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수는 밀가루, 쌀가루, 메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가늘고 길게 만든 면으로, 면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국과 이탈리아에서 각자 원조를 주장하고 있다. 국수는 크게 국물면과 비빔면으로 나뉘며, 한국, 중국, 일본, 이탈리아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와 조리법으로 즐겨 먹는다. 국수는 제조 방법에 따라 수연면, 손으로 만든 면, 기계면 등으로 분류되며, 건조, 냉동 등의 과정을 통해 보존성을 높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수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 국수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주식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주식 - 곡물
    곡물은 벼과 식물의 씨앗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쌀, 밀, 옥수수 등이 주요 곡물로, 재배 환경에 따라 온대성 또는 냉대성 곡물로 분류되며, 유사 곡물, 맥류, 유지종자 등도 포함한다.
국수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국수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의 손을 이용한 전통 국수 만들기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의 손을 이용한 전통 국수 만들기
기원4,000년 전 중국 북서부
주재료무발효 반죽

2. 유래

중국이탈리아는 각자 자신들이 국수의 원조라고 주장한다. 2005년 10월 중국 황하 유역의 라자 지방에서 약 4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국수 흔적이 발견되었다.[1] 그러나 이 국수는 밀가루가 아닌 기장으로 만들어졌다. 영어 단어 'noodle'은 18세기 독일어 단어 'Nudel|누델de'에서 유래되었으며,[1] 이는 밀가루로 만든 만두를 의미하는 'Knodel|크노델de' 또는 'Nutel|누텔de'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

국수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후한 시대(25~220년)의 책에서 발견된다.[3] 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국수는 한나라 사람들에게 중요한 음식이 되었다. 4,000년 전 중국에서 국수의 가장 오래된 증거가 발견되었다.[3] 2005년, 고고학자 팀은 라자 유적지에서 4,000년 된 국수가 담긴 토기 그릇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4] 이 국수는 중국식 국수인 라미엔과 유사하다고 한다.[4] 국수와 관련된 퇴적물에 존재하는 껍질 피토리스와 전분 입자를 분석한 결과, 이 국수는 ''수수''(Panicum miliaceum)와 ''이탈리아 수수''(Setaria italica)로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4]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라자에서 발견된 국수가 특히 수수로 만들어졌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 순수한 수수 국수를 만드는 것은 어렵고, 분석된 잔류물이 라자의 국수 자체에서 직접 유래했는지 불분명하며, 요리 후 전분 형태가 라자의 국수와 맞지 않는 뚜렷한 변화를 보이며, 라자 국수에서 나온 전분과 같은 입자가 비전분 특성을 보여 전분인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5]

음식 역사가들은 일반적으로 파스타의 기원이 지중해 국가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한다.[6] 2세기 그리스 의사 갈렌이 묘사한 ''이트리온''이라는 밀가루와 물의 균질 혼합물, 3세기~5세기 유대인들이 예루살렘 탈무드에서 묘사한 ''이트리움'',[7] 그리고 9세기 아람 의사이자 사전 편찬자인 이쇼 바르 알리가 정의한, 세몰리나로 만들어져 요리 전에 말린 끈 모양의 ''이트리야''(그리스어 단어의 아랍어 동족어)가 그것이다.

면 또는 면류는 곡물 등의 가루를 반죽하여 만드는 가공 식품의 일종이다. 원료로는 밀가루, 메밀가루, 쌀가루, 전분, 타피오카 등의 곡물 가루가 주를 이루지만, 가늘고 긴 형태를 한 가공 식품이라면 원료에 관계없이 '면'으로 명명되어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25]. 면이라는 글자는 중화권의 '면(麵, 面중국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밀가루 그 자체, 또는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든 식품을 가리켰다[27]. 일본에 전래된 것은 나라 시대 즈음으로 여겨지며, 당시에는 '당과자'라고 불리며 불교 의식 등에 사용되었다[27].

영어에서는 밀가루에 물을 더해 조정한 것을 도우 (dough)라고 하며, 이를 응용한 요리는 얇게 펴서 소 등을 넣은 요리 (덤플링, dumpling)와 자르기, 늘리기, 찢기, 구멍이나 틀에서 밀어내는 등의 방법으로 성형한 요리 (누들, noodle)로 크게 분류된다[28]. 일본어의 '면'은 후자에 해당하는 것을 가리킨다[28]. 일본에서는 제조 공정이나 제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어 호칭되지만, 크게 '''생면류''', '''건면류''', '''즉석면류''', '''마카로니류''' (스파게티류), '''냉동면류'''의 5가지로 나뉜다[27].

