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지는 24절기 중 하나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천문학적으로는 황도 경도가 270°인 지점이다. 동지를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다시 길어지기 때문에, 많은 문화권에서 축제나 1년의 시작으로 여겨졌다. 한국에서는 동지를 '작은 설'로 부르며,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팥죽은 액운을 막고, 새해의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동짓날의 날씨로 새해 농사를 점치기도 했다. 중국, 일본 등 다른 나라에서도 동지를 기념하는 다양한 풍습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겨울 축제 -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눈축제는 1950년 삿포로시 오도리 공원에서 시작되어 육상자위대의 참여와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 눈 조각 콘테스트와 스스키노 아이스 월드를 포함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2024년 정상 규모로 개최되었다. - 겨울 축제 - 퀘벡 윈터 카니발
퀘벡 윈터 카니발은 퀘벡 시민들이 겨울을 즐기기 위해 1894년 시작되어, 중단 후 1955년 부활하여 국제적인 행사로 발전했으며, 마스코트 보놈과 함께 다양한 퍼레이드, 야외 스포츠, 눈 조각 대회, 전통 음식, 아이스 호텔 등의 볼거리를 제공한다. - 한국의 민간풍속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한국의 민간풍속 - 한국의 문화
한국의 문화는 오랜 역사 속 전통과 현대 사회의 변화가 공존하며 미술, 음악, 무용, 의복, 건축, 놀이, 요리, 언어, 종교, 문화재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 한국의 명절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한국의 명절 - 정월 대보름
정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달을 보며 풍요를 기원하고 부럼 깨기, 오곡밥 먹기 등 다양한 풍속과 놀이를 즐기는 한국의 명절이다.
동지 | |
---|---|
동지 정보 | |
의미 | 겨울의 극치 (즉, 동지) |
관련 명절 | 작은설 |
날짜 | 매년 12월 22일경 |
행사 | 팥죽 먹기, 귀신 쫓기 |
개요 | |
설명 | 중국력의 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 |
다른 이름 | 지점 또는 지일 ("극점" 또는 "극일") |
역사 | |
관련 항목 | 동지 역사 |
절기 | |
시기 | 양력 12월 21일 또는 12월 22일경 |
태양의 황경 | 270° |
시작 시점 | 태양이 동지점에 도달하는 시점 |
달력 표기 | 태양력에서는 12월 22일경, 음력에서는 11월 중순 |
한국 문화 | |
명칭 | 한국에서는 '동지' 또는 '작은 설' |
음식 | 팥죽을 먹는 풍습 |
풍습 | 악귀를 쫓고 새해의 복을 기원하는 날 |
2. 동지의 의미와 중요성
동지를 기점으로 하여 점차 낮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많은 곳에서 축제일, 또는 1년의 시작일로 삼았다.
각 절기는 일반적으로 계절적인 자연 현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3개의 5일 간격(旬, pentads)으로 나뉜다. 동지의 5일 간격은 다음과 같다.
- 蚯蚓結 (구인결): '지렁이가 몸을 둥글게 꼰다', 지렁이의 동면을 가리킴
- 麋角解 (미각해): '사슴의 뿔이 떨어진다'
- 水泉動 (수천동): '샘물이 움직인다'
2. 1. 천문학적 의미
천문학에서 춘분, 하지, 추분, 동지와 함께 동지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절기 중 하나이다.[9] 천문학적으로 동지는 황도 경도가 270°인 지점이다.[9]2013년 서울특별시와 평양직할시의 동지 일출 및 일몰 시각은 다음과 같다.[6]
지역 | 위도와 경도 | 일출 | 일몰 | 낮의 길이 |
---|---|---|---|---|
서울 | 07시 43분 30초 | 17시 17분 25초 | 9시간 33분 55초 | |
평양 | 07시 52분 40초 | 17시 18분 01초 | 9시간 25분 20초 |
동지는 보통 12월 21일~22일경에 나타나며, UTC 기준 연도별 동지 시각 및 종료 시각은 JPL Horizons On-Line Ephemeris System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같다.
