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일군은 1914년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이 통폐합되어 신설된 행정 구역이다.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삼한 시대에는 근기국에 속했고, 신라 시대에는 임정현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영일현 또는 연일현으로 개칭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감무가 파견되면서 주현으로 승격되었다. 1895년 동래부 연일군, 1896년 경상북도 연일군으로 개편되었다가, 1914년 영일군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포항시와 통합되어 포항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시의 역사 - 2017년 포항 지진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은 한국 전역과 일본 일부 지역에서 감지되었고, 인명 및 시설 피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연기 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열 발전소의 유체 주입이 지진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져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 포항시의 역사 - 장기군
장기군은 신라 지답현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 장기현을 거쳐 조선시대에는 경주부의 영현이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폐지되어 영일군과 경주군에 편입된 경상북도의 옛 행정구역이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김산군
김산군은 신라시대 풍무현에서 유래하여 조선시대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김천군에 통합되어 김천시 행정구역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비안군
비안군은 상고 시대 소문국에 속했다가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과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의성군과 예천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용흥동
용흥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현재는 상업 시설, 교육 기관, 공공 기관, 의료 기관 등 다양한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포항시의 행정 구역 - 양학동
양학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1966년 득량동과 학잠동이 통합되며 개칭되었고, 교육기관, 공공 및 금융기관, 새천년대로 등의 도로망이 위치해 있다.
영일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위치 | 경상북도 동남부 해안 |
폐지 | 1995년 1월 1일 |
후신 | 포항시 |
역사 | |
1914년 | 영천군에서 흥해군을 흡수, 영일군으로 개칭 |
1949년 | 영일읍이 포항시로 승격되어 분리 |
1995년 | 포항시와 통합, 도농복합시인 포항시로 개편하여 소멸 |
행정 구역 | |
읍 | 연일읍 오천읍 |
면 |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구룡포읍 |
교통 | |
철도 | 동해선 |
도로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31호선 |
기타 | |
같이 보기 | 영일군 (선거구) |
2. 역사
선사 시대부터 영일군 지역에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삼한 시대에는 진한의 근기국에 속했으며, 신라 시대에는 근오지현(斤烏支縣)이었다가 757년 임정현(臨汀縣)으로 이름이 바뀌고 의창군(義昌郡 : 흥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1018년(고려 현종 9년)에는 영일현(迎日縣) 또는 연일현(延日縣)으로 경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감무가 파견되면서 주현으로 승격하였다.[1] 조선 1417년(조선 태종 17년)에는 진(鎭)이 설치되고 병마사가 지현사(知縣事)를 겸임하게 되었고, 1423년(조선 세종 5년)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 종3품)로 개칭되었다가 후에 현감으로 격하되었다.[1]
1895년 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이십삼부가 시행되면서 동래부 연일군이 되었다가,[1]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연일군이 되었다.[2]
1914년 일제는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을 '''영일군'''으로 통합하였다.[3][4] 1917년 포항면 일부를 형산면으로 분면하였고, 1931년 4월 1일 포항면을 포항읍으로 승격하였다.[5] 1934년 4월 1일에는 죽남면과 죽북면을 죽장면으로, 장기면과 봉산면을 지행면으로 합면하였다.[6] 1938년 10월 1일 형산면 등을 포항읍에 편입하였고,[7] 1942년 10월 1일 창주면 일부를 구룡포읍으로 승격하였다.[8]
1945년 광복 후 1949년 8월 14일 포항읍이 포항부로 승격되었고, 다음 날인 8월 15일에 포항시로 개칭되었다.[9] 1956년 7월 8일에는 흥해면과 곡강면이 의창면으로 통합되었고, 1957년 10월 29일에는 달전면이 폐지되면서 의창면과 연일면에 분할 편입되었다.[10]
1973년 7월 1일, 의창면이 의창읍으로 승격되었고, 대송면과 오천면의 일부가 포항시에 편입되었다.[11] 1980년 12월 1일에는 연일면과 오천면이 각각 연일읍과 오천읍으로 승격하였다. 1983년 2월 15일, 연일읍과 동해면의 일부가 포항시에 편입되었고, 죽장면 하옥리 일부는 영덕군 달산면에 편입되었으며, 의창읍은 흥해읍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2]
1986년 4월 1일, 구룡포읍 대보출장소와 기계면 기북출장소가 각각 대보면, 기북면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1월 1일에는 대송면 일부가 포항시에 편입되었다. 1991년 12월 1일에는 지행면이 장기면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13] 이때 일반구인 북구와 남구가 설치되었다.