면의 주된 원료인 밀은 지중해 동부 연안(이란 서부, 이라크 동부, 터키 남부 및 동부)이 그 기원으로 여겨지지만,[34] 한랭지에서 열대 지방까지 광범위하게 재배가 가능했던 점, 물과 섞으면 글루텐이 생성되어 끈기와 탄력성이 풍부한 성질이 다양한 식품으로의 가공에 적합했던 점, 이 두 가지 큰 이유로 세계적인 보급을 보였다[35]。 처음 재배가 시작된 것은 메소포타미아로, 기원전 9000년~7000년경으로 생각된다[36]。 그대로 먹기에 적합하지 않은 밀은 재배 초기에는 으로 먹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식감 등을 추구하여 밀가루를 반죽하여 반죽을 만들어 (무발효빵・발효빵)으로 먹는 방법이나, 반죽을 찢어 수제비처럼 먹는 방법이 널리 퍼지면서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가늘고 길게 만들어진 것이 면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37], 하지만 여러 설이 있어 확실하지 않다.

중국 대륙에 이 전해진 것은 전한(기원전 1세기 전후) 시대에 서방과의 교역로가 열린 이후라고 전해지지만, 다른 곡물을 사용한 면이 지중해 지역에서 밀가루로 바뀐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면류의 유물은 중국 칭하이성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의 라자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약 4000년 전의 것으로, 면은 밀가루가 아닌 기장으로 만들어졌다. 현재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중앙아시아에서 널리 먹는 라그만라면의 어원이기도 하지만, 실크로드를 따라 전파되어 중국 대륙에 퍼질 때 함호 (염수호)의 물을 사용하여 라그만을 만든 것이 중화면의 시작이라고도 하며, 현대에도 제면 공정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염을 간수라고 부르는 것도 이 영향이라고 한다[38]

그 외에, 재배 밀 발상지인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목민에 의해 교자의 형태(아프가니스탄의 오샤크,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주와와)로 전해져, 화북에서 피가 갈라져 면조(반죽을 가늘고 길게 늘인 것)가 생겼다는 설도 있다[39]

한편 유럽에서 널리 퍼진 듀럼 밀로부터 파스타가 만들어지게 되었지만, 이탈리아체르베테리에 있는 에트루리아인의 유적에서 약 2400년 전의 제면 기구가 발견된 것 외에, 고대 로마 시대의 문헌에서 라가나라고 불리는 구워 먹는 파스타에 대한 기술이 발견된 것 등으로부터 옛날부터 식문화로서 면을 먹는 습관이 퍼져 있었다고 생각된다[40]。 그러나 4세기경 게르만 민족의 침공으로 식육 문화가 널리 퍼져 파스타 등의 식문화는 쇠퇴했고, 다시 등장하는 것은 13세기 말의 프라 살림베네의 『연대기』였다[41]

3. 역사

국수는 후한 시대(25~220년)의 책에서 처음으로 언급되며, 당시 가루 반죽으로 만든 국수는 한나라 사람들의 중요한 음식이었다.[3] 4,000년 전 중국 라자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 그릇에 담긴 국수는 수수와 이탈리아 수수로 만들어졌다고 추정되지만,[4] 이에 대한 이견도 존재한다.[5]

음식 역사가들은 파스타의 기원을 지중해 국가에서 찾는다.[6] 갈렌이 묘사한 '이트리온', 예루살렘 탈무드에 나오는 '이트리움', 이쇼 바르 알리가 정의한 '이트리야' 등이 그 예시이다.[7]

면(麵)은 곡물 가루를 반죽하여 만든 가공 식품으로, 밀가루, 메밀가루, 쌀가루, 전분 등이 주재료이다.[25] 곡물을 주원료로 하는 면은 주식으로 섭취되기도 한다.[26] 면이라는 글자는 중화권의 '면(麵)'에서 유래했으며, 밀가루 또는 밀가루 반죽 식품을 의미했다.[27] 일본에는 나라 시대에 '당과'라는 이름으로 전래되어 불교 의식에 사용되었다.[27]

일본에서는 면을 제조 공정 및 제법에 따라 '''생면류''', '''건면류''', '''즉석면류''', '''마카로니류'''(스파게티류), '''냉동면류''' 등으로 분류한다.[27]