2. 2. 기후 변화
동지 때 지구의 북반구는 완연한 겨울이 된다. 이는 태양의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태양의 복사 에너지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북위 37도인 지역(서울, 강릉 등)에서 하지의 태양 복사 에너지를 100%라 한다면 동지에는 49% 정도이다. 각 절기는 일반적으로 계절적인 자연 현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3개의 5일 간격으로 나뉜다. 동지의 5일 간격은 蚯蚓結 (구인결, 지렁이가 몸을 둥글게 꼰다), 麋角解 (미각해, 사슴의 뿔이 떨어진다), 水泉動 (수천동, 샘물이 움직인다)이다.3. 한국의 동지 풍습
동지는 음력 11월에 들어서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 불렀다. 또한 동지를 '''작은설'''로 부르며 크게 축하했다.[7] 민간에서는 동지에, 설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처럼, 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7] 이것은 옛날에 동지 (옛날 서당은 이 날에 입학하였다.)를 정월(正月)로 삼은 풍속에 따른 것이었다.[7]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풍습이 전해진다.
- 동지 팥죽 - 동지 때 쑤어 먹는 팥죽. 새알심을 넣어 쑨다. 옛날에는 동지를 큰 명절로 지냈으나 요즘은 제사를 모시지 않고 붉은팥죽을 쑤어 나누어 먹는다. 붉은팥죽은 옛날부터 액운을 막는 절기 음식으로서, 지방에 따라서는 초상 때나 이사를 하였을 때에 액운을 막기 위해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 이웃끼리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동지가 동짓달(음력 11월) 초승에 드는 “애동지”에는 어린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고 대신 팥 시루떡을 해 먹었다.[7]
- * 팥죽을 쑤어 조상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 동짓날 날씨로 새해의 농사를 점친다.
- 달력을 선물로 보낸다.
- 서당의 입학 날짜는 대개 동짓날이었다. 이는 동지 이후로 낮의 기운이 점점 커지므로 아이들이 학문을 깨우쳐 밝게 커 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서당의 입학식을 동지에 한 것이다.
애동지는 음력 11월 10일까지 드는 동지로 '''아기동지''', '''오동지'''라고도 부른다. 윤달이 들어 있는 해에는 애동지가 찾아온다. 애동지에는 팥죽 대신 팥시루떡, 시루팥떡을 해 먹는다.
중동지는 음력 동짓달 중순(음력 11월 11일 ~ 11월 20일) 사이에 드는 동지이다.
노동지는 음력 11월 21일 이후로 드는 동지를 뜻한다.[8]
한국에서는 동지(冬至)를 '작은 설'이라고도 부르며, 이날을 기념하는 풍습이 있다. 팥죽(팥죽한국어)이라 불리는 팥으로 만든 죽과 찹쌀로 만든 둥근 떡인 새알심(새알심한국어)을 만들어 먹는다. 옛날에는 팥죽이 악귀를 물리친다고 하여 벽이나 문에 뿌리기도 했다. 또한, 고려와 조선 시대 초기에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이 날을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2]
3. 1. 팥죽
