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감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감자는 가지과에 속하는 식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중요한 작물이다.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로, 19세기 초 중국을 통해 한국에 전래되었다.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굽거나 튀기는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감자는 탄수화물, 비타민 C, 칼륨 등을 함유하여 영양학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19세기 중반 아일랜드 대기근 당시 주식이었던 감자가 역병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사건은 감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감자는 재배가 용이하며, 기후와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량 자원으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지속 - 감자아속
    감자아속은 가지속의 아속으로, 감자, 토마토, 페피노 등을 포함하며 8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고, 주요 작물과 야생 감자 및 토마토 유사 종들을 포함한다.
  • 가지속 - 가지아속
    가지아속은 가지속의 하위 분류로, 가시가지절, 가지절 등 다양한 절과 그에 속하는 여러 종들로 구성되며 가지, 도깨비가지, 룰로, 코코나 등 경제적, 생태적으로 중요한 식물들을 포함한다.
  • 감자 - 포마토
    포마토는 감자와 토마토를 접목하여 한 식물에서 두 작물을 모두 생산하는 기술 또는 식물을 의미하며, 토마토는 줄기에서, 감자는 뿌리에서 수확할 수 있다.
  • 감자 - 감자 튀김 박물관
    벨기에 브뤼헤에 위치한 감자 튀김 박물관은 감자의 역사와 감자 튀김의 기원, 벨기에가 감자 튀김 원조국임을 주장하는 다양한 자료를 전시한다.
  • 북아일랜드 요리 - 소시지
    소시지는 고기를 케이싱에 넣어 만든 식품으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제조 과정을 거쳐 굽거나 삶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며, 지방과 나트륨 함량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
  • 북아일랜드 요리 - 우락유
    우락유는 버터 제조 부산물이거나 이를 모방한 유제품으로, 전통적인 버터밀크는 크림에서 버터를 만들고 남은 액체이며, 현대에는 유산균을 첨가하거나 식용산을 넣어 만든 배양 또는 산성 버터밀크가 판매되고, 음료나 요리 재료, 식품 산업 원료로 활용된다.
감자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다양한 색, 모양, 크기의 감자 품종.
학명Solanum tuberosum
명명자L.
동의어목록 참조
영어 이름potato
독일어 이름Kartoffel
일본어 이름ジャガイモ (자가이모), バレイショ (바레이쇼)
로마자 표기potato (포테이토)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가지목
가지과
가지속
아속감자아속
활용 및 기타 정보
주요 용도주요 식량 작물
별칭말감자(馬鈴薯)

2. 어원

한국어 '감자'는 19세기 초 중국을 통해 전래될 당시 '북방에서 온 고구마'라는 뜻의 '북감저(北甘藷)'로 불렸다.[393] 감저(甘藷)는 본래 사탕수수[392]고구마를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고구마보다 60년 늦게 감자가 한반도에 들어오자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393] 명확한 구분을 위해 북쪽에서 온 감자는 '북저(北藷)', 일본을 통해 남쪽에서 온 고구마는 '남저(南藷)'라고도 했다.[394]

김동인소설감자》(1925)에 등장하는 '감자'는 오늘날의 고구마를 뜻하는 등, 한동안 명칭 혼동이 있었다.[395] 이후 고구마는 '고구마'로, 감자는 '감자'로 굳어졌다. 이는 고구마의 낮은 저장성과 별미 취급에 비해 감자가 구황작물로 자리 잡으면서 양식에 버금가는 대접을 받았기 때문이다.[394] 한글로 '감자'라고 표기한 최초의 문헌은 1918년에 발행된 《조선농업대전》이다.[396]

영어 'potato'는 스페인어 'patat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타이노어 'batata'(고구마)와 케추아어 'papa'(감자)가 결합된 것이다.[238][239][240][241] 스페인어 'patata'는 감자를 뜻하는 'papa'가 교황을 의미하는 'Papa'와 같아 이를 피하고자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다.[242][243]

프랑스어 'pomme de terre'는 '땅속의 사과'라는 뜻이다.[253][254] 과거 유럽에서는 낯선 열매에 '사과'라는 이름을 붙였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255] 독일어 'kartoffel'은 이탈리아어 'tartuffo'(송로버섯)에서 유래했는데,[251][252] 초기 감자가 작고 땅속에서 자라는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396]

일본어 '자가이모(ジャガイモ)'는 16세기 말 네덜란드 선박이 자바섬의 자카르타(자가타라)를 경유하여 나가사키에 감자를 전래하면서 '자가타라이모'로 불리던 것이 변한 것이다.[372]

3. 역사

남아메리카 대륙의 안데스 산맥이 원산지이며, 작은 덩이줄기의 원종이 중남미자생하고 있다.[182] 대항해시대유럽 각지로 전파되었고, 일본에는 동남아시아를 거쳐 16세기에 전래되었다.[188] 보존성이 높아 당시 선원들의 식량으로 귀중하게 여겨졌다.[188] 이후 품종 개량이 거듭되어 현재와 같은 대형 덩이줄기를 맺는 품종이 개발되었으며,[182] 세계 각국의 온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182]

16세기 남미에서 유럽으로 전래된 감자는 처음에는 외관이 좋지 않다는 이유(현재의 감자보다 작고 검었다)로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게다가 대중들은 감자가 성경에 나오지 않고, 종이모로 번식한다는 이유로 "악마의 작물"로 혐오했다.

그러나 17세기 유럽 각지에서 기근이 발생하자, 각국의 왕들은 기존에 재배되던 주요 작물보다 추운 기후에도 잘 견디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단위면적당 수확량도 많은 감자 재배를 장려했다. 특히 서늘하고 농업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졌던 아일랜드와 북독일에서 동유럽, 북유럽에 이르기까지 식문화를 바꿀 정도로 널리 보급되었다. 땅속에서 자라는 감자는 밀 등과 달리 전쟁으로 밭이 짓밟히더라도 수확할 수 있다는 점과, 농민들이 감자를 먹음으로써 영주들이 자신의 밀 배당량을 늘리려는 계략도 있었다. 또한 서양뿐만 아니라 미국 등 북미 지역과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도 보급되어 감자가 기근에서 구해낸 인구는 헤아릴 수 없다고 한다.

에도 시대 이후 쌀 수확에 불리한 산간·냉랭지에서 감자 재배가 확산되면서 지역 이름이나 지역 품종도 많다.

명칭유래
니도이모(二度芋), 산도이모(三度芋)1년에 2회 또는 3회 수확할 수 있다는 데서 유래.[146]
카부타이모, 자가타라이모, 산토쿠[147]
오스케이모(お助けイモ)기근 때 감자 활용을 권장한 것이 효과가 있었기 때문[148]
젠타유이모(善太夫芋)1748년 신슈에서[149] 종자를 반입한 히다의 대관 고다 젠타유(幸田善太夫)에서 유래[150]
세이다유이모(清太夫芋), 세이다이모(せいだいも)18세기에 감자 보급에 힘쓴 고슈의 대관 나카이 세이다유(中井清太夫)에서 유래[151] 후쿠시마현, 사이타마현, 아이치현에서는 감자를 「고슈이모(甲州いも)」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152]
치스케이모(治助イモ)도쿄도오쿠타마정의 특산품[153]
아프라(アップラ), 암프라(アンプラ), 캄프라(カンプラ)네덜란드어aardappel(땅의 사과)에서 유래
이모(イモ), 에모(エモ)아이누어. 일본어의 「이모」가 유래. 「고쇼이모(五升芋)」가 변한 「코소이미(コソイミ)」라는 명칭도 있다.[154]



2005년에는 감자의 원산지 중 하나인 페루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제안한 '국제 감자의 해'(IYP; International Year of Potato)가 채택되어, 2008년을 '감자 재배 8000년을 기념하는 국제 감자의 해'로 하여 FAO 등이 감자의 더욱 널리 보급되고 계몽될 수 있도록 각국에 호소하게 되었다.

3. 1. 기원과 전파

감자는 페루, 칠레, 볼리비아의 안데스 고지대와 티티카카 호수 주변이 원산지로, 약 7,000년 전부터 재배된 것으로 추정된다.[227][228][229] 잉카 제국에서는 감자를 주식으로 삼았으며, 추뇨(Chuñoes)라는 냉동 건조 감자를 만들어 장기 보관하였다.[231][232] 추뇨는 흉년에 대비한 좋은 식량 자원이었고, 가벼워서 군대 식량으로도 사용되었다.[233][234]

츄노 (Chuño)


16세기 스페인의 남미탐험과 개척


16세기 남미를 탐험한 스페인 탐험가들은 원주민들이 주식으로 먹던 감자를 처음 발견하고[256] 유럽으로 전파하였다. 1573년 스페인 세비야의 병원 물품 구입 목록에 감자가 있었다는 기록으로 보아,[259] 16세기 중후반에는 스페인에 감자가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감자의 원산지, 남미 안데스


하지만 유럽에서는 처음에 감자에 대한 거부감이 컸다.[261] 감자는 성경에 등장하지 않는 부정한 식품으로 여겨졌으며,[268][261] 싹이 난 감자를 먹고 부작용을 겪으면서 더욱 기피하게 되었다.[261] 또한 감자 표면이 한센병 환자의 피부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혐오 식품으로 여겨져 재배를 금지하기도 했다.[277][278]

최음 식물 (mandrake)


그러나 18세기 후반부터 감자는 기근 해결에 기여하며 주요 작물로 자리 잡았다.[263]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와 프랑스의 농경학자 파르망티에의 노력으로[271] 감자에 대한 편견이 깨지기 시작했고, 19세기에는 유럽에서 좋은 구황작물로 인식되었다. 특히 잦은 전쟁과 흉년으로 식량이 부족했던 시기에 감자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고, 재배가 쉬우며, 저장성이 뛰어나 가난한 농민과 하층민에게 좋은 식재료가 되었다.[286]

감자먹는 사람들(고호)


감자는 아일랜드에서 17세기 초반부터 주식으로 자리 잡았다.[273][298][274] 영국이 아일랜드를 식민 지배하며 곡물을 수탈하자, 아일랜드인들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감자를 주식으로 삼을 수밖에 없었다.[300][301] 그러나 19세기 중반 감자 마름병으로 인해 아일랜드 대기근이 발생하기도 했다.

일본에는 1598년경 네덜란드인에 의해 감자가 전래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372] 초기에는 '자가타라이모(ジャガタライモ)'로 불렸으나, '자가이모'(ジャガイモ, 감자)로 줄여 부르게 되었다.[372] 에도 시대 이후 쌀 재배가 어려운 산간 지역과 홋카이도 등 추운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었다.[373]

조선에는 1824년(순조 24)경 청나라 사람들이 산삼을 찾기 위해 몰래 들어와 식량으로 감자를 심으면서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79][380][381] 1832년에는 영국 상선에 타고 있던 독일 선교사 귀츨라프가 감자 종자와 재배법을 전해주었다는 기록도 있다.[385][386]

3. 2. 한국 전래

1824년(순조 24)경 산삼을 찾기 위해 조선에 몰래 들어온 청나라 사람들이 식량으로 쓰려고 산간지역에 경작하면서 한반도에 감자가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79][380][381] 청나라 심마니들이 식량을 운반하기 어려워 길목마다 감자를 심어놓고 비상식량으로 사용했다는 것이다.[382]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함경도에서 "감자가 강을 건넜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청나라 심마니들이 국경을 넘어 감자를 심는다는 뜻이라고 한다.[383]

1832년 7월 전라도 해안에 표류한 영국 상선 로드 애머스트(Load Amherst)호에 타고 있던 독일 선교사 귀츨라프(Gutzlaff)가 감자 종자와 한문 재배법을 김창한의 아버지에게 건네주어 재배하기 시작했다는 기록도 있다.[384][385][386] 순조 28년과 29년에는 흉년이 들었는데, 감자 종자를 많이 뿌려둔 덕분에 굶어 죽는 사람을 면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예로부터 칡뿌리, 토란, 도라지, 인삼 등이 식품과 의약재로 이용되어 왔기에, 뿌리식물인 감자에 대한 거부감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386] 1900년 이후 품질이 개선된 외래종이 도입되면서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387]