밀은 지중해 동부 연안이 원산지로,[34]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전 9000년~7000년경부터 재배되었다.[36] 초기에는 형태로 섭취되었으나, 이나 수제비와 같은 형태로 발전하면서 가늘고 긴 면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37]

견당사가 가져온 당과와 과병은 일본 면과 과자의 시초로 여겨진다. 헤이안 시대에는 '하쿠타쿠(餺飥)'라는 납작면이 천황 칙사에게 대접되었고,[46]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는 유학승을 통해 송나라 면 요리가 전래되어 소바, 우동, 소면, 히야무기의 기원이 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면 요리가 대중화되었다.

면은 전분과 단백질이 주성분이며, 이들의 특성에 따라 면의 식감과 점탄성이 결정된다.

3. 1. 동아시아

중국에서는 후한 시대(25~220년)의 책에서 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발견되며, 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국수는 한나라 사람들의 중요한 음식이 되었다.[3] 일본의 밀 국수(우동)는 9세기 초부터 중국 요리 레시피에서 유래되었다. 메밀로 만든 국수(냉면)는 조선 시대(1392–1897)에 개발되었다. 라멘은 광저우의 남중국 국수 요리를 기반으로 하지만 북중국 라미엔의 이름을 따서 1900년까지 일본에서 흔해졌다.[10][11][12][13]

3. 2. 중앙아시아

케스메 또는 에리슈테 면은 13세기까지 튀르크 민족이 먹었다.

3. 3. 서아시아

아쉬 레쉬테 (허브를 넣은 걸쭉한 수프 속의 국수)는 이란 등 일부 중동 국가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이다.

3. 4. 유럽

기원전 1세기에 호라티우스는 ''라가나''라고 불리는 튀긴 반죽 시트에 대해 썼다.[40] 그러나 이 조리법은 신선하거나 건조한 파스타 제품의 현재 정의와 일치하지 않는다. 이탈리아 체르베테리에 있는 에트루리아인의 유적에서 약 2400년 전의 제면 기구가 발견되었고, 고대 로마 시대 문헌에서 라가나라고 불리는 구워 먹는 파스타에 대한 기술이 발견되는 등, 옛날부터 면을 먹는 식문화가 퍼져 있었다고 생각된다.[40] 그러나 4세기경 게르만 민족의 침공으로 식육 문화가 널리 퍼지면서 파스타 등의 식문화는 쇠퇴했고, 13세기 말 프라 살림베네의 『연대기』에서 다시 등장한다.[41]

3. 5. 고대 이스라엘 및 디아스포라

라틴어 단어 ''이트리움''은 일종의 삶은 반죽을 가리켰다.[17] 5세기에 아랍인들은 면을 장거리 여행에 적합하도록 개량했는데, 이것이 마른 파스타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는 1154년에 ''이트리야''가 노르만 시칠리아에서 제조되어 수출되었다고 기록했다. ''이트리야''는 초기 페르시아 통치 시대(그들이 아람어를 사용했을 때)와 이슬람 통치 시대에 페르시아 유대인들에게도 알려졌다. 그것은 그리스 기원의 작은 수프 면을 가리키며, 반죽 덩어리를 꼬아서 모양을 만들어 이탈리아의 오르조와 유사하게 만들었다.

4. 종류

국수는 크게 국물면과 비빔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국물의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 국물면: 국물과 함께 먹는 국수로, 그 자체로 훌륭한 요리이다. 예를 들어 김치찌개에 면을 넣으면 훌륭한 라면이 된다. 중화 요리 중에는 짬뽕, 울면 등이 이에 해당한다.
  • 비빔면: 국물 없이 소스를 비벼 먹는 국수이다. 중화 요리 중에는 짜장면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국수가 존재한다.