동지는 음력 11월에 들어서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 불렀다. 또한 동지를 '''작은설'''로 부르며 크게 축하했다.[7] 민간에서는 동지에, 설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처럼, 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7] 이것은 옛날에 동지 (옛날 서당은 이 날에 입학하였다.)를 정월(正月)로 삼은 풍속에 따른 것이었다.[7] 한국에서는 동지에 팥죽을 쑤어 먹는 풍습이 전해진다.[7] 팥죽은 새알심을 넣어 쑨다.[7] 옛날에는 동지를 큰 명절로 지냈으나 요즘은 제사를 모시지 않고 붉은팥죽을 쑤어 나누어 먹는다.[7] 붉은팥죽은 옛날부터 액운을 막는 절기 음식으로서, 지방에 따라서는 초상 때나 이사를 하였을 때에 액운을 막기 위해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 이웃끼리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7] 동짓달(음력 11월) 초승에 드는 “애동지”에는 어린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고 대신 팥 시루떡을 해 먹었다.[7]3. 2. 기타 풍습
동지는 음력 11월에 들어서 음력 11월을 동짓달이라 불렀다. 또한 동지를 '''작은설'''로 부르며 크게 축하했다. 민간에서는 동지에, 설날 떡국을 먹으면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처럼, 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한다. 이것은 옛날에 동지 (옛날 서당은 이 날에 입학하였다.)를 정월(正月)로 삼은 풍속에 따른 것이었다.[7]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풍습이 전해진다.- 동지 팥죽 - 동지 때 쑤어 먹는 팥죽. 새알심을 넣어 쑨다. 옛날에는 동지를 큰 명절로 지냈으나 요즘은 제사를 모시지 않고 붉은팥죽을 쑤어 나누어 먹는다. 붉은팥죽은 옛날부터 액운을 막는 절기 음식으로서, 지방에 따라서는 초상 때나 이사를 하였을 때에 액운을 막기 위해 팥죽을 쑤어 집 안팎에 뿌리고, 이웃끼리 나누어 먹는 풍습이 있다. 동지가 동짓달(음력 11월) 초승에 드는 “애동지”에는 어린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하여 팥죽을 쑤어 먹지 않고 대신 팥 시루떡을 해 먹었다.[7]
- 팥죽을 쑤어 조상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 동짓날 날씨로 새해의 농사를 점친다.
- 달력을 선물로 보낸다.
- 서당의 입학 날짜는 대개 동짓날이었다. 이는 동지 이후로 낮의 기운이 점점 커지므로 아이들이 학문을 깨우쳐 밝게 커 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서당의 입학식을 동지에 한 것이다.
4. 다른 나라의 동지 문화
중국에서 동지는 원래 수확 종료 축제로 기념되었다. 오늘날에는 긴 밤 동안 가족 상봉으로 지낸다. 중국 남부에서는 가족의 화합과 번영을 상징하는 핑크색과 흰색의 ''탕위안''을 단 음료와 함께 먹는 반면, 중국 북부에서는 전통적인 동지 음식은 교자이다.
한국에서는 동지(冬至)를 '작은 설'이라고도 부르며, 이날을 기념하는 풍습이 있다. 팥죽한국어이라 불리는 팥으로 만든 죽과 찹쌀로 만든 둥근 떡인 새알심한국어을 만들어 먹는다. 옛날에는 팥죽이 악귀를 물리친다고 하여 벽이나 문에 뿌리기도 했다. 또한, 고려와 조선 시대 초기에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이 날을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2]
일본에서는 이 절기를 동지(冬至)라고 부른다. 이 날에는 특정 지역에서 자몽차를 마시고 호박을 먹는 풍습이 있다. 동지 무렵에는 흰 꽃이 피기 시작한다.
4. 1. 중국
중국에서 동지는 원래 수확 종료 축제로 기념되었다. 오늘날에는 긴 밤 동안 가족 상봉으로 지낸다. 중국 남부에서는 가족의 화합과 번영을 상징하는 핑크색과 흰색의 ''탕위안''을 단 음료와 함께 먹는 반면, 중국 북부에서는 전통적인 동지 음식은 교자이다.
4. 2. 일본
일본에서는 이 절기를 동지(冬至)라고 부른다. 이 날에는 특정 지역에서 자몽차를 마시고 호박을 먹는 풍습이 있다. 동지 무렵에는 흰 꽃이 피기 시작한다.5. 동지 관련 속담 및 민속
6. 동지와 관련된 날짜
wikitext
1945년부터 2053년까지 동지 날짜는 다음과 같다.
