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서는 태양의 황경이 120°가 되는 시기로, 몹시 심한 더위를 의미하며, 동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절기이다. 양력으로는 7월 22일 또는 23일 무렵으로, 덥고 장마가 지기 쉽다. 천문학적 의미는 크지 않으며,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의 절입시각만 표기한다. 대서의 날짜는 1798년부터 1987년까지는 주로 7월 23일이었으나, 1988년 이후에는 7월 22일 또는 23일로 변동되었고, 2464년부터는 7월 21일에도 나타난다. 한국에서는 논밭의 잡초를 제거하고 거름을 만들었으며, 과일 맛이 좋은 시기로 여겨졌다. 일본에서는 더위가 극에 달하는 시기로, 장어를 먹는 풍습이 있으며, 중국에서는 썩은 풀이 반딧불이가 된다고 여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 절기 - 하지
하지는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로,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절기이며 여름의 절정을 의미하고, 기온 상승과 장마 시작, 백야 현상과 함께 다양한 풍습과 음식 문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 7월의 세시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7월의 세시 - 기온마쓰리
기온마쓰리는 야사카 신사에서 주최하며 869년 역병 퇴치를 기원하며 시작된 교토의 대표적인 축제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도 명맥을 이어오며 중요 무형 민속 문화재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절기 - 동지
동지는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한국에서는 작은설이라 하여 팥죽을 먹고, 중국과 일본에서도 가족과 함께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절기 - 춘분
춘분은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24절기 중 하나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아지며 농사의 시작과 봄을 알리는 절기이고, 일본에서는 공휴일로 지정하며, 이란에서는 새해의 시작으로 기념하고, 기독교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대서 | |
---|---|
개요 | |
절기 | 스물네 절기 중 열두 번째 |
의미 | 큰 더위 |
시기 | 하지 후 약 한 달, 입추 전 약 15일 |
양력 | 보통 7월 22일 ~ 23일경 시작 |
한자 및 로마자 표기 | |
한자 | 大暑 |
로마자 표기 | dasyu (한국어 개정 로마자 표기법) |
언어별 명칭 | |
중국어 간체 | 大暑 |
중국어 병음 | dàshǔ |
중국어 주음부호 | ㄉㄚˋ ㄕㄨˇ |
광둥어 예일 | daai6 syu2 |
광둥어 | daaih syú |
일본어 한자 | 大暑 |
일본어 히라가나 | たいしょ |
일본어 로마자 | taisho |
한국어 한자 | 大暑 |
한국어 발음 | 대서 |
한국어 로마자 | daeseo |
베트남어 한자 | 大暑 |
베트남어 | đại thử |
관련 문화 | |
날씨 | 일년 중 가장 더운 시기, 장마와 폭염의 시기 |
전통 문화 | 더위를 피하는 풍습 삼복과 관련 |
농업 | 벼의 생육에 중요한 시기 논밭 관리 |
기타 | |
참고 문헌 | 중국 달력의 24절기와 그 계산 |
2. 정의 및 날짜
대서는 '몹시 심한 더위'라는 뜻으로, 태양 황경이 120°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7월 22일 또는 23일 무렵이며, 장마가 지기 쉬운 때이다.[2]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절기이다.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기온이 계속 오르는 무렵으로, 일본의 『역서람(暦便覧)』에는 “더위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라고 적혀 있다.
대한(大寒)과 서로 반년 후·반년 전이며, 소한(小寒)과 소서(小暑)도 같은 관계이다.
분류:절기
2. 1. 천문학적 의미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4가지가 큰 의미를 가지며, 대서를 포함한 나머지 20개 절기는 특별한 명칭이나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는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는 없다.[2][https://astro.kasi.re.kr/life/pageView/7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월별 천문현상]에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의 절입시각만 표기되어 있고, 대서를 포함한 나머지 20개 절기의 절입시각은 표기되어 있지 않다. 이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매년 11월쯤에 발행하는 '''역서''', '''천문력'''(벽걸이용, 탁상용)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https://astro.kasi.re.kr/life/post/calendarData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달력자료(월력요항) → 달력자료]에서는 나머지 20개의 절입시각도 확인할 수 있다.
