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금은 신라 시대부터 사용된 한국의 전통 관악기이다. 삼국사기에는 동해에서 난 대로 만든 대금을 불어 적병을 물리치고 물결을 잠재웠다는 기록이 있다. 대금은 쌍골죽으로 제작하며, 취구, 청공, 지공, 칠성공 등으로 구성된다. 관대는 약 75cm 길이의 대나무 관으로, 취구는 바람을 불어넣는 곳이며, 청공은 갈대 속청을 붙여 독특한 음색을 낸다. 지공은 음높이를 조절하며, 칠성공은 음색에 영향을 준다. 연주법은 향악, 당악 및 종묘제례악, 시나위 등 음악 장르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관악기 - 단소
    단소는 맑고 청아한 음색을 지닌 한국 전통 악기로, 대나무로 만들어지며 조선 후기에 퉁소를 개량하여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독주나 병주, 줄풍류, 세악 등 다양한 음악에 활용되며 현대에는 교육용, 북한에서는 배합관현악에 이용된다.
  • 죽관악기 - 피리
    피리는 대나무로 만든 한국 전통 관악기로, 서역에서 유래되어 고구려 시대 이전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피리, 향피리, 세피리 세 종류로 나뉘어 다양한 장르에서 주선율을 담당한다.
  • 목관악기 - 색소폰
    색소폰은 아돌프 삭스가 발명한 목관 악기로, 다양한 음역과 음색을 지니며 재즈와 클래식 등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고 알토, 테너, 바리톤, 소프라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목관악기 - 오보에
    오보에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로, 17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활용된다.
  • 공기울림악기 - 파이프 오르간
    파이프 오르간은 파이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건반 악기로, 수많은 파이프와 풍압 시스템, 건반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음색을 내며, 교회 음악과 콘서트 음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건축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공기울림악기 - 튜바
    튜바는 고대 로마 시대 관악기 명칭을 딴 저음 금관악기로, 19세기 초 빌헬름 비프레히트와 요한 고트프리트 모리츠가 개발하여 리하르트 바그너 작품을 통해 오케스트라에 채용되었으며, 피스톤이나 회전 밸브를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여러 장르에서 활용된다.
대금
기본 정보
산조 대금
산조 대금
다른 이름저, 젓대, 저대
분류
악기 종류관악기
관련 악기
관련 악기소금

2. 역사

대금은 중금, 소금과 더불어 신라 삼죽(三竹) 중 하나로, 신라시대부터 있던 악기이다.[1] 삼국사기에는 동해에서 난 대나무로 만든 저를 부니 적병이 물러나고, 물결이 가라앉고, 질병과 가뭄이 그쳐 만파식적이라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2. 1. 신라 시대

新羅중국어 삼죽(三竹)의 하나로, 신라시대부터 전해지는 악기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동해에서 난 대나무로 만든 저(대금의 일종)를 부니 적병이 물러나고, 물결이 가라앉고, 질병과 가뭄이 그쳤으므로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불렀다고 한다.[1]

신라 저에는 평조(平調)·황종조(黃鍾調)·아조(雅調)·월조(越調)·반섭조(般涉調)·출조(出調)·준조(俊調)의 7조(七調)가 있었다. 대금에는 124곡, 중금에는 145곡, 소금에는 298곡이 있었다고 한다.[1]

3. 구조

대금은 쌍골죽(양쪽에 홈이 있는 대나무)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6] 대나무 관대, 취구, 청공, 지공, 칠성공 등으로 구성된다.

향악계 음악 연주 시 지공을 짚는 법과 음높이는 다음과 같다.