년도 | 날짜 | 음력 날짜 | 비고 |
---|---|---|---|
1945년 | 12월 22일 | 11월 18일 | 중동지 |
1946년 | 12월 22일 |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1947년 | 12월 23일 | 11월 12일 | 중동지 |
1948년 | 12월 22일 | 11월 22일 | 노동지 |
1949년 | 12월 22일 | 11월 3일 | 애동지 |
1950년 | 12월 22일 | 11월 14일 | 중동지 |
1951년 | 12월 23일 | 11월 25일 | 노동지 |
1952년 | 12월 22일 | 11월 6일 | 애동지 |
1953년 | 12월 22일 | 11월 17일 | 중동지 |
1954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1955년 | 12월 23일 | 11월 10일 | 애동지 |
1956년 | 12월 22일 | 11월 21일 | 노동지 |
1957년 | 12월 22일 | 11월 2일 | 애동지 |
1958년 | 12월 22일 | 11월 12일 | 중동지 |
1959년 | 12월 23일 | 11월 24일 | 노동지 |
1960년 | 12월 22일 | 11월 5일 | 애동지 |
1961년 | 12월 22일 | 11월 15일 | 중동지 |
1962년 | 12월 22일 | 11월 26일 | 노동지 |
1963년 | 12월 23일 | 11월 8일 | 애동지 |
1964년 | 12월 22일 | 11월 19일 | 중동지 |
1965년 | 12월 22일 | 11월 30일 | 노동지 (말일) |
1966년 | 12월 22일 | 11월 11일 | 중동지 |
1967년 | 12월 23일 | 11월 22일 | 노동지 |
1968년 | 12월 22일 | 11월 3일 | 애동지 |
1969년 | 12월 22일 | 11월 14일 | 중동지 |
1970년 | 12월 22일 | 11월 24일 | 노동지 |
1971년 | 12월 23일 | 11월 6일 | 애동지 |
1972년 | 12월 22일 | 11월 17일 | 중동지 |
1973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1974년 | 12월 22일 | 11월 9일 | 애동지 |
1975년 | 12월 23일 | 11월 21일 | 중동지 |
1976년 | 12월 22일 | 11월 2일 | 애동지 |
1977년 | 12월 22일 | 11월 12일 | 중동지 |
1978년 | 12월 22일 | 11월 23일 | 노동지 |
1979년 | 12월 23일 | 11월 5일 | 애동지 |
1980년 | 12월 22일 | 11월 16일 | 중동지 |
1981년 | 12월 22일 | 11월 27일 | 노동지 |
1982년 | 12월 22일 | 11월 8일 | 애동지 |
1983년 | 12월 22일 | 11월 19일 | 중동지 |
1984년 | 12월 22일 |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1985년 | 12월 22일 | 11월 11일 | 중동지 |
1986년 | 12월 22일 | 11월 21일 | 노동지 |
1987년 | 12월 22일 | 11월 2일 | 애동지 |
1988년 | 12월 22일 | 11월 14일 | 중동지 |
1989년 | 12월 22일 | 11월 25일 | 노동지 |
1990년 | 12월 22일 | 11월 6일 | 애동지 |
1991년 | 12월 22일 | 11월 17일 | 중동지 |
1992년 | 12월 21일 | 11월 28일 | 노동지 |
1993년 | 12월 22일 | 11월 10일 | 애동지 |
1994년 | 12월 22일 | 11월 20일 | 중동지 |
1995년 | 12월 22일 |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1996년 | 12월 21일 | 11월 11일 | 중동지 |
1997년 | 12월 22일 | 11월 23일 | 노동지 |
1998년 | 12월 22일 | 11월 4일 | 애동지 |
1999년 | 12월 22일 | 11월 15일 | 중동지 |
2000년 | 12월 21일 | 11월 26일 | 노동지 |
2001년 | 12월 22일 | 11월 8일 | 애동지 |
2002년 | 12월 22일 | 11월 19일 | 중동지 |
