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지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지점은 천문학에서 태양이 남회귀선에 위치할 때, 즉 황경이 270°가 되는 순간을 의미하며, 1년 중 태양의 고도가 가장 낮아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동지는 일반적으로 양력 12월 21일 또는 22일에 해당하며, 고대 로마, 게르만족, 동아시아 등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축제와 의식으로 기념되어 왔다. 한국에서는 음력 11월 1일을 한 해의 시작으로 여겼으며, 삭단동지(朔旦冬至)를 특별히 기념하기도 했다. 현대에도 여러 문화권에서 동지와 관련된 다양한 축제와 기념일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면천문학 - 추분점
    추분점은 천문학에서 태양이 적도에 위치하고 황경이 180°가 되는 지점을 의미하며, 지구 궤도 섭동을 고려하여 태양의 황경이 180°일 때를 추분점으로 정의하고 현재는 처녀자리에 위치한다.
  • 구면천문학 - 주극성
    주극성은 특정 위도에서 항상 관측 가능한 별을 의미하며, 관측자 위도에 따라 주극성이 되는 별이 달라지고, 한국에서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카시오페이아자리와 큰곰자리의 주요 별들이 관측되며, 과거 항해에서 위도 측정에 활용되었고, 현대 천문학에서 천체의 위치 파악과 천구 좌표계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천문학에서의 시간 - 완화 시간
    완화 시간은 물리학, 화학, 천문학 등에서 시스템이 외부 섭동이나 불균형으로부터 평형 상태로 복귀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며, 볼츠만 운송 방정식, 응축물질물리학, 핵자기 공명, 화학 반응 속도, 대기 과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스템의 동역학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 활용된다.
  • 천문학에서의 시간 - 지점
    지점은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로 인해 발생하는 계절 변화의 중요한 시점으로, 하지와 동지를 포함하며, 태양 직하점의 위치와 낮과 밤의 길이 변화,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한파
    한파는 북극 또는 남극의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내려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며, 북극진동과 남극진동의 기압 차이에 따라 빈도가 달라지고, 가축과 야생 동물 피해, 수도관 동파, 인명 피해 등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재난
    재난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인명, 재산, 사회·경제적 피해를 의미하며, 자연재해와 사회적 재난으로 나뉘고, 재해 예방력에 따라 피해 규모가 달라지며,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노력이 필요하다.
동지점
천문학적 현상
북반구 겨울 동지 동안의 잉글랜드의 스톤헨지 일몰
관측 문화여러 문화
날짜북반구: 12월 21일, 12월 22일, 또는 12월 23일
남반구: 6월 20일, 6월 21일, 또는 6월 22일
기념잔치
유형문화적, 천문학적
중요성낮이 길어지고 밤이 짧아지는 시작
관련 축제겨울 축제
별명한겨울; 가장 짧은 날; 가장 긴 밤; 어둠에서 절반쯤 벗어남
기간1일
개요
설명태양이 천구에서 남쪽 또는 북쪽으로 가장 멀리 이동하는 하지와 동지는 각각 여름과 겨울의 시작을 알린다.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면에 대해 경사져 있고, 따라서 지구는 일 년 내내 태양을 향해 다른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관측북반구: 12월 동지
남반구: 6월 동지
중요성고대부터 많은 문화권에서 축제를 열고 축하하는 중요한 시기였다.
의미북반구에서는 이 가장 길고 이 가장 짧은 날이며, 남반구에서는 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이다.
상징빛의 귀환을 상징하며, 많은 문화권에서 새로운 시작과 재생을 나타낸다.
날짜
시기북반구: 12월 21일 또는 22일
남반구: 6월 20일 또는 21일
변화윤년으로 인해 매년 정확한 날짜가 약간씩 달라진다.
동지는 일반적으로 달력의 특정 날짜가 아닌 천문학적 사건이다.
계산태양이 황도에서 가장 남쪽 또는 북쪽에 도달하는 순간을 계산하여 결정된다.
문화적 의미
축제 및 전통여러 문화권에서 동지를 축하하며, 크리스마스, 사투르날리아, 등 다양한 축제로 이어진다.
많은 문화권에서 불, 잔치, 모임 등의 행사가 열린다.
상징적 의미겨울의 어둠 속에서 빛의 승리를 기념한다.
새로운 시작과 희망을 상징한다.
자연의 순환과 재탄생을 나타낸다.
과학적 의미
천문학적 사건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동안 자전축이 기울어져 발생하는 현상이다.
태양의 남중 고도가 가장 낮은 날이다.
천문학에서 중요한 시점이며,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기준이 된다.
계절북반구: 겨울의 시작
남반구: 여름의 시작
동아시아
동지 (冬至)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절기이다.
태양이 적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 도달하는 날이다.
전통적으로 음력 11월에 해당한다.
중국양기의 회복을 기념하는 날로 여겨진다.
가족들이 모여 탕위안(汤圆)을 먹는 풍습이 있다.
동지에는 만두, 국수 등 특별한 음식을 먹는 풍습도 있다.
음양오행설에서 음기가 극에 달하고 양기가 생겨나기 시작하는 날로 여긴다.
한국팥죽을 먹으며 액운을 쫓는 풍습이 있다.
새해 달력과 관련하여 민속적으로 중요한 날이다.
동지 이후 이 길어지는 것을 축하하는 의미가 있다.
일본유자탕에 몸을 담그는 풍습이 있다.
호박을 먹는 풍습이 있다.
음양도의 영향으로 동지를 새로운 시작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도지라고 불리며,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로 여겨진다.
가족과 함께 모여 온천을 즐기는 풍습이 있다.
기타 정보
관련 학문천문학, 점성학, 민속학, 역사학
관련 개념하지, 춘분, 추분, 사계절, 절기, 태양력, 음력
기타동지는 많은 문화권에서 연말연시 축제와 관련되어 있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동지를 새해의 시작으로 여기기도 한다.
동지의 정확한 날짜는 매년 조금씩 달라진다.