지공손가락저취(低吹)평취(平吹)역취(力吹)
제1공왼편 집게손가락a1 flat|내림가1영어a2 flat|내림가2영어e3 flat|내림마3영어
제2공왼편 가운뎃손가락g1|사1영어g2|사2영어d3 flat|내림라3영어
제3공왼편 약손가락f1|바1영어f2|바2영어c3|다3영어
제4공오른편 집게손가락e1 flat|내림마1영어e2 flat|내림마2영어b2 flat|내림나2영어
제5공오른편 가운뎃손가락d1 flat|내림라1영어d2 flat|내림라2영어
제6공오른편 약손가락c1|다1영어c2|다2영어
모두 막음b flat|내림나영어b flat|내림나영어



종묘악 및 당악계 음악 연주 시에는 황종이 다(C)음이 되며, 저취법이 없고, 지공을 짚는 법과 음높이가 다르다.

지공손가락평취(平吹)역취(力吹)
제1공왼편 집게손가락a2|가2영어d3 sharp|올림라3영어
제2공왼편 가운뎃손가락g2|사2영어d3|라3영어
제3공왼편 약손가락f2|바2영어c3|다3영어
제4공오른편 집게손가락e2|마2영어a2 sharp|올림가2영어
제5공오른편 가운뎃손가락d2|라2영어-d2 sharp|올림라2영어
제6공오른편 약손가락c2|다2영어
모두 막음a1 sharp|올림가1영어



시나위 청은 제2공이 된다.

3. 1. 재료

대금은 주로 쌍골죽(雙骨竹)으로 만든다.[6] 대나무로 된 관은 '관대'라고 부르는데, 길이는 2자 5치(약 75cm)이다. 관대의 안지름은 6푼쯤 된다. 관대 위쪽 끝은 막혀 있고, 조금 내려와서 가로로 불기 위한 김을 넣는 취구(吹口)가 있다. 좀 더 내려오면 갈대 속청을 붙여 진동시켜 특수한 음빛깔을 내는 청공(淸孔)이 있다.

3. 2. 구성

대금은 대나무로 된 관대와 여러 구멍으로 구성된다. 관대는 악기의 몸통 역할을 하며, 쌍골죽(雙骨竹)으로 만들면 좋은 소리가 난다.[6]

  • 취구(吹口): 관대 위쪽 끝부분에 있으며, 가로로 불어 김(입김)을 넣는 구멍이다.
  • 청공(淸孔): 취구 아래쪽에 뚫려 있으며, 갈대 속청(속껍질)을 붙여 대금 특유의 음색을 만든다.
  • 지공(指孔): 관대 중앙에 6개가 뚫려 있으며, 손가락으로 막거나 떼어 음높이를 조절한다.
  • 칠성공(七星孔): 관대 아래쪽에 1~5개가 뚫려 있으며, 직접 사용되지는 않지만 음색에 영향을 준다.


향악계 음악과 종묘악 및 당악계 음악의 연주법은 다르다. 향악계 음악 연주 시 지공을 짚는 법과 음높이는 다음과 같다.

지공손가락저취(低吹)평취(平吹)역취(力吹)
제1공왼편 집게손가락내림가1(a1 flat)내림가2(a2 flat)내림마3(e3 flat)
제2공왼편 가운뎃손가락사1(g1)사2(g2)내림라3(d3 flat)
제3공왼편 약손가락바1(f1)바2(f2)다3(c3)
제4공오른편 집게손가락내림마1(e1 flat)내림마2(e2 flat)내림나2(b2 flat)
제5공오른편 가운뎃손가락내림라1(d1 flat)내림라2(d2 flat)
제6공오른편 약손가락다1(c1)다2(c2)
모두 막음내림나(b flat)내림나(b flat)



종묘악 및 당악계 음악 연주 시에는 황종이 다(C)음이 되며, 저취법이 없고, 지공을 짚는 법과 음높이가 다르다.

