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항문화방송(포항MBC)은 1969년 동해방송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71년 포항문화방송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개국한 방송사이다. AM 라디오 방송과 FM 라디오 방송, TV 방송을 운영하며, 경북 동해안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한다. 2022년 AM 라디오 송출을 일시 중단하고, 2023년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했다. TV는 1987년에 개국했으며, DMB 방송도 송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 - 포항극동방송
포항극동방송은 2001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포항 도음산 송신소에서 FM 90.3㎒로, 울릉도 삼각산 중계소에서 FM 96.7㎒로 방송을 송출한다. - 포항시 - 경북교통방송
경북교통방송은 FM 103.5MHz와 FM 103.7MHz 주파수로 24시간 방송을 송출하며,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평일 출발! 경북대행진 등이 있다.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지상파 방송국 - 영주에프엠방송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주에프엠방송은 89.1MHz 주파수로 10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지역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사)영주에프엠방송이 운영하며 2005년 개국하여 2009년 정규사업 허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경상북도 지상파 방송국 - 대구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은 1963년 한국방송공사 대구방송국으로 개국하여 대구와 경북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역 민영방송으로, 2023년 창사 60주년을 맞이했다. -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영주에프엠방송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주에프엠방송은 89.1MHz 주파수로 10W 출력으로 방송을 송출하는 지역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사)영주에프엠방송이 운영하며 2005년 개국하여 2009년 정규사업 허가를 받았다. -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대구문화방송
대구문화방송은 1963년 한국방송공사 대구방송국으로 개국하여 대구와 경북 지역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지역 민영방송으로, 2023년 창사 60주년을 맞이했다.
포항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우편 번호 | 37685 |
본사 소재지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새천년대로 421 (대잠동 907-4) |
업종 | 방송업 |
대표자 | 대표이사 사장 강성주 () |
결산기 | 12월 말일 |
외부 링크 | 포항문화방송 |
방송국 정보 | |
한국어 명칭 | 포항문화방송 |
한자 명칭 | 浦項文化放送 |
영어 명칭 | Pohang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
약칭 | 포항MBC |
구분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창립일 | 1969년 8월 20일 |
개국일 | 라디오: 1971년 10월 1일 음악FM: 1983년 9월 1일 TV: 1987년 11월 24일 표준FM: 1999년 11월 7일 |
이전 명칭 | 동해방송(주) (1969년 8월 20일 ~ 1971년 2월 19일) 영해방송(주) (1971년 2월 20일 ~ 1971년 9월 30일) 포항문화방송(주) (1971년 10월 1일 ~ 현재)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자본금 | 1,200,000,000원 (2015.12) |
매출액 | 15,325,504,224원 (2015) |
영업 이익 | 1,097,574,286원 (2015) |
순이익 | 1,714,449,201원 (2015) |
자산 총액 | 25,680,114,160원 (2015.12) |
주주 | 주식회사 문화방송: 95.8% 기타: 4.2% |
직원 수 | 58명 (2015.12) |
사장 | 이승용 (대표이사 사장) |
모기업 | 문화방송 |
본사 위치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새천년대로 421 (대잠동) |
웹사이트 | MBC 포항문화방송 |
텔레비전 채널 정보 | |
개국일 | 1987년 11월 24일 |
위성 채널 | 11번 (HD) |
디지털 채널 | KT : 11번 SK : 11번 LG : 11번 |
2. 역사
1969년 '''동해방송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71년 령해방송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이후 1971년 10월 1일 포항문화방송으로 다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87년 11월 24일 텔레비전 방송을 개국하였고, 2005년 12월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다.
연도 | 내용 |
---|---|
1971년 5월 30일 | 라디오 방송 개시 |
1983년 7월 1일 | 음악FM 개시 |
1999년 11월 7일 | 표준FM 개시 |
2008년 1월 31일 | 지상파 DMB 개시 |
2022년 11월 8일 | AM 라디오(1107kHz, 10kW) 운용 일시 중단, FM방송으로 전환 |
2023년 5월 8일 | AM 라디오(1107kHz, 10kW) 송출 종료 |
2. 1. 1960년대
1969년 8월 20일 가칭 '동해방송(주)' 설립을 발기했다. 9월 9일 방송국 가허가를 받았다. 같은 해 '''동해방송 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2. 2. 1970년대
1971년 2월 20일 : 영해방송(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971년 4월 16일 : 설립 등기.
1971년 5월 31일 : 주파수를 1550kHz에서 1110kHz로 변경하였다.
