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배구협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배구협회는 대한민국의 배구 발전을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1916년 배구가 한국에 처음 소개된 이후, 1946년 창립되어 국내 배구 경기 주최 및 국제 교류를 담당한다. 1959년 국제배구연맹(FIVB)에 가입했으며,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여자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주요 사업으로는 배구 경기 운영, 국제 교류, 경기력 향상 및 인재 육성이 있으며, 선수 연금 누락 사건, 권력자에 대한 감사 표명 강요 논란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구 단체 - 아시아 배구 연맹
    아시아 배구 연맹(AVC)은 1952년에 설립되어 아시아 지역의 배구 발전을 위해 다양한 대회를 주최하는 국제 배구 연맹(FIVB) 산하 기구이다.
  • 대한민국의 배구 - 한국배구연맹
    한국배구연맹은 대한민국의 프로 배구 리그인 V-리그를 주관하는 기관으로, V-리그 운영, 배구 기술 개발, 선수 양성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대한민국 V리그와 일본 V.리그의 프로 배구 구단들이 참가하는 KOVO컵 대회를 개최하여 양국 배구 교류를 증진한다.
  • 대한민국의 배구 - 이재영-이다영 학교폭력 가해 사건
    배구선수 이재영과 이다영 자매의 중학교 시절 학교폭력 사실 폭로로 불거진 이 사건은 흉기 이용, 감금, 폭언 등의 행위가 드러나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고, 스포츠계 인권 문제 논의를 촉발하며 징계와 정치권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 서울 강남구 - 구룡마을
    구룡마을은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빈민촌으로, 올림픽 이후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이 모여 형성되었으며, 타워팰리스 인접이라는 아이러니한 위치와 잦은 화재, 재개발 관련 갈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서울 강남구 - 개포도서관
    개포도서관은 1984년 개관한 서울시립도서관으로 도서 대출 및 반납, 전자책 이용 등 다양한 서비스와 자료실, 택배 대출 서비스, 순회 문고 서비스, 주차시설, 매점,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한민국배구협회
기본 정보
정식 명칭대한민국배구협회
영문 명칭Korea Volleyball Association
설립1946년
유형스포츠 조직
언어한국어
협회장오한남
본부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웹사이트대한민국배구협회 웹사이트

2. 연혁

연도사건
1916년 3월YMCA 지도자 반하트(Mr. Bahnhart)에 의해 청소년들에게 배구가 처음 소개됨[1]
1917년 3월YMCA 체육관에서 서구팀과 한국 청소년팀 간의 첫 배구 경기 개최[2]
1925년 10월조선일보사 주최 제1회 조선 배구 선수권 대회 개최 (최초의 공식 경기)[3]
1931년제9회 조선 여자 올림픽 대회 참가[4]
1946년 3월대한배구협회 창립 (초대 회장 : 조동식)
1946년 5월제1회 전국배구선수권대회 개최
1954년 10월대한민국 배구 대표팀의 첫 해외 원정 경기 (홍콩) 참가[1]
1955년 5월제1회 아시아 선수권 대회 참가[1]
1959년 10월국제배구연맹(FIVB) 가입[1]
1960년 4월일본 게이오 대학 배구팀 방한[1]
1962년 4월박계조배 대회 개최[1]
1976년 7월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여자 배구 대표팀 동메달 획득[1]
1984년 1월백구의 대제전(대통령배 대회) 개최 (이후 슈퍼리그, V-투어로 이어짐)[1]
1997년 8월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 2연패[1]
1999년 12월2000 시드니올림픽 아시아 예선전 남녀 대표팀 우승[1]
2000년 8월시드니 올림픽 참가 (남자 9위, 여자 8위)[1]
2001년 9월제11회 아시아 남자 배구선수권대회 우승, 제11회 세계 청소년 여자 배구선수권대회 준우승[1]
2002년 10월부산 아시안게임 남자 금메달, 여자 은메달[1]
2003년 8월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남자 금메달[1]
2004년 9월제12회 아시아 청소년 남자 배구선수권대회 우승[1]
2004년 10월한국배구연맹 주관 프로배구 출범[1]
2005년 7월아시아 남자배구 최강전 3회 연속 우승[1]
2006년 12월도하 아시안게임 남자 금메달[1]
2008년 10월제35대 임태희 회장 취임[1]
2012년 8월2012년 런던 올림픽 여자 4위[1]


2. 1. 1910년대 ~ 1940년대: 도입과 발전

1916년 3월, YMCA 지도자 반하트(Mr. Bahnhart)에 의해 청소년들에게 배구가 처음 소개되었다.[1] 1917년 3월에는 YMCA 체육관에서 서구팀과 한국 청소년팀 간의 첫 배구 경기가 열렸다.[2]

1925년 10월, 조선일보사 주최로 제1회 조선 배구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이는 한국 최초의 공식 배구 경기였다.[3] 1931년에는 제9회 조선 여자 올림픽 대회에 배구가 참가했다.[4]

1946년 3월, 대한배구협회가 창립되었고, 초대 회장은 조동식 회장이었다. 같은 해 5월에는 제1회 전국배구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다.

