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조언어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조 언어학은 두 언어의 차이점을 파악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응용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1950년대 로버트 라도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외국어 학습, 번역, 사전 편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음운론, 형태론, 어휘론, 통사론 등 언어 구조의 모든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지며, 코퍼스 언어학 기술이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대조 언어학은 언어 내 변종에 대한 차별적인 설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역사

대조 언어학은 언어와 다른 언어를 비교하여 목표 언어의 특징을 파악하려는 학문 분야이다. 비교언어학이 어근 중심의 어휘에서 음운이나 형태소를 비교하는 반면, 대조 언어학은 주로 어형성을 포함한 문법을 다루며, 음운과 어휘 체계를 다루는 경우는 비교적 적다.

대조적인 설명은 음운론, 정자법, 형태론, 어휘론, 구문론, 통사론, 텍스트학 등 언어 구조의 모든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코퍼스 언어학의 다양한 기술은 언어 내 및 언어 간 대조 연구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

대조 언어학 연구는 대조 수사학처럼 스타일, 방언, 레지스터 또는 기술 장르의 용어와 같이 언어 내 하나 이상의 변종에 대한 차별적인 설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1. 통시 언어학과 공시 언어학

전통적인 비교 언어학(비교 언어학)은 여러 언어 간의 관계를 밝히거나 언어의 역사적 발전을 설명하기 위해 비교 방법을 사용했다. 반면 현대 대조 언어학은 두 언어가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두 관점을 나타내기 위해 통시 언어학과 공시 언어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1]

2. 2. 응용 언어학과의 관계

대조 언어학은 1950년대 로버트 라도에 의해 시작된 이후, 응용 언어학의 여러 측면과 연관되어 왔다. 예를 들어, Di Pietro (1971)는 외국어 학습 시 간섭 오류를 피하는 데 대조 언어학이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 (또한 대조 분석 참조) Vinay & Darbelnet (1958), 그리고 최근 Hatim (1997)은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텍스트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언어 간 전이를 돕는 데 대조 언어학이 기여한다고 설명했다.[2][3] (번역 참조) Heltai (1988)와 Hartmann (1991)은 이중 언어 사전 편찬 과정에서 어휘 동등성을 찾는 데 대조 언어학이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5] (이중 언어 어휘론 참조)

3. 연구 분야

대조 언어학은 언어 구조의 모든 수준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1950년대 로버트 라도에 의해 시작된 이후, 응용 언어학의 여러 측면과 연관되어 왔다. 예를 들어, 외국어 학습 시 간섭 오류를 피하거나,[1]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텍스트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언어 간 전이를 돕고,[2][3] 이중 언어 사전 편찬 과정에서 어휘 동등성을 찾는 데 활용된다.[4][5]

대조적인 설명은 음성, 문자 기호, 단어 형성, 단어 의미, 연어, 문장 구조 및 완전한 담론 등 언어 구조의 모든 수준에서 가능하다.[6]

또한 스타일, 방언, 레지스터 또는 기술 장르의 용어와 같이 언어 내 하나 이상의 변종에 대한 차별적인 설명에 적용될 수 있다.

3. 1. 음성 및 음운론

대조 언어학에서는 서로 다른 언어의 음성 체계와 음운 규칙을 비교 분석한다. 대조적인 설명은 음성(음운론)에서 발생할 수 있다.[1] 비교언어학에서 비교 대조되는 것은 어근을 중심으로 하는 어휘에서의 음운이나 형태소인 데 반해, 대조언어학은 주로 어형성을 포함한 문법을 다루며, 음운과 어휘 체계를 다루는 경우는 비교적 적다.

3. 2. 형태론

대조 언어학은 형태론 수준에서 단어 형성 규칙 및 형태소의 기능과 의미 차이를 비교 분석한다. 비교언어학에서 비교 대상이 주로 어근을 중심으로 하는 어휘에서의 음운이나 형태소인 반면, 대조 언어학은 어형성을 포함한 문법을 주로 다루며, 음운과 어휘 체계를 다루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다.[1][2][3][4][5][6]

3. 3. 어휘론

대조 언어학에서 어휘론은 단어의 의미, 연어 관계, 어휘 체계 등을 비교 분석하는 분야이다.[2][3][4][5][6] 언어 구조의 모든 수준에서 대조적인 설명이 가능한데, 어휘론은 특히 단어의 의미를 다룬다. 코퍼스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들은 언어 내, 그리고 언어 간 대조 연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6] 비교언어학에서는 어근을 중심으로 하는 어휘의 음운이나 형태소를 비교 대조하는 반면, 대조 언어학은 어형성을 포함한 문법을 주로 다루며, 음운과 어휘 체계를 다루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다.

3. 4. 통사론

대조 언어학은 문장 구조, 문법 요소의 기능, 어순 등을 비교 분석한다.[1][2][3][4][5][6] 이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언어 간의 차이점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5. 텍스트 언어학

대조적인 설명은 언어 구조의 모든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음성(음운론), 문자 기호(정자법), 단어 형성(형태론), 단어 의미(어휘론), 연어(구문론), 문장 구조(통사론) 및 완전한 담론(텍스트학) 등이 그것이다. 담화 구조, 텍스트 유형, 문체 등을 비교 분석한다.[1][2][3][4][5] 코퍼스 언어학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은 '병렬 텍스트' 분석(Hartmann 1997)과 같이 언어 내 및 언어 간 대조 연구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

3. 6. 코퍼스 언어학과의 연관성

코퍼스 언어학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술, 특히 '병렬 텍스트' 분석은 언어 내 및 언어 간 대조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된다.[6]

4. 관련 인물


  • 아오키 사부로 - 일어-한어 대조언어학
  • 쓰보모토 아쓰로 - 일어-영어 대조언어학
  • 후쿠모리 마사시

4. 1. 해외 학자

로버트 라도는 대조 언어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1950년대에 대조 언어학을 시작했으며, 이는 응용 언어학의 여러 측면과 연관되어 왔다.[1]

  • 아오키 사부로 - 일어-한어 대조언어학
  • 쓰보모토 아쓰로 - 일어-영어 대조언어학
  • 후쿠모리 마사시

4. 2. 한국 학자


  • 아오키 사부로 - 일불어 대조언어학
  • 쓰보모토 아쓰로 - 일영어 대조언어학
  • 후쿠모리 마사시

참조

[1] 서적 Language Structures in Contrast Newbury House 1971
[2] 서적 Stylistique Comparée du Français et de l'Anglais Didier-Harrap 1958
[3] 서적 Communication across Cultures. Translation Theory and Contrastive Text Linguistics University of Exeter Press 1997
[4] 논문 Contrastive analysis of terminological systems and bilingual technical dictionaries https://academic.oup[...] 1988
[5] 논문 Contrastive linguistics and bilingual lexicography De Gruyter 1991
[6] 논문 From contrastive textology to parallel text corpora: Theory and applications De Gruyter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