1971년 6월 30일 : 초대 최창호 사장이 취임하였다.
1971년 8월 30일 : 경주 안강 송신소를 준공하였다.
1971년 9월 1일 : 방송국 설치 허가를 받았다. (본사: 포항시 상원동 / 송신소: 경주시 안강읍).
1971년 9월 30일 : AM방송 설치 허가를 받았다. (1110kHz, 10KW).
1971년 10월 1일 : 포항문화방송 (주)로 사명을 변경하고 개국하였다. (포항시 상원동 468-6).
1974년 9월 16일 : 사옥을 포항시 대흥동 719-117로 이전하였다.
1978년 1월 16일 : 포항 연일 송신소를 준공하였다.
1978년 11월 23일 : 주파수를 1110kHz에서 1107kHz로 변경하였다.
2. 3. 1980년대
- 1980년 11월 25일 : 제5공화국 정부의 언론사 통폐합 조치가 있었다.
- 1981년 2월 17일 : 제2대 이태영 사장, 황활원 상무가 취임하였다.
- 1981년 5월 24일 : 제1회 동해지구 어린이 그림그리기 대회를 개최하였으며, 이후 매년 실시되었다.
- 1981년 7월 14일 : 방송자문위원회를 구성하였다.
- 1982년 3월 30일 : R중계차(코치9)를 구입하였다.
- 1982년 5월 30일 : 본사 및 계열사 간 직통 전화를 개설하였다.
- 1983년 2월 22일 : 제3대 홍종선 사장이 취임하였다.
- 1983년 6월 10일 : 제1회 공채 수습사원 14명을 채용하였다.
- 1983년 9월 1일 : 음악 FM라디오 방송(97.9㎒, 1㎾)을 개국하였다.
- 1983년 11월 1일 : TV 중계소(CH6, 1㎾)를 개국하였다.
- 1984년 4월 18일 : AM 송신소 비상 안테나(역L형)를 준공하였다.
- 1985년 2월 1일 : 경주 벽도산 간이 TV중계소(CH53, 500W)를 개국하였다.
- 1985년 7월 1일 : FM방송 출력을 1㎾에서 3㎾로 증강하였다.
- 1985년 9월 2일 : 신축사옥 기공식(시공사: 진덕산업)을 가졌다.
- 1985년 11월 27일 : 제1회 여성교양강좌를 개설하여 매월 진행하였다.
- 1986년 2월 15일 : 울진 현종산 TVR(CH31, 100W)을 개국하였다.
- 1986년 8월 1일 : 울릉 TV중계소 및 울릉 가두봉 TV중계소를 개소하였다.
- 1986년 10월 31일 : 대잠동 신축 사옥으로 이전하였다.
- 1986년 11월 20일 : 대잠동 신축 사옥(부지 2,038평, 건평 1,591평)을 준공하였다.
- 1987년 11월 24일 : TV방송국 연주소를 개국하였다.
- 1988년 3월 16일 : 제4대 서창식 사장이 취임하였다.
- 1988년 7월 9일 : 노동조합(위원장 조승완 외 22명)을 설립하였다.
- 1988년 8월 1일 : 영덕 영해TVR(CH35, 100W)을 개국하였다.
- 1989년 1월 23일 : 회사 주소 변경 등기(포항시 남구 대잠동 907-4)를 하였다.
- 1989년 5월 10일 : 1980년 언론통폐합 당시 해직된 직원들을 복직시켰다.
- 1989년 6월 1일 : 경주여성교양강좌를 개설하여 매월 진행하였다.
2. 4. 1990년대
- 1990년 7월 4일: 사내근로복지기금을 설치하였다.
- 1992년 2월 6일: 제6대 김창식 사장이 취임하였다.
- 1992년 11월 1일: 경주 보문 TV 중계소를 개소하였다.
- 1993년 3월 2일: 제7대 박영일 사장이 취임하였다.
- 1994년 2월 1일: 경주 외동 TV중계소, 경주 양북 TV중계소를 개소하였다.
- 1995년 4월 3일: 일본 TSS방송사와 자매결연을 체결하였다.
- 1995년 8월 1일: 중국 길림성 훈춘방송과 우호 제휴를 체결하였다.
- 1995년 11월 1일: 대구MBC 미디컴(주) 자회사 설립 지분(10%)에 참여하였다.
- 1996년 3월 4일: 제8대 김진호 사장이 취임하였다.
- 1998년 10월 12일: 포항시 연일읍 중명리 AM송신소를 준공, 이전하였다.