강원특별자치도는 1920년대 초 회양군 난곡면에서 농업연구를 하던 독일인 매그린이 개발한 품종(난곡 1호 ~ 난곡 5호)이 1930년대에 대규모로 재배되면서 감자로 유명해졌다.[388][389] 당시 강원도에는 화전민이 약 35만 명으로 도내 인구(약 150만 명)의 23%에 달했는데, 기후 조건이 감자 재배에 적합하고 다른 작물보다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많아 쌀 경작이 어려웠던 이 지역에서는 화전민을 중심으로 감자가 주식으로 재배되었다. 이후 량강도 인구가 늘면서 북측에서는 강원도보다 량강도 감자가 유명해졌다. 1930년경에는 '남작(男爵 Irish Cobbler)'이라는 신품종이 일본을 통해 들어와 보급되면서 많이 재배되었다.[423]

한국에서 감자 재배가 본격화된 것은 광복 후였다. 일제강점기6.25 전쟁을 거치며 국토가 황폐해진 상황에서 당장 먹거리를 확보할 대안이 필요했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감자의 특성 때문에 많은 농경학자들이 감자를 추천했다.[407]

1975년 미국에서 육성된 ‘수미(秀美)’ 품종이 도입되어 현재까지 전체 감자 생산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420]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시설을 활용한 내륙의 겨울 시설재배와 제주도의 가을 재배 수확기가 연장되면서 연중 신선한 감자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380] 최근에는 품종 개발이 이루어져 한국 기후에도 잘 자라는 자주감자, 붉은 감자가 농가에 많이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390]

3. 3. 아일랜드 대기근

1845년부터 1852년까지 아일랜드에서 발생한 대기근으로 백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다수가 해외로 집단 이주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439][440] 1840년대 아일랜드 인구는 약 850만 명이었는데, 대기근 기간 중 사망 또는 이주로 인해 전체 인구의 약 20%~25%가 줄어 기근 후 약 600만 명 정도가 되었다. 감자 역병 때문에 기근이 발생하였으나, 사태가 심각해지도록 만든 것은 아일랜드를 식민 통치하고 있던 영국의 정치적, 민족적, 종교적, 사회적, 경제적 차별 정책 때문이었다.[441][442] 이 사건으로 아일랜드인들의 영국에 대한 적개심은 더욱 커졌으며,[443] 독립의 열망이 증가하도록 만들었고,[444] 결국 독립 투쟁을 거쳐 1921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1750년부터 아일랜드와 유럽 인구 변동. 1845년부터 1849년까지 아일랜드에서 발생한 감자 기근의 비참한 결과와 그 이전의 인구 증가를 보여준다.


아일랜드 소작농들은 원래 주로 보리를 재배했지만, 가혹한 영국 제국의 식민 지배하에서 보리는 지주에게 지대로 착취당했기 때문에, 지대가 징수되지 않는 생산성이 높은 감자를 작은 텃밭에서 재배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감자가 빈농의 유일한 식량이 되었고, 기근 직전에는 인구의 3할이 감자에 의존하는 상태가 되었다.

“'''아일랜드 럼퍼'''”(Irish Lumper)라고 불리는 아일랜드 감자 품종은 추운 지역에서도 잘 자라 아일랜드 인구 증가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1845년부터 1849년까지 4년 동안 유럽에서 감자 역병이 대유행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감자를 주식으로 삼았던 피지배층인 아일랜드인들 사이에서는 감자 기근으로 100만 명 이상이 굶주림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또한 잉글랜드,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으로 총 200만 명 이상이 이주했다고 한다. 미국으로 건너간 아일랜드 이민자들은 미국 사회에서 큰 집단을 형성하여 경제계, 특히 정치계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 시대 미국으로 이주한 사람들 중에는 케네디가의 조상도 포함되어 있었다.

3. 4. 감자 전쟁

1778년 7월에 프로이센오스트리아 간에 벌어진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은 '감자전쟁(Potato war)'이라고도 불린다.[431][432][433][434] 양측은 후계자 없이 사망한 바이에른 공작의 영지를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벌였으나, 서로 비등한 전력으로 인해 전면전을 피하고 대치했다. 전쟁은 제대로 된 교전 한번 없이 소강상태가 계속되었으며,[435] 양측은 서로 상대측의 연락과 보급선을 차단하는 전략에 몰두했다.[436] 특히 7년 전쟁 이후 프리드리히 2세의 독려 속에 재배가 증가한 감자를 확보하는데 경쟁을 벌였다. 양측 병사들은 상대측과 마주쳐도 총을 쏘기보다는 서로 먼저 감자밭으로 달려가 더 많은 감자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바닥난 군량미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대측이 감자를 식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차단하려 하였다.[437] 소강상태로 이어지던 전쟁은 10개월 만에 전투다운 전투 없이 종결되자 감자전쟁(Potato war)이라는 별칭이 붙게 되었다.[438]

4. 재배

감자는 현재 재배되는 식물 중 환경 적응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안가에서부터 히말라야산맥이나 안데스산맥 등 해발 4,000m 이상 고산지대,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그린란드까지, 북위 72도에서 남위 46도 부근까지 널리 재배된다.[402]

감자 재배 지역 (2008년)


한국에서는 봄 감자와 가을 감자를 재배한다. 봄 감자는 전국 어디에서나 재배 가능하며, 여름 장마 전 하지에 수확한다.[403] 가을 감자는 늦가을에 수확한다. 제주도 감자는 1, 2월에 수확하여 겨울에도 신선한 감자를 맛볼 수 있다.[404]
주요 재배 지역[404]:

강원특별자치도는 해발 600m 이상 고랭지로 일교차가 커 감자 생육에 유리하며, 9월 중순에서 말쯤 출하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따뜻한 기후를 이용해 가을에 심은 감자를 땅속에 묻어두고 수확을 늦춘다.

감자 재배


감자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생육 적온은 20℃ 정도이다. 이 온도가 90~150일 정도 유지되어야 좋은 품질의 감자를 얻을 수 있다.[398] 씨감자는 늦어도 파종 한 달 전에 구입하여 싹틔우기 과정을 거쳐야 한다.[397] 파종은 이른 시기에 하는 것이 좋으며, 지역별 파종 적기는 다음과 같다.[398]

  • 논감자 (모내기 전 수확): 양력 2월 하순
  • 남쪽 지방 봄감자: 3월 중순
  • 중부 내륙 지역 (경기, 충청 등): 3월 하순
  • 고랭지 여름감자 (강원특별자치도 등): 4월 하순
  • 남쪽 지방 가을감자: 7월 하순


생산 현황 – 2020년 (단위:백만톤)
국가생산량
78.2
51.3
22.5
전세계359.1
자료 출처 : FAOSTAT[405]



20세기 후반들어 전세계의 감자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1960년대 초 3천만톤이던 생산량이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1억톤으로 늘어났다.[406] 2001년도 FAO(유엔식량농업기구) 자료에 의하면 전세계 감자 생산량은 3억톤 정도였으며, 2020년에는 약 3억6천만톤으로 집계되어 금액으로 볼 때 40조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407] 최대 생산국은 중국으로 7천8백만톤, 이는 전세계 총생산량의 22%를 차지한다. 2위는 인도, 3위는 러시아, 4위는 우크라이나, 5위는 미국이 차지하고 있다.[408][409] 유럽에서의 생산은 줄어드는 추세인데 반해 아시아 지역에서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매년 약 25,000헥타르(7천6백만평) 땅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225] 연간 생산량은 약 70여만톤으로 총생산량 중 강원특별자치도에서 33%, 제주도에서 22%를 재배하고 있으며 전체 생산량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품종은 '수미감자'이다.[406]

4. 1. 종자 준비

감자는 씨감자를 이용하여 번식하는 영양번식작물이다.[410] 따라서 매년 수확량의 일정 부분을 보관하여 씨감자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될 씨감자는 각종 병(바이러스, 곰팡이 및 세균병)에 걸리지 않은 깨끗하고 순도가 높은 것이어야 한다.[411]

씨감자는 주로 한랭지나 고랭지에서 생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과거에는 농촌진흥청 개발 품종을 정부 장려품종으로 지정하여 보급했지만, 2000년대 종자산업법 개정 이후로는 국립종자원에 품종등록을 하고 있다. 감자는 벼, 보리, 콩, 옥수수와 함께 국가품종목록등재 5대 작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약 40여 품종이 등록되어 있다.[411]

한국에서는 매년 약 7천6백만 평 면적에 감자가 재배되며, 이때 대략 5만여 톤의 씨감자가 사용된다.[225] 씨감자는 정부 보급종, 씨감자 주산지의 농협, 또는 민간 채종 회사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또한, 전년도 수확분 중 별도로 저장해 놓았다가 사용하기도 한다.[410]

씨감자 준비


일반 농가에서는 병충해 등의 위험성과 보관 관리의 어려움 때문에 전문 업체에서 씨감자를 구입하여 파종하는 것이 좋다.[410] 씨감자로는 고랭지에서 가꾼 것을 쓰는 것이 좋은데, 따뜻한 기후에서 생산된 감자를 씨감자로 쓰면 생육이 불량하고 병에 약해 수확량이 감소하는 '씨감자 퇴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서늘한 산간지방이나 바닷바람이 부는 해안지방에서 재배한 감자는 이러한 현상이 적어 씨감자로 적합하다. 가을감자도 봄감자와 달리 기후가 서늘할 때 재배하기 때문에 봄에 씨감자로 사용하면 좋다.[399]

씨감자는 정부 보급종, 씨감자 주산지의 농협 또는 민간 채종 회사를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씨감자는 구입 후 싹틔우기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늦어도 파종하기 한 달 전에는 구입하는 것이 좋다. 정부 보급종의 경우, 봄에 심을 씨감자는 1~2월에 이장이나 동장을 통해 신청하면 2~4월에 공급받을 수 있다. 감자 주산지의 농협이나 작목반, 또는 민간 채종 회사로부터 씨감자를 구입할 수도 있는데, 구입 가격은 보급종보다 다소 비싼 편이다.

4. 2. 싹 틔우기

씨감자를 심기 20~30일 전에 그늘에서 싹을 틔운 뒤 심으면 땅 위로 싹이 빨리 올라와 그냥 심었을 때보다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 생육 기간을 10~20일 더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397]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비닐하우스에 30~50% 정도 햇빛 가림망을 치고 바닥에 두꺼운 부직포를 깐 뒤 씨감자를 얇게 편다. 2~3일에 한 번씩 위치를 바꿔주어 햇빛을 골고루 받을 수 있게 한다. 적정 온도는 15~20도로 낮에는 바람이 잘 통하게 하고, 밤에는 얼지 않도록 감자 위에 덮개를 덮어 보온한다. 하루에 한두 번 바닥에 물을 뿌려 80~90% 정도의 습도를 유지해주면 좋다. 싹 길이는 1cm 내외가 알맞다.[397]

싹이 난 감자

4. 3. 재배 방법

감자는 수확할 때 늦서리 염려가 없도록 가능한 일찍 파종하는 것이 좋다. 예전에는 음력 2월에 파종하였으나, 지금은 모내기 전에 수확하는 논감자는 양력 2월 하순, 남쪽 지방의 봄감자는 3월 중순, 경기, 충청 등 중부 내륙 지역은 3월 하순, 강원특별자치도 등 고랭지 여름감자는 4월 하순, 남쪽 지방의 가을감자는 7월 하순이 파종 적기이다.[398] 감자는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데, 자라는 데 가장 알맞은 온도는 20°C쯤이다. 이 정도 온도가 90~150일 정도 유지되어야 최상의 감자를 얻을 수 있다.[398]

소독한 칼을 이용하여 씨감자를 싹이 날 눈이 붙어 있는 쪽으로 2~4조각으로 잘라 준비한다. 한쪽당 적당한 무게는 30~50g 정도이며 두 개 이상의 눈이 들어가도록 한다. 자른 감자를 재에 버무려 심으면 데뎅이병과 검은점박이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재 대신 농약으로 살균하기도 한다.[399] 물 빠짐이 좋고 햇볕이 잘 드는 밭에 밑거름을 주고 60~75cm 너비의 이랑을 만든 후, 20~30cm 간격으로 씨감자를 심는다. 파종 간격은 품종, 토양 비옥도, 기후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산간 지방에서는 조밀하게 심고 평지에서는 듬성듬성 심는다. 심을 때는 호미로 심을 곳을 파거나 곡괭이로 골을 타고 씨감자를 넣은 다음 흙을 덮는다. 감자에 기본 양분과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파종 후 비닐 멀칭 정도만 잘 해주었다면 추가로 물을 줄 필요는 없다. 파종하고 싹이 올라오기까지는 보통 한 달 정도 걸리며, 싹이 올라와 잎이 벌어지면 두세 줄기만 남기고 솎아준다. 북주기는 꽃 필 무렵에 한다.

