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에서 운행되는 모노레일 방식의 무인 운전 전동차이다. 2015년 4월 23일부터 영업 운행을 시작했으며, 3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히타치사의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전기형과 후기형으로 나뉜다. 칠곡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칠곡경대병원역에서 용지역까지 운행하며, 301~328편성이 운영 중이다. 2029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연장 개통과 함께 329, 330편성이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히타치의 수출 중단으로 인해 계획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원대역
원대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조선 시대 대로원 터를 원대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3호선의 환승역인 명덕역은 1호선이 지하에, 3호선이 지상에 위치하며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이 부역명으로, 1호선은 1997년 개통 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운행이 중단된 적 있으며 2015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사색 | '#ffb300' |
운행 구간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용도 | 모노레일 구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성능 | |
기동 가속도 | 상용 : 4.0 km/h/s |
기동 가속도 (비상) | 4.5 km/h/s |
영업 최고 속도 | TTC/ATP/ATO 구간 70 km/h |
설계 최고 속도 | 80 km/h |
감속도 (상용 최대) | 3.5 km/h/s |
감속도 (비상) | 4.5 km/h/s |
차량 정보 | |
차량 정원 | 265명 (좌석 89, 입석 176) |
편성 | 3량 |
MT비 | 3M 0T |
전장 | 46,200 mm |
전폭 | 2,980 mm |
전고 | 5,240 mm |
궤간 | 850 mm |
차량 무게 | 229.5 t |
구동 장치 | 교류농형3상 유도전동기 |
전동기 출력 | 105 kW |
편성 출력 | 1,050 kW (2,850마력) |
제어 방식 | IGBT 소자 VVVF 인버터 제어 |
전기 시스템 | |
전기 방식 | 직류 1,500 V |
제어 장치 | 히타치 제작소 제 |
보안 장치 | ATO/ATP/TTC 수동 운전/무인 반자동 운전 |
제조 정보 | |
제작사 | 히타치 제작소(301편성) 우진산전(302~328편성) |
제작 연도 | 301~328: 2013년 329~330: 2029년 (예정) |
생산량 | 28개 편성 84량 |
2. 기술 사양
히타치사의 과좌형 모노레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의정부경전철, 신분당선, 용인에버라인, 우이신설선, 부산김해경전철과 같이 ATO를 이용한 무인 운전을 시행하고 있으며, 비상시 안전을 위하여 안전요원이 항상 탑승한다.[4] 비상 탈출을 위한 관통문과 스파이럴 슈터가 설치되어 있다.[5] 강설에 대비하여 차량에 제설기, 모래살포기, 친환경 융설제 등이 탑재되어 있다.[6] 내장재는 모두 불연재로 제작되었으며, 권영진 대구시장이 직접 라이터로 시트에 불을 붙여 내화성을 시연하기도 했다.[7] 차량 가격은 한 량에 31억원이며, 1편성(3량)은 93억원이다.
2015년 2월 9일 영업시운전을 개시하였고,[8] 2015년 4월 23일 오후 2시부터 영업운행을 개시하였다.[9]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에 따라 제조된 과좌식 모노레일 차량으로, 3량 1편성 28개 편성, 총 84량이 운행 중이다. 1차분은 일본의 히타치 제작소가 차량을 수주하여 제작했으며, 그 외는 우진산전이 제작했다.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에 의한 무인 운전이 이루어지지만, 비상시 대응을 위해 차량의 맨 앞에는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탑승[1]하고 있다. 비상시 탈출을 위해 차량의 전면은 관통형으로 제작되었으며, 탈출용 슈터가 장착되어 있다. 2029년에는 노선 연장에 따라 2개 편성 6량이 증비될 계획이 있다.
3량 1편성으로 구성된 통근형 전동차이다.