- 1999년 3월 12일: 제27기 포항MBC 주주총회에서 제9대 박근학 사장을 선임하였다.
- 1999년 4월 22일: 포항MBC 인터넷 홈페이지를 공식 개통하였다.
- 1999년 8월 1일: 스포츠센터를 완공하였다.
- 1999년 8월 10일: 조항산 TV송신기 출력증강을 준공하였다.
- 1999년 10월 10일: 사보 '해오름'을 창간하였다.
- 1999년 11월 7일: 표준FM을 개국하였다.(100.7MHz, 도음산 송신소와 안강 TVR 개국)
- 1999년 12월 6일: 포항MBC 삼일문화대상 시상식을 개최하였다.
2. 5. 2000년대
- 2000년 2월 1일: 기구 개편 (2국 6부).
- 2000년 3월 6일: 제29기 정기 주주총회 (제10대 김일수 사장 선임).
- 2000년 10월 1일: 기구 개편 (2국 7부 1지사).
- 2001년 9월 26일: 울진중계소 개소.
- 2001년 10월 18일: 창사 30주년 기업이미지조사 보고서 발간.
- 2002년 4월 1일: (주)포항시네마 설립.
- 2002년 6월 19일: 경쟁력 강화 T/F팀 계열사 벤치마킹.
- 2002년 9월 30일: 창사 31주년 기념식 및 비평상 시상식.
- 2002년 10월 26일: 울릉FM중계소 준공 행사.
- 2003년 3월 11일: 제32기 정기 주주총회 (제11대 김승한 사장 선임).
- 2003년 5월 6일: 기구 개편 (3국 6부 3팀).
- 2004년 3월 22일: 경주사무소 이전.
- 2004년 4월 1일: 주 5일제 근무 시작.
- 2004년 4월 13일: 자회사 (주)포항시네마 개관.
- 2004년 6월 30일: 신입사원 채용.
- 2004년 9월 23일: 자회사 (주)포항시네마 1차 증자 실시.
- 2004년 9월 24일: 경주 벽도산중계소 50M 철탑 신설 및 확장 이전.
- 2004년 10월 8일: 자회사 (주)포항시네마 2차 증자 실시.
- 2004년 10월 15일: 일본 나가사키 NBC 방송사 교류 내방.
- 2005년 3월 17일: 제34개 정기 주주총회 (제12대 정깋평 사장 선임).
- 2005년 5월 24일: 프로그램 기획 재활용 가게 '행복한 가게' 개점식.
- 2005년 5월 26일: 자회사 포항시네마 증자 실시.
- 2005년 8월 28일: 사옥 대수선 공사 입찰에 따른 계약.
- 2005년 10월 8일: 뉴스센터 신설 (TV 주조정실에서 제작 기능 분리).
- 2005년 10월 11일: 중국 대련광파전시국 관계자 우호 방문 및 우호 협약 조인식.
- 2005년 12월 20일: DTV 개국.
- 2006년 1월 10일: DTV 개국식 개최.
- 2006년 1월 23일: 사옥 대수선 공사 2차 공사 시작 (공개홀, 제작 부조).
- 2006년 4월 2일: 증명송신소 AM 우회 선로 설치.
- 2006년 5월 8일: 일기 예보 방송 실시.
- 2006년 6월 13일: 독일 월드컵 거리 응원전 시작 (토고전, 프랑스전, 스위스전).
- 2006년 11월 20일: 사옥 철탑 이전 공사.
- 2006년 11월 27일: 연주소 안테나 이설 공사.
- 2006년 12월 24일: 경주, 울진 DTV 중계소 마무리 작업 및 시험 방송 실시.
- 2007년 1월 15일: 경주, 울진 DTV 개국식.
- 2007년 3월 2일: 제36기 주주총회.
- 2007년 3월 14일: 자회사 (주)포항시네마 주주총회.
- 2008년 3월 4일: 제37기 주주총회 (제13대 조학동 사장 선임).
- 2008년 12월 10일: 편집실 리모델링 완공.
- 2009년 3월 9일: 제38기 주주총회 (제14대 남정채 사장 선임).
- 2009년 7월 29일: 포항MBC 경영자문위원회 구성 (지역 인사 10명).
- 2009년 9월 8일: 벤처기업 지원 사업 (1호 업체 선정).
- 2009년 10월 1일: 사회 공헌 사업 (불우 이웃 집 고쳐주기-희망 발전 프로젝트).