2. 1. 선사 시대 ~ 통일 신라 시대
- 선사 시대 유물과 유적으로 보아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 삼한 시대 진한 땅의 근기국에 속했다.
- 신라 시대에는 근오지현(斤烏支縣)이 되었다.
- 757년 임정현(臨汀縣)으로 개칭하고 의창군(義昌郡 : 흥해)의 영현이 되었다.
2. 2. 고려 시대 ~ 조선 시대
고려 1018년(고려 현종 9년) 영일현(迎日縣) 또는 연일현(延日縣)으로 경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감무를 파견하면서 주현으로 승격하였다.[1]조선 1417년(조선 태종 17년)에는 진(鎭)을 설치하고 병마사가 지현사(知縣事)를 겸임하게 하였고, 1423년(조선 세종 5년)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 : 종3품)로 개칭되었다가 후에 현감으로 격하되었다.[1]
2. 3.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이십삼부가 시행되면서 동래부 연일군이 되었다.[1] 1896년 8월 4일에는 경상북도 연일군으로 개편되었다.[2]1914년 4월 1일, 일제는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연일군, 흥해군, 청하군, 장기군을 '''영일군'''으로 통합하였다.[3][4] 이때 17면으로 구성되었다.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흥해군 신광면(神光面) 사미동/모정동/가척동, 토성리/송동 일부, 호촌동/중리, 우각동/송동 일부/당내동 일부, 벽동/흥곡동/당내동 일부/송동 일부/(기계면)종단동 일부, 냉수동/신리, 중성리/죽동, 상읍리, 안지동/지덕리, 기일동/학전동, 반곡리, 입석리/구만동, 마북동 | 신광면 | 사정동, 토성동, 호리동, 우각동, 흥곡동, 냉수동, 죽성동, 상읍동, 안덕동, 기일동, 반곡동, 만석동, 마북동 |
흥해군 기계면(杞溪面) 현내리, 문성리, 거일동/망봉동/화봉동, 화성리, 내만동/종단동 일부, 칠성리/화계동, 학야리, 봉계동/이동/인비동 일부, 고척리/와지리, 지가동/인비동 일부, 인비동 일부, 남계리, 가천동/안심동/금동, 구지동/인비동 일부, 계전동/정자동/신전동, 미남동/미로동/당곡동, 신기리/용전동, 은천동/관암동, 물율동/탐동, 대곡리/고통리/대평동, 탑동/중리/정동, 오도리/덕동, 성법동 | 기계면 | 현내동, 문성동, 화봉동, 화대동, 내단동, 성계동, 학야동, 봉계동, 고지동, 지가동, 인비동, 남계동, 가안동, 구지동, 계전동, 미현동, 용기동, 관천동, 율산동, 대곡동, 탑정동, 오덕동, 성법동 |
흥해군 북상면(北上面) 덕곡동/장성동, 덕산동/장자동, 내백리/외백리, 용연동/이곡동, 용전동/신성동 | 곡강면(曲江面) | 덕성동, 덕장동, 양백동, 용곡동, 용전동 |
흥해군 북하면(北下面) 방근리/금사동/장동, 방어동/오항동/검단리 일부, 용소동/임천동/신담동/굴산동, 강서동/강북동, 흥안리 | 금장동, 오도동, 용천동, 칠포동, 흥안동 | |
흥해군 서면(西面) 냉천동/점촌동/마장동/충곡동/성하리, 초곡동, 학림동/천상동 | 달전면(達田面) | 성곡동, 초곡동, 학천동 |
흥해군 남면(南面) 연화동/덕성동/대곡동, 광방리/달전리, 강양동/원강리/원동/용잠동/유득리, 이인동/(서면)초리동, 자방리/등명동, 칠전리/송학리 | 대련동, 달전동, 유강동, 이인동, 자명동, 학전동 | |
흥해군 서부면(西部面) 마산리, 기산리/용산리/매곡리/용연동, 북송리/두내동, 약전동/북서리/중흥리/서북문리, 교동/죽림동/옥리동/성서리/신정리/사리 | 흥해면 | 마산동, 매산동, 북송동, 약성동, 옥성동 |
흥해군 동부면(東部面) 남산동/성황동/(서부면)역곡리, 망창동/벌천리/(동하면)서원동 일부, 동성동/서성동/북성동, 야성리/중리동/봉안리, 전성리/학성리/북흥리/북문리 | 남성동, 망천동, 성내동, 중성동, 학성동 | |
흥해군 동하면(東下面) 너구동/흥곡동/곡강동/봉림동, 송동/남대동/남휴동/서원동 일부, 소한리/용덕리, 우목리, 죽천리/죽별리/지을리 | 곡강동, 남송동, 용한동, 우목동, 죽천동 | |