4. 4. 수확과 저장

봄에 재배하는 하지감자는 여름 장마를 견디지 못하므로 하지(夏至, 6월 21일경) 전후에 반드시 수확해야 한다. 잎과 줄기가 누렇게 변할 때 수확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지방에 따라 이른 곳은 6월 하순부터 늦은 곳은 8월 상순까지 수확한다. 가을 감자는 서리가 올 때까지 두었다가 수확한다. 호미나 괭이로 캐거나, 농사를 많이 짓는 농가에서는 쟁기를 쓰기도 한다. 수확한 감자는 보통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펴 널어 한두 달 말린 다음 가마니에 담아 서늘한 곳에 보관하였다가 지하에 움을 만들거나 지하 저장고 또는 저온 저장고에 저장하면 좋다.[399]

4. 5. 주요 병해충

감자의 주요 병해충
종류병해충명
바이러스병
사상균병
세균병
해충

[22][67]

콜로라도감자벌레 애벌레(잎 가해)


감자는 서늘한 기후나 척박한 토지에도 강하지만, 병해충 피해와 연작장해를 입기 쉽다. 특히 가지, 토마토, 피망 등 가지과 채소와 함께 심거나 가까운 곳에 심는 것을 피해야 한다.

역병은 생육 후반기에 발생하여 급속히 확산되며 괴경의 비대와 저장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잎에 축축한 흑갈색 반점이 나타나는 역병은 특히 위험하므로, 발견 즉시 살균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풋마름병은 토양 pH가 높을수록 활발해지므로 주의해야 하며, 청고병은 발견 즉시 포기를 제거한다.

해충으로는 진딧물, 꽈리허리노린재, 잎벌레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 등이 발생한다. 특히 잎벌레는 잎을 심하게 갉아먹는다. 부화한 유충도 큰 피해를 주므로 조기에 제거해야 한다.

4. 6. 재배 지역

감자는 현재 재배되는 식물 중 환경 적응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안가에서부터 히말라야산맥이나 안데스산맥 등 해발 4,000m 이상 고산지대,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서 그린란드까지, 북위 72도에서 남위 46도 부근까지 널리 재배된다.[402]

한국에서는 봄 감자와 가을 감자를 재배한다. 봄 감자는 전국 어디에서나 재배 가능하며, 여름 장마 전 하지에 수확한다.[403] 가을 감자는 늦가을에 수확한다. 제주도 감자는 1, 2월에 수확하여 겨울에도 신선한 감자를 맛볼 수 있다.[404]
주요 재배 지역[404]:

강원특별자치도는 해발 600m 이상 고랭지로 일교차가 커 감자 생육에 유리하며, 9월 중순에서 말쯤 출하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따뜻한 기후를 이용해 가을에 심은 감자를 땅속에 묻어두고 수확을 늦춘다.

4. 7. 생산 현황



감자는 현재 재배 식물 가운데 가장 환경 적응력이 뛰어난 식물로 알려져 있다. 해안가에서부터 히말라야안데스 등 해발 4,000m 이상이 되는 고산지대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기후지대별로는 아프리카사하라 사막에서부터 연중 대부분 눈이 덮여 있는 그린란드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위도상으로 보면 북위 72도, 남위 46도 부근까지 퍼져 있다.[402]

감자는 연작장해가 없는 작물로 봄 감자의 경우에 한국 전역 어디에서나 재배와 수확이 가능하다. 한국에서는 여름장마가 오기 전인 하지에 수확하는 봄에 심는 봄감자[403]와 늦가을에 수확하는 가을 감자가 있고, 제주 감자는 1, 2월에 수확하기 때문에 겨울에 신선한 감자를 맛볼 수 있다.[404] 봄감자는 경기 여주, 전북 김제, 전남 보성, 경남 밀양 등에서 많이 재배하고 가을 감자는 강원특별자치도와 제주지역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는 해발 600m 이상의 고랭지이고 일교차도 커서 감자가 크는데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 이곳 감자는 9월 중순에서 말쯤 출하된다. 제주도는 강원특별자치도 다음으로 감자 재배가 많은 곳이다. 제주도의 따뜻한 기후를 이용해 가을에 심은 감자를 땅속에 묻어두고 수확을 지연시킨다.[404]

생산 현황 – 2020년 (단위:백만톤)
국가생산량
78.2
51.3
22.5
전세계359.1
자료 출처 : FAOSTAT[405]



20세기 후반들어 전세계의 감자 생산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1960년대 초 3천만톤이던 생산량이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1억톤으로 늘어났다.[406] 2001년도 FAO(유엔식량농업기구) 자료에 의하면 전세계 감자 생산량은 3억톤 정도였으며, 2020년에는 약 3억6천만톤으로 집계되어 금액으로 볼 때 40조 정도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407] 최대 생산국은 중국으로 7천8백만톤, 이는 전세계 총생산량의 22%를 차지한다. 2위는 인도, 3위는 러시아, 4위는 우크라이나, 5위는 미국이 차지하고 있다.[408][409] 유럽에서의 생산은 줄어드는 추세인데 반해 아시아 지역에서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매년 약 25,000헥타르(7천6백만평) 땅에서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225] 연간 생산량은 약 70여만톤으로 총생산량 중 강원특별자치도에서 33%, 제주도에서 22%를 재배하고 있으며 전체 생산량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품종은 '수미감자'이다.[406]

감자 생산량 – 2021년
국가생산량
(백만 톤)
94.3
54.2
21.4
18.6
18.3
세계376
출처: FAOSTAT[77]



2021년 세계 감자 생산량은 톤이었으며, 중국이 전체의 25%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다. 다른 주요 생산국은 인도와 우크라이나였다 (표 참조).

2010년 세계 감자 재배 면적은 였으며, 세계 평균 수확량은 였다. 미국은 전국 평균 수확량이 로 가장 생산성이 높은 국가였다.[79]

뉴질랜드 농가들은 헥타르당 60~80톤의 수확량을 기록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상업적 수확량을 보여주었고, 일부 농가는 헥타르당 88톤의 감자 수확량을 보고하기도 했다.[80][81][82]

같은 감자 품종이라도 국가별로 수확량 차이가 매우 크다. 선진국의 평균 감자 수확량은 범위이다. 중국과 인도는 2010년 세계 감자 생산량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으며, 수확량은 각각 였다.[79]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의 농장 간 수확량 차이는 톤 이상의 감자 생산량 손실을 의미하며, 이는 2010년 세계 감자 생산량보다 많은 양이다. 감자 작물 수확량은 작물 품종, 종자의 나이와 품질, 작물 관리 방법 및 식물 환경과 같은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수확량 결정 요인 중 하나 이상의 개선과 수확량 격차 해소는 개발도상국의 식량 공급과 농가 소득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다.[83][84] 감자의 식량 에너지 수확량은 약 로 옥수수(), 쌀(), 밀(), 또는 대두()보다 높다.[85]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자료(FAOSTAT)[172]에 따르면, 2014년 전 세계 감자 생산량은 3억 8168만 톤으로, 주식이 되는 뿌리채소 중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생산 지역은 대륙별로 아시아와 유럽이 각각 40%를 차지하며, 인도를 제외하면 중위도에서 고위도 북부에 분포한다. 상위 5개국이 전체 생산량의 57%를 차지한다. 일본의 생산량은 245만 톤(세계 시장 점유율 0.64%)이다.

# 중국 9557만 톤 (25.0%)

# 인도 4640만 톤 (12.2%)

# 러시아 3150만 톤 (8.3%)

# 우크라이나 2369만 톤 (6.2%)

# 미국 2005만 톤 (5.3%)

# 독일 1160만 톤 (3.0%)

# 방글라데시 895만 톤 (2.3%)

# 프랑스 809만 톤 (2.1%)

# 폴란드 769만 톤 (2.0%)

# 네덜란드 710만 톤 (1.9%)

5. 품종

감자(Solanum tuberosum)와 대부분의 야생 근연종은 자가불화합성을 가지고 있어 자가수분을 하면 유용한 열매를 맺지 못한다. 이러한 특징은 작물 육종에 문제가 되는데, 유성생식으로 생산된 모든 감자는 반드시 잡종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가불화합성을 담당하는 유전자와 이를 비활성화시키는 돌연변이는 현재 알려져 있다. CRISPR-Cas9을 이용하여 이배체 감자(특정 계통의 ''S. tuberosum'' 포함)에 자가화합성을 성공적으로 도입하였다.[31] 'Sli' 유전자를 가진 식물은 자가화합성인 꽃가루를 생산하며, 유사한 S 유전자를 가진 식물과도 화합성을 가진다.[30] 이 유전자는 2021년 바헤닝언 대학교와 Solynta에 의해 클로닝되었으며, 이는 더 빠르고 집중적인 육종을 가능하게 한다.[31][32]

이배체 잡종 감자 육종은 기증자 대립유전자의 동시 동형접합과 고정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힘입어 최근 감자 유전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33] 육종에 유용한 야생 감자 종으로는 역병 저항성을 가진 ''Solanum demissum''과 ''S. stoloniferum'' 등이 있다.[34]

한국에서는 다양한 감자 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주요 품종, 용도별 품종, 숙기에 따른 구분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1991년에는 한국에서 조직 배양을 통해 인공 씨감자를 대량 생산하는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되기도 했다.

5. 1. 주요 품종

한국의 주요 감자 품종[411]
품종명재배 유형용도특징원산지 및 도입 시기
수미(Superior)1기작식용, 칩 가공용점질이며 저장성이 높고 맛이 좋다. 잎말림바이러스병과 역병에 약하지만, 더뎅이병과 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는 강하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420]1961년 미국에서 육성되었고, 1975년에 한국에 도입되었다.[420]
남작(Irish Cobbler)1기작식용분질이며 맛이 좋다. 바이러스병과 역병에 약하다. 과거 한국에서 많이 재배되었던 품종이다.[421]1876년 미국에서 육성되었고, 1928년 일본 홋카이도를 통해 한국에 도입되었다.[423]
대서(Dejima)1, 2기작식용, 칩 가공용뿌리가 잘 발달하여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란다. 바이러스병에는 강하지만, 역병과 더뎅이병에는 약하다.1971년 일본에서 육성되었고, 1976년에 한국에 도입되었다.[424]
잉카의 깨달음-식용크기가 작고 단맛이 강하며 독특한 풍미가 있다.2002년 일본에서 육종되었다.


5. 2. 용도에 따른 구분

용도품종
식용남작, 수미, 대지, 조풍, 추백, 추동, 하령, 서홍, 제서, 자영, 홍영 등
칩 가공용대서, 가원, 가황, 고운, 새봉, 수미
프렌치프라이용세풍



일반적으로 가공용 감자 품종들은 건물함량이 높고 맛이 좋은 품종들이 많아 식용으로도 많이 이용하고 있다.[352] 전분용 감자는 한국에서는 경제성이 없기 때문에 개발된 것이 없다.