2. 천문학적 정의 및 특징

천문학에서 동지는 태양남회귀선(남위 23.44°)에 있을 때, 즉 태양의 적위가 -23.44°, 적경이 270° (또는 18시), 황경이 270°가 될 때로 정의한다.[55] 북반구에서는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다.

달과 기타 행성들의 영향으로 지구가 완벽한 타원 궤도를 돌지 않기 때문에, 태양의 적위가 정확히 -23.44°가 아니더라도 황경이 270°가 되는 순간을 동지로 정의한다.[55]

동지점의 정확한 순간은 계산할 수 있지만, 태양이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 것처럼 보여 시각적으로 관측하기는 어렵다. 천문학적 데이터 추적을 통해 발생 시각을 정확히 알 수 있지만, 직접 감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루 단위로 정확하게 관측하려면 태양 각 지름의 1/60 이하의 방위각 또는 고도 변화를 관측해야 한다. 이틀 간격으로 관측하는 것은 더 쉬운데, 태양 각 지름의 약 1/16 정도의 정밀도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많은 경우 동지 순간 대신 동지 날짜를 관측한다.

동지는 1년 중 태양고도가 가장 낮고, 북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짧으며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옛날 중국에서는 동지를 포함하는 달을 "자월"이라고 불렀으며, "일양래복"(一陽来復)이라 하여 나쁜 일이 끝나고 행운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했다. 동지를 기점으로 양기가 다시 돌아온다고 여겼지만, 선천·후천 팔괘론에서는 입춘을 1년의 전환점으로 보기도 한다.

『력편람』에서는 동지를 "해가 남쪽 끝에 이르러, 낮의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때"라고 설명한다.

2. 1. 날짜와 시각

천문학에서 동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동지는 1년 중 태양고도(태양의 위치)가 가장 낮아지는 날이며, 북반구에서는 낮 시간이 가장 짧은 날이다. 추분부터 춘분까지, 북반구에서 태양은 동쪽에서 약간 남쪽 방향으로 떠오르고, 서쪽에서 약간 남쪽 방향으로 진다. 동지에는 해뜨는 시각(일출)·해지는 시각(일몰)의 방향이 가장 남쪽이 된다. 남회귀선상의 관측자 시점에서는, 동지의 태양은 정오에 천정을 통과한다. 동지에는 북위 66.6도 이북의 북극권 전역에서 극야가 되고, 남위 66.6도 이남의 남극권 전역에서 백야가 된다.[39] 일본에서는 해뜨는 시각이 가장 늦은 날은 동지 약 반 달 후(새해)인 1월 상순경이며, 해지는 시각이 가장 빠른 날은 동지 약 반 달 전인 12월 상순경이다.[39]

현재 널리 사용되는 정기법에서는 태양황경 270도 시각(황도십이궁에서는 염소자리의 원점에 상당)으로 매년 12월 22일경이다. 평기법은 절기를 동지부터의 경과 일수로 정의하지만, 기점이 되는 동지는 정기와 같은 정의이다. 정기와 평기가 일치하는 유일한 절기이다. 력에서는 그것이 일어나는 날을 동지로 하지만, 천문학에서는 태양의 시황경이 270도가 되는 순간을 “동지”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동지의 순간을 포함하는 날을 동지일(冬至日)이라고 부른다.

동지 기간은 이날부터 다음 절기 소한 전날까지이다. 동지 기간의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

  • 초후
  • * '''내동생'''(なつかれくさ しょうず) : 여름고사리가 싹을 틔운다(일본)
  • * '''구인결'''(きゅういん むすぶ) : 蚯蚓가 땅속에서 덩어리가 된다(중국)
  • 중후
  • * '''미각해'''(びかく げす) : 큰鹿이 뿔을 떨어뜨린다(일본)
  • * '''미각해'''(さわしかの つの おる) : 큰사슴이 뿔을 떨어뜨린다(중국)
  • 말후
  • * '''설하출맥'''(ゆきわりて むぎ のびる) : 눈 아래에서 가 싹을 틔운다(일본)
  • * '''수천동'''(すいせん うごく) : 땅속에서 언 샘이 움직이기 시작한다(중국)