흥해군 동상면(東上面) 두호동/관대동/이진동/설미동, 사양동/송곡동/신덕리, 여남동/갈마동, 우현동/여천동 일부, 원촌동/침촌동/장흥리/성곡동, 창포동/한전동/이라동, 학산동/아호동/용담동 일부/여천동 일부, 소자동/신촌동 | 포항면 | 두호동, 양덕동, 여남동, 우현동, 장성동, 창포동, 학산동, 환호동 |
연일군 북면(北面) 대도동/하도동, 득량동, 상도동/(읍내면)효자동 일부, 포항동 일부, 죽도동/포항동 일부, 학잠동, 해도동/(동면)송호동, 포항동 일부/(흥해군 동상면)신흥동/여천동 일부/용담동 일부 | 대도동, 득량동, 상도동, 용흥동, 죽도동, 학잠동, 해도동, 포항동 | |
연일군 남면(南面) 공수동, 남성동/(서면)성좌동, 대각동/건덕동/사정동 일부, 산여동, 상송동/하송동/오정동 일부, 옥명동/수각동, 장동리/관동리/사정동 일부/덕동 일무, 제내동/신천동/오정동 일부, 홍계동/덕동 일부, 호동리 | 대송면 | 공수동, 남성동, 대각동, 산여동, 송동, 옥명동, 장동, 제내동, 홍계동, 호동 |
연일군 동면(東面) 송오동/동촌동 일부, 송내동 일부/괴동동 일부, 송정동, 장흥동/오흥동, 괴동동/송내동 일부 | 동촌동, 송내동, 송정동, 장흥동, 괴동동 | |
연일군 서면(西面) 우복동/사가동, 인주동, 중단동, 원동리/중명리/(경주군 강동면)중명리, 택전동 | 연일면 | 우복동, 인주동, 중단동, 중명동, 택전동 |
연일군 읍내면(邑內面) 신흥동/괴정동/서문동, 대잠동/논곡동, 동문동/영춘동, 생지동, 오천동/북리동/당사동, 이동/무소동, 지곡동/굴암동, 유득동/효자동 일부 | 괴정동, 대잠동, 동문동, 생지동, 오천동, 이동, 지곡동, 효자동 | |
연일군 고현면(古縣面) 갈평동/문성동 일부, 광명동, 문덕동/신기동/신평동/죽전동 일부/(일월면)신흥동 일부, 문충동/신광동/문성동 일부, 용산동, 하원동/상원동 일부/죽전동 일부, 인덕동/상원동 일부/(동면)동촌동 일부, 진전동, 항사동/(경주군 내동면)왕산리 일부 | 오천면 | 갈평동, 광명동, 문덕동, 문충동, 용산동, 원동, 인덕동, 진전동, 항사동 |
연일군 일월면(日月面) 구정동/일월동 일부, 정천동/금광동/중흥동 일부/신정동 일부/(장기군 서면)냉천리 일부, 세계동/신흥동 일부/중흥동 일부, 중리동/신정동 일부, 용덕동/일광동 일부, 일월동 일부/일광동 일부, 청림동 | 구정동, 금광동, 세계동, 신정동, 용덕동, 일월동, 청림동 | |
연일군 동해면(東海面) 도구동/입석동, 약전동, 석동리, 조사동/임곡동, 흥덕동/입암동, 마산동, 상흥동/하흥동/직환동/(장기군 내북면)중흥동 일부, 발산동/여사동, 구만동/보천동, 대동배동/정천동 | 동해면 | 도구동, 약전동, 석동, 임곡동, 입암동, 마산동, 흥환동, 발산동, 구만동, 대동배동 |
장기군 현내면(縣內面) 황계리/대원리, 금곡리, 석원리/두내리, 마현리/명장리, 거산리/방일리/평동리/괴동리, 마산리/서화리/신월리, 수촌리/시동리/성황리, 죽하리/창암리/신양리, 양진리/양평리/양월리, 수용리/영암리, 동부리/죽성리/죽전리, 임동리/임서리 | 장기면 | 계원리, 금곡리, 두원리, 마현리, 방산리, 산서리, 수성리, 신창리, 양포리, 영암리, 읍내리, 임중리 |
장기군 서면(西面) 범오리/금곡리, 대곡리, 대초리/이진리, 칠전리/모포리, 명촌리/노곡리/서부리, 구계리/창계리/신덕리, 하정리/냉천리 일부, 죽곡리/상정리/중정리, 상창리/중창리/반금리, 재필리/을계리/학곡리, 학삼리/박곡리 | 봉산면 | 금오리, 대곡리, 대진리, 모포리, 서촌리, 신계리, 정천리, 죽정리, 창지리, 학계리, 학곡리 |
장기군 외북면(外北面) 명월리/강금리/사지리, 사라리/신동리/창주리, 눌태리, 대천리/보천리, 범진리/삼정리, 두일리/석병리, 후동리 | 창주면(滄洲面) | 강사리, 구룡포리, 눌태리, 대보리, 삼정리, 석병리, 후동리 |
장기군 내북면(內北面) 공당리/수척리, 도구리/구평리/조암리, 병포리, 대박리/상정리, 상성리/하성리/달길리, 장길리, 중산리, 중흥리 일부, 당사리/하정리/임물리 | 공당리, 구평리, 병포리, 상정리, 성동리, 장길리, 중산리, 중흥리, 하정리 | |