2003년 | 12월 22일 |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2004년 | 12월 21일 | 11월 10일 | 애동지 |
2005년 | 12월 22일 | 11월 21일 | 노동지 |
2006년 | 12월 22일 | 11월 3일 | 애동지 |
2007년 | 12월 22일 | 11월 13일 | 중동지 |
2008년 | 12월 21일 | 11월 24일 | 노동지 |
2009년 | 12월 22일 | 11월 7일 | 애동지 |
2010년 | 12월 22일 | 11월 17일 | 중동지 |
2011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2012년 | 12월 21일 | 11월 9일 | 애동지 |
2013년 | 12월 22일 | 11월 20일 | 중동지 |
2014년 | 12월 22일 |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2015년 | 12월 22일 | 11월 12일 | 중동지 |
2016년 | 12월 21일 | 11월 23일 | 노동지 |
2017년 | 12월 22일 | 11월 5일 | 애동지 |
2018년 | 12월 22일 | 11월 16일 | 중동지 |
2019년 | 12월 22일 | 11월 26일 | 노동지 |
2020년 | 12월 21일 | 11월 7일 | 애동지 |
2021년 | 12월 22일 | 11월 19일 | 중동지 |
2022년 | 12월 22일 |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2023년 | 12월 22일 | 11월 10일 | 애동지 |
2024년 | 12월 21일 | 11월 21일 | 노동지 |
2025년 | 12월 22일 | 11월 3일 | 애동지 |
2026년 | 12월 22일 | 11월 14일 | 중동지 |
2027년 | 12월 22일 | 11월 25일 | 노동지 |
2028년 | 12월 21일 | 11월 6일 | 애동지 |
2029년 | 12월 22일 | 11월 18일 | 중동지 |
2030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2031년 | 12월 22일 | 11월 9일 | 애동지 |
2032년 | 12월 21일 | 11월 19일 | 중동지 |
2033년 | 12월 22일 | 12월 1일 | 노동지 (말일) |
2034년 | 12월 22일 | 11월 12일 | 중동지 |
2035년 | 12월 22일 | 11월 23일 | 노동지 |
2036년 | 12월 21일 | 11월 4일 | 애동지 |
2037년 | 12월 22일 | 11월 16일 | 중동지 |
2038년 | 12월 22일 | 11월 27일 | 노동지 |
2039년 | 12월 22일 | 11월 7일 | 애동지 |
2040년 | 12월 21일 | 11월 18일 | 중동지 |
2041년 | 12월 22일 | 11월 29일 | 노동지 |
2042년 | 12월 22일 | 11월 11일 | 중동지 |
2043년 | 12월 22일 | 11월 22일 | 노동지 |
2044년 | 12월 21일 | 11월 3일 | 애동지 |
2045년 | 12월 22일 | 11월 15일 | 중동지 |
2046년 | 12월 22일 | 11월 25일 | 노동지 |
2047년 | 12월 22일 | 11월 6일 | 애동지 |
2048년 | 12월 21일 | 11월 16일 | 중동지 |
2049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2050년 | 12월 22일 | 11월 9일 | 애동지 |
2051년 | 12월 22일 | 11월 20일 | 중동지 |
2052년 | 12월 21일 |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2053년 | 12월 22일 | 11월 13일 | 중동지 |
6. 1. 연도별 동지 날짜 (1945년 ~ 2053년)
1945년부터 2053년까지 동지 날짜는 다음과 같다.년도 | 날짜 | 음력 날짜 | 비고 |
---|---|---|---|
1945년 | 12월 22일 | 11월 18일 | 중동지 |
1946년 | 12월 22일 |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1947년 | 12월 23일 | 11월 12일 | 중동지 |
1948년 | 12월 22일 | 11월 22일 | 노동지 |
1949년 | 12월 22일 | 11월 3일 | 애동지 |