시각 (UT)일본중국
196607:2812월 22일12월 22일
196713:1612월 22일12월 22일
196819:0012월 22일12월 22일
196900:4412월 22일12월 22일
197006:3612월 22일12월 22일
197112:2412월 22일12월 22일
197218:1312월 22일12월 22일
197300:0812월 22일12월 22일
197405:5612월 22일12월 22일
197511:4612월 22일12월 22일
197617:3512월 22일12월 22일
197723:2312월 22일12월 22일
197805:2112월 22일12월 22일
197911:1012월 22일12월 22일
198016:5612월 22일12월 22일
198122:5112월 22일12월 22일
198204:3812월 22일12월 22일
198310:3012월 22일12월 22일
198416:2312월 22일12월 22일
198522:0812월 22일12월 22일
198604:0212월 22일12월 22일
198709:4612월 22일12월 22일
198815:2812월 22일12월 22일
198921:2212월 22일12월 22일
199003:0712월 22일12월 22일
199108:5412월 22일12월 22일
199214:4312월 22일12월 22일
199320:2612월 22일12월 22일
199402:2312월 22일12월 22일
199508:1712월 22일12월 22일
199614:0612월 22일12월 22일
199720:0712월 22일12월 22일
199801:5612월 22일12월 22일
199907:4412월 22일12월 22일
200013:3712월 22일12월 22일
200119:2112월 22일12월 22일
200201:1412월 22일12월 22일
200307:0412월 22일12월 22일
200412:4212월 22일12월 22일
200518:3512월 22일12월 22일
200600:2212월 22일12월 22일
200706:0812월 22일12월 22일
200812:0412월 22일12월 22일
200917:4712월 22일12월 22일
201023:3812월 22일12월 22일
201105:3012월 22일12월 22일
201211:1212월 21일12월 21일
201317:1112월 22일12월 22일
201423:0312월 22일12월 22일
201504:4812월 22일12월 22일
201610:4412월 21일12월 21일
201716:2812월 22일12월 22일
201822:2312월 22일12월 22일
201904:1912월 22일12월 22일
202010:0212월 21일12월 21일
202115:5912월 22일12월 22일
202221:4812월 22일12월 22일
202303:2712월 22일12월 22일
202409:2012월 21일12월 21일
202515:0312월 21일12월 21일
202620:5012월 22일12월 22일
202702:4212월 22일12월 22일
202808:1912월 21일12월 21일
202914:1312월 21일12월 21일
203020:0812월 22일12월 22일
203101:5412월 22일12월 22일
203207:5512월 21일12월 21일
203313:4512월 21일12월 21일
203419:3312월 22일12월 22일
203501:2912월 22일12월 22일
203607:1112월 21일12월 21일
203713:0612월 21일12월 21일
203819:0112월 22일12월 22일
203900:3912월 22일12월 22일
204006:3112월 21일12월 21일
204112:1712월 21일12월 21일
204218:0312월 22일12월 22일
204300:0012월 22일12월 22일
204405:4212월 21일12월 21일
204511:3412월 21일12월 21일
204617:2712월 22일12월 22일
204723:0612월 22일12월 22일
204805:0112월 21일12월 21일
204910:5112월 21일12월 21일
205016:3712월 22일12월 22일
205122:3312월 22일12월 22일
205204:1612월 21일12월 21일
205310:0812월 21일12월 21일
205416:0812월 22일12월 22일
205521:5412월 22일12월 22일
205603:5012월 21일12월 21일
205709:4112월 21일12월 21일
205815:2312월 22일12월 22일
205921:1612월 22일12월 22일
206003:0012월 21일12월 21일



1956년부터 2202년까지는 12월 21일 또는 12월 22일이지만, 1955년까지는 12월 23일이기도 했다.

4로 나눈 나머지불확정(날짜를 넘김) 년
0123자정 전후 10분
1582~161121일22일22일
1612~164321일21일22일22일
1644~167921일21일21일22일1646(21-22일)
1680~169921일21일21일21일
1700~171522일22일22일22일
1716~175121일22일22일22일1749(21-22일)
1752~178321일21일22일22일
1784~179921일21일21일22일
1800~181922일22일22일23일1819(22-23일)
1820~185522일22일22일22일
1856~188721일22일22일22일
1888~189921일21일22일22일1889(21-22일)
1900~191922일22일23일23일
1920~195522일22일22일23일1922(22-23일)
1956~199122일22일22일22일
1992~202721일22일22일22일2025(21-22일)
2028~205921일21일22일22일
2060~209521일21일21일22일2095(21-22일)
2096~209921일21일21일21일
2100~213122일22일22일22일
2132~216321일22일22일22일2161(21-22일)
2164~219521일21일22일22일
2196~219921일21일21일22일
2200~222722일22일22일23일
2228~226722일22일22일22일
2268~229921일22일22일22일
2300~233522일22일23일23일2334(22-23일)
2336~236322일22일22일23일
2364~240322일22일22일22일2367(22-23일), 2400(21-22일)
2404~243521일22일22일22일
2436~246721일21일22일22일
2468~249921일21일21일22일2470(21-22일)


2. 2. 관측

천문학에서 동지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55]

하지만, 달과 기타 행성들의 섭동 때문에 지구가 정확한 타원 궤도를 돌지 않으므로, 공식적으로는 태양의 적위가 -23.44°가 아니더라도, 태양의 황경이 270°일 때를 동지점으로 정의한다.[55]

지점의 정확한 순간은 계산할 수 있지만, 시각적으로 그 순간을 직접 관측하는 것은 어렵다. 태양은 너무 느리게 움직이거나 정지해 있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천문학적 데이터 추적을 이용하여 그 발생 시각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지점의 정확한 순간은 직접 감지할 수 없다. 하루 단위로 정확하게 관측하려면 관측자는 태양의 각 지름의 약 1/60 이하의 방위각 또는 고도 변화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이틀 간격 내에 발생했음을 관측하는 것은 더 쉬운데, 태양의 각 지름의 약 1/16의 관측 정밀도만 있으면 된다. 따라서 많은 관측은 순간이 아니라 지점의 날짜를 관측하는 것이다.