청하군 현내면(縣內面) 동문리/교동, 남천리/필미리/관덕리/(동면)호암리 일부, 방어리/(북면)조사리 일부, 용산리/외휘리/화지동 일부/(흥해군 북하면)오두리, 월아리/개포리/중휘리/소근동/(내북면)외삼동 일부, 하필리/화지동 일부/(내북면)송천리 일부 | 청하면 | 덕성동, 미남동, 방어동, 용두동, 월포동, 필하동 |
청하군 서면(西面) 명암리/안심리, 상대리/(동면)고현리 일부, 감정리/금정리/외청리 일부/서계리 일부, 유천리/황암리/서계리 일부, 내청리/외청리 일부, 하대리/(동면)고현리 일부 | 명안동, 상대동, 서정동, 유계동, 청계동, 하대동 | |
청하군 동면(東面) 이곡리/이장리/고현리 일부, 소동 일부/호암리 일부/신흥리 일부, 소동 일부/신흥리 일부/(흥해군 북하면)검단리 일부, 이가리/자암리/소동 일부/청진동 일부, 청진동 일부/(흥해군 북하면)청진동 일부/송정동 일부/포리동 일부 | 고현동, 소동동, 신흥동, 이가동, 청진동 | |
청하군 북면(北面) 산령동/수방동/두곡동 일부, 북중리/동하동/학산동 일부/하광동 일부, 지경동/두곡동 일부/화산리 일부, 대진동/화산리 일부/이진동 일부 | 송라면 | 대전동, 중산동, 지경동, 화진동 |
청하군 내북면(內北面) 광천리/(북면)하광동 일부/학산동 일부, 관동/송천리 일부/외일동 일부/외삼동 일부, 방화동 일부/(북면)이진동 일부/독석리, 방화동 일부/조사리 일부, 외일동 일부/외삼동 일부, 외이동/외일동 일부/외삼동 일부 | 광천동, 덕천동, 방석동, 조사동, 하송동, 상송동 | |
청하군 죽남면(竹南面) 원촌/송내동/평지동/신기동 일부/(죽북면)현내동 일부, 침곡리, 감곡동, 개일리/광천리/답동 일부, 상옥리, 가사리 일부, 정자동, 지평동/답동 일부/(영천군 자양면)신당동 일부, 하옥리 일부/중옥리, 상산리/하산리/가사리 일부 | 죽남면 | 입암동, 침곡동, 감곡동, 일광동, 상옥동, 가사동, 정자동, 지동동, 하옥동, 매현동 |
청하군 죽북면(竹北面) 방흥리, 현내동 일부, 현내동 일부/(죽남면)두마동, 봉계동, 소월리/고평리/현내동 일부, 덕상리/덕하리/황정리, 석계리, 오사리 일부, 오사리 일부/(청송군 현동면)병포동 일부 | 죽북면 | 방흥동, 현내동, 두마동, 봉계동, 월평동, 합덕동, 석계동, 상사동, 하사동 |
1917년 포항면 일부를 형산면으로 분면하였다. 1931년 4월 1일 포항면을 포항읍으로 승격하였다.[5]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포항동(浦項洞) | 본정(本町), 초음정(初音町), 영정(榮町), 명치정(明治町), 소화정(昭和町), 남빈정(南濱町),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신흥정(新興町), 욱정(旭町), 중정(仲町) |
학산동(鶴山洞) 일부 | 천구정(川口町) |
1934년 4월 1일 죽남면과 죽북면을 죽장면으로, 장기면과 봉산면을 지행면으로 합면하였다.[6]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죽남면 일원 | 죽장면 일원 |
죽북면 일원 | |
장기면 일원 | 지행면 일원 |
봉산면 일원 |
1938년 10월 1일 형산면 등을 포항읍에 편입하였다.[7]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형산면 일원 | 포항읍 일부 |
대송면 송정동 일부(→향도동 신설) |
1942년 10월 1일 창주면 일부를 구룡포읍으로 승격하였다.[8]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창주면 공당동, 상정동, 중산동, 중흥동 | 동해면 일부 |
창주면 일원(4개 리 제외) | 구룡포읍 일원 |
동해면 구만동 |
2. 4. 해방 이후 ~ 현재