2. 2. 연도별 날짜 (UTC 기준)
2001년부터 2030년까지 대서의 날짜와 시간 (UTC 기준)은 다음과 같다.년 | 시작 | 끝 |
---|---|---|
辛巳 (2001년) | 07월 22일 18시 26분 | 08월 07일 10시 52분 |
壬午 (2002년) | 07월 23일 00시 14분 | 08월 07일 16시 39분 |
癸未 (2003년) | 07월 23일 06시 04분 | 08월 07일 22시 24분 |
甲申 (2004년) | 07월 22일 11시 50분 | 08월 07일 04시 19분 |
乙酉 (2005년) | 07월 22일 17시 40분 | 08월 07일 10시 03분 |
丙戌 (2006년) | 07월 22일 23시 17분 | 08월 07일 15시 40분 |
丁亥 (2007년) | 07월 23일 05시 00분 | 08월 07일 21시 31분 |
戊子 (2008년) | 07월 22일 10시 54분 | 08월 07일 03시 16분 |
己丑 (2009년) | 07월 22일 16시 35분 | 08월 07일 09시 01분 |
庚寅 (2010년) | 07월 22일 22시 21분 | 08월 07일 14시 49분 |
辛卯 (2011년) | 07월 23일 04시 11분 | 08월 07일 20시 33분 |
壬辰 (2012년) | 07월 22일 10시 00분 | 08월 07일 02시 30분 |
癸巳 (2013년) | 07월 22일 15시 55분 | 08월 07일 08시 20분 |
甲午 (2014년) | 07월 22일 21시 41분 | 08월 07일 14시 02분 |
乙未 (2015년) | 07월 23일 03시 30분 | 08월 07일 20시 01분 |
丙申 (2016년) | 07월 22일 09시 30분 | 08월 07일 01시 53분 |
丁酉 (2017년) | 07월 22일 15시 15분 | 08월 07일 07시 40분 |
戊戌 (2018년) | 07월 22일 21시 00분 | 08월 07일 13시 30분 |
己亥 (2019년) | 07월 23일 02시 50분 | 08월 07일 19시 13분 |
庚子 (2020년) | 07월 22일 08시 36분 | 08월 07일 01시 06분 |
辛丑 (2021년) | 07월 22일 14시 26분 | 08월 07일 06시 53분 |
壬寅 (2022년) | 07월 22일 20시 07분 | 08월 07일 12시 29분 |
癸卯 (2023년) | 07월 23일 01시 50분 | 08월 07일 18시 22분 |
甲辰 (2024년) | 07월 22일 07시 44분 | 08월 07일 00시 09분 |
乙巳 (2025년) | 07월 22일 13시 29분 | 08월 07일 05시 51분 |
丙午 (2026년) | 07월 22일 19시 13분 | 08월 07일 11시 42분 |
丁未 (2027년) | 07월 23일 01시 04분 | 08월 07일 17시 26분 |
戊申 (2028년) | 07월 22일 06시 53분 | 08월 06일 23시 21분 |
己酉 (2029년) | 07월 22일 12시 42분 | 08월 07일 05시 11분 |
庚戌 (2030년) | 07월 22일 18시 24분 | 08월 07일 10시 47분 |
대서는 '몹시 심한 더위'라는 뜻으로, 장마철과 겹치는 경우가 많아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이어진다.[1]
3. 한국의 대서
3. 1. 풍속
소서·대서 무렵에는 논과 밭의 잡초를 뽑아내고 풀·짚 등을 섞어서 거름을 만들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였다. 특히 과일 맛이 좋은 때로, 비가 적게 오면 더욱 맛이 좋다고 한다.[1]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기온이 계속 오르는 무렵이다. 『역서람(暦便覧)』에는 “더위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라고 적혀 있다.[1]
여름의 토용(土用)은 대서 며칠 전부터 시작하여 대서 기간 내내 계속된다. 토용의 丑의 날(土用の丑の日)에는 장어를 먹는 풍습이 있다.[1] 소서와 대서의 한 달간이 소서(暑中)이며, 소서(暑中)見舞い는 이 기간 안에 보낸다. 입추(立秋) 이후는 '''잔서(残暑)見舞い'''가 된다.[1]
대한(大寒)과 서로 반년 후·반년 전이다. 소한(小寒)과 소서(小暑)도 같은 관계이다.[1]
3. 2. 현대적 의미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여름철 폭염이 심해지면서 대서 기간 동안 온열 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인, 어린이, 야외 노동자 등 폭염 취약 계층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1]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취약 계층에 대한 지원 강화를 주장한다.[1] 국민의힘은 폭염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며 정부의 역할을 축소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1] 더불어민주당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국가의 보호 책임을 강조하며 적극적인 폭염 대응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비판한다.[1]
4. 다른 나라의 대서
## 다른 나라의 대서
### 일본
일본에서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기온이 계속 오르는 시기이다. 역서람(暦便覧)에는 "더위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라고 적혀 있다.