  • '''아리쉬타''': 밀, 소금, 물을 섞어 반죽한 아르메니아식 두꺼운 면이다.
  • '''바크미''': 인도네시아식 중화풍 노란색 밀가루 국수로, 계란과 돼지고기를 사용한다.
  • '''추카멘''': 일본어로 "중국 국수"를 뜻하며, 라멘, 짬뽕, 야키소바 등에 사용된다.
  • '''케스메''': 납작하고, 노란색 또는 적갈색의 중앙아시아 밀 국수이다.
  • '''칼국수''': 칼로 썰어 만든 한국 국수이다.
  • '''라미엔''': 손으로 뽑은 중국식 국수이다.
  • '''미포크''': 납작하고 노란색의 중국 국수로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사용된다.
  • '''긴 파스타''': 듀럼 밀(세몰리나)로 만든 이탈리아 국수이다.
  • '''레쉬테''': 중앙아시아의 납작한 국수로, 색깔이 매우 옅다. 페르시아 요리와 아프가니스탄 요리에 사용된다.
  • '''소멘''': 일본식 밀 국수의 얇은 종류로, 종종 식물성 기름으로 코팅된다.
  • '''툭파''': 납작한 티베트식 국수이다.
  • '''우동''': 일본식 밀 국수의 두꺼운 종류이다.
  • '''키시멘''': 납작한 일본식 밀 국수이다.


쌀국수를 주재료로 하는 국수도 다양하다.

  • '''반 퍼''': 베트남 쌀국수에 사용되는 두꺼운 생 쌀국수이다.
  • '''허펀''', '''꽈이테우''' 또는 '''센야이''': 납작하거나 두꺼운 쌀국수이다.
  • '''쌀국수''': 얇은 쌀국수로, '''미펀''', '''비훈''', '''센미''' 또는 '''분'''이라고도 한다.
  • '''세바이''': 남인도에서 흔히 사용되는 쌀국수 변형이다.
  • '''이디야팜''': 인도의 쌀국수이다.
  • '''미시안''' 및 '''미간''': 중국 남서부의 국수이다.
  • '''카놈 친''': 태국 요리에 사용되는 발효 쌀국수이다.


메밀을 주재료로 하는 국수는 다음과 같다.

달걀을 섞어 만드는 면은 다음과 같다.

  • '''유미엔''': 중국과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아시아식 계란 면이다.[20]
  • '''록셴''': 동유럽 유대 요리에 사용되는 넓은 계란 면이다.[21]
  • '''케스메''' 또는 '''에리슈테''': 튀르크족 계란 면이다.[22]
  • '''슈페츨레''': 일반적으로 바덴-뷔르템베르크와 바이에른 등 독일 남부 지역과 관련된 계란 면이다.[23]


이 외에도 도토리, 옥수수, 녹두, , 곤약, 해초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 국수가 있다.

  • 도토리국수: 도토리 가루, 밀가루, 밀 배아, 소금으로 만들어진다.
  • 올챙이국수: 옥수수 수프를 국수 제조기를 통해 찬물에 바로 넣어서 만든다. 강원도에서 주로 먹는다.
  • 당면: 녹두로 만든다. 감자 전분, 칸나 전분 또는 같은 종류의 다양한 전분으로도 만들 수 있다.
  • 칡 냉면: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으로 만든 한국식 국수로, 쿠즈코라고도 불리며 쫄깃하고 반투명하다.
  • 실곤약: 곤약으로 만든 일본식 국수이다.
  • 다시마 국수: 해초로 만든 국수이다.
  • '''미 자궁''': 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인도네시아 국수이다.
  • '''미 사구''': 사고로 만든 인도네시아 국수이다.
  • '''미 싱콩''' 또는 '''미 모카프''': 카사바로 만든 인도네시아 국수이다.


일본에서는 제조 공정이나 제법에 따라 생면류, 건면류, 즉석면류, 마카로니류, 냉동면류의 5가지로 크게 분류한다.[27]