1949년 8월 14일 포항읍이 포항부로 승격되었고, 다음 날인 8월 15일에 포항시로 개칭되었다.[9] 1956년 7월 8일에는 흥해면과 곡강면이 의창면으로 통합되었다. 1957년 10월 29일에는 달전면이 폐지되면서 의창면과 연일면에 분할 편입되었다.[10]1973년 7월 1일, 의창면이 의창읍으로 승격되었고, 대송면과 오천면의 일부가 포항시에 편입되었다.[11] 1980년 12월 1일에는 연일면과 오천면이 각각 연일읍과 오천읍으로 승격하였다. 1983년 2월 15일, 연일읍과 동해면의 일부가 포항시에 편입되었고, 죽장면 하옥리 일부는 영덕군 달산면에 편입되었다. 또한, 의창읍은 흥해읍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2]
1986년 4월 1일, 구룡포읍 대보출장소와 기계면 기북출장소가 각각 대보면, 기북면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1월 1일에는 대송면 일부가 포항시에 편입되었다. 1991년 12월 1일에는 지행면이 장기면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13] 이때 일반구인 북구와 남구가 설치되었다. 통합 포항시 북구에는 구 영일군의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이, 남구에는 구 영일군의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이 편입되었다.
날짜 | 내용 |
---|---|
1949년 8월 14일 ~ 8월 15일 | 포항읍 → 포항부 → 포항시 승격[9] |
1956년 7월 8일 | 흥해면 + 곡강면 → 의창면 |
1957년 10월 29일 | 달전면 폐지, 의창면/연일면에 분할 편입[10] |
1973년 7월 1일 | 의창면 → 의창읍 승격, 대송면/오천면 일부 → 포항시 편입[11] |
1980년 12월 1일 | 연일면/오천면 → 연일읍/오천읍 승격 |
1983년 2월 15일 | 연일읍/동해면 일부 → 포항시 편입, 죽장면 하옥리 일부 → 영덕군 달산면 편입, 의창읍 → 흥해읍 개칭[12] |
1986년 4월 1일 | 구룡포읍 대보출장소/기계면 기북출장소 → 대보면/기북면 승격 |
1987년 1월 1일 | 대송면 일부 → 포항시 편입 |
1991년 12월 1일 | 지행면 → 장기면 개칭 |
1995년 1월 1일 | 포항시 + 영일군 → 통합 포항시 출범 (2구(북구, 남구) 4읍 10면)[13] |
영일군 및 포항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3. 행정 구역 변천
3. 1.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흥해군 신광면(神光面) 사미동/모정동/가척동, 토성리/송동 일부, 호촌동/중리, 우각동/송동 일부/당내동 일부, 벽동/흥곡동/당내동 일부/송동 일부/(기계면)종단동 일부, 냉수동/신리, 중성리/죽동, 상읍리, 안지동/지덕리, 기일동/학전동, 반곡리, 입석리/구만동, 마북동 | 신광면 | 사정동, 토성동, 호리동, 우각동, 흥곡동, 냉수동, 죽성동, 상읍동, 안덕동, 기일동, 반곡동, 만석동, 마북동 |
흥해군 기계면(杞溪面) 현내리, 문성리, 거일동/망봉동/화봉동, 화성리, 내만동/종단동 일부, 칠성리/화계동, 학야리, 봉계동/이동/인비동 일부, 고척리/와지리, 지가동/인비동 일부, 인비동 일부, 남계리, 가천동/안심동/금동, 구지동/인비동 일부, 계전동/정자동/신전동, 미남동/미로동/당곡동, 신기리/용전동, 은천동/관암동, 물율동/탐동, 대곡리/고통리/대평동, 탑동/중리/정동, 오도리/덕동, 성법동 | 기계면 | 현내동, 문성동, 화봉동, 화대동, 내단동, 성계동, 학야동, 봉계동, 고지동, 지가동, 인비동, 남계동, 가안동, 구지동, 계전동, 미현동, 용기동, 관천동, 율산동, 대곡동, 탑정동, 오덕동, 성법동 |
흥해군 북상면(北上面) 덕곡동/장성동, 덕산동/장자동, 내백리/외백리, 용연동/이곡동, 용전동/신성동 | 곡강면(曲江面) | 덕성동, 덕장동, 양백동, 용곡동, 용전동 |
흥해군 북하면(北下面) 방근리/금사동/장동, 방어동/오항동/검단리 일부, 용소동/임천동/신담동/굴산동, 강서동/강북동, 흥안리 | 금장동, 오도동, 용천동, 칠포동, 흥안동 | |
흥해군 서면(西面) 냉천동/점촌동/마장동/충곡동/성하리, 초곡동, 학림동/천상동 | 달전면(達田面) | 성곡동, 초곡동, 학천동 |