1950년 | 12월 22일 | 11월 14일 | 중동지 |
1951년 | 12월 23일 | 11월 25일 | 노동지 |
1952년 | 12월 22일 | 11월 6일 | 애동지 |
1953년 | 12월 22일 | 11월 17일 | 중동지 |
1954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1955년 | 12월 23일 | 11월 10일 | 애동지 |
1956년 | 12월 22일 | 11월 21일 | 노동지 |
1957년 | 12월 22일 | 11월 2일 | 애동지 |
1958년 | 12월 22일 | 11월 12일 | 중동지 |
1959년 | 12월 23일 | 11월 24일 | 노동지 |
1960년 | 12월 22일 | 11월 5일 | 애동지 |
1961년 | 12월 22일 | 11월 15일 | 중동지 |
1962년 | 12월 22일 | 11월 26일 | 노동지 |
1963년 | 12월 23일 | 11월 8일 | 애동지 |
1964년 | 12월 22일 | 11월 19일 | 중동지 |
1965년 | 12월 22일 | 11월 30일 | 노동지 (말일) |
1966년 | 12월 22일 | 11월 11일 | 중동지 |
1967년 | 12월 23일 | 11월 22일 | 노동지 |
1968년 | 12월 22일 | 11월 3일 | 애동지 |
1969년 | 12월 22일 | 11월 14일 | 중동지 |
1970년 | 12월 22일 | 11월 24일 | 노동지 |
1971년 | 12월 23일 | 11월 6일 | 애동지 |
1972년 | 12월 22일 | 11월 17일 | 중동지 |
1973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1974년 | 12월 22일 | 11월 9일 | 애동지 |
1975년 | 12월 23일 | 11월 21일 | 중동지 |
1976년 | 12월 22일 | 11월 2일 | 애동지 |
1977년 | 12월 22일 | 11월 12일 | 중동지 |
1978년 | 12월 22일 | 11월 23일 | 노동지 |
1979년 | 12월 23일 | 11월 5일 | 애동지 |
1980년 | 12월 22일 | 11월 16일 | 중동지 |
1981년 | 12월 22일 | 11월 27일 | 노동지 |
1982년 | 12월 22일 | 11월 8일 | 애동지 |
1983년 | 12월 22일 | 11월 19일 | 중동지 |
1984년 | 12월 22일 |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1985년 | 12월 22일 | 11월 11일 | 중동지 |
1986년 | 12월 22일 | 11월 21일 | 노동지 |
1987년 | 12월 22일 | 11월 2일 | 애동지 |
1988년 | 12월 22일 | 11월 14일 | 중동지 |
1989년 | 12월 22일 | 11월 25일 | 노동지 |
1990년 | 12월 22일 | 11월 6일 | 애동지 |
1991년 | 12월 22일 | 11월 17일 | 중동지 |
1992년 | 12월 21일 | 11월 28일 | 노동지 |
1993년 | 12월 22일 | 11월 10일 | 애동지 |
1994년 | 12월 22일 | 11월 20일 | 중동지 |
1995년 | 12월 22일 |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1996년 | 12월 21일 | 11월 11일 | 중동지 |
1997년 | 12월 22일 | 11월 23일 | 노동지 |
1998년 | 12월 22일 | 11월 4일 | 애동지 |
1999년 | 12월 22일 | 11월 15일 | 중동지 |
2000년 | 12월 21일 | 11월 26일 | 노동지 |
2001년 | 12월 22일 | 11월 8일 | 애동지 |
2002년 | 12월 22일 | 11월 19일 | 중동지 |
2003년 | 12월 22일 |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2004년 | 12월 21일 | 11월 10일 | 애동지 |
2005년 | 12월 22일 | 11월 21일 | 노동지 |
2006년 | 12월 22일 | 11월 3일 | 애동지 |
2007년 | 12월 22일 | 11월 13일 | 중동지 |
2008년 | 12월 21일 | 11월 24일 | 노동지 |
2009년 | 12월 22일 | 11월 7일 | 애동지 |
