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이동은 포항시 남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법정동 대잠동과 이동을 관할한다. 대잠동은 '큰 언덕에 위치한 마을'을, 이동은 '배나무골'을 의미하며, 이 지역은 조선시대 중기까지 영일현 서면에 속했다.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대잠과 논실을 합쳐 대잠동, 이동과 무소를 합쳐 이동으로 명명되었고, 1983년 영일군에서 포항시로 편입되면서 대이동 사무소가 설치되었다. 대이동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포함한 여러 교육 기관과 함께 건설환경사업소, 상수도사업소, 포항시의회 등 공공 기관, 금융 기관, 의료 기관, 주요 시설 등이 위치해 있으며, 새천년대로, 포스코대로, 대이로 등 다양한 도로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 남구의 행정동 - 해도동
해도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교육기관, 공공기관, 포항고속버스터미널, 시장 등의 주요 시설과 포스코대로, 희망대로 등의 주요 도로가 위치한다. - 포항 남구의 행정동 - 청림동 (포항시)
청림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일월동과 함께 구성되어 있으며 부추와 시금치 특산물과 청림초등학교, 청림문화복지회관 등의 기관이 위치하고 동해안로, 신항로 등의 도로망과 부추길이 있는 지역이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영일군
영일군은 경상북도에 있던 군으로,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고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근기국, 신라시대에는 근오지현, 고려시대에는 영일현 또는 연일현으로 불리다 1914년에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이 통합되어 설치되었으나 1995년에 포항시와 통합되어 현재의 포항시 북구와 남구가 되었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용흥동
용흥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현재는 상업 시설, 교육 기관, 공공 기관, 의료 기관 등 다양한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83년 설치 - 사하구
부산광역시 서남부에 위치한 사하구는 낙동강 하구에 자리하여 다양한 해안 지형과 습지 생태계를 이루고 있으며, 을숙도, 다대포해수욕장, 감천문화마을 등의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다. - 1983년 설치 - 노은동
노은동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백제 시대부터 유래한 오랜 역사를 지니며, 월드컵 개최 후 인구 증가로 분동되어 현재 3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었고, 도시철도와 도로망이 잘 갖춰져 있으며 연구 시설, 주요 기관, 월드컵경기장, 현충원, 아파트 단지 등이 위치한다.
대이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이동 |
한자 표기 | 大梨洞 |
영문 표기 | Daei-dong |
광역시도 | 경상북도 |
시군구 | 포항시 남구 |
면적 | 4.94 |
세대 | 6,402 |
세대 조사 | 2012년 6월 1일 |
인구 | 25363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동 | 대잠동, 이동 |
통 | 21 |
반 | 163 |
동주민센터 | 남구 대이로 17 (대잠동) |
홈페이지 | 대이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포항시의 법정동인 대잠동과 이동은 포항 시내 지역 중 비교적 역사가 오래된 마을에 속한다.[2] 대잠동(大岑洞)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지만, '큰 언덕에 위치한 마을'이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여겨진다.[2] 이동(梨洞)은 '배골', 즉 '배나무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2] 과거 이동에 속했던 지역 중 하나인 '무소'는 조선시대 초기에 수철동, 중기에는 해평동으로 불리기도 하였다.[2]
2. 1. 조선시대
조선시대 중기까지 현재의 대잠동과 이동 지역은 영일현 서면에 속해 있었다.[2] 당시 영일현청은 장흥동에 자리 잡고 있었으나, 형산강 유역의 잦은 홍수로 인해 침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지대가 높고 남쪽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논과 밭이 넓게 펼쳐져 있으며 수해의 위험이 적은 대잠동 지역으로 현청을 이전하자는 건의가 제기되었다.[2] 이에 따라 1849년 영일현 청사는 현재의 성모자애원 인근 포항제철 주택단지 상단부에 해당하는 대잠동 지역으로 이전하였고, 이 지역은 읍내면 신읍리(新邑里)로 불리게 되었다.[2] 하지만 1866년에 영일현 청사는 다시 생지리로 옮겨가게 되었다.[2]2. 2. 일제강점기
1914년 한일강제병합 이후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이 개편으로 기존의 대잠, 논실, 이동, 무소 4개 동이 통합되어, 대잠과 논실을 합쳐 '대잠동'으로, 이동과 무소를 합쳐 '이동'으로 개편되었다.[2]2. 3. 대한민국
대이동은 법정동인 ‘대잠동’과 ‘이동’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행정동의 이름이다.[2] 1983년, 당시 영일군에 속해 있던 대잠동과 이동 지역이 포항시로 편입되었다.[2] 이때 두 법정동을 합쳐 행정동인 대이동을 설치하고 대이동사무소를 설치했다.[2]3. 행정 구역
대이동은 법정동인 대잠동과 이동을 관할한다.
4. 교육 기관
(내용 없음)
4. 1. 초등학교
4. 2. 중학교
포항이동중학교는 남구 대이로 170에 위치하고 있다.4. 3. 고등학교
5. 공공 기관
기관명 | 소재지 | 비고 |
---|---|---|
건설환경사업소 | 남구 시청로 1 | |
대구지방노동청 포항지청 | 남구 새천년대로 430 | |
대이동 예비군동대 | 남구 대이로 17 | |
한국국토정보공사 대구경북본부 포항지사 | 남구 대이로19번길 6 | |
상수도사업소 | 남구 시청로 1 | |
재난안전대책본부 | 남구 시청로 1 | |
포항남구선거관리위원회 | 남구 대이로9번길 14 | |
포항시새마을지회 | 남구 대이로45번길 5 | |
포항시의회 | 남구 시청로 1 |
6. 금융 기관
기관명 | 소재지 | 비고 |
---|---|---|
국민은행 포항남지점 | 남구 행복길 12 | |
농협중앙회 대이동지점 | 남구 포스코대로 131 | |
대구은행 대이동지점 | 남구 포스코대로 130 | |
대이동우체국 | 남구 대이로41번길 18 | |
수협 대이동지점 | 남구 시청로 7 | |
유진투자증권 포항지점 | 남구 대이로159번길 12 |
7. 의료 기관
wikitext
8. 주요 시설
시설명 | 소재지 | 비고 |
---|---|---|
KT&G 포항지점 | 남구 대이로 23 | |
MBC 포항문화방송 | 남구 새천년대로 421 | |
대경일보 | 남구 희망대로 643 | |
성모자애원 | 남구 대잠동길 17-1 | |
롯데하이마트 대잠점 | 남구 새천년대로 424 |
9. 도로
9. 1. 대로
새천년대로 (국도 제7호선), 포스코대로, 희망대로9. 2. 로
9. 3. 길
대잠길, 대잠동길, 행복길, 행복주택길, 효행길참조
[1]
웹인용
대이동 동장 인사말
https://www.pohang.g[...]
2022-01-16
[2]
웹인용
남구 대이동 일반현황
http://www.pohang.go[...]
2022-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