동지는 1년 중 태양고도(태양의 위치)가 가장 낮아지는 날이며, 북반구에서는 낮 시간이 가장 짧은 날이다. 추분부터 춘분까지, 북반구에서는 태양은 동쪽에서 약간 남쪽 방향으로 떠오르고, 서쪽에서 약간 남쪽 방향으로 진다. 동지에는 이 해뜨는 시각(일출)·해지는 시각(일몰)의 방향이 가장 남쪽이 된다. 또한 남회귀선상의 관측자로부터 보면, 동지의 태양은 정오에 천정을 통과한다. 동지에는 북위 66.6도 이북의 북극권 전역에서 극야가 되고, 남위 66.6도 이남의 남극권 전역에서 백야가 된다.[39]

북반구에서는 태양남중고도가 가장 낮고, 일 년 중 이 가장 짧고 이 가장 길다(남반구에서는 역전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정기법에서는 태양황경 270도 시각(황도십이궁에서는 염소자리의 원점에 상당)으로 매년 12월 22일경이다. 력에서는 그것이 일어나는 날을 동지로 하지만, 천문학에서는 태양의 시황경이 270도가 되는 순간을 “동지”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동지의 순간을 포함하는 날을 동지일(冬至日)이라고 부른다.

동지 기간의 칠십이후는 다음과 같다.

구분일본중국
초후내동생(なつかれくさ しょうず) : 여름고사리가 싹을 틔운다구인결(きゅういん むすぶ) : 蚯蚓가 땅속에서 덩어리가 된다
중후미각해(びかく げす) : 큰鹿이 뿔을 떨어뜨린다미각해(さわしかの つの おる) : 큰사슴이 뿔을 떨어뜨린다
말후설하출맥(ゆきわりて むぎ のびる) : 눈 아래에서 가 싹을 틔운다수천동(すいせん うごく) : 땅속에서 언 샘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3. 역사와 문화적 의미

신석기 시대부터 일부 문화권에서는 동지가 1년 주기의 중요한 순간으로 여겨졌다. 농업 활동에는 종종 천문 현상이 활용되었는데, 동물의 교배, 작물 파종, 겨울철 식량 비축량 관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겨울 동안 가축에게 먹이를 줄 필요가 없어 도축했기 때문에, 신선한 고기가 풍부하게 공급되는 시기는 거의 일 년 중 이때뿐이었다.[3]

동지는 하늘에서 태양의 겉보기 쇠퇴가 역전되는 시점이다. 낮의 길이가 더 이상 짧아지지 않고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고대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것을 태양 또는 태양신의 죽음과 부활로 상징했다.[4][5][6]

아일랜드 뉴그레인지의 통로로 들어오는 겨울철 햇빛


유럽의 중요한 신석기 시대와 초기 청동기 시대 고고학 유적지 중 일부는 겨울 지점과 관련이 있다. 영국의 스톤헨지와 아일랜드의 뉴그레인지가 그 예이다. 이 두 기념물의 주요 은 겨울 지점의 일출(뉴그레인지)과 일몰(스톤헨지)을 가리키는 시선에 정확하게 정렬된 것으로 보인다. 스톤헨지에서 거대한 삼석기념물이 기념물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다는 점, 즉 매끄러운 평평한 면이 한겨울의 태양을 향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7]

세계 각지에서 동지 무렵에 태양의 힘이 가장 약해진 날을 무사히 지나갔음을 축하하며 '''동지제'''를 지낸다. 크리스마스 또한 이란에서 유래한 미트라교의 동지제 의식이나 독일·북유럽의 기독교 이전 게르만족동지제기독교와 혼합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3. 1. 한국

신석기 시대부터 일부 문화권에서는 동지가 1년 주기의 중요한 순간으로 여겨졌다는 증거가 있다. 동물의 교배, 작물 파종, 겨울철 식량 비축량 관리 등 농업 활동에는 종종 천문 현상이 활용되었다. 가축들은 겨울 동안 먹이를 줄 필요가 없도록 도축되었기 때문에 신선한 고기가 풍부하게 공급되는 시기는 거의 일년 중 이때뿐이었다.[3]

동지는 하늘에서 태양의 겉보기 쇠퇴가 역전되는 시점이다. 낮의 길이가 더 이상 짧아지지 않고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고대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것을 태양 또는 태양신(Sun god)의 죽음과 부활로 상징했다.[4][5][6]

동지에는 호박 조림을 먹는 풍습이 있다.

3. 2. 동아시아

동아시아에서는 동지를 24절기 중 하나로 기념하며, 중국어로는 '동지(冬至)'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겨울에 감기에 걸리지 않기 위해 유자탕(柚子湯|유즈유일본어)에 몸을 담그는 풍습이 있다.[27]

일본의 태양신 아마테라스가 동굴에서 나오는 모습 (쿠니사다 작품)


동지 무렵 해 질 녘, 베이징에 있는 이화원의 17개 아치 다리에 비치는 햇살


하(夏) 왕조 이전이나 주 왕조에서는 음력 11월 1일인 대설이나 동지를 1년의 시작으로 여겼다.