5. 3. 숙기에 따른 구분

감자는 익는 시기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 특성상 고랭지 여름 재배와 겨울 시설 재배를 제외하고는 중생종과 만생종이 적합하지 않다.[414]

  • '''조생종''': 남작, 수미, 조풍, 추백, 가원, 추동, 조원, 가황, 고운, 새봉, 방울
  • '''중생종''': 대서, 세풍, 남서, 자서, 신남작, 추영, 하령, 서홍, 홍영, 제서
  • '''만생종''': 자심, 대서, 추강, 자영

5. 4. 인공 씨감자

1991년, 한국 유전공학 연구소 정혁 박사팀이 조직 배양을 통해 인공 씨감자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415] 기존의 파종은 감자를 쪼개 심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씨감자 생산에서 파종까지 6~8개월이 걸렸다. 또한 질병 감염 때문에 재배가 쉽지 않고 씨감자는 수분이 많고 무거워 운송과 저장도 어려웠으며, 물류비도 많이 들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인공 씨감자이다.[416]

인공 씨감자는 조직 배양 기술로 무균 배양 용기 내에서 대량 생산된 감자 줄기를 통해 콩알만한 크기로 생산된다. 크기는 약 0.5~1㎝, 무게는 약 0.5g 정도이며 한번만 증식해도 400g 정도의 감자를 서너 개씩 만들어 낸다. 이론적으로는 1ha 에서 약 25톤 정도의 감자를 생산할 수 있어[417] 단위면적당 50% 정도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고 한다.[418]

6. 영양

감자는 밀가루보다 필수 아미노산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지방단백질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높다. 철분, 마그네슘과 같은 중요한 무기질비타민 C, B1, B2, 나이아신 등 인체에 꼭 필요한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고, 당분이 낮아 좋은 영양 식품이다.[425] 특히 감자에 포함된 비타민 C는 다른 채소와 달리 불로 조리해도 파괴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426]

감자를 설탕으로 간을 하면 비타민 B1이 설탕을 대사하는 과정에서 소비되어 영양학적으로 좋지 않다. 소금이나 된장으로 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감자의 칼륨이 소금이나 된장의 나트륨을 배출한다. 특히, 된장으로 간을 하면 된장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여러 펩타이드가 항산화작용을 하므로 건강에 유익하다.

감자는 생으로 먹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이는 생감자 전분이 인간에 의해 잘 소화되지 않기 때문이다.[101] 품종과 조리 방법에 따라 감자는 높은 혈당 지수(GI)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저GI 식단을 따르는 사람들의 식단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102][100]

영국 국민건강보험서비스는 감자를 하루 권장량인 채소와 과일 5회분에 포함하거나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103]

6. 1. 영양 성분

감자는 밀가루보다 더 많은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지방단백질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철분, 마그네슘과 같은 중요한 무기질비타민 C, B1, B2, 나이아신과 같은 인체에 꼭 필요한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당분이 낮은 좋은 영양 식품이다.[425] 특히 감자에 포함되어 있는 비타민 C는 다른 채소들과 달리 불로 조리해도 파괴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426]

100g 기준으로 껍질째 삶은 감자는 87칼로리를 제공하며, 77%는 물, 20%는 탄수화물(껍질과 살에 2%의 식이섬유 포함), 2%는 단백질이며, 지방은 무시할 만큼 적다.[100] 단백질 함량은 다른 전분질 채소, 주식이나 곡물과 비슷하다. 삶은 감자는 비타민 B6의 풍부한 공급원(일일 권장량의 20% 이상)이며, 비타민 C(16%)와 티아민, 니아신, 판토텐산(각각 10%)과 같은 적당량의 B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감자의 괴경(감자)에는 전분을 13~20%, 단백질을 1.5~2.6%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A(카로틴)를 제외한 B1, B2, C 등의 비타민류와 칼륨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전분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칼로리 식품이며 에너지량은 밥의 약 절반이다. 감자에는 약 80%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탄수화물이 대부분이며, 탄수화물의 90%가 전분이다. 소량이지만, 탄수화물 속에는 자당과 과당도 포함되어 있어 독특한 맛을 형성하고 있다.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대지(밭)의 사과 (pomme de terre프랑스어:폼 드 테르)」라고 불리며, 독일어네덜란드어에서도 비슷한 표현이 있다. 비타민 C는 열에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감자의 경우에는 주성분인 전분질에 싸여 있기 때문에 가열 조리해도 손실되기 어려운 장점과 장기 보관해도 거의 손실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감자는 동물성 단백질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며, 간접적으로 요산 수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감자에는 식용 부분 100그램 중 식이섬유 1.3그램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으며, 변비 해소와 대장암 예방 효과가 알려져 있다.

6. 2. 효능

감자는 밀가루보다 많은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지방과 단백질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높고 철분, 마그네슘과 같은 중요한 무기 성분 및 비타민 C, B1, B2, 나이아신과 같은 인체에 꼭 필요한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당분이 낮아 좋은 영양 식품이다.[425] 특히 감자에 포함되어 있는 비타민C는 다른 채소들과 달리 불로 조리해도 파괴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426]

감자에는 같은 양의 쌀밥보다 많은 철분이 들어있어 철분 섭취가 중요한 빈혈 환자에게 좋다. 수박이나 사과보다 4배 이상 많이 들어있는 칼륨나트륨의 배출을 도와 고혈압 환자와 당뇨병 환자들에게 좋다. 특히 염분이 많은 음식을 많이 먹는 한국인들은 많이 섭취할 수록 좋다. 또한 칼슘을 포함하고 있어 산성이 강한 육식의 섭취량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인들에게는 알칼리성으로 몸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427] 식물성 섬유질인 펙틴변비에 특효가 있다. 감자는 염증 완화, 화상, 고열, 편도선염이나 기관지염에 효과가 있다고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426]

민간요법으로, 습진, 가려움, 타박상, 삔 곳에는 생감자를 갈아서 밀가루식초를 섞어 거즈 등에 펴서 환부에 냉찜질을 하면 통증이 완화되고 조기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426] 통풍에는 감자를 섭취하고 냉찜질을 병행하면 효과적이다.[426]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는 감자를 갈아서 뚝배기에 넣고 수분을 날려 검게 변한 것을 하루 2g 정도 복용한다.[427]

6. 3. 독성

감자에는 글리코알칼로이드라는 독성 화합물이 들어있는데, 이 가운데 솔라닌과 차코닌이 주를 이룬다.[428] 볕 드는 곳에 두거나, 물리적으로 위해를 받거나, 시간이 오래되면 괴경 안에 글리코알칼로이드 성분이 증가한다.[429] 껍질 바로 아래 부분에 가장 많이 함축되어 있으며, 170°C에서 요리하면 부분적으로 이들을 제할 수 있다. 야생 감자의 글리코알칼로이드 독성분은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쳐 의 증상으로 심한 두통, 설사, 구토 등이 나타나고 심지어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나, 감자로 인한 중독은 극히 드물게 일어난다.

햇빛에 노출되어 녹색으로 변색된 감자는 솔라닌 등의 유독한 알칼로이드를 많이 함유한다.


감자는 포테이토 글리코알칼로이드(Potato Glycoalkaloids; PGA)라고 총칭되는 솔라닌, 차코닌(카코닌, α-chaconine), 솔라마린, 코마소닌, 데미친 등의 유독한 알칼로이드 배당체를 포함한다. 이들은 감자 전체에 포함되지만, 품종과 크기에 따라 다르며,[166] 특히 녹색으로 변한 껍질 부분이나 싹, 열매에 많이 포함된다.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잎과 괴경(감자)을 제외한 줄기는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열매는 싹만큼은 아니지만 괴경에 비해 PGA 함량이 높아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다.[167] 예외적으로 괴경(감자)에는 PGA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원종 및 일부 품종에는 감자에도 PGA가 포함되어 있어 식용으로 하지 않는다.

섭취 시에는 싹과 녹색을 띤 껍질을 제거하고, 장기간 보관된 감자는 껍질을 두껍게 벗겨 조리하는 것이 좋다.[168] PGA는 가열해도 잘 분해되지 않는다.[169] PGA를 많이 섭취하면 현기증, 메스꺼움,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독성은 강하지 않지만, 어린이는 성인보다 발병량이 10분의 1 정도로 적고, 어린이집·초등학교에서 직접 재배한 발육이 불량한 작은 감자는 특히 PGA 양이 많아 중독 사례가 많다. 싹을 다량 섭취하여 사망한 사례도 있다.

감자를 햇빛에 쬐지 않고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하고, 싹과 녹색으로 변한 껍질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대책이다. PGA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껍질을 벗기고 삶거나 물에 담그면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지만, 가루감자에서 중독 사례가 보고된 것처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7. 선별과 보관

감자는 싹이 나거나 얼지 않도록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1~4℃ 사이의 온도를 유지하며,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211] 사과와 함께 보관하면 싹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양파와는 함께 보관하면 안 된다.[430] 껍질을 깐 감자는 찬물에 담가 물기를 뺀 후 랩으로 싸서 보관한다.

옛날부터 감자는 동결건조 방식으로 저장성을 높여왔다. 중앙 안데스 산맥 지역에서는 냉동 감자를 반복해서 짓밟아 수분과 독을 제거한 "추뇨(chuño)"를 만들어 장기간 보관했다. 볼리비아페루 고지에서는 현재도 추뇨를 이용한다. 일본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시미이모", "치지미이모" 등을 만들어 저장했다. 홋카이도 아이누족은 "포치에이모", "페네코쇼이모" 등의 저장식품을 만들어 먹었다. 현대 홋카이도에서는 저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 단맛을 낸 감자가 상품화되기도 한다.[180][181]

7. 1. 감자 고르기

감자를 고를 때는 표면에 흠집이 적고 매끄러우며 무겁고 단단한 것이 좋다. 싹이 나거나 녹색 빛이 도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7. 2. 감자 보관

감자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사과와 함께 보관하면 에틸렌 가스 때문에 싹이 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430] 반면 양파사과와 정반대 역할을 하므로 함께 보관하면 둘 다 금방 상한다.

8℃ 이상에서는 싹이 나고, 영하 1℃ 이하에서는 얼기 때문에 1~4℃ 사이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211] 껍질을 벗긴 감자는 찬물에 담갔다가 물기를 제거하고 랩으로 싸서 보관하면 갈변을 막을 수 있다.

8. 문화



감자는 1536년 스페인의 아메리카 대륙 정복기에 남미에서 황금을 찾던 스페인 탐험가 곤잘로 히메네스 데 케사다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256] 이후 16세기 중후반 경 스페인 탐험가들에 의해 유럽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유럽인들에게 혐오의 대상이었으나,[262] 18세기 후반부터 식품으로 받아들여지면서 구황작물로 위상이 높아졌다.[263] 이는 잦은 흉년,[283] 전쟁,[284] 인구 증가로 인한 식량 부족 때문이었다.

유럽인들은 감자를 '악마의 야채'라고 부르며 혐오했는데,[267] 이는 감자가 성경에 등장하지 않고,[268][261] 땅속에서 자라는 모양새와 번식 방식이 기괴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267] 또한 싹이 난 감자의 독성 때문에 부작용을 경험하면서 더욱 기피하게 되었다.[261]

감자를 자른 단면이 거무스름하게 변하는 것을 불길하게 여겼고, 최음 효과가 있다는 소문[270][271][272] 때문에 음란을 조장한다고 생각했다. 한센병을 옮긴다는 소문까지 돌아[262][278] 식용과 재배를 법으로 금지하기도 했다.[271][279][280][281][282]

200여 년 동안 감자는 가축 사료나 빈민층의 음식으로 여겨졌으나, 프리드리히 2세파르망티에의 노력으로[271] 편견이 깨지기 시작했다. 19세기 들어 감자는 점차 좋은 구황작물로 인식되었고, 20세기 세계대전 기간 중에는 구황식품 역할을 톡톡히 하면서 재배와 섭취가 장려되었다.[285]

감자는 척박한 환경에 잘 적응하고 재배가 쉬우며, 별도의 가공이 필요 없고, 연료도 적게 들어 가난한 농민이나 하층민들에게 좋은 식재료가 되었다.[286] 또한 십일조가 면제되었기 때문에[287] 재배 지역이 빠르게 확장되었다.

감자는 을 대체하는 식품으로 인식되기도 했다. 로마시대부터 최후의 만찬에 이르기까지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녔지만,[288][289][290][291] 연이은 기근으로 인해 감자를 식품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되었다.[292]

감자는 돼지 사육량 증가에도 기여하여 유럽인들의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을 늘려주었다.[297] 겨울철 사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293] 사육 두수를 늘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297]

감자 튀김 만들기


감자튀김은 벨기에에서 유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353][354][355][356][357] 벨기에는 1인당 감자튀김 섭취량이 가장 많은 유럽 국가 중 하나이다.[358] 벨기에는 감자튀김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며, 프랑스와 원조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360][361][362]

중국은 세계 최대 감자 생산국이지만,[368][369][370] 정확한 전래 시기와 경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대만에는 17세기에 네덜란드인에 의해 전래되었다.[371]

일본에는 1598년경 네덜란드인에 의해 전래되었으며,[372] 초기에는 '자가타라이모'로 불렸다.[372] 에도 시대 이후 쌀 재배에 불리한 지역에 보급되었고, 메이지 유신 이후 홋카이도 개척에 이용되면서 재배가 정착되었다.