흥해군 남면(南面) 연화동/덕성동/대곡동, 광방리/달전리, 강양동/원강리/원동/용잠동/유득리, 이인동/(서면)초리동, 자방리/등명동, 칠전리/송학리 | 대련동, 달전동, 유강동, 이인동, 자명동, 학전동 | |
흥해군 서부면(西部面) 마산리, 기산리/용산리/매곡리/용연동, 북송리/두내동, 약전동/북서리/중흥리/서북문리, 교동/죽림동/옥리동/성서리/신정리/사리 | 흥해면 | 마산동, 매산동, 북송동, 약성동, 옥성동 |
흥해군 동부면(東部面) 남산동/성황동/(서부면)역곡리, 망창동/벌천리/(동하면)서원동 일부, 동성동/서성동/북성동, 야성리/중리동/봉안리, 전성리/학성리/북흥리/북문리 | 남성동, 망천동, 성내동, 중성동, 학성동 | |
흥해군 동하면(東下面) 너구동/흥곡동/곡강동/봉림동, 송동/남대동/남휴동/서원동 일부, 소한리/용덕리, 우목리, 죽천리/죽별리/지을리 | 곡강동, 남송동, 용한동, 우목동, 죽천동 | |
흥해군 동상면(東上面) 두호동/관대동/이진동/설미동, 사양동/송곡동/신덕리, 여남동/갈마동, 우현동/여천동 일부, 원촌동/침촌동/장흥리/성곡동, 창포동/한전동/이라동, 학산동/아호동/용담동 일부/여천동 일부, 소자동/신촌동 | 포항면 | 두호동, 양덕동, 여남동, 우현동, 장성동, 창포동, 학산동, 환호동 |
연일군 북면(北面) 대도동/하도동, 득량동, 상도동/(읍내면)효자동 일부, 포항동 일부, 죽도동/포항동 일부, 학잠동, 해도동/(동면)송호동, 포항동 일부/(흥해군 동상면)신흥동/여천동 일부/용담동 일부 | 대도동, 득량동, 상도동, 용흥동, 죽도동, 학잠동, 해도동, 포항동 | |
연일군 남면(南面) 공수동, 남성동/(서면)성좌동, 대각동/건덕동/사정동 일부, 산여동, 상송동/하송동/오정동 일부, 옥명동/수각동, 장동리/관동리/사정동 일부/덕동 일무, 제내동/신천동/오정동 일부, 홍계동/덕동 일부, 호동리 | 대송면 | 공수동, 남성동, 대각동, 산여동, 송동, 옥명동, 장동, 제내동, 홍계동, 호동 |
연일군 동면(東面) 송오동/동촌동 일부, 송내동 일부/괴동동 일부, 송정동, 장흥동/오흥동, 괴동동/송내동 일부 | 동촌동, 송내동, 송정동, 장흥동, 괴동동 | |
연일군 서면(西面) 우복동/사가동, 인주동, 중단동, 원동리/중명리/(경주군 강동면)중명리, 택전동 | 연일면 | 우복동, 인주동, 중단동, 중명동, 택전동 |
연일군 읍내면(邑內面) 신흥동/괴정동/서문동, 대잠동/논곡동, 동문동/영춘동, 생지동, 오천동/북리동/당사동, 이동/무소동, 지곡동/굴암동, 유득동/효자동 일부 | 괴정동, 대잠동, 동문동, 생지동, 오천동, 이동, 지곡동, 효자동 | |
연일군 고현면(古縣面) 갈평동/문성동 일부, 광명동, 문덕동/신기동/신평동/죽전동 일부/(일월면)신흥동 일부, 문충동/신광동/문성동 일부, 용산동, 하원동/상원동 일부/죽전동 일부, 인덕동/상원동 일부/(동면)동촌동 일부, 진전동, 항사동/(경주군 내동면)왕산리 일부 | 오천면 | 갈평동, 광명동, 문덕동, 문충동, 용산동, 원동, 인덕동, 진전동, 항사동 |
연일군 일월면(日月面) 구정동/일월동 일부, 정천동/금광동/중흥동 일부/신정동 일부/(장기군 서면)냉천리 일부, 세계동/신흥동 일부/중흥동 일부, 중리동/신정동 일부, 용덕동/일광동 일부, 일월동 일부/일광동 일부, 청림동 | 구정동, 금광동, 세계동, 신정동, 용덕동, 일월동, 청림동 | |
연일군 동해면(東海面) 도구동/입석동, 약전동, 석동리, 조사동/임곡동, 흥덕동/입암동, 마산동, 상흥동/하흥동/직환동/(장기군 내북면)중흥동 일부, 발산동/여사동, 구만동/보천동, 대동배동/정천동 | 동해면 | 도구동, 약전동, 석동, 임곡동, 입암동, 마산동, 흥환동, 발산동, 구만동, 대동배동 |
장기군 현내면(縣內面) 황계리/대원리, 금곡리, 석원리/두내리, 마현리/명장리, 거산리/방일리/평동리/괴동리, 마산리/서화리/신월리, 수촌리/시동리/성황리, 죽하리/창암리/신양리, 양진리/양평리/양월리, 수용리/영암리, 동부리/죽성리/죽전리, 임동리/임서리 | 장기면 | 계원리, 금곡리, 두원리, 마현리, 방산리, 산서리, 수성리, 신창리, 양포리, 영암리, 읍내리, 임중리 |