2010년 | 12월 22일 | 11월 17일 | 중동지 |
2011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2012년 | 12월 21일 | 11월 9일 | 애동지 |
2013년 | 12월 22일 | 11월 20일 | 중동지 |
2014년 | 12월 22일 |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2015년 | 12월 22일 | 11월 12일 | 중동지 |
2016년 | 12월 21일 | 11월 23일 | 노동지 |
2017년 | 12월 22일 | 11월 5일 | 애동지 |
2018년 | 12월 22일 | 11월 16일 | 중동지 |
2019년 | 12월 22일 | 11월 26일 | 노동지 |
2020년 | 12월 21일 | 11월 7일 | 애동지 |
2021년 | 12월 22일 | 11월 19일 | 중동지 |
2022년 | 12월 22일 | 11월 29일 | 노동지 (말일) |
2023년 | 12월 22일 | 11월 10일 | 애동지 |
2024년 | 12월 21일 | 11월 21일 | 노동지 |
2025년 | 12월 22일 | 11월 3일 | 애동지 |
2026년 | 12월 22일 | 11월 14일 | 중동지 |
2027년 | 12월 22일 | 11월 25일 | 노동지 |
2028년 | 12월 21일 | 11월 6일 | 애동지 |
2029년 | 12월 22일 | 11월 18일 | 중동지 |
2030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2031년 | 12월 22일 | 11월 9일 | 애동지 |
2032년 | 12월 21일 | 11월 19일 | 중동지 |
2033년 | 12월 22일 | 12월 1일 | 노동지 (말일) |
2034년 | 12월 22일 | 11월 12일 | 중동지 |
2035년 | 12월 22일 | 11월 23일 | 노동지 |
2036년 | 12월 21일 | 11월 4일 | 애동지 |
2037년 | 12월 22일 | 11월 16일 | 중동지 |
2038년 | 12월 22일 | 11월 27일 | 노동지 |
2039년 | 12월 22일 | 11월 7일 | 애동지 |
2040년 | 12월 21일 | 11월 18일 | 중동지 |
2041년 | 12월 22일 | 11월 29일 | 노동지 |
2042년 | 12월 22일 | 11월 11일 | 중동지 |
2043년 | 12월 22일 | 11월 22일 | 노동지 |
2044년 | 12월 21일 | 11월 3일 | 애동지 |
2045년 | 12월 22일 | 11월 15일 | 중동지 |
2046년 | 12월 22일 | 11월 25일 | 노동지 |
2047년 | 12월 22일 | 11월 6일 | 애동지 |
2048년 | 12월 21일 | 11월 16일 | 중동지 |
2049년 | 12월 22일 | 11월 28일 | 노동지 |
2050년 | 12월 22일 | 11월 9일 | 애동지 |
2051년 | 12월 22일 | 11월 20일 | 중동지 |
2052년 | 12월 21일 | 11월 1일 | 애동지 (삭단동지) |
2053년 | 12월 22일 | 11월 13일 | 중동지 |
7. 현대 사회와 동지
참조
[1]
논문
The Twenty-four Solar Terms of the Chinese Calendar and the Calculation for Them
https://en.cnki.com.[...]
2021-03-09
[2]
웹사이트
동지
https://terms.naver.[...]
2021-03-28
[3]
웹사이트
동지점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https://terms.naver.[...]
[4]
웹페이지
태양의 고도 계산
[5]
보고서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http://www.climate.g[...]
기상청
2021-04-30
[6]
웹사이트
일출과 일몰 시각 계산 페이지
http://astro.kasi.re[...]
[7]
웹페이지
애동지
[8]
백과사전
동지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9]
웹사이트
절기 (한국천문학회 천문학백과)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