7년전쟁(1756~63) 때 감자가 군대 식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본 스웨덴 출신 룸포드 백작이 독일 포메른 지역에서 감자를 가져가 스웨덴에 보급하였다.[378]

16세기에 유럽으로 전래된 감자는 처음에는 외관이 좋지 않고 "악마의 작물"이라는 인식 때문에 혐오의 대상이었으나, 17세기 기근을 겪으면서 각국의 왕들이 추위에 강한 감자 재배를 장려하여 유럽 각지에 널리 보급되었다.

아일랜드에는 1580년대에 스페인으로부터 감자가 전래되었고,[195] 기후가 감자 재배에 적합하여 주식으로 자리 잡았다.[195][196] 1840년대 감자 역병으로 인해 아일랜드 감자 기근이 발생하여 많은 아일랜드인들이 북아메리카로 이주하게 되었다.

8. 1. 감자 관련 문화


  • '''감자튀김 박물관''' - 벨기에 브뤼헤에 있으며 감자튀김의 역사와 관련 유물 등이 전시되어 있는 박물관이다.[445][446]
  • '''감자축제''' - ‘강원 감자 큰잔치’, '팔봉산 감자축제', 미국 메인주의 ‘감자꽃 축제' 등 전세계에 많은 감자축제가 있다.[447][448]
  • '''감자튀김 원조논쟁''' - 벨기에프랑스가 각기 자국이 감자튀김의 원조국임을 주장하며 벌어진 논쟁이다.[451][452]
  • '''감자 대왕''' - 감자보급에 앞장서 독일지역의 기근을 종식시킨 프리드리히 2세에게 붙여진 별명이다.[453]
  • '''뜨거운 감자''' - 정치적·사회적으로 중요한 일이지만 현실적으로 다루기 어려운 미묘한 문제를 일컫는 말이다.[458]
  • '''카우치 포테이토'''(Couch potato) - 게으름뱅이를 뜻하는 영어 단어이다. 감자칩을 먹으며 소파에 누워 지내는 모습에서 유래하였다.[459]

8. 2. 문학과 예술

빈센트 반 고흐의 1885년 작품인 ''감자 먹는 사람들''은 감자를 먹는 가족을 묘사하고 있다. 반 고흐는 농민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고 싶어했다고 말했다. 그는 의도적으로 거칠고 못생긴 모델을 선택하여 완성된 작품에서 자연스럽고 순수하게 보이도록 했다.[127]

장-프랑수아 밀레의 ''감자 수확''은 바르비종과 샤이 사이 평원에서 일하는 농민들을 묘사하고 있다. 이 작품은 농민들의 생존 투쟁을 보여주는 주제를 담고 있다. 밀레는 이 작품에서 거친 질감의 캔버스 위에 두껍게 바른 반죽 같은 안료를 사용하는 기법을 사용했다.[128]

모체 문화의 감자 도자기


1949년에 발명되어 1952년 해즈브로(Hasbro)에 의해 상업적으로 판매된 미스터 포테이토 헤드(Mr. Potato Head)는 플라스틱 감자와 귀와 눈과 같은 부착 가능한 플라스틱 부품으로 얼굴을 만들 수 있는 미국 장난감이다. 텔레비전 광고가 된 최초의 장난감이었다.[129][130][131]

2015년 영화 ''마션''에서 고립된 우주비행사이자 식물학자인 마크 와트니는 화성 토양에 냉동 배설물을 비료로 사용하여 인공 승무원 거주지에서 감자를 재배하고, 사용하지 않은 로켓 연료에서 물을 생산한다.[132]

9. 감자 요리

감자 요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다. 페루 요리에서는 감자가 많은 요리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는데, 페루에서는 약 3,000종의 감자가 재배된다.[110] 추뇨는 페루와 볼리비아의 케추아 및 아이마라 공동체에서 전통적으로 만들어지는 동결건조 감자 제품이다.[111]

프랑스에서는 프로이센 포로 시절에 감자를 알게 된 농학자 앙투안 오귀스탱 파르망티에(Antoine-Augustin Parmentier)의 제안에 따라 루이 16세가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Marie Antoinette)에게 감자꽃을 장식하여 밤의 연회에 참석하게 하자, 귀족들은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식용으로는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서민들 사이에서 싫어했다. 감자를 전국에 널리 보급하고 싶었던 파르망티에는 한 가지 계책을 생각해냈다. 왕이 만들게 한 감자밭에 낮에는 경비병을 배치하여 삼엄하게 경비한 후, 밤에는 일부러 아무도 감시하지 않았다. 왕이 그렇게까지 삼엄하게 지키게 하는 것으로 보아 아마도 매우 맛있는 것이라고 생각한 서민들 중에서 밤에 몰래 감자밭에 들어가 감자를 훔치는 자들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파르망티에의 계획대로 감자는 민중들 사이에 퍼져나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 일화에서 프랑스의 감자 요리에는 "파르망티에"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특히, 소고기 다진 고기와 으깬 감자로 만드는 캐서롤인 "파르망티에식 해시"가 유명하다.

감자를 이용한 요리의 예. 왼쪽 위부터 감자칩, 해시브라운, 테이터토츠, 구운감자, 으깬 감자.


감자는 각 지역에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모양, 가열 정도, 수분량에 따라 다양한 식감을 내며, 여러 가지 조미료나 유지, 유제품 등과의 궁합이 좋다.

일본에서는 니쿠자가, 고나후키이모, 포테이토 샐러드, 이모모치 등 감자를 주재료로 하는 요리가 있으며, 그 외에도 카레, 스튜, 그라탕, 오뎅, 미소시루 등의 재료로도 널리 사용된다. 자가버터도 인기가 있다.

프렌치프라이, 으깬 감자, 구운 감자, 비시수와즈, 수프, 크로켓 등 유럽과 미국에서는 감자를 주재료로 한 요리가 많으며, 그대로 쪄서 주식으로 먹는 방법도 있다. 그 외 감자 요리로는 아이리시 스튜, 토르티야 등이 있다.

중국에서는 감자를 채 썰기하여 볶은 요리도 일반적이다. 또한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는 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감자빵). 그 외 파스타(뇨키)에도 사용된다.