근세어로는 동지를 “당나라 정월(唐の正月)”이라고 하는데,[40][41] 이는 중국에서 동지를 원단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 잔재로 현재에도 동지는 역법의 기준이 되고 있다. 하정을 기준으로 한 태음태양력에서는 동지를 포함하는 달을 11월로 정의하지만, 19년에 한 번(서력 4자리수가 19의 배수인 해), 동지가 11월 1일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을 '''삭단동지'''(朔旦冬至)라고 한다.[42] 태음태양력에서는 19년 동안 7번의 윤달을 넣는(19년 7윤) 주기를 “장(章)”이라고 칭하며, 낡은 장에서 새로운 장으로의 전환이 되는 해를 새로운 장의 첫 해라는 의미로 “'''장수(章首)'''”라고 불렀다. 장수의 해에는 먼저 이전 장의 마무리에 해당하는 7번째 윤달을 맞이하고, 그 후에 도래하는 그 해의 동지를 새로운 장의 시작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 장수에서 동지의 날은 반드시 삭단동지가 되도록 역법이 만들어지는 것이 원칙으로 여겨졌다.

삭단동지가 정확히 19년 주기로 찾아온다는 것은 19년 7윤 원칙에 기반한 력이 정확하게 운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역법의 정확성은 정치가 바르게 행해지고 있다는 증거로 여겨져 삭단동지는 성대하게 축하되었다.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행해졌고, 659년에 우연히 견당사가 당(唐)의 수도 낙양에 체류 중이어서 의식 참여가 허락되었다. 일본에서는 당풍 의식의 도입에 적극적이었던 관무천황의 784년에 처음으로 의식이 거행되었다.[43] 11월 1일은 원래 다음 해의 역법을 천황에게 봉정하는 어력주도 행해졌던 날이므로 매우 성대한 행사가 되었다.

하지만, 파장법을 채택하고 있는 역법에서는 19년 7윤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그 경우 새로운 장의 처음에 삭단동지가 도래한다고는 한정할 수 없고, 반대로 장의 중간에 우연히 삭단동지가 도래하는 상황(임시 삭단동지)도 발생했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방치하는 것을 불상사로 여겨, 역법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삭단동지를 도래하게 하거나, 회피하는 것(「개력」)이 행해졌다. 참고로, 후에는 장의 처음 이외의 삭단동지도 축하하게 되었다. 1786년의 광격천황 때 삭단동지 의식이 거행된 것이 마지막이며, 다음 1870년 삭단동지에 메이지 정부는 낡은 관습으로서 이후 이러한 의식은 행하지 않기로 했다.

근년의 삭단동지는 1984년, 1995년, 2014년이며, 그 다음은 38년 후인 2052년이다. 2014년의 19년 후인 2033년이 삭단동지가 아닌 것은, 애초에 동지를 포함하는 날과 삭을 포함하는 날이 일치하지 않기(5시간 차이지만 날짜를 넘어 버림) 때문이며, 율력 2033년 문제(음력 월명을 정할 수 없음)와는 관계가 없다.

일본에는 다음과 같은 풍습이 있다.

  • 별 축제(ほしまつり): 묘견(妙見) 계열의 신사 등에서 행해진다. 천태종(天台宗)이나 진언종(真言宗) 사찰에서 행하는 "별 공양(星供養)"도 속칭 "별 축제"라고 한다. 각자의 태어난 해의 십이지(十二支)에 해당하는 당년성(當年星)을 모시고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 동지 목욕(冬至風呂): 이 날은 동지(湯治) 목욕이라고 하여 유자탕(柚子湯)에 들어간다. 덴포 9년의 『동도세시기(東都歳時記)』에 따르면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에도의 센토(銭湯)부터라고 한다.[44]


또한 이 날에는 다음과 같은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 동지 죽(冬至粥): 동지 아침에 팥죽(小豆粥)을 먹는다. 이것을 동지죽이라고 한다. 팥죽에는 전염병(疫病)에 걸리지 않는다는 전승이 있으며,[45]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라고도 한다.
  • 냉주(冷酒)
  • 호박(とうなす(かぼちゃ)): 동지에는 호박(カボチャ) 조림을 먹는 풍습이 있다.[46] 동지에 호박을 먹으면 중풍(中風)에 걸리지 않거나 또는 장수한다[47][48]고도 하고, 영양을 섭취하기 위해서라고도 한다.
  • 콘냐쿠(コンニャク): 곤약(コンニャク)을 "몸의 모래 치우기"라고 하여 몸속의 나쁜 것을 청소한다고 한다.
  • "토(と)"가 붙는 음식[49]: 동지의 "토(と)"에 따라 두부(豆腐), 고추(唐辛子), 미꾸라지(ドジョウ)[50], 이토코니(いとこ煮)를 먹는다. 지금도 동지 전에는 슈퍼나 생선가게에서 미꾸라지 판매 풍경을 볼 수 있다. 두부는 계절에 따라 유도후(湯豆腐)로 먹는 경우가 많다.


중국 북방에서는 만두를, 남방에서는 탕원을 먹는 풍습이 있다. 또한, 이 날은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는 풍습도 있다.

