찍어먹고, 그 후 남은 국물에 국수를 끓여먹는 방식이 일반적이다.[5]
닭한마리는 인삼 같은 약재 향이 강한 백숙이나 삼계탕과 달리 약재를 넣지 않고 닭 본연의 담백한 맛을 잘 살려낸 점 덕분에 일찍부터 일본인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2000년대 들어서는 일본 현지에도 닭한마리 전문점이 생겨날 정도였다.[6] 또한, 채소를 우려낸 육수에 닭 한 마리를 통째로 넣어 즉석에서 끓여 먹는 방식 자체가 외국인 관광객들에게는 신선한 문화적 경험으로 다가와 인기를 끈 요인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7] 미국 트럼프 정부 시절 대북특별대표를 지낸 스티븐 비건 역시 닭한마리를 즐겨 먹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8]
[1]
간행물
서울의 역사가 담긴 닭한마리 냄비
https://love.seoul.g[...]
서울특별시청
2024-06-12
닭한마리는 요리법 자체가 닭고기 육수를 이용한 칼국수와 비슷하고, 실제로 닭고기를 먹고 남은 국물에 국수 사리를 넣어 칼국수처럼 끓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주문을 받고 닭을 요리하기 시작하는 백숙과 달리 미리 살짝 익혀 둔 닭고기를 다른 재료와 함께 내놓는 점, 닭고기를 소금에 찍어 먹는 백숙과 달리 식초와 간장 등을 섞은 양념장에 찍어 먹는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닭백숙보다는 칼국수 요리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5]
3. 요리와 식사법
4. 국제적 인기
참조
[2]
뉴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07-10
[3]
뉴스
[Seoul Food Alley] Chicken stew alley with fishy vibe in Dongdaemun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19-05-22
[4]
뉴스
"[맛있는경제] 닭 먹고, 칼국수로 마무리 '닭한마리'"
https://news.sbs.co.[...]
2024-06-12
[5]
잡지
서울의 역사가 담긴 닭한마리 냄비
https://love.seoul.g[...]
서울특별시청
2024-06-12
[6]
뉴스
"[한국의 미래 - 위기를 희망으로] 일본에 부는 新한류 열풍"
https://www.seoul.co[...]
2024-06-12
[7]
뉴스
"[일사일언] 일본인의 '닭한마리' 사랑"
https://www.chosun.c[...]
2024-06-12
[8]
뉴스
"[입맛뒷맛] 미 국무부 2인자도 사랑한 닭한마리의 매력"
https://www.yna.co.k[...]
2024-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