독일식

참조

[1] 서적 Los indigenismos en la Historia de las Indias de Bartolomé de las Casas https://books.google[...] Editorial CSIC - CSIC Press 2021-02-02
[2] 웹사이트 spud (n.) https://www.etymonli[...] 2018-05-13
[3] 웹사이트 jordäpple SAOB svenska.se https://svenska.se/s[...] 2023-06-28
[4] 웹사이트 "Earth Apple": The 5 Languages that Use This for "Potato" https://discoverdisc[...] 2020-10-12
[5] 웹사이트 A Cultural History of the Potato as Earth Apple https://culturedarm.[...] 2015-02-09
[6] 웹사이트 Solanum tuberosum: Potato https://www.kew.org/[...]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05-05
[7] 서적 Horticultural Reviews
[8] 학술지 Regulation of potato tuberization by daylength and gibberellins http://www.ijdb.ehu.[...] 2009-01-08
[9] 서적 Hybridization of Crop Plant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Crop Science Society of America
[10] 논문 Phylogeny and provisional classification of the Solan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https://www.research[...]
[11] 학술지 Chilean Tetraploid Cultivated Potato, ''Solanum tuberosum'' is Distinct from the Andean Populations: Microsatellite Data http://crop.scijourn[...] 2010-07-16
[12] 학술지 Geographic distribution of wild potato species
[13] 학술지 A single domestication for potato based on multilocus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genotyping 2005-09-29
[14] 서적 Lost Crops of the Incas: Little-Known Plants of the Andes with Promise for Worldwide Cultivation http://www.nap.edu/o[...] 1989
[15] 서적 Iberia and the Americas: Culture, Politics, and History : a Multidisciplinary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16] 문서 Martins-Farias 1976; Moseley 1975
[17] 서적 Foraging and Farming: The Evolution of Plant Exploit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학술지 Molecular description and similarity relationships among native germplasm potatoes (''Solanum tuberosum'' ssp. ''tuberosum'' L.) using morphological data and AFLP markers https://scielo.conic[...] 2009-12-06
[19] 웹사이트 Using DNA, scientists hunt for the roots of the modern potato https://www.eurekale[...] 2024-01-23
[20] 서적 Historical Geography of Crop Plants : a Select Roster CRC Press
[21] 학술지 The Potato's Contribution to Population and Urbanization: Evidence from a Historical Experiment http://www.economics[...] 2012-07-07
[22] 학술지 Potato and tomato late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infestans'': An overview of pathology and resistance breeding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2011-08-17
[23] 웹사이트 Cultivated Potato Genebank https://cipotato.org[...] International Potato Center 2021-06-15
[24] 학술지 Sequencing the Potato Genome: Outline and First Results to Come from the Elucidation of the Sequence of the World's Third Most Important Food Crop
[25] 학술지 DNA from herbarium specimens settles a controversy about origins of the European potato 2008-02
[26] 학술지 Gene RB cloned from ''Solanum bulbocastanum'' confers broad spectrum resistance to potato late blight
[27] 학술지 Late blight resistance genes in potato breeding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8] 학술지 Genetic Resources (Including Wild and Cultivated ''Solanum'' Species) and Progress in their Utilisation in Potato Breeding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9] 웹사이트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Day of Potato: 30 May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24-05-31
[30] 학술지 Genetics of self-compatibility in a self-incompatible wild diploid potato species ''Solanum chacoense''. 1. Detection of an S locus inhibitor (Sli) gene https://link.springe[...]
[31] 학술지 Neofunctionalisation of the Sli gene leads to self-compatibility and facilitates precision breeding in potato 2021-07-06
[32] 학술지 A nonS-locus F-box gene breaks self-incompatibility in diploid potatoes 2021-07-06
[33] 학술지 Towards F1 Hybrid Seed Potato Breeding Springer
[34] 학술지 Breeding strategies for late blight resistance in potato crop: recent developments Springer
[35] 웹사이트 History and overview http://research.cip.[...] International Potato Center 2008-09-10
[36] 웹사이트 Solanum tuberosum L. http://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0-09-07
[37] 웹사이트 Europotato.org http://www.europotat[...] Europotato.org 2010-07-16
[38] 웹사이트 Potato Varieties http://www.britishpo[...] Agriculture & Horticulture Development Board 2009-09-13
[39] 웹사이트 Potato Primer http://www.cooksillu[...] Cooks Illustrated 2008-12-08
[40] 웹사이트 Potatoes for Chipping Grades and Standards https://www.ams.usda[...] 2018-08-27
[41] 웹사이트 Creamer Potato http://www.recipetip[...] recipetips.com 2008-07-18
[42] 뉴스 What is a new potato? New guidelines issued https://www.bbc.co.u[...] 2013-08-12
[43] 뉴스 A look back at a Royal history http://news.bbc.co.u[...] 2010-01-25
[44] 웹사이트 So many varieties, so many choices http://wisconsinpota[...] Wisconsin Potato and Vegetable Growers Association 2017
[45] 논문 Retrospective View of North American Potato (Solanum tuberosum L.) Breeding in the 20th and 21st Centuries
[46] 논문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Preference of Fresh Potato Varieties in Maine
[47] 서적 Bio-Farms for Nutraceuticals
[48] 웹사이트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s Public Issues Education Project/Am I eating GE potatoes? http://www.geo-pie.c[...] Cornell University 2008-12-16
[49] 웹사이트 GMO compass database http://www.gmo-compa[...] 2014-10-06
[50] 웹사이트 GM potatoes: BASF at work http://www.gmo-compa[...] 2010-05-31
[51] 웹사이트 Research in Germany: Business BASF applies for approval for another biotech potato http://www.research-[...] 2013-06-02
[52] 웹사이트 BASF applies for EU approval for Fortuna GM potato http://www.reuters.c[...] 2015-11-10
[53] 논문 Receptor-mediated nonhost resistance in plants Portland Press Limited (Biochemical Society)
[54] 뉴스 BASF stops GM crop development in Europe http://www.dw.de/bas[...] Deutsche Welle 2012-01-17
[55] 뉴스 BASF to Stop Selling Genetically Modified Products in Europe https://www.nytimes.[...] 2012-01-16
[56] 웹사이트 U.S.D.A. Approves Modified Potato. Next Up: French Fry Fans https://www.nytimes.[...] 2014-11-07
[57] 뉴스 Consumer acceptance of genetically modified potatoes http://www.agbioforu[...] 2012-02-19
[58] 뉴스 A genetically modified potato, not for eating, is stirring some opposition in Europe https://www.nytimes.[...] 2007-07-24
[59] 웹사이트 Seed Potatoes http://www.potatoesu[...] 2014-10-06
[60] 웹사이트 Seed & Ware Potatoes – Nuclear Stock https://www.sasa.gov[...] 2024-06-12
[61] 웹사이트 Potatoes Home Garden https://sfyl.ifas.uf[...] UF/IFAS Extension 2019-08-14
[62] 논문 A key for the stages of development of potato (Solanum tuberosum)
[63] 웹사이트 Growing Potatoes in the Home Garden http://suffolk-lamp.[...] Cornell University Extension Service 2010-06-27
[64] 웹사이트 Potato Production USAID-Inma -- POTATO PRODUCTION: PLANTING THROUGH HARVEST https://pdf.usaid.go[...] USAID 2024-06-04
[65] 웹사이트 How to grow potatoes: Planting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4-06-04
[66] 웹사이트 Potatoes https://www.nsalg.or[...] The National Allotment Society 2024-05-05
[67] 웹사이트 Organic Management of Late Blight of Potato and Tomato (Phytophthora infestans) http://www.extens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2-01-06
[68] 웹사이트 Potato, Identifying Diseases https://ag.umass.edu[...]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2016-11-15
[69] 웹사이트 Potato Disease Identification https://potatoes.ahd[...]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Development Board 2024-05-05
[70] 서적 Potato II. Fruit, Vegetable and Cereal Science and Biotechnology 3 (Special Issue 1) 2009
[71] 웹사이트 Potato Cyst Nematode http://agriculture.v[...] 2019-12-11
[72] 논문 Machinery for potato harvesting: a state-of-the-art review 2023-00-00
[73] 서적 Potato Production Systems University of Idaho Agricultural Communications
[74] 웹사이트 Potato storage and value Preservation: The Basics https://web.archive.[...] CrossTree techno-visors 2009-07-12
[75] 웹사이트 Can eating burnt foods cause cancer? https://www.cancerre[...] Cancer Research UK 2021-10-15
[76] 뉴스 The Worry with CIPC https://european-see[...] 2021-06-12
[77] 웹사이트 Potato production in 2021 Region/World/Production Quantity/Crops from pick lists https://www.fao.org/[...]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tatistics Division 2023-04-18
[78] 서적 World Food and Agriculture – Statistical Yearbook 2021 https://www.fao.org/[...] FAOSTAT 2021-12-13
[79] 웹사이트 FAOSTAT: Production-Crops, 2010 data https://web.archiv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80] 웹사이트 There's yet more gold in them thar "hills"! http://maxa.maf.govt[...] Grower Magazine, The Government of New Zealand
[81] 웹사이트 Phosphate and potatoes https://web.archive.[...] Ballance 2012-02-19
[82] 웹사이트 International Year of the Potato: 2008, Asia and Oceania https://web.archive.[...] Potato World 2012-02-19
[83] 서적 Workshop to Commemorate the International Year of the Potato http://www.fao.org/d[...]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84] 논문 Solutions for a cultivated planet http://www.escholars[...] 2011-10-12
[85] 서적 Foods & Nutritio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CTC Press
[86] 논문 Climate Change and Its Repercussions for the Potato Supply Chain 2008-10-00
[87] 논문 Temperature increase reduces global yields of major crops in four independent estimates 2017-08-15
[88] 웹사이트 Potato http://cipotato.org/[...] CIP 2012-11-07
[89] 논문 Climate change and diseases of food crops 2011-00-00
[90] 웹사이트 Climate change and potatoes: The risks, impacts and opportunities for UK potato production https://web.archive.[...] Cranfield Water Science Institute 2012-11-07
[91] 웹사이트 Crop Water Information: Potato http://www.fao.org/n[...] FAO Water Development and Management Unit 2012-11-07
[92] 논문 Climate change and land suitability for potato production in England and Wales: impacts and adaptation 2012-00-00
[93] 논문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Global Potato Production
[94] 논문 Adaptation of Potato to High Temperatures and Salinity A Review
[95] 웹사이트 Potato Research Priorities in Asia and the Pacific Region http://www.fao.org/d[...] FAO 2012-11-07
[96] 웹사이트 Why is Dickeya spp. (syn. Erwinia chrysanthemi) taking over? The ecology of a blackleg pathogen http://www.knpv.org/[...] 2012-11-07
[97] 웹사이트 Implications for a warmer, wetter world on the late blight pathogen: How CIP efforts can reduce risk for low-input potato farmers https://web.archive.[...] CIP 2012-11-07
[98] 웹사이트 Information highlights from World Potato Congress, Kunming, China, April 2004 https://web.archive.[...] World Potato Congress 2012-11-07
[99] 웹사이트 Potato and water resources https://web.archive.[...] FAO 2012-11-07
[100] 논문 Potatoes, Nutrition and Health 2019-00-00
[101] 논문 On the Digestibility of Raw Potato Starch in Man 1939-01-00
[102] 논문 Glycemic index of potatoes commonly consumed in North America 2005-00-00
[103] 웹사이트 5 A Day: what counts? https://www.nhs.uk/l[...] 2024-01-23
[104] 웹사이트 Tomato-like Fruit on Potato Plants https://web.archive.[...] Iowa State University 2009-01-08
[105] 논문 Potato Glycoalkaloids: Chemistry, Analysis, Safety, and Plant Physiology 1997-00-00
[106] 웹사이트 Greening of potatoes http://www.csiro.au/[...] Food Science Australia 2008-11-15
[107] 웹사이트 The case of the poison potato https://boingboing.n[...] boingboing.net 2013-03-25
[108] 논문 Glycoalkaloid and calystegine contents of eight potato cultivars https://pubmed.ncbi.[...] 2003-05-07