장기군 서면(西面) 범오리/금곡리, 대곡리, 대초리/이진리, 칠전리/모포리, 명촌리/노곡리/서부리, 구계리/창계리/신덕리, 하정리/냉천리 일부, 죽곡리/상정리/중정리, 상창리/중창리/반금리, 재필리/을계리/학곡리, 학삼리/박곡리 | 봉산면 | 금오리, 대곡리, 대진리, 모포리, 서촌리, 신계리, 정천리, 죽정리, 창지리, 학계리, 학곡리 |
장기군 외북면(外北面) 명월리/강금리/사지리, 사라리/신동리/창주리, 눌태리, 대천리/보천리, 범진리/삼정리, 두일리/석병리, 후동리 | 창주면(滄洲面) | 강사리, 구룡포리, 눌태리, 대보리, 삼정리, 석병리, 후동리 |
장기군 내북면(內北面) 공당리/수척리, 도구리/구평리/조암리, 병포리, 대박리/상정리, 상성리/하성리/달길리, 장길리, 중산리, 중흥리 일부, 당사리/하정리/임물리 | 공당리, 구평리, 병포리, 상정리, 성동리, 장길리, 중산리, 중흥리, 하정리 | |
청하군 현내면(縣內面) 동문리/교동, 남천리/필미리/관덕리/(동면)호암리 일부, 방어리/(북면)조사리 일부, 용산리/외휘리/화지동 일부/(흥해군 북하면)오두리, 월아리/개포리/중휘리/소근동/(내북면)외삼동 일부, 하필리/화지동 일부/(내북면)송천리 일부 | 청하면 | 덕성동, 미남동, 방어동, 용두동, 월포동, 필하동 |
청하군 서면(西面) 명암리/안심리, 상대리/(동면)고현리 일부, 감정리/금정리/외청리 일부/서계리 일부, 유천리/황암리/서계리 일부, 내청리/외청리 일부, 하대리/(동면)고현리 일부 | 명안동, 상대동, 서정동, 유계동, 청계동, 하대동 | |
청하군 동면(東面) 이곡리/이장리/고현리 일부, 소동 일부/호암리 일부/신흥리 일부, 소동 일부/신흥리 일부/(흥해군 북하면)검단리 일부, 이가리/자암리/소동 일부/청진동 일부, 청진동 일부/(흥해군 북하면)청진동 일부/송정동 일부/포리동 일부 | 고현동, 소동동, 신흥동, 이가동, 청진동 | |
청하군 북면(北面) 산령동/수방동/두곡동 일부, 북중리/동하동/학산동 일부/하광동 일부, 지경동/두곡동 일부/화산리 일부, 대진동/화산리 일부/이진동 일부 | 송라면 | 대전동, 중산동, 지경동, 화진동 |
청하군 내북면(內北面) 광천리/(북면)하광동 일부/학산동 일부, 관동/송천리 일부/외일동 일부/외삼동 일부, 방화동 일부/(북면)이진동 일부/독석리, 방화동 일부/조사리 일부, 외일동 일부/외삼동 일부, 외이동/외일동 일부/외삼동 일부 | 광천동, 덕천동, 방석동, 조사동, 하송동, 상송동 | |
청하군 죽남면(竹南面) 원촌/송내동/평지동/신기동 일부/(죽북면)현내동 일부, 침곡리, 감곡동, 개일리/광천리/답동 일부, 상옥리, 가사리 일부, 정자동, 지평동/답동 일부/(영천군 자양면)신당동 일부, 하옥리 일부/중옥리, 상산리/하산리/가사리 일부 | 죽남면 | 입암동, 침곡동, 감곡동, 일광동, 상옥동, 가사동, 정자동, 지동동, 하옥동, 매현동 |
청하군 죽북면(竹北面) 방흥리, 현내동 일부, 현내동 일부/(죽남면)두마동, 봉계동, 소월리/고평리/현내동 일부, 덕상리/덕하리/황정리, 석계리, 오사리 일부, 오사리 일부/(청송군 현동면)병포동 일부 | 죽북면 | 방흥동, 현내동, 두마동, 봉계동, 월평동, 합덕동, 석계동, 상사동, 하사동 |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흥해군, 연일군, 청하군, 장기군이 '''영일군'''으로 통폐합되었다.[3][4]
3. 2. 1931년 포항읍 승격
1931년 4월 1일, 포항면이 포항읍으로 승격되었다.[5] 이 과정에서 포항동(浦項洞)은 본정(本町), 초음정(初音町), 영정(榮町), 명치정(明治町), 소화정(昭和町), 남빈정(南濱町),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신흥정(新興町), 욱정(旭町), 중정(仲町)으로, 학산동(鶴山洞) 일부는 천구정(川口町)으로 변경되었다.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포항동(浦項洞) | 본정(本町), 초음정(初音町), 영정(榮町), 명치정(明治町), 소화정(昭和町), 남빈정(南濱町), 동빈정1~2정목(東濱町1~2丁目), 신흥정(新興町), 욱정(旭町), 중정(仲町) |
학산동(鶴山洞) 일부 | 천구정(川口町) |
3. 3. 1934년 행정 구역 개편