  • '''생면류''': 공정거래협의회연합회에서는 '생면류의 표시에 관한 공정 경쟁 규약'에서 생면류에 대해 "밀가루의 곡분류를 주원료로 하여 제면, 성형한 것 및 제면, 성형 후 가공한 것"이라고 정의한다.[29]
  • '''건면류''': 소비자청은 '건면류 품질 표시 기준'에서 건면류에 대해 "밀가루 또는 메밀가루에 식염, 참마, 말차, 달걀 등을 더해 반죽한 후, 제면하여 건조한 것" 또는 이에 "조미료, 약미 등을 첨부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30]
  • '''즉석면류''': 공정거래협의회연합회에서는 '즉석면의 표시에 관한 공정 경쟁 규약 및 시행 규칙'에서 즉석면에 대해 "밀가루 또는 메밀가루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식염 또는 간수 기타 면의 탄력성, 점성을 높이는 것 등을 더해 반죽한 후, 제면한 것 중, 첨부 조미료를 첨부한 것 또는 조미료로 간을 한 것으로, 간편한 조리 조작으로 식용에 제공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31]
  • '''마카로니류''': 소비자청은 '마카로니류 품질 표시 기준'에서 마카로니류에 대해 "듀럼밀세몰리나 혹은 밀가루 또는 강력분의 파리나 혹은 보통 밀가루에 물을 더해, 여기에 달걀, 채소 등을 더하거나 더하지 않고 반죽하여, 마카로니류 성형기에서 고압으로 밀어낸 후, 절단하고, 숙성 건조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32]
  • '''냉동면류''': 소비자청은 '조리 냉동 식품 품질 표시 기준'에서 냉동면류에 대해 "조리 냉동 식품 중, 밀가루 또는 메밀가루를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식염, 간수 등을 더해 반죽한 것을 제면한 후, 찌거나 삶는 등의 가열 처리를 한 것" 또는 이에 "조미료로 간을 하거나 고명을 더해 조리한 것, 또는 조미료 혹은 고명을 첨부한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33]


국수류의 JIS 분류는 다음과 같다.[27]

분류명제조 공정 개요
생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
건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건조재단포장
동결건조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삶기수세 냉각동결건조포장
포장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삶기수세 냉각살균 처리외장
냉동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삶기수세 냉각냉동포장
즉석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삶기증자조미료 첨가성형가열 건조 또는 유탕 처리포장
찐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증자수세 냉각유포포장
삶은 스파게티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탈기편평 압출압연절단삶기수세 냉각살균 처리포장
삶은 스파게티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탈기선상 압출건조재단포장
손으로 만든 우동류원재료 혼합편평 압연칼로 자르기삶기
손으로 늘린 우동·소면류원재료 혼합끈 모양 압신건조재단포장
냉면류원재료 혼합선상 압출삶기수세 냉각


4. 1. 한국의 국수

4. 2. 세계의 국수

세계에는 다양한 종류의 국수가 존재하며, 크게 국물면과 비빔면으로 나눌 수 있다.

  • 국물면: 국물과 함께 먹는 국수로, 짬뽕, 울면 등이 있다.
  • 비빔면: 국물 없이 소스에 비벼 먹는 국수로, 짜장면 등이 있다.


국수의 기원은 오래되었는데, 가장 오래된 기록은 한나라(25~220년) 시대의 책에서 발견된다.[3] 4,000년 전 중국 라자 유적에서 발견된 국수는 수수와 이탈리아 수수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4]

지중해 지역에서는 파스타의 기원으로 추정되는 음식들이 발견된다.[6] 2세기 그리스 의사 갈렌이 묘사한 ''이트리온'', 3~5세기 유대인들이 예루살렘 탈무드에서 묘사한 ''이트리움'', 9세기 아람 의사이자 사전 편찬자인 이쇼 바르 알리가 정의한 ''이트리야'' 등이 그것이다.[7]

오늘날에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국수가 소비되고 있다.

  • '''중국'''


중국에는 1,200가지가 넘는 종류의 국수가 소비된다.[8] 중국어에서는 밀가루로 만든 국수를 '면'(麪/面, 미엔)이라고 하고, 쌀가루나 녹두 전분 등으로 만든 국수는 '분'(粉, 펀)이라고 구분한다.[9]

  • '''일본'''


일본의 밀 국수(우동)는 9세기 초부터 중국 요리 레시피에서 유래되었다.[10] 메밀로 만든 국수(냉면)는 조선 시대(1392–1897)에 개발되었다. 라멘은 광저우의 남중국 국수 요리를 기반으로 하지만 북중국 라미엔의 이름을 따서 1900년까지 일본에서 흔해졌다.[10][11][12][13]

  • '''이탈리아'''

  • '''베트남'''