여름의 토용(土用)은 대서 며칠 전부터 시작하여 대서 기간 내내 계속된다. 토용의 丑의 날(土用の丑の日)에는 장어를 먹는 풍습이 있다. 소서(小暑)와 대서의 한 달간이 소서(暑中)이며, 소서(暑中)見舞い는 이 기간 안에 보낸다. 입추(立秋) 이후는 '''잔서(残暑)見舞い'''가 된다.
대서 기간의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
- 초후(初候)
- * '''키리 하지메테 하나오 무스부'''(桐 初めて 花を結ぶ|키리 하지메테 하나오 무스부일본어) : 오동나무의 열매가 맺히기 시작한다.
- 중후(次候)
- * '''츠치 우루오이테 아츠시(죠쿠쇼스)'''(土 潤いて 暑し(溽暑)|츠치 우루오이테 아츠시(죠쿠쇼스)일본어) : 땅이 축축해져 무더워진다.
- 말후(末候)
- * '''타이우 토키니 유쿠(토키도키 오코나우)'''(大雨 時に行(時々 行う)|타이우 토키니 유쿠(토키도키 오코나우)일본어) : 때때로 큰비가 내린다.
### 중국
중국의 대서 기간의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
- 초후(初候)
- * 腐草 蛍と なる|후소 호타루토 나루중국어 : 썩은 풀이 뜨거워져 반딧불이가 된다.[1]
- 중후(次候)
- * 土 潤いて 暑し(溽暑)|츠치 우루오이테 아츠시(죠쿠쇼스)중국어 : 땅이 축축해져 무더워진다.[1]
- 말후(末候)
- * 大雨 時に行(時々 行う)|타이우 토키니 유쿠(토키도키 오코나우)중국어 : 때때로 큰비가 내린다.[1]
4. 1. 일본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기온이 계속 오르는 시기이다. 역서람(暦便覧)에는 "더위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다."라고 적혀 있다.여름의 토용(土用)은 대서 며칠 전부터 시작하여 대서 기간 내내 계속된다. 토용의 丑의 날(土用の丑の日)에는 장어를 먹는 풍습이 있다. 소서(小暑)와 대서의 한 달간이 소서(暑中)이며, 소서(暑中)見舞い는 이 기간 안에 보낸다. 입추(立秋) 이후는 '''잔서(残暑)見舞い'''가 된다.
1798년부터 1955년까지는 7월 23일 또는 7월 24일이었고(드물게 7월 22일), 1956년부터 1987년까지는 7월 23일이었다. 1988년 이후는 7월 22일 또는 7월 23일이 된다(드물게 7월 24일). 2464년부터는 7월 21일도 있다.
년 | 4로 나눈 나머지 | 확정 어려운(날짜가 바뀌는) 년 | |||
---|---|---|---|---|---|
0 | 1 | 2 | 3 | 자정 전후 10분 | |
1583년 ~ 1595년 | 23일 | 23일 | 23일 | 24일 | |
1596년 ~ 1631년 | 23일 | 23일 | 23일 | 23일 | 1599년 (23~24일) |
1632년 ~ 1659년 | 22일 | 23일 | 23일 | 23일 | |
1660년 ~ 1687년 | 22일 | 22일 | 23일 | 23일 | |
1688년 ~ 1699년 | 22일 | 22일 | 22일 | 23일 | |
1700년 ~ 1719년 | 23일 | 23일 | 23일 | 24일 | 1719년 (23~24일) |
1720년 ~ 1751년 | 23일 | 23일 | 23일 | 23일 | 1748년 (22~23일) |
1752년 ~ 1779년 | 22일 | 23일 | 23일 | 23일 | |
1780년 ~ 1799년 | 22일 | 22일 | 23일 | 23일 | |
1800년 ~ 1807년 | 23일 | 23일 | 24일 | 24일 | |
1808년 ~ 1835년 | 23일 | 23일 | 23일 | 24일 | 1810년 (23~24일) |
1836년 ~ 1871년 | 23일 | 23일 | 23일 | 23일 | 1839년 (23~24일), 1868년 (22~23일) |
1872년 ~ 1899년 | 22일 | 23일 | 23일 | 23일 | |
1900년 ~ 1927년 | 23일 | 23일 | 24일 | 24일 | |
1928년 ~ 1955년 | 23일 | 23일 | 23일 | 24일 | |