지공손가락평취(平吹)역취(力吹)
제1공왼편 집게손가락가2(a2)올림라3(d3 sharp)
제2공왼편 가운뎃손가락사2(g2)라3(d3)
제3공왼편 약손가락바2(f2)다3(c3)
제4공오른편 집게손가락마2(e2)올림가2(a2 sharp)
제5공오른편 가운뎃손가락라2-올림라2(d2-d2 sharp)
제6공오른편 약손가락다2(c2)
모두 막음올림가1(a1 sharp)



시나위 청은 제2공이 된다.

4. 연주법

대금의 연주법은 연주하는 음악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종묘악 및 당악계 음악을 연주할 때와 향악계 음악을 연주할 때 각 구멍에 손가락 짚는 법(운지법)과 그 손가락을 떼어내는 음이 다르다.[1] 향악계 음악은 저취, 평취, 역취 주법을 사용하며, 당악계 음악은 평취, 역취 주법을 사용한다.

4. 1. 향악 연주법

향악계 음악 연주 시에는 각 지공을 짚는 방법과 떼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음을 낸다. 저취, 평취, 역취 등 다양한 주법을 사용한다.[1] 각 지공에 따른 음높이는 다음과 같다.

지공주법음높이
제1공 (왼쪽 식지)저취중려·내림가1(a1 flat)
평취중려·내림가2(a2 flat)
역취황종·내림마3(e3 flat)
제2공 (왼쪽 장지)저취고선·사1(g1)
평취고선·사2(g2)
역취무역·내림라3(d3 flat)
제3공 (왼쪽 무명지)저취태주·바1(f1)
평취태주·바2(f2)
역취남려·다3(c3)
제4공 (오른쪽 식지)저취황종·내림마1(e1 flat)
평취황종·내림마2(e2 flat)
역취임종·내림나2(b2 flat)
제5공 (오른쪽 장지)저취무역·내림라1(d1 flat)
평취무역·내림라2(d2 flat)
제6공 (오른쪽 무명지)저취남려·다1(c1)
평취남려·다2(c2)
모두 막음저취임종·내림나(b flat)
평취임종·내림나(b flat)


4. 2. 당악 및 종묘제례악 연주법

종묘악 및 당악계 음악을 연주할 때에는 향악계 음악을 연주할 때와는 운지법이 다르다. 당악계에서는 황종이 다(C)음이 되며, 김을 여리게 넣는 저취(低吹)법이 없다.[1] 각 구멍에 손가락 짚는 법과 그 손가락을 떼어내는 음은 다음과 같다.[1]

손가락운지법음높이
제1공 좌편 식지평취남려·가2(a2)
제1공 좌편 식지역취협종·올림라3(d3 sharp)
제2공 좌편 장지평취임종·사2(g2)
제2공 좌편 장지역취태주·라3(d3)
제3공 좌편 무명지평취중려·바2(f2)
제3공 좌편 무명지역취황종·다3(c3)
제4공 우편 식지평취고선·마2(e2)
제4공 우편 식지역취무역·올림가2(a2 sharp)
제5공 우편 장지평취태주-협종·라2-올림라2(d2-d2 sharp)
제6공 우편 무명지평취황종·다2(c2)
다 막으면평취무역·올림가1(a1 sharp)



시나위 청은 제2공이 된다.[1]

4. 3. 시나위 청

대금의 시나위 청은 제2공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젓대 http://encykorea.aks[...] 2021-05-10
[2] 웹사이트 Album Sequence https://web.archive.[...] 2007-03-25
[3] 웹사이트 http://www.cha.go.kr[...] 2021-04-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임의로 2021-04-00으로 설정
[4] 웹사이트 네이버 포스트 https://m.post.naver[...] 2021-04-21
[5] 뉴스 舞台裏の身体の話、カン・スジン、dongA.com http://news.donga.co[...] dongA.com 2009-10-08
[6] 뉴스 文化コラム http://dynews.co.kr/[...] 東洋日報 2011-06-30
[7] 뉴스 (무대 뒤 몸 이야기) 대금 연주자들은 좌파?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6-03-25
[8] 웹인용 젓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