[109] 서적 Is it Safe to Eat?: Enjoy Eating and Minimize Food Risk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10] 뉴스 Peru Celebrates Potato Diversity https://www.washingt[...] 2007-06-24
[111] 서적 With bitter Herbs They Shall Eat it : Chemical ecology and the origins of human diet and medicine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12] 서적 Please to the Table: The Russian Cookbook https://archive.org/[...] Workman Publishing
[113] 웹사이트 D.E.L.A.C. http://www.delac.eu/[...] 2015-01-25
[114] 서적 The Food of Italy Arrow Books
[115] 서적 Charmaine Solomon's Encyclopedia of Asian Food William Heinemann Australia
[116] 서적 40 degrees east : an anatomy of vodka Nova Publishers
[117] 웹사이트 Brännvinsbränning https://runeberg.org[...]
[118] 웹사이트 Ensiling Potatoes http://www.gov.pe.ca[...] 2015
[119] 웹사이트 Feeding Cull Potatoes to Dairy and Beef Cattle https://fyi.extensio[...] 2012-10
[120] 서적 Cereals: Novel Uses and Process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21] 서적 Handbook of Potato Production, Improvement, and Postharvest https://books.google[...] Haworth Press
[122] 논문 The Potato: A Model Crop Plant for Tissue Culture 1986
[123] 서적 New World Objects of Knowledge https://library.oape[...] Institute of Latin American Studies, School of Advanced Study, University of London 2021
[124] 논문 Myths and Legends of the New York State Iroquoi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he State of New York 1908-12-15
[125] 서적 The Spirit of Ancient Peru: Treasures from the Museo Arqueológico Rafael Larco Herrera Thames and Hudson
[126] 서적 Gendering Landscape Ar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anchester
[127] 웹사이트 The Potato Eaters by Vincent van Gogh http://www.vggallery[...]
[128] 서적 Nineteenth Century Art: From Romanticism to Art Nouveau The Walters Art Gallery
[129] 웹사이트 Mr Potato Head https://collections.[...] V&A Museum of Childhood
[130] 웹사이트 About Mr. Potato Head http://www.hasbro.co[...]
[131] 서적 Timeless Toys: Classic Toys and the Playmakers Who Made Them Andrews McMeel Publishing
[132] 웹사이트 Could we grow potatoes on Mars? https://warwick.ac.u[...] Knowledge Centre, University of Warwick 2020-08-18
[133] 목록
[134]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135] 논문 需要変化と多様な用途に応じたバレイショ新品種 https://doi.org/10.2[...] 日本食生活学会
[136] 논문 生産履歴からみた加工用バレイショの栽培管理作業の現状 https://doi.org/10.1[...] 日本作物学会
[137] 논문 バレイショのそうか病対策のための土壌酸性簡易診断手法 日本植物防疫協会
[138] 논문 組織培養及び挿し木によるジャガイモ種苗の急速増殖 園芸学会
[139] 논문 焼酎蒸留残液によるジャガイモ種イモ浸漬処理が共存細菌群集およびそうか病菌に対する拮抗細菌に及ぼす影響 https://doi.org/10.1[...] 日本土壌微生物学会
[140] 웹사이트 ジャガイモ 「どこからきたの?」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141] 논문
[142] 논문
[143] 서적 スタンダード英語語源辞典 大修館書店
[144] 서적 西和中辞典 小学館
[145] 논문
[146] 서적 南信州・上村 遠山谷の民俗 長野県下伊那郡上村民俗誌刊行会
[147] 서적 佐久市志 民俗編 下 佐久市志刊行会
[148] 서적 岐阜県史 2019-03-00
[149] 웹사이트 美しい村をたずねて 「農具揃」飛騨蓑輪村 http://midori-tsushi[...] 2019-02-15
[150] 웹사이트 幸田善太夫墓 http://www.city.taka[...] 2019-02-15
[151] 웹사이트 中井清太夫という男 https://web.archive.[...] 神戸大学経営研究所 2017-04-06
[152] 뉴스 【食ナビ】山梨名物せいだのたまじ/小粒ジャガイモ甘辛く https://www.nikkei.c[...] 2017-11-28
[153] 웹사이트 治助イモ http://www.town.okut[...] 奥多摩町 2018-04-23
[154] 서적 アイヌの農耕文化 慶友社
[155] 논문
[156] 논문
[157] 문서 新しい記録と良き統治
[158] 서적 食文化探訪 新人物往来社
[159] 서적 じゃがいもが世界を救った
[160] 논문
[161] 논문 ジャガイモ 大阪生活衛生協会 2015-03-17
[162] 논문 澱粉資源ジャガイモ 2015-03-17
[163] 서적 甲州のジャガイモ栽培 山梨県立博物館
[164] 웹사이트 アイヌ民族の「食」 "" アイヌ民族博物館 2013-05-02
[165] 서적 図解アイヌ 新紀元社
[166] 논문 各種ジャガイモ中のグリコアルカロイド含有量調査 公益社団法人 日本食品衛生学会 2012-05-15
[167] 웹사이트 ジャガイモの果実の毒性について http://wakana.mcr.mu[...] 2008-02-14
[168] 웹사이트 身近な食品中の植物性自然毒-ジャガイモ https://www.hokeniry[...] 東京都福祉保健局 2008-01-19
[169] 웹사이트 じゃがいも いも知識 https://www.hokeniry[...] 東京都福祉保健局 2008-01-19
[170] 뉴스 国内未確認のジャガイモ害虫、北海道でみつかる https://www.asahi.co[...] 2015-08-19
[171] 뉴스 米国が生ジャガ解禁要請 検疫協議へ 国内産地は反発 https://www.agrinews[...] 2020-08-22
[172] 웹사이트 FAOSTAT http://www.fao.org/f[...] 2017-01-06
[173] 웹사이트 FAOSTAT https://www.fao.org/[...] 2021-10-20
[174] 웹사이트 作況調査(野菜) https://www.maff.go.[...] 2017-07-25
[175] 웹사이트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7-01-20
[176] 웹사이트 http://www.nal.usda.[...] 2011-12-28
[177] 서적 タンパク質・アミノ酸の必要量 WHO/FAO/UNU合同専門協議会報告 http://whqlibdoc.who[...] 医歯薬出版 2009-05
[178] 웹사이트 第3章 調理室における衛生管理&調理技術マニュアル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0-06-05
[179] 뉴스 (ごはんラボ)肉じゃが 煮汁少なめで形も味も: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180] 웹사이트 本間松蔵商店・俱知安五四〇 http://www.kutchanja[...] 2018-04-18
[181] 뉴스 1年半寝かせた甘いジャガイモ 本間松蔵商店、本格販売 日経MJ 2018-04-11
[182] 웹사이트 『ばれいしょの需要変化と品種の動向』独立行政法人農畜産業振興機構 https://www.alic.go.[...] 2021-02-21
[183] 웹사이트 農林水産省品種登録ホームページ http://www.hinshu2.m[...] 農林水産省 2020-03-09
[184] 웹사이트 「農業技術の匠」: 俵(たわら) 正彦(まさひこ) さん(長崎県雲仙市) https://warp.ndl.go.[...] 農林水産省 2012-01-22
[185] 웹사이트 アーリーローズ http://www.jrt.gr.jp[...] 日本いも類研究会 2012-01-22
[186] 웹사이트 男爵薯 http://www.jrt.gr.jp[...] 日本いも類研究会 2012-01-23
[187] 웹사이트 メークイン http://www.jrt.gr.jp[...] 日本いも類研究会 2012-01-23
[188] 뉴스 厚沢部、巨大コロッケ世界一奪還! http://www.ehako.com[...] 函館新聞 2018-08-04
[189] 웹사이트 ジャガイモ博物館、交配育種、父母 https://web.archive.[...] 2013-01-03
[190] 웹사이트 コナフブキ http://www.jrt.gr.jp[...] 日本いも類研究会 2017-05-11
[191] 웹사이트 橙黄肉色を有する二倍体のバレイショ品種「インカのめざめ」 の育成 https://agriknowledg[...] 農林水産省農林水産技術会議事務局筑波産学連携支援センター 2018-08-04
[192] 웹사이트 ラシットバーバンク(ラセット・バーバンク) https://potato-museu[...] 2024-02-27
[193] 웹사이트 じゃがいもDiary https://www.calbee.c[...] 2023-12-14
[194] 웹사이트 United States Potato Board - Table-Stock Potatoes http://www.potatoesu[...] 米国ポテト協会 2013-06-07
[195] 웹사이트 How the humble potato changed the world https://www.bbc.com/[...] BBC 2020-03-04
[196] 서적 Commercial Potato Production https://www.google.c[...] 米国農業研究事業団(United State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97] 서적 The history and social influence of the potato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 웹사이트 ジャガイモが主食の国 ドイツのジャガイモ料理 https://www.shuminoe[...] NHK出版 2017-04-05
[199] 웹사이트 じゃがいも好き集合!ドイツ料理付け合せの大定番♪じゃがいも料理 https://www.nta.co.j[...] 2016-10-27
[200] 서적 知的食生活のすすめ 食文化と歴史から考える新しいライフスタイル 東洋経済新報社
[201] 웹사이트 Potato Consumption Per Capita https://www.helgilib[...] 2022-12-09
[202] 웹사이트 りんごを貯蔵するのにCA貯蔵という方法がよく使われていると聞きましたが、これはどのような貯蔵方法ですか。 https://warp.ndl.go.[...] 農林水産省 2014-04-01
[203] 웹사이트 CA貯蔵とは http://www.fujiplant[...] フジプラント株式会社 2014-04-01
[204] 웹사이트 よくねた野菜 http://www.kitayasai[...] ホクレン 2014-04-01
[205] 논문 20周年にあたって 2017-05-11
[206] 논문 除草剤クロルプロファムの免疫化学測定 2017-05-11
[207] 논문 バレイショ加工品中の発芽防止剤残留 2017-05-11
[208] 웹사이트 食品への放射線照射についての科学的知見に関する調査結果について 薬事・食品衛生審議会食品衛生分科会食品規格部会 (平成22年5月18日開催)配布資料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4-07-14
[209] 백과사전 감자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210] 백과사전 감자를 알고 싶다 https://terms.naver.[...] 감자 2004-09-17
[211] 웹사이트 감자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https://terms.naver.[...]
[212] 서적 인간을 지배한 음식 21가지 예문 1995
[213] 서적 역사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
[214] 서적 하룻밤에 읽는 물건사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
[215] 서적 역사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
[216]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217] 서적 진짜 세계사, 음식이 만든 역사 월간쿠캔(주)베스트홈 2008
[218] 웹사이트 21세기, 무중력 상태에서 자라는 우주감자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2004-09-17
[219] 문서 땅속에 양분을 저장하는 식물이라 전쟁 중에 화재나 손상으로부터 안전했다. 식품으로 수용되기 전에는 가축사료이상에 의미가 없었고 나병을 옮기거나 '악마의 채소'라는 이미지 때문에 참전 군인들에 의한 공출이나 강탈행위도 발생하지 않았다. 대체적으로 군인들이 감자에 대해 관심을 별로 가지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220] 서적 인간을 지배한 음식 21가지 예문 1995
[221] 서적 한국음식문화박물지 따비 2011
[222] 웹사이트 세상을 바꾼 맛, 감자, 돼지 먹이에서 구원의 식량으로 https://100.daum.net[...] 다른 2013
[223] 웹사이트 덩이줄기 [tuber] https://terms.naver.[...]
[224] 서적 음식국부론 생각의 나무 2005
[225] 웹사이트 인공씨감자 https://terms.naver.[...]
[226] 서적 인간을 지배한 음식 21가지 예문 1995
[227] 저널 A single domestication for potato based on multilocus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genotyping http://www.cipotato.[...] 2005-09-29
[228] 서적 Lost Crops of the Incas: Little-Known Plants of the Andes with Promise for Worldwide Cultivation http://www.nap.edu/o[...] 1989
[229] 서적 Iberia and the Americas: Culture, Politics, and History : a multidisciplinary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5
[230] 서적 인간을 지배한 음식 21가지 예문 1995
[231] 서적 물건의 세계사 가람기획 2002-01-30
[232] 서적 진짜 세계사, 음식이 만든 역사 월간쿠캔(주)베스트홈 2008
[233] 웹사이트 추뇨 https://terms.naver.[...]
[234] 웹사이트 인류 최초의 냉동건조 감자, 츄노 [Chuno] - 나라마다 개성 넘치는 감자요리들 https://terms.naver.[...] 2004-09-17
[235] 웹사이트 추뇨
[236] 서적 진짜 세계사, 음식이 만든 역사 월간쿠캔(주)베스트홈 2008
[237] 웹사이트 볼리비아 [BOLIVIE]
[238] 웹사이트 patata http://buscon.rae.es[...] Royal Spanish Academy 2010-07-16
[239] 웹사이트 The Devil's Apples https://archive.org/[...] 1968-02
[240] 서적 Los indigenismos en la Historia de las Indias de Bartolomé de las Casas https://books.google[...] Editorial CSIC - CSIC Press 2004
[241] 서적 Los indigenismos en la Historia de las Indias de Bartolomé de las Casas https://books.google[...] Editorial CSIC - CSIC Press 2004
[242] 서적 西和中辞典 小学館
[243] 서적 ジャガイモの世界史 : 歴史を動かした「貧者のパン」 中央公論新社 2008
[244] 서적 Indian givers: how the Indians of the Americas transformed the world https://archive.org/[...] Fawcett Columbine 1988
[245] 웹사이트 감자, 프랑스 계몽주의, 파르망티에 - 미심쩍고 수상한 미지의 작물 https://terms.naver.[...] 2014-02-28
[246] 백과사전 potato, n Clarendon Press
[247]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248] 서적 물건의 세계사 가람기획 2002-01-30
[249] 백과사전 potato, n Clarendon Press
[250]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51]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252] 웹사이트 감자, 프랑스 계몽주의, 파르망티에 - 미심쩍고 수상한 미지의 작물 https://terms.naver.[...] 2014-02-28
[253]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254] 문서 감자가 함유하고 있는 비타민 C는 열을 가해도 쉽게 파괴되지 않는 점으로 볼 때 적절한 명칭이라 할 수 있겠다.
[255]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256]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57]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258]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259]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60]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61] 서적 전쟁이 요리한 음식의 역사 시대의창 2019-04-15
[262]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63] 서적 음식으로 본 서양문화 대한교과서
[264] 웹사이트 감자, 프랑스 계몽주의, 파르망티에 - 미심쩍고 수상한 미지의 작물 2014-02-28
[265] 서적 음식잡학사전 북로드
[266] 성경 창세기 1장 29절
[267]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68]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69] 서적 음식, 그 상식을 뒤엎는 역사 창해
[270] 웹사이트 루이 16세가 사랑한 관상용 화초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2004-09-17
[271] 서적 진짜 세계사, 음식이 만든 역사 월간쿠캔(주)베스트홈
[272] 문서 당시 유럽인들은 감자를 창세기 30장 14절에 나오는 최음 식물인 합환채(mandrake)의 한 종류로 여겨 재배하기도 했다.
[273] 웹사이트 감자, 돼지 먹이에서 구원의 식량으로 http://100.daum.net/[...]
[274] 서적 설탕, 커피 그리고 폭력 심산문화
[275] 웹사이트 감자, 프랑스 계몽주의, 파르망티에 - 미심쩍고 수상한 미지의 작물 https://terms.naver.[...] 2014-02-28
[276] 서적 역사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277] 서적 하룻밤에 읽는 물건사 랜덤하우스코리아
[278] 웹사이트 환영받지 못한 불운의 감자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2004-09-17
[279] 서적 물건의 세계사 가람기획 2002-01-30
[280] 서적 음식, 그 상식을 뒤엎는 역사 창해
[281] 뉴스 These Foods Aren't Genetically Modified but They Are 'Edit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9-27
[282] 웹사이트 Potatoes were banned due to leprosy fears https://www.connexio[...]
[283]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007
[284] 문서 스페인 왕위 계승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전쟁, 7년전쟁, 미국독립혁명 전쟁 등....
[285]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005