3. 3. 고대 로마

신석기 시대부터 일부 문화권에서는 동지가 한 해 주기의 중요한 순간으로 여겨졌다는 증거가 있다. 농업 활동에는 종종 천문 현상이 활용되었는데, 동물의 교배, 작물 파종, 겨울철 식량 비축량 관리 등이 그러했다. 가축들은 겨울 동안 먹이를 줄 필요가 없도록 도축되었기 때문에 신선한 고기가 풍부하게 공급되는 시기는 거의 일 년 중 이때뿐이었다.[3]

동지는 하늘에서 태양의 겉보기 쇠퇴가 역전되는 시점이다. 낮의 길이가 더 이상 짧아지지 않고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고대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것을 태양 또는 태양신의 죽음과 부활로 상징했다.[4][5][6]

고대 로마력에서 12월 25일은 동지였다.[8][9] 기원전 1세기에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이 날이 한겨울의 중간으로 여겨졌다고 기록했다.[10] 같은 세기에 오비디우스는 그의 작품 ''파스티''에서 동지를 "새로운 태양"의 첫날이라고 기록했다.[11] 기원후 2세기경 안티오쿠스 아테나이우스의 달력에는 이 날을 "태양의 탄생일"로 표기하고 있다.[12] 서기 274년, 아우렐리아누스 황제는 이 날을 무적 태양(Dies Natalis Solis Invictila)의 탄생일인 축제일로 지정했다.[9][13] 고대사 교수인 게리 포시스는 이 축제가 로마 공화정 시대 이후 가장 즐거운 축제 기간인 사투르날리아(12월 17일~23일)의 7일간에 훌륭한 추가 행사가 되었을 것이며, 사투르날리아는 파티, 연회, 선물 교환으로 특징지어지는 기간이었다고 말한다.[9]

전례 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동지가 예수 탄생일로 12월 25일을 선택하는 데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받아들인다.[14]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교회가 그리스도의 탄생일(Dies Natalis Christila)로 이 날을 특별히 선택하여 로마의 태양신 탄생일(Dies Natalis Solis Invictila) 축제를 ''차용''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것이다.[13][9][15]

아보다 자라 8a에 나오는 아가다 전설은 아담이 동지 전에 금식하고 그 후에 기뻐하는 전통을 처음으로 세웠다는 탈무드적 가설을 제시하며, 이후 그 축제가 로마의 사투르날리아와 칼렌다이로 발전했다고 말한다.

3. 4. 게르만족

신석기 시대부터 일부 문화권에서는 동물을 이용한 농업 활동에 천문 현상이 활용되었으며, 동지는 1년 주기의 중요한 순간으로 여겨졌다.[3] 가축들은 겨울 동안 먹이를 줄 필요가 없도록 이 시기에 도축되었기 때문에 신선한 고기가 풍부했다.[3]

동지는 태양이 다시 강해지는 시점으로, 고대 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태양신의 죽음과 부활을 상징했다.[4][5][6]

독일 고섹 원형 유적지. 노란색 선은 동지에 해돋이와 해넘이가 보이는 방향을 나타낸다.


6세기 프로코피우스는 헤룰리족을 언급하며 툴레라고 부르는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이 동지 직후 낮의 귀환을 축하하는 가장 큰 축제를 열었다고 기록했다.[17]

앵글로색슨 영국에서는 동지를 일반적으로 12월 25일로 여겼으며, 고대 영어에서 ''중동절''은 동지와 크리스마스 모두를 의미했다.[18][19] 8세기 베다는 이교도 앵글로색슨인들이 동지에 Mōdraniht|어머니의 밤ang 축제를 지냈으며, 이것이 앵글로색슨력의 시작을 알렸다고 기록했다.[19]

북게르만 민족은 이라는 겨울 축제를 기념했다. 13세기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헤임스크링글라''는 노르웨이 왕 하콩 선왕(약 920년~961년)이 주최한 율 축제를 묘사한다. 기독교도였던 하콩 왕은 율을 "중동절"에서 옮겨 기독교 크리스마스 축제와 일치시켰다. 역사적으로 일부 학자들은 율이 원래 동지의 태양 축제였다고 믿었지만, 현대 학자들은 중세 아이슬란드에서 중동절이 동지 후 약 4주 후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를 믿지 않는다.[20] 게르만 민족의 기독교화 기간 동안 율은 크리스마스 축제에 통합되었고, 그 용어와 관련어는 현대 북유럽 언어에서 크리스마스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21][22]

3. 5. 기타 문화권

신석기 시대부터 일부 문화권에서는 동지가 1년 주기의 중요한 순간으로 여겨졌다는 증거가 있다. 농업 활동에는 종종 천문 현상이 활용되었는데, 동물의 교배, 작물 파종, 겨울철 식량 비축량 관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가축들은 겨울 동안 먹이를 줄 필요가 없도록 도축되었기 때문에 신선한 고기가 풍부하게 공급되는 시기는 거의 일 년 중 이때뿐이었다.[3]

동지는 하늘에서 태양의 겉보기 쇠퇴가 역전되는 시점이다. 낮의 길이가 더 이상 짧아지지 않고 다시 길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고대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것을 태양 또는 태양신의 죽음과 부활로 상징했다.[4][5][6]