193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영일군 내 죽남면과 죽북면이 죽장면으로, 장기면과 봉산면이 지행면으로 통합되었다.[6] 당시 행정 구역 개편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4. 1938년 형산면 등 포항읍 편입
1938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97호에 따라 형산면과 대송면 송정동 일부(향도동 신설)가 포항읍에 편입되었다.[7]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형산면 일원 | 포항읍 일부 |
대송면 송정동 일부(→향도동 신설) |
3. 5. 1942년 구룡포읍 승격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창주면 공당리, 상정리, 중산리, 중흥리 | 동해면 일부 |
창주면 일원(4개 리 제외) | 구룡포읍 일원 |
동해면 구만동 |
3. 6. 1957년 달전면 폐지
1957년 10월 29일, 달전면이 폐지되면서 의창면과 연일면에 분할 편입되었다.[9]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달전면 초곡동, 학천동, 성곡동, 이인동, 대련동 | 의창면 일부 |
달전면 학전동, 달전동, 자명동, 유강동 | 연일면 일부 |
3. 7. 1973년 의창면의 의창읍 승격 등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의창면 일원 | 의창읍 일원 |
대송면 장흥동, 괴동동, 송내동, 송정동 | 포항시 일부 |
오천면 인덕동, 청림동 | |
오천면 신정동, 금광동, 일월동 | 동해면 일부 |
송라면 덕천동 | 청하면 일부 |
3. 8. 1983년 이후 행정 구역 개편
1983년 2월 15일, 연일읍과 동해면의 일부 동이 포항시로 편입되었고, 죽장면 하옥리 일부는 영덕군 달산면으로 편입되었다. 또한, 의창읍이 흥해읍으로 개칭되었다.[11]
1986년 4월 1일, 구룡포읍 대보출장소와 기계면 기북출장소가 각각 대보면, 기북면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1월 1일, 대송면 일부가 포항시로 편입되었다.
1991년 12월 1일, 지행면이 장기면으로 개칭되었다.
1995년 1월 1일, 포항시와 영일군이 통합되어 통합 포항시가 출범하였다.[12] 이때 일반구인 북구, 남구가 설치되었다.[13]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영일군 흥해읍, 기계면, 기북면, 송라면, 신광면, 죽장면, 청하면 | 포항시 북구 |
영일군 구룡포읍, 연일읍, 오천읍, 대보면, 대송면, 동해면, 장기면 | 포항시 남구 |
참조
[1]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
법률
도령 제2호
1914-03-16
[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6]
법률
도령 제83호
1933-10-06
[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7호
1938-09-27
[8]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9]
법률
법률 제451호 지방자치단체의폐치분합및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0-29
[10]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11]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12]
법률
전국33개 도농복합형태에 시(市)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13
[13]
법률
시조례 제10호 구청 설치
1995-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