[286] 웹사이트 아일랜드를 무너뜨린 감자 기근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2004-09-17
[287]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288] 웹사이트 빵 [bread] https://terms.naver.[...] 1998-08-20
[289] 성경 마태복음 26장 26절
[290] 웹사이트 성체성사 [聖體聖事, Sacrament of Eucharist, Sacramentum Eucharistiae] https://terms.naver.[...]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매스컴위원회 2011-11-10
[291] 웹사이트 빵을 이긴 감자의 나라, 영국 - 여러 나라의 감자 이야기 https://terms.naver.[...] 2004-09-17
[292]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007
[293] 서적 음식을 바꾼 문화, 세계를 바꾼 음식 아이세움 2007
[294] 웹사이트 독일 https://terms.naver.[...] 2006-07-30
[295] 서적 음식을 바꾼 문화, 세계를 바꾼 음식 아이세움 2007
[296] 서적 진짜 세계사, 음식이 만든 역사 월간쿠캔(주)베스트홈 2008
[297] 서적 인간을 지배한 음식 21가지 예문 1995
[298] 서적 역사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
[299] 서적 인간을 지배한 음식 21가지 예문 1995
[300] 웹사이트 아일랜드를 무너뜨린 감자 기근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2004-09-17
[301] 서적 음식국부론 생각의 나무 2005
[302] 웹사이트 아일랜드의 감자 사랑 - 여러 나라의 감자 이야기 https://terms.naver.[...] 2004-09-17
[303] 서적 물건의 세계사 가람기획 2002
[304]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305]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007
[306] 문서 프리드리히 대왕(프리드리히 2세)과 감자
[307] 서적 음식, 그 상식을 뒤엎는 역사 창해 2002
[308] 웹사이트 감자, 프랑스 계몽주의, 파르망티에 - 미심쩍고 수상한 미지의 작물 https://terms.naver.[...] 2014-02-28
[309] 서적 음식으로 본 서양문화 대한교과서 1999
[310] 서적 한국음식과 세계음식문화 진영사 2009
[311] 웹사이트 독일과 프러시아의 감자 사랑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2004-09-17
[312] 서적 음식국부론 생각의 나무 2005
[313] 웹사이트 독일 https://terms.naver.[...] 2006-07-30
[314] 웹사이트 앙투안 오귀스탱 파르망티에 [PARMENTIER(ANTOINE AUGUSTIN)] https://terms.naver.[...]
[315]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316] 서적 물건의 세계사 가람기획 2002-01-30
[317] 서적 음식, 그 상식을 뒤엎는 역사 창해 2002
[318] 뉴스 These Foods Aren't Genetically Modified but They Are 'Edit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9-27
[319] 웹사이트 Potatoes were banned due to leprosy fears https://www.connexio[...]
[320]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007
[321] 서적 천년의 역사를 뒤흔든 대사건 100 고려문화사 1998
[322] 서적 전쟁이 요리한 음식의 역사 시대의창 2019-04-15
[323] 웹사이트 프랑스의 감자 전도사, 파르망티에 - 역사 속의 감자 https://search.naver[...] 2004-09-17
[324] 뉴스 감자가 '신대륙의 선물'이 되기까지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1-08-12
[325]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005
[326] 서적 문화로 읽는 세계사 사계절 2007
[327] 웹사이트 감자요리를 예술로 바꾼 프랑스 - 여러 나라의 감자 이야기 https://terms.naver.[...] 2004-09-17
[328] 서적 음식국부론 생각의 나무 2005
[329]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005
[330]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331] 웹사이트 감자, 돼지 먹이에서 구원의 식량으로 http://100.daum.net/[...]
[332]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005
[333]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005
[334] 문서 산업혁명과 인구론
[335] 서적 전쟁이 요리한 음식의 역사 시대의창 2019-04-15
[336] 웹사이트 피시 앤 칩스 [Fish and Chips] https://terms.naver.[...]
[337] 웹사이트 빵을 이긴 감자의 나라, 영국 - 여러 나라의 감자 이야기 https://terms.naver.[...] 2004-09-17
[338]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005
[339] 웹사이트 피시 앤 칩스 [fish and chips] https://terms.naver.[...]
[340]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005
[341] 웹사이트 피시 앤 칩스 [fish and chips] https://terms.naver.[...]
[342] 웹사이트 햄버거와 콜라로 대변되는 미국 https://terms.naver.[...] 2006-07-30
[343] 웹사이트 신세계로 되돌아간 감자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344] 웹사이트 프랑스의 감자 전도사, 파르망티에 - 역사 속의 감자 2004-09-17
[345] 뉴스 감자가 '신대륙의 선물'이 되기까지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1-08-12
[346] 웹사이트 벤저민 프랭클린 [Benjamin Franklin] - 미국의 과학자 겸 정치가 https://terms.naver.[...]
[347] 문서 potatoes, fried in the french manner
[348] 웹사이트 프랑스 vs 벨기에 프렌치프라이 [French Fries] - 나라마다 개성 넘치는 감자요리들 https://terms.naver.[...]
[349] 웹사이트 French fried: From Monticello to the Moon, A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Appreciation of the French Fry https://web.archive.[...] The Chicago Literary Club 2007-02-03
[350] 논문 The Savant as Gourmet 1998
[351]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352] 웹사이트 감자의 대국, 미국 - 여러 나라의 감자 이야기 https://terms.naver.[...] 2004-09-17
[353] 뉴스 이용재의 식사(食史), 널린 게 감자인데... '감튀 대란'은 왜 발생했을까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라이프 2022-02-05
[354] 웹사이트 감자튀김 [French Fries]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355] 서적 전쟁이 요리한 음식의 역사 시대의창 2019-04-15
[356] 웹사이트 La Frite est-elle belge? http://www.frites.be[...] 2012-03-03
[357] 서적 De Frietkotcultuur Loempia
[358] 뉴스 벨기에 감자튀김, 네덜란드 대마초, 이탈리아 신문 가판대, 상점 봉쇄령에도 살아남아 http://www.chosun.co[...] 조선일보 2020-03-20
[359] 서적 진짜 세계사, 음식이 만든 역사 월간쿠캔(주)베스트홈
[360] 웹사이트 프랑스 vs 벨기에 프렌치프라이 [French Fries] - 나라마다 개성 넘치는 감자요리들 https://terms.naver.[...] 2004-09-17
[361] 웹사이트 벨기에 기본 정보 Belgium Information https://100.daum.net[...]
[362] 웹사이트 벨기에의 음식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363] 뉴스 EU, 콜롬비아 상대 '감자튀김 분쟁' 승소…"반덤핑 관세 부당"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2-12-22
[364] 뉴스 감자튀김을 둘러싼 분쟁…벨기에 vs 콜롬비아 http://www.realfoods[...] 푸드매거진 리얼푸드 2019-10-26
[365] 간행물 통상뉴스 10월호, 생존력 갑 감자 산업통상자원부
[366] 뉴스 벨기에서 세계 최초 감자튀김 박물관 개관 https://www.hankyung[...] 한경닷컴 2008-08-27
[367] 뉴스 벨기에서 세계 최초 감자튀김 박물관 개관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08-08-27
[368] 저널 16-19世纪馬鈴薯在中国的传播
[369] 문서 皇帝的餐桌:明代的宮膳制度及其相關問題
[370] 문서 長安客話
[371] 서적 馬鈴薯栽培管理技術 行政院農業委員會臺南區農業改良場
[372] 저널 澱粉資源ジャガイモ 2015-03-17
[373] 서적 からだにやさしい旬の食材 野菜の本 講談社 2013-05-13
[374] 서적 甲州のジャガイモ栽培 山梨県立博物館
[375] 웹사이트 アイヌ民族の「食」 http://www.coleman.c[...] アイヌ民族博物館 2013-05-02
[376] 서적 図解アイヌ 新紀元社
[377] 웹사이트 남작 [Irish Cobbler, 男爵]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378] 서적 물건의 세계사 가람기획
[379] 웹사이트 순조 28권, 27년(1827년) 3월 11일 3번째 기사 https://sillok.histo[...]
[380] 웹사이트 감자 https://terms.naver.[...]
[381] 서적 식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교보문고
[382]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383]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384]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385] 서적 한국 기독교회의 역사 (상)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386] 웹사이트 한국의 감자 역사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387]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2010
[388] 웹사이트 감자의 품종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389] 간행물 감자, 농업기술길잡이 31 농촌진흥청 2016-08-19
[390] 웹사이트 한국 감자의 종류 - 감자의 종류와 특성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391] 웹사이트 땅 속의 사과, 감자! https://terms.naver.[...]
[392] 문서 월인석보에서의 감저 설명
[393] 서적 교양을 위한 음식과 식생활 문화 대한교과서 1998
[394]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2010
[395] 문서 제주도와 양호 지방의 감자와 고구마 명칭
[396] 서적 왜 장모님은 씨암탉을 잡아주실까 청보리 2010
[397] 뉴스 봄 감자 안정 재배 위한 씨감자 관리요령 http://www.dynews.co[...] 동아일보 2023-02-07
[398] 서적 텃밭백과 들녘 2013
[399] 웹사이트 감자심기 https://terms.naver.[...]
[400] 웹사이트 NJF seminar No. 388 Integrated Control of Potato Late Blight in the Nordic and Baltic Countries http://www.njf.nu/fi[...] Nordic Association of Agricultural Scientists 2008-11-14
[401] 웹사이트 Organic Management of Late Blight of Potato and Tomato (Phytophthora infestans) http://www.extension[...] 미시간 주립 대학교 2015-07-01
[402] 웹사이트 감자 https://terms.naver.[...] 북한지리정보: 농업지리 1990
[403] 서적 텃밭백과 들녘 2013
[404] 웹사이트 강원특별자치도의 힘, 한국 감자 - 여러 나라의 감자 이야기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405] 웹사이트 Potato production in 2020 Region/World/Production Quantity/Crops from pick lists https://www.fao.org/[...]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tatistics Division (FAOSTAT) 2022-01-07
[406] 웹사이트 각 대륙의 감자생산 현황 - 감자를 알고 싶다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407] 간행물 통상뉴스 10월호, 생존력 갑 감자 https://dl.nanet.go.[...] 산업통상자원부 2021-10
[408] 웹사이트 The potato sector https://www.potatopr[...] Potato Pro 2017-12-31
[409] 웹사이트 Potato production in 2020 Region/World/Production Quantity/Crops from pick lists https://www.fao.org/[...]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Statistics Division (FAOSTAT) 2022-01-07
[410] 웹사이트 씨감자 https://terms.naver.[...] pmg 지식엔진연구소
[411] 간행물 감자, 농업기술길잡이 31 https://dl.nanet.go.[...] 농촌진흥청 2016-08-19
[412] 웹사이트 휴면성 (休眠性)
[413] 서적 텃밭백과 들녘 2013
[414] 간행물 감자, 농업기술길잡이 31 농촌진흥청 2016-08-19
[415] 웹사이트 씨감자 https://terms.naver.[...] pmg 지식엔진연구소
[416] 뉴스 [그때 그 기술 어떻게 됐나] 인공씨감자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5-02-17
[417] 웹사이트 인공씨감자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418] 뉴스 인공씨감자 개발사업 여기서 멈추나 https://www.cctoday.[...] 충청투데이 2012-12-09
[419] 웹사이트 수미감자 Superior potato , 秀味甘藷 https://100.daum.net[...]
[420] 웹사이트 수미 [Superior]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421] 웹사이트 한국 감자의 종류 - 감자의 종류와 특성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422] 서적 한국음식문화박물지 따비 2011
[423] 웹사이트 남작 [Irish Cobbler, 男爵]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424] 웹사이트 대지 [Dejima]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425] 뉴스 [건강정보] 비타민 C 다량 함유 '감자' 효능...혈압 조절·피로 회복·변비와 위궤양 치료 http://www.futurekor[...] 미래한국 2018-06-04
[426] 웹사이트 땅 속의 사과, 감자! https://terms.naver.[...] KISTI의 과학향기 칼럼
[427] 서적 음식국부론 생각의 나무 2005
[428] 웹사이트 Tomato-like Fruit on Potato Plants http://www.ipm.iasta[...] Iowa State University 2009-01-08
[429] 웹사이트 Greening of potatoes http://www.foodscien[...] Food Science Australia 2008-11-15
[430] 뉴스 땅속의 사과 '감자' 보관법…양파와 함께 두면 안 된다? https://www.news1.kr[...] NEWS1 뉴스 2019-04-27
[431]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432] 웹사이트 War of the Bavarian Succession https://www.britanni[...]
[433] 웹사이트 전쟁 속에 성장한 감자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434] 서적 설탕, 커피 그리고 폭력 심산문화 2003
[435] 웹사이트 바이에른 계승 전쟁 https://100.daum.net[...]
[436] 서적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1-1 까치 1997-06-05
[437] 웹사이트 전쟁 속에 성장한 감자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438] 뉴스 오늘의 경제소사, 감자전쟁 https://n.news.naver[...] 한국일보
[439] 서적 Ireland: History of a Nation, New Lanark Geddes & Grosset 2002
[440] 서적 진기한 야채의 역사 눈과마음 2005
[441] 서적 아일랜드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19
[442] 서적 진짜 세계사, 음식이 만든 역사 21세기 연구회 2008
[443] 서적 아일랜드역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19
[444] 웹사이트 아일랜드 대기근 Irish Famine https://100.daum.net[...]
[445] 뉴스 벨기에서 세계 최초 감자튀김 박물관 개관 https://www.hankyung[...] 한경닷컴 2008-08-27
[446] 뉴스 벨기에서 세계 최초 감자튀김 박물관 개관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08-08-27
[447] 웹사이트 강원감자큰잔치 [Gangwon Potato Festival, 江原─]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448] 웹사이트 세계 속의 감자 축제 - 감자 상식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449] 뉴스 EU, 콜롬비아 상대 '감자튀김 분쟁' 승소…"반덤핑 관세 부당"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2-12-22
[450] 간행물 통상뉴스 10월호, 생존력 갑 감자 산업통상자원부 2021-10
[451] 웹사이트 프랑스 vs 벨기에 프렌치프라이 [French Fries] - 나라마다 개성 넘치는 감자요리들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452] 웹사이트 벨기에 기본 정보 Belgium Information https://100.daum.net[...]
[453] 웹사이트 독일과 프러시아의 감자 사랑 - 역사 속의 감자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454] 웹사이트 감자 https://terms.naver.[...] 한국현대문학대사전 2004-02-25
[455] 웹사이트 감자 [Potato]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456] 웹사이트 감자 심포니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457] 웹사이트 감자 먹는 사람들 [The Potato Eaters]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458] 웹사이트 뜨거운 감자 [hot potato]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459] 웹사이트 카우치 포테이토 [couch potato] https://terms.naver.[...]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1997-08-25
[460] 웹사이트 감자에 대한 오랜 편견이 낳은 말들 - 감자 상식 https://terms.naver.[...] 전수미 2004-09-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