  • 알바니아: 동지 무렵의 알바니아 전통 축제는 여름을 위한 태양(Dielli)의 귀환과 낮이 길어짐을 기념한다.[23][24][25][26] 동지 기간 동안의 알바니아 전통 의식은 이교적이며 매우 오래되었다. 알바니아학자인 요한 게오르크 폰 한(1811 – 1869)은 당시와 그 이전에 기독교 성직자들이 알바니아인들이 이 축제를 기념하기 위해 행하던 이교 의식을 열심히 없애려고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이 축제의 오래된 의식에는 집, 친족 또는 이웃을 기반으로 한 집단적인 불(zjarre)이 따랐는데, 이는 옛 믿음에 따라 태양에 힘을 주기 위해 행해진 관행이었다. 농업과 축산업에서 생산량 증가를 바라는 뜻을 담은 식물 숭배와 관련된 의식에는 불에 대한 동물 희생, 밤에 소나무를 밝히는 행위, 불꽃이나 의식용 빵 속의 동전을 이용한 점복, 의식 음식을 만들고 먹는 행위, 가축, 들판, 포도밭, 과수원 등에서 다양한 마법적 의식 행위를 하는 등의 행위가 수반되었다. "율로그의 밤"을 의미하는 나타 에 부즈미트(Nata e Buzmit)는 12월 22일부터 1월 6일 사이에 기념된다. 부즈미는 (여러 조각의 나무일 수도 있는) 의식용 나무 조각으로, 여름을 위한 태양의 귀환(동지 이후) 후에 오는 겨울 축제의 밤, 때로는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 밤, 때로는 콜렌드라(kolendra) 밤, 또는 신년 또는 그 무렵의 다른 날에 난롯불(vatër)의 불(zjarri)에서 태우는 전통으로, 원래는 태양 숭배와 관련이 있다.

  • 인도: 마카르 상크란티(Makara Sankranti, मकर संक्रांतिsa) 또는 마기(Maghi)라고도 알려진 이 축제는 힌두력의 축제일로, 태양신 수르야(Surya)와 관련이 있다. 매년 1월에 지낸다.[28] 이 날은 태양이 마카라(염소자리)로 이동하는 첫날을 기념하며, 동지가 끝나고 낮이 길어지는 시기를 알린다.[28][29]

  • 이란: 이란 사람들은 북반구의 동지 밤을 "야르다 밤"으로 기념하는데, 이는 "일 년 중 가장 길고 어두운 밤"으로 알려져 있다. 야르다 밤 축제, 또는 일부 사람들이 "샤베 첼레"("40번째 밤")라고 부르는 것은 고대부터 페르시아 문화에 존재해 온 가장 오래된 이란 전통 중 하나이다. 이날 밤에는 모든 가족이 보통 가장 연장자의 집에 모여 음식을 먹고, 마시고, 시(특히 하피즈)를 낭송하며 축하한다. 견과류, 석류, 수박이 이 축제 기간 동안 특히 많이 제공된다.

  • 일본: 다음과 같은 풍습이 있다.
  • 별 축제(ほしまつり): 묘견(妙見) 계열의 신사 등에서 행해진다. 천태종(天台宗)이나 진언종(真言宗) 사찰에서 행하는 "별 공양(星供養)"도 속칭 "별 축제"라고 한다. 각자의 태어난 해의 십이지(十二支)에 해당하는 당년성(當年星)을 모시고 무병장수를 기원한다.
  • 동지 목욕(冬至風呂): 이 날은 동지(湯治) 목욕이라고 하여 유자탕(柚子湯)에 들어간다. 덴포 9년의 『동도세시기(東都歳時記)』에 따르면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에도의 센토(銭湯)부터라고 한다.[44]
  • 동지죽(冬至粥): 동지 아침에 팥죽(小豆粥)을 먹는다. 이것을 동지죽이라고 한다. 팥죽에는 전염병(疫病)에 걸리지 않는다는 전승이 있으며,[45] 또는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라고도 한다.
  • 냉주(冷酒)
  • 호박(とうなす(かぼちゃ)): 동지에는 호박(カボチャ) 조림을 먹는 풍습이 있다.[46] 동지에 호박을 먹으면 중풍(中風)에 걸리지 않거나 또는 장수한다[47][48]고도 하고, 영양을 섭취하기 위해서라고도 한다.
  • 콘냐쿠(コンニャク): 곤약(コンニャク)을 "몸의 모래 치우기"라고 하여 몸속의 나쁜 것을 청소한다고 한다.
  • "토(と)"가 붙는 음식[49]: 동지의 "토(と)"에 따라 두부(豆腐)·고추(唐辛子)·미꾸라지(ドジョウ)[50]·이토코니(いとこ煮)를 먹는다. 지금도 동지 전에는 슈퍼나 생선가게에서 미꾸라지 판매 풍경을 볼 수 있다. 두부는 계절에 따라 유도후(湯豆腐)로 먹는 경우가 많다.

  • 중국: 북방에서는 만두를, 남방에서는 탕원을 먹는 풍습이 있다. 또한, 이 날은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낸다는 풍습도 있다.


동지에는 태양의 힘이 가장 약해진 날을 무사히 지나갔음을 축하하며, 세계 각지에서 '''동지제'''가 지내진다. 크리스마스 또한 이란에서 유래한 미트라교의 동지제 의식이나 독일·북유럽의 기독교 이전 게르만족동지제기독교와 혼합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4. 현대의 동지