4. 3. 주재료에 따른 분류

주재료국수 종류설명
Արիշտա|아리쉬타hy아르메니아식 두꺼운 면으로, 밀, 소금, 물을 섞어 반죽하여 만든다.
肉麵|바크미중국어인도네시아식 중화풍 노란색 밀가루 국수로, 계란과 고기(보통 돼지고기)를 사용한다.
中華麺|추카멘일본어일본어로 "중국 국수"를 뜻하며, 라멘, 짬뽕, 야키소바 등에 사용된다.
Erişte|케스메tr중앙아시아의 납작하고 노란색 또는 적갈색의 밀 국수이다.
칼국수칼로 썰어 만든 한국 국수이다.
拉麵|라미엔중국어손으로 뽑은 중국식 국수이다.
麪薄|미포크중국어납작하고 노란색의 중국 국수로,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사용된다.
긴 파스타듀럼 밀(세몰리나)로 만든 이탈리아 국수이다.
رشته|레쉬테fa중앙아시아의 납작한 국수로, 색깔이 매우 옅다(거의 흰색). 페르시아 요리와 아프가니스탄 요리에 사용된다.
そうめん|소멘일본어일본식 밀 국수의 얇은 종류로, 종종 식물성 기름으로 코팅된다.
ཐུག་པ་|툭파bo납작한 티베트식 국수이다.
うどん|우동일본어일본식 밀 국수의 두꺼운 종류이다.
きしめん|키시멘일본어납작한 일본식 밀 국수이다.
Bánh phở|반 퍼vi베트남 쌀국수에 사용되는 두꺼운 생 쌀국수이다.
납작하거나 두꺼운 쌀국수沙河粉|사허펀중국어, 粿條|꽈이테우중국어 또는 เส้นใหญ่|센야이th라고도 한다.
쌀국수얇은 쌀국수로, 米粉|미펀중국어 또는 米粉|비훈중국어 또는 เส้นหมี่|센미th 또는 "분"이라고도 한다.
சேவை|세바이ta남인도에서 흔히 사용되는 쌀국수 변형이다.
இடியாப்பம்|이디야팜ta인도의 쌀국수이다.
메밀중국 남서부의 米线|미시안중국어 및 米干|미간중국어 국수
ขนมจีน|카놈 친th태국 요리에 사용되는 발효 쌀국수이다.
막국수대한민국 강원도의 지역 특산 음식이다.
메밀 냉면메밀로 만들어 소바보다 쫄깃한 대한민국식 국수이다.
기타蕎麦|소바일본어일본의 메밀 국수이다.
Pizzoccheri|피초케리it이탈리아 발텔리나 지방의 메밀 탈리아텔레로, 보통 녹인 치즈 소스와 함께 제공된다.
幼麵|유미엔중국어중국과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아시아식 계란 면이다.[20]
לאָקשן|록셴yi동유럽 유대 요리에 사용되는 넓은 계란 면이다.[21]
Kesme|케스메tr 또는 Erişte|에리슈테tr튀르크족 계란 면이다.[22]
Spätzle|슈페츨레de일반적으로 바덴-뷔르템베르크와 바이에른 등 독일 남부 지역과 관련된 계란 면이다.[23]
도토리국수(도토리 국수한국어)도토리 가루, 밀가루, 밀 배아, 소금으로 만들어진다.
올챙이국수옥수수 수프를 국수 제조기를 통해 찬물에 바로 넣어서 만든 국수이다. 이름은 이 때문에 붙여졌다. 이 한국식 국수는 주로 강원도에서 먹는다.
rowspan="6" |당면녹두로 만든다. 감자 전분, 칸나 전분 또는 같은 종류의 다양한 전분으로도 만들 수 있다.
칡 냉면 뿌리에서 추출한 전분으로 만든 한국식 국수이다. 葛粉|쿠즈코일본어라고도 불리며, 쫄깃하고 반투명하다.
실곤약(しらたき|시라타키일본어)곤약으로 만든 일본식 국수이다.
다시마 국수해초로 만든 국수이다.
Mie jagung|미 자궁id옥수수 전분으로 만든 인도네시아 국수이다.
Mie sagu|미 사구id사고로 만든 인도네시아 국수이다.
Mie singkong|미 싱콩id 또는 Mie mocaf|미 모카프id카사바로 만든 인도네시아 국수이다.


4. 4. 조리 방법에 따른 분류

국수는 크게 국물면과 비빔면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둘의 차이는 국물의 유무에 있다.

  • 국물면: 에 면을 추가한 형태이다. 예를 들어 김치찌개에 면을 넣으면 라면이 된다. 중화요리 중에는 짬뽕, 울면 등이 있다.
  • 비빔면: 국물 없이 소스를 비벼 먹는 국수이다. 중화요리 중에는 짜장면이 있다.