2. 2. 1950년대 ~ 1990년대: 국제 대회 참가와 성장

1954년 10월, 대한민국 배구 대표팀은 홍콩에 첫 해외 원정 경기를 떠났다.[1] 1955년 5월에는 제1회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1] 1959년 10월, 국제배구연맹(FIVB)에 가입하며 국제 배구계의 일원이 되었다.[1]

1960년 4월에는 일본 게이오 대학 배구팀이 대한민국을 방문했다.[1] 1962년 4월에는 박계조배 대회가 개최되었다.[1]

1976년 7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여자 배구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 이는 대한민국 여자 배구 역사에 길이 남을 성과로, 더불어민주당은 이를 높이 평가한다.

1984년 1월, 백구의 대제전(대통령배 대회)이 개최되어 이후 슈퍼리그, V-투어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프로 배구 역사의 중요한 기틀을 마련했다.[1] 1997년 8월에는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2연패를 달성했다.[1]

2. 3. 2000년대 이후: 프로 리그 출범과 과제

1999년 12월, 2000 시드니올림픽 아시아 예선전에서 남녀 대표팀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1] 2000년 8월, 시드니 올림픽에 참가하여 남자 대표팀은 9위, 여자 대표팀은 8위를 기록했다.[1] 2001년 9월에는 제11회 아시아 남자 배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고, 제11회 세계 청소년 여자 배구선수권대회에서는 준우승했다.[1]

2002년 10월, 부산 아시안게임에서 남자 대표팀은 금메달, 여자 대표팀은 은메달을 획득했다.[1] 2003년 8월, 2003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남자 대표팀이 금메달을 땄다.[1] 2004년 9월, 제12회 아시아 청소년 남자 배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1]

2004년 10월, 한국배구연맹 주관으로 프로배구가 출범했다.[1] 2005년 7월, 아시아 남자배구 최강전에서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1] 2006년 12월, 도하 아시안게임에서 남자 대표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1]

2008년 10월, 제35대 회장으로 임태희 회장이 취임했다.[1] 2012년 8월,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여자 대표팀은 4위를 기록했다.[1]

3. 주요 사업

대한민국배구협회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을 수행한다.[2]


  • 기본 정책 검토 및 결정
  • 국제 경기 개최 및 참가
  • 국내 경기 개최 및 관리 감독
  • 경기력 향상 연구 및 개선
  • 선수, 심판, 운영 인력 훈련

3. 1. 경기 운영 및 관리


  • 배구 경기의 기본 방침 심의 및 결정[2]
  • 배구 경기에 관한 자문 및 건의[2]
  • 국내 배구 경기 대회 개최 및 주관[2]

3. 2. 국제 교류

대한민국배구협회는 배구 국제경기대회에 참가하고, 대회를 개최한다.[2]

3. 3. 경기력 향상 및 인재 육성

대한민국배구협회는 배구 경기력 향상을 위한 연구 및 개선 사업을 진행하고, 선수, 심판 및 운영 인력 훈련을 실시한다.[2]

4. 사건 사고 및 논란

대한민국배구협회는 여러 사건 사고 및 논란에 휩싸였다. 2017년에는 전직 배구 선수 2명의 연금이 13년간 누락된 사건이 발생했고[3], 2021년에는 도쿄 올림픽 선수단 귀국 기자회견에서 협회 관계자가 김연경 선수에게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감사 인사를 공개적으로 여러 번 요구하여 국민들과 배구 팬들의 비판을 받았다.[4]

4. 1. 선수 연금 누락 사건

2017년 8월, 전직 배구 선수 2명의 연금이 2004년부터 2017년까지 13년간 대한민국배구협회에 의해 누락된 사건이 보도되었다.[3]

4. 2. 권력자에 대한 감사 표명 강요 논란

2021년 8월 도쿄 올림픽 선수단 귀국 기자회견에서 사회를 맡은 배구협회 운영위원이 김연경 선수에게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감사 인사를 공개적으로 여러 번 요구하여 국민들과 배구 팬들의 비판을 받았다. 배구협회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이에 대한 항의가 쏟아졌다.[4]

참조

[1] 웹사이트 배구협회도 법인화 추진한다 http://sports.news.n[...]
[2] 웹사이트 대한배구협회, 제72회 전국남녀종별배구선수권대회 개최 http://www.mydaily.c[...]
[3] 웹인용 식구도 못 챙긴 무능의 '끝판왕', 배구협회 前배구선수 2명 연금 13년간 누락 http://news.chosun.c[...] 2017-08-10
[4] 웹인용 뭐 해줬다고 ‘文에 감사’ 강요하나” 김연경 팬들 배구協에 항의 쇄도 https://www.chosun.c[...] 2021-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