2. 6. 2010년대
- 2010년 3월 10일 : 제39기 주주총회, 제15대 강성주 사장 선임.
- 2010년 8월 6일 : 뉴스센터 DTV 제작 시스템 전환 완료.
- 2010년 8월 21일 : 온정DTV방송보조국 개소.
- 2010년 12월 30일 : 도음산 송신소 청사 증축 (49py → 85py).
- 2011년 2월 28일 : 포항MBC 특별기획 HD다큐멘터리 '독도야' 한국 PD 대상 작품상 외 4개 부문 수상.
- 2011년 3월 29일 : 사회공헌사업 희망프로젝트 '집 고쳐주기' 사업으로 손영부 씨 댁 준공 외 19가구 시공.
- 2011년 4월 12일 : 조직 개편 (3국 9팀 → 3국 7팀).
- 2011년 10월 13일 : 민관협력 우수사례 공모대회 공기업 부문 최우수상 수상.
- 2011년 10월 24일 : 도음산 DTV 방송보조국 개소.
- 2012년 1월 26일 : 벽도산(경주) DMB 방송보조국 개소.
- 2012년 3월 29일 : 현종산(울진) DMB 방송보조국 개소.
- 2012년 4월 19일 : 영덕 DTV 방송보조국 개소.
- 2012년 4월 20일 : 보문 DTV 방송보조국 개소.
- 2012년 5월 12일 : 가두봉 DTV 방송보조국, 울릉 DTV 방송보조국 개소.
- 2012년 10월 29일 : 감포 DTV 방송보조국 개소.
- 2012년 11월 6일 :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2년 11월 30일 : 경주 양동마을 소출력 DTV 중계기 설치.
- 2013년 3월 22일 : 중계차 HD 전환 완료.
- 2013년 6월 10일 : 이우철 제16대 포항문화방송 대표이사 취임.
- 2013년 7월 17일 : DTV 채널 재배치 완료 (도음산, 보문, 가두봉).
- 2013년 9월 9일 : 기구 개편 (3국 7팀 → 3국 6팀).
- 2013년 12월 20일 : NPS 시스템 구축 완료.
- 2014년 12월 18일 : 장애인 자막방송 시스템 구축 완료.
- 2015년 3월 30일 : 기구 개편 (3국 6팀 → 6센터).
- 2016년 3월 3일 : 제45기 주주총회, 이종현 상무 선임.
- 2017년 3월 2일 : 제46기 주주총회, 제17대 오정우 사장 선임.
- 2018년 3월 2일 : 제47기 주주총회, 제18대 박병완 사장 선임.
2. 7. 2020년대
- 2021년 3월 11일: 50기 주총에서 제19대 양찬승 사장이 선임되었다.
- 2022년 11월 8일: AM 라디오(1107kHz, 10kW) 운용이 일시 중단되고, FM방송으로 전환되었다.
- 2023년 5월 8일: AM 라디오(1107kHz, 10kW) 송출이 종료되었다.
- 2024년 3월 11일: 51기 주총에서 제20대 이승용 사장이 선임되었다.
3. TV 방송
1983년 11월 1일 조항산에 TV 중계소가 설치되었고, 4년 후 1987년 11월 24일 TV연주소를 갖추면서 개국하였다. 이후 2005년 12월 20일 디지털TV 방송을 개국하였다. 경북 동해안 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
- 리모컨 키 ID: 11-1
- 호출 부호(콜사인): HLAV-DTV
송신소 | 물리 채널 | 공중선 전력 |
---|---|---|
조항산 | K-46ch | 2kW |
감포 | K-25ch | 90W |
보문 | K-44ch | 20W |
경주 | K-36ch | 100W |
도음산 | K-35ch | 100W |
양동마을 | K-35ch | 0.05W |
이가리 | K-46ch | 0.05W |
월포 | K-46ch | 0.05W |
영덕 | K-39ch | 20W |
온정 | K-23ch | 20W |
울진 | K-23ch | 90W |
부구 | K-23ch | 0.05W |
울릉 | K-23ch | 20W |
가두봉 | K-32ch | 20W |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송신소 | 채널 | 공중선 전력 |
---|---|---|
조항산 | K-6ch | 3kW |
양북 | K-43ch | 500W |
외동 | K-49ch | 50W |
보문 | K-31ch | 100W |
경주 | K-53ch | 500W |
도음산 | K-35ch | 500W |
영해 | K-35ch | 100W |
울릉 | K-27ch | 100W |
가두봉 | K-39ch | 100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