1956년 ~ 1987년 | 23일 | 23일 | 23일 | 23일 | |
1988년 ~ 2019년 | 22일 | 23일 | 23일 | 23일 | 1988년 (22~23일) |
2020년 ~ 2047년 | 22일 | 22일 | 23일 | 23일 | 2046년 (22~23일) |
2048년 ~ 2075년 | 22일 | 22일 | 22일 | 23일 | |
2076년 ~ 2099년 | 22일 | 22일 | 22일 | 22일 | |
2100년 ~ 2107년 | 23일 | 23일 | 23일 | 23일 | |
2108년 ~ 2135년 | 22일 | 23일 | 23일 | 23일 | |
2136년 ~ 2163년 | 22일 | 22일 | 23일 | 23일 | |
2164년 ~ 2195년 | 22일 | 22일 | 22일 | 23일 | 2166년 (22~23일), 2195년 (22~23일) |
2196년 ~ 2199년 | 22일 | 22일 | 22일 | 22일 | |
2200년 ~ 2227년 | 23일 | 23일 | 23일 | 23일 | |
2228년 ~ 2255년 | 22일 | 23일 | 23일 | 23일 | |
2256년 ~ 2283년 | 22일 | 22일 | 23일 | 23일 | |
2284년 ~ 2299년 | 22일 | 22일 | 22일 | 23일 | |
2300년 ~ 2315년 | 23일 | 23일 | 23일 | 24일 | 2315년 (23~24일) |
2316년 ~ 2343년 | 23일 | 23일 | 23일 | 23일 | |
2344년 ~ 2375년 | 22일 | 23일 | 23일 | 23일 | 2373년 (22~23일) |
2376년 ~ 2403년 | 22일 | 22일 | 23일 | 23일 | 2402년 (22~23일) |
2404년 ~ 2431년 | 22일 | 22일 | 22일 | 23일 | |
2432년 ~ 2463년 | 22일 | 22일 | 22일 | 22일 | 2460년 (21~22일) |
2464년 ~ 2491년 | 21일 | 22일 | 22일 | 22일 | |
2492년 ~ 2499년 | 21일 | 21일 | 22일 | 22일 |
대서 기간의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
- 초후(初候)
- * '''키리 하지메테 하나오 무스부'''(桐 初めて 花を結ぶ|키리 하지메테 하나오 무스부일본어) : 오동나무의 열매가 맺히기 시작한다.
- 중후(次候)
- * '''츠치 우루오이테 아츠시(죠쿠쇼스)'''(土 潤いて 暑し(溽暑)|츠치 우루오이테 아츠시(죠쿠쇼스)일본어) : 땅이 축축해져 무더워진다.
- 말후(末候)
- * '''타이우 토키니 유쿠(토키도키 오코나우)'''(大雨 時に行(時々 行う)|타이우 토키니 유쿠(토키도키 오코나우)일본어) : 때때로 큰비가 내린다.
4. 2. 중국
- 초후(初候)
腐草 蛍と なる|후소 호타루토 나루중국어 : 썩은 풀이 뜨거워져 반딧불이가 된다.[1]
- 중후(次候)
土 潤いて 暑し(溽暑)|츠치 우루오이테 아츠시(죠쿠쇼스)중국어 : 땅이 축축해져 무더워진다.[1]
- 말후(末候)
大雨 時に行(時々 行う)|타이우 토키니 유쿠(토키도키 오코나우)중국어 : 때때로 큰비가 내린다.[1]
참조
[1]
논문
The Twenty-four Solar Terms of the Chinese Calendar and the Calculation for Them
https://en.cnki.com.[...]
2021-03-09
[2]
웹사이트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 절기 (한국천문학회 위키천문백과사전)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날씨] 체감 온도 33도 이상…대부분 폭염 특보
오늘 ‘대서’…전국 폭염·열대야, 곳곳에 소나기
[날씨] 가장 덥다는 '대서'…최고 34도까지 오른다
[모닝와이드] 오늘의 주요뉴스
[날씨] 찜통더위 '대서'…낮 최고 34도
[날씨] 무더위 최고조 '대서'…내일 최고 34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