5. 같이 보기


  • 에지드 축제(예지디교도): 동지 전 마지막 금요일에 기념한다.
  • 사투르날리아(고대 로마): 동지 직전에 기념한다.
  • 성 루치아 축일(기독교): 동지와 일치하도록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12월 13일에 기념한다.
  • 한식(한국, 중국): 동지 후 105일째이다.
  • 마카르 상크란티(인도): 수확제 – 추운 계절의 끝과 낮이 길어지는 새로운 달의 시작을 알린다.
  • 탄토라 겨울 축제(사우디아라비아): 겨울 수확철의 시작을 알리는 문화 축제이다.
  • 남반구의 성 요한 축제 전야제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Physical Science Houghton Mifflin
[2] 웹사이트 Winter Solstice celebrations: a.k.a. Christmas, Saturnalia, Yule, the Long Night, the start of Winter, etc. http://www.religious[...] Religious Tolerance.org 2015-08-05
[3] 웹사이트 History of Christmas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17-01-02
[4] 서적 Echoes of the Ancient Skies: The Astronomy of Lost Civilizations Courier Corporation
[5] 서적 Stonehenge The Free Press
[6] 서적 Early Man and the Cosmo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7] 서적 Solving Stonehenge: The New Key to an Ancient Enigma Thames & Hudson
[8] 서적 Time and the Calendar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76
[9] 서적 Time in Roman Religion: One Thousand Years of Religious History Routledge 2012
[10] 서적 Time in Roman Religion: One Thousand Years of Religious History Routledge 2012
[11] 서적 Fasti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Religion of the Mithras Cult in the Roman Empire: Mysteries of the Unconquered Su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hristma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4] 서적 Toward the Origins of Christmas Kok Pharos Publishing 1995
[15] 학술지 The Origins of the Christmas Date: Some Recent Trends in Historical Research https://www.cambridg[...] 2012-12
[16] 학술지 Early Christian Chronology and the Origins of the Christmas Date Peeters 2013
[17] 학술지 The Season of the Dísir: The Winter Nights and the Dísarblót in Early Scandinavian Belief 2005
[18] 서적 The Old English Metrical Calendar (Menologium) Boydell & Brewer 2015
[19] 서적 Winters in the World: A Journey through the Anglo-Saxon Year Reaktion Books 2023
[20] 서적 Jul, disting och förkyrklig tideräkning: Kalendrar och kalendariska riter i det förkristna Norden https://www.academia[...] Kungl. Gustav Adolfs Akademien för svensk folkkultur
[21] 웹사이트 Yule https://en.wiktionar[...] 2023-03-17
[22] 웹사이트 jul https://en.wiktionar[...] 2023-03-17
[23] 서적 Trashëgimia dhe tranformimi i kulturës popullore: materiala nga sesioni shkencor, mbajtur në Prishtinë më 7-8 shtator 1979 https://books.google[...] Albanological Institute of Prishtina
[24] 서적 Opoja dhe Gora ndër shekuj Albanological Institute of Pristina
[25] 서적 Mitologjia ndër shqiptarë Mësonjëtorja
[26] 서적 The Encyclopedia of Religion MacMillan Publishing Co
[27] 웹사이트 Goin' Japanesque!: Japanese Winter Solstice Traditions; A Day for Kabocha and Yuzuyu http://goinjapanesqu[...]
[28] 서적 Hindu Prayers, Gods and Festivals https://books.google[...] Partridge
[29]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A - M https://books.google[...] Rosen Publishing Group
[30] 웹사이트 Avodah Zarah 8a:7 https://www.sefaria.[...]
[31] 서적 Astronomical Algorithms Willmann-Bell, Inc. 2009
[32] 웹사이트 算命学鑑定における冬至説の再考察 {{!}} 自然法算命学とは {{!}} 自然法算命学 https://web.archive.[...] 2022-12-05
[33] 웹사이트 『算命学鑑定における冬至説の再考察 -歳首選定及び満漢朝三体言語資料をめぐって-』大野 広之 https://web.archive.[...] 2022-12-06
[34] 서적 原典算命学大系 菜根出版
[35] 웹사이트 冬至節_人民中国 https://web.archive.[...] 2021-12-22
[36] 웹사이트 くらしの歳時記「冬」~冬至・正月・節分の由来や風習、行事食~|わたしの家 https://web.archive.[...] 2022-02-28
[37] 웹사이트 冬至と冬の養生の話・2020 - 代官山パークサイドクリニック https://web.archive.[...] 2020-12-21
[38] 웹사이트 ~立春を起点とする理由の運勢学的考察~ https://www.china-fu[...] 2009-02-06
[39] 웹사이트 小学校理科ハンドブック https://web.archive.[...] 大阪府教育センター
[40] 서적 日本国語大辞典、第5巻(かつまーきにん) 日本大辞典刊行会、小学館 1976-05-01
[41] 웹사이트 唐の正月 https://kotobank.jp/[...]
[42] 서적 年中行事事典 東京堂出版 1958-05-23
[43] 논문 冬至と朔旦冬至 同成社 2016
[44] 서적 日本の「行事」と「食」のしきたり 青春出版社 2004
[45] 서적 日本のしきたり-開運の手引き 講談社 1994
[46] 웹사이트 冬至の日にカボチャを食べるのはナゼ?(食育大事典) https://shokuiku-dai[...]
[47] 서적 食べ物と健康おもしろ雑学 梧桐書院 1991
[48] 서적 日本のしきたり-開運の手引き 講談社 1994
[49] 서적 日本の「行事」と「食」のしきたり 青春出版社 2004
[50] 기타
[51] 웹사이트 Équinoxe de printemps entre 1583 et 2999 http://www.imcce.fr/[...]
[52] 웹사이트 Solstice d’été de 1583 à 2999 http://www.imcce.fr/[...]
[53] 웹사이트 Équinoxe d’automne de 1583 à 2999 http://www.imcce.fr/[...]
[54] 웹사이트 Solstice d’hiver http://www.imcce.fr/[...]
[55] 웹사이트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https://astro.kas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