웍을 사용하여 면을 볶는 모습


Sev mamra, 인도의 간식

  • 구운 면: 삶아서 물기를 뺀 면에 다른 재료를 섞어 굽는다. 캐서롤이 대표적인 예이다.
  • 기본 면: 물이나 육수에 삶아 물기를 뺀 면이다. 다른 음식을 추가하거나 (볶음면) 다른 음식에 면을 넣거나, 찍어 먹는 소스나 식용유를 곁들여서 그냥 먹을 수 있다.
  • 차가운 면: 차갑게 제공되는 면으로, 샐러드로 제공되기도 한다. 태국식 샐러드와 차가운 우동이 그 예이다.
  • 볶음면: 다양한 고기, 해산물, 채소, 유제품과 함께 볶아 만든다. 차우 면, 로 면, 미 고렝, 호키엔 미, 일부 종류의 판싯, 야키소바, 탈라린 살타도, 팟타이 등이 있다.
  • 국수 수프: 국물을 곁들여 제공되는 면 요리이다. 쌀국수, 소고기 국수, 닭고기 국수, 라멘, 락사, 미 아얌, 사이민, 바초이가 있다.


국수류의 JIS 분류는 다음과 같다.[27]

분류명제조 공정 개요
생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
건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건조재단포장
동결건조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삶기수세 냉각동결건조포장
포장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삶기수세 냉각살균 처리외장
냉동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삶기수세 냉각냉동포장
즉석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삶기증자조미료 첨가성형가열 건조 또는 유탕 처리포장
찐 면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증자수세 냉각유포포장
삶은 스파게티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탈기편평 압출압연절단삶기수세 냉각살균 처리포장
삶은 스파게티류원재료 혼합복합압연절단탈기선상 압출건조재단포장
손으로 만든 우동류원재료 혼합편평 압연칼로 자르기삶기
손으로 늘린 우동·소면류원재료 혼합끈 모양 압신건조재단포장
냉면류원재료 혼합선상 압출삶기수세 냉각


5. 제조 방법

짜장면, 짬뽕중화요리 국수는 계속 길게 잡아 늘여서 만든다. 칼국수는 얇게 펴서 말은 다음 칼로 썰어 면을 만든다. 냉면은 구멍이 뚫린 도구를 사용하여 반죽을 밀어내어 면을 만든다.[28]

라면은 짜장면과 같은 방법으로 면을 뽑은 후 기름에 바짝 튀긴다. 건면은 햇빛에 말려서 면을 만든다. 소면, 즉석 라면, 스파게티면 등은 국수를 만든 후 건조하거나 한 번 익힌(또는 튀긴) 다음 건조해서 오랫동안 보관하고 유통하기 쉬운 형태로 만든다.

제조법상으로는 반죽을 잡아당겨 실 모양으로 가늘게 늘이는 방법(수연면), 밀대로 얇게 편 반죽을 잘라 실 모양으로 만드는 방법(손으로 만든 면), 작은 구멍이 뚫린 실린더에서 밀어내는 방법 등으로 분류된다.[28]

성형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면의 종류 예시는 다음과 같다.



국수류의 JIS 분류는 다음과 같다.[27]

분류명제조 공정 개요
생면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건면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 건조 - 재단 - 포장
동결건조 면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 삶기 - 수세 냉각 - 동결 - 건조 - 포장
포장 면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 삶기 - 수세 냉각 - 살균 처리 - 외장
냉동 면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 삶기 - 수세 냉각 - 냉동 - 포장
즉석 면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 삶기 - 증자 - 조미료 첨가 - 성형 - 가열 건조 또는 유탕 처리 - 포장
찐 면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 증자 - 수세 냉각 - 유포 - 포장
삶은 스파게티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 탈기 - 편평 압출 - 압연 - 절단 - 삶기 - 수세 냉각 - 살균 처리 - 포장
삶은 스파게티류원재료 혼합 - 복합 - 압연 - 절단 - 탈기 - 선상 압출 - 건조 - 재단 - 포장
손으로 만든 우동류원재료 혼합 - 편평 압연 - 칼로 자르기 - 삶기
손으로 늘린 우동·소면류원재료 혼합 - 끈 모양 압신 - 건조 - 재단 - 포장
냉면류원재료 혼합 - 선상 압출 - 삶기 - 수세 냉각