전기형과 후기형으로 나뉜다. 두 차량 간에 측면 도색 외의 차이는 없다. 전기형은 창문 아래의 도색이 노란색, 후기형은 회색이다. 로보카 폴리로 내외부를 래핑한 어린이 테마 열차 2개 편성[10][11]이 운행 중이다.[12] 또한 여러 업체들과 광고 협의를 체결하여 '달리는 광고판' 역할을 하고있다.[12]
칠곡차량사업소에 301~328편성이 3량으로 배속되어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칠곡경대병원 - 용지
2029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첨단복합단지 연장 개통과 함께 329~330편성(3량 2개 편성, 총 6량)이 추가로 도입될 예정이었다.
[1]
문서
大邱交通公社では、「安全要員」と称している。
3. 역사
4. 편성
칸 1 2 3 차량번호 31XX 32XX 33XX 위치 ◇◇ ◇◇ ◇◇
5. 차종
히타치 제작소에서 301편성을 직접 제작했으며, 대한민국으로 들여와 우진산전이 라이선스 생산했다.
6. 배속
7. 현재 운행 구간
8. 현황
차호 도입 시기 비고 301 편성 2013년 히타치 제작소에서 제작했다. 302 편성 2013년 303 편성 2013년 304 편성 2013년 305 편성 2013년 306 편성 2013년 차내 LED 전광판이 LCD 안내기로 교체됐다. 307 편성 2013년 308 편성 2013년 309 편성 2013년 310 편성 2013년 311 편성 2013년 312 편성 2013년 313 편성 2013년 314 편성 2013년 315 편성 2013년 316 편성 2013년 317 편성 2013년 318 편성 2013년 319 편성 2013년 320 편성 2013년 321 편성 2013년 322 편성 2013년 323 편성 2013년 324 편성 2013년 325 편성 2013년 326 편성 2013년 327 편성 2013년 328 편성 2013년 329 편성 2029년 2029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첨단복합단지 연장 개통과 함께 도입될 예정이다. 330 편성 2029년 2029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첨단복합단지 연장 개통과 함께 도입될 예정이다.
9. 추가 도입 (2차분) (2029년)
그러나 모노레일 차량 추가 도입은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본 히타치가 강화된 한국의 철도 차량 안전기준을 충족하려면 사업성이 떨어진다면서 '''더 이상 한국에 모노레일 차량을 수출할 의사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대구교통공사는 차량 형식 승인 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차량 가격에 전가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견적을 요청했지만, 히타치는 '''차량 형식 승인에 대한 면제 없이는 모노레일 차량 공급을 할 수 없다'''고 통보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대구 도시철도 4호선(구 엑스코선)의 차량 계획이 모노레일에서 '''철제차륜 AGT'''로 변경되었다.
참조
[2]
간행물
2013년 8월 철도저널 제 16권 4호 pp. 47-51
http://cfile227.uf.d[...]
[3]
문서
해당 열차들은 다음날 오전 5시 30분에 용지역을 출발하여 칠곡경대병원행 열차로 운행한다.
[4]
문서
용인 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부산김해경전철, 부산 4호선의 경우 무인운전을 시행하고 있으나, 안전요원이 승차하지 않는다.
[5]
뉴스
국내 첫 모노레일 대구 '하늘 열차'…관심 뜨겁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6]
뉴스
대구도시철도 3호선, '눈길 운행 이상무!'
http://www.fnnews.co[...]
파이낸셜 뉴스
[7]
뉴스
권영진 대구시장, 라이터 찾은 까닭은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8]
뉴스
대구도시철도 3호선 영업시운전…국내 첫 모노레일 운행
http://news.khan.co.[...]
경향신문
[9]
뉴스
대구도시철도 3호선 23일 오후 2시 개통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10]
문서
303편성, 304편성
[11]
뉴스
로보카 폴리 랩핑한 대구 '하늘열차'
http://www.newsis.co[...]
2015-05-12
[12]
뉴스
대구도시철 3호선 '달리는 광고판'
http://www.fnnews.co[...]
2015-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