6. 보존

국수를 보존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인스턴트 라면
  • 냉동면

참조

[1] 웹사이트 noodle {{!}} Definition of noodle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web.archive.[...] 2019-05-07
[2]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Word Noodle https://www.bonappet[...] 2023-10-12
[3] 간행물 4,000-Year-Old Noodles Found in China http://news.national[...] 2005-10-12
[4] 간행물 Culinary archaeology: Millet noodles in Late Neolithic China 2005-10-13
[5] 간행물 Can noodles be made from millet?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noodle manufacture together with starch grain analyses
[6] 뉴스 The Twisted History of Pasta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9-12-13
[7] 문서 A medical text in Arabic written by a Jewish doctor living in Tunisia in the early 900s
[8] 웹사이트 Noodles in Contemporary China: Social Aspects underlying the Noodle Evolution (Qiulun Li) – Noodles on the Silk Road https://scholarblogs[...] 2022-07-01
[9] 뉴스 Noodle nomenclature 1992-01-30
[10] 웹사이트 Japanese Noodles (No. 4) https://www.kikkoman[...] 2022-07-20
[11] 웹사이트 Part 1: China Origin https://www.ramen-cu[...] 2022-07-20
[12] 웹사이트 Indespensable Knowledge For Every Ramen Lover! A Glossary with Shop Recommendations https://savorjapan.c[...] 2022-07-20
[13] 웹사이트 榨菜肉丝面的南北差异及制作方法 https://www.sohu.com[...]
[14]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Origins of Pasta {{!}} Cucina Toscana Salt Lake City https://toscanaslc.c[...] 2023-05-18
[15] 웹사이트 City Profile: Stuttgart https://web.archive.[...] Embassy of Germany, London 2015-11-26
[16] 웹사이트 Arishta - Traditional Armenian Homestyle Pasta https://phoenixtour.[...] 2024-11-13
[17] 서적 Polish Heritage Cookery https://books.google[...] Hippocrene Books 2005
[18] 서적 Salvaged Pages: Young Writers' Diaries of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5
[19] 서적 Children during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2011-05-31
[20] 웹사이트 Know your noodle: The ultimate guide to Asian noodles https://www.sbs.com.[...] 2020-03-24
[21] 웹사이트 Lokshen Noodles https://www.pbs.org/[...] 2020-03-24
[22] 웹사이트 Turkish Egg Noodle (Erişte) http://www.almosttur[...] 2020-03-24
[23] 웹사이트 How to make perfect spätzle noodles https://www.theguard[...] 2020-03-24
[24] 뉴스 原材料が100%「豆」の「ゼンブヌードル」はパスタなのか何なのか実際に食べて確かめてみた https://gigazine.net[...] GIGAZINE 2020-10-13
[25]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
[26] 뉴스 日清食品、栄養と簡単調理両立のパスタ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3-26
[27] 간행물 最近の麺事情について https://doi.org/10.1[...] 1991
[28] 웹사이트 うどん類の歴史と分類 https://ku-food-lab.[...] 関西大学 2020-11-08
[29] 웹사이트 生めん類の表示に関する公正競争規約 https://www.jfftc.or[...] 全国公正取引協議会連合会
[30] 웹사이트 乾めん類品質表示基準 https://www.caa.go.j[...] 消費者庁
[31] 웹사이트 即席めんの表示に関する公正競争規約及び施行規則 https://www.jfftc.or[...] 全国公正取引協議会連合会
[32] 웹사이트 マカロニ類品質表示基準 https://www.caa.go.j[...] 消費者庁
[33] 웹사이트 調理冷凍食品品質表示基準 https://www.caa.go.j[...] 消費者庁
[34]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
[35]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
[36] 서적 パスタでたどるイタリア史
[37]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38]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39] 서적 文化麺類学・ラーメン篇 明石書店
[40]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41] 서적 パスタでたどるイタリア史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서적 ラーメンの誕生 ちくま新書(筑摩書房)
[46] 뉴스 麺のルーツを味わう - 奈良公園で索餅まつり https://www.nara-np.[...] 奈良新聞 2023-07-09
[47] 서적 パスタでたどるイタリア史
[48] 서적 パスタでたどるイタリア史
[49] 서적 パスタでたどるイタリア史
[50] 서적 パスタでたどるイタリア史
[51] 서적 パスタでたどるイタリア史
[52]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53]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54]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55]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56]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57]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58] 서적 麺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59] 웹사이트 世界の伝統的な製麵技術 5つの系列 http://ishige.syokub[...]
[60] 간행물 2011年2月JIS追録差し替え情報 http://www.jiskikaku[...] 有限会社規格サービ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