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항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항군은 훈련 참여자들에게 실전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적성군의 교리, 전술, 장비, 복장 등을 모방하는 부대를 의미한다. 주로 마일즈 장비를 활용하여 공포탄 사격과 레이저를 이용한 부상 및 사망 판정을 구현하는 훈련을 실시한다. 대한민국 육군 과학화전투훈련단의 전문대항군 연대, 미국 육군의 제11기갑기병연대 등이 있으며, 각국은 자국의 훈련 환경에 맞춰 대항군 부대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 교육 및 훈련 - 군사훈련
군사 훈련은 군인이 작전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는 활동으로, 개인 및 부대의 능력 향상을 위해 체력 훈련, 전투 기술 훈련 등을 포함하여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 군사 교육 및 훈련 - 왕립합동군사연구소
왕립합동군사연구소는 1831년 웰링턴 공작에 의해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 안보 씽크탱크로, 군사 교리, 사이버 안보 등 다양한 안보 문제를 연구하며 영국 정부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제적인 연구기관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대항군 | |
---|---|
개요 | |
명칭 | 대항군 |
영어 명칭 | Opposing force (OPFOR) |
일본어 명칭 | 仮想敵部隊 (Kasōteki Butai, 가소테키 부타이) |
역할 | 아군에 대항하는 가상의 적군 역할 수행 |
목적 | 실전과 유사한 훈련 환경 조성 및 아군의 전투 능력 향상 |
특징 | 아군의 전술, 전략, 무기 체계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대응 전략 구사 다양한 국가의 군사 교리와 전술 모방 실제 적군의 위협을 최대한 유사하게 구현하여 훈련 효과 극대화 |
운용 | |
운용 주체 | 각 군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
운용 방식 | 전문적인 대항군 부대 운용 실제 전투 부대를 순환 배치하여 대항군 역할 수행 |
훈련 시나리오 | 다양한 지형 및 기상 조건 하에서 진행 실제 전투 상황을 가정한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시나리오 구성 정보전, 사이버전 등 현대전의 다양한 요소 반영 |
역사 | |
기원 | 냉전 시대, 소련군을 모방한 대항군 부대 창설 |
발전 | 현대전의 양상 변화에 따라 대항군의 역할과 중요성 증대 다양한 국가의 군사 교리와 전술을 연구하고 적용 시뮬레이션 기술 및 가상 현실 기술을 활용한 훈련 환경 구축 |
참고 사항 | |
관련 용어 | 모의전투 워게임 FTX (Field Training Exercise) |
중요성 | 아군의 전투 능력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 실전 경험 부족을 보완하고 전투 감각 유지 새로운 전술 및 전략 개발에 기여 |
기타 | |
![]() |
2. 역사
2. 1. 냉전 시대
2. 2. 탈냉전 시대
3. 목적 및 역할
대항군은 적성군의 교리, 전술, 장비, 복장 등을 그대로 묘사하여, 훈련 참여자들에게 최대한 실전과 같은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항군을 활용한 훈련에는 마일즈 장비(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MILES)가 주로 사용된다. 공포탄 사격과 동시에 화기에 장착된 레이저 발사기에서 레이저가 나가면, 피탄 병력이 착용한 감지기가 반응해 부상 및 사망 판정을 구현한다.
4. 특징
대항군은 적성군의 교리, 전술, 장비, 복장 등을 그대로 묘사하여, 훈련 참여자들에게 최대한 실전과 같은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항군을 활용한 훈련에는 마일즈 장비가 주로 사용된다. 공포탄 사격과 동시에 화기에 장착된 레이저 발사기에서 레이저가 나가면, 피탄 병력이 착용한 감지기가 반응해 부상 및 사망 판정을 구현한다.
4. 1. 훈련 방식
대항군은 적성군의 교리, 전술, 장비, 복장 등을 그대로 묘사하여, 훈련 참여자들에게 최대한 실전과 같은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항군을 활용한 훈련에는 마일즈 장비가 주로 사용된다. 공포탄 사격과 동시에 화기에 장착된 레이저 발사기에서 레이저가 나가면, 피탄 병력이 착용한 감지기가 반응해 부상 및 사망 판정을 구현한다.5. 각국의 대항군 부대
대한민국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KCTC) 전문대항군 연대
미국 포트 어윈 국립훈련센터(NTC) 미 육군 제11기갑기병연대
미국 포트 포크 통합대응훈련센터(JRTC) 미 육군 제509낙하산보병연대 제1대대
독일 호헨휄즈 나토군 통합다국적대응센터(JMRC) 미 육군 제4보병연대 제1대대
영국 육군 서필드 훈련부대의 기갑연대 혹은 보병대대로 매년 구성되는 대항군 부대. 영국 육군은 가상 적 부대로 영국 육군 서필드 훈련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 육군은 과학화전투훈련단에 가상의 조선인민군 육군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가 있다.
일본에서도, 과거의 대일본제국 해군에서는 1933년도 이후의 해군 대연습의 함대 대항 연습에 즈음하여, 가상 적 부대(미국 해군을 상정)로서 제4함대를 임시 편성했다. 육상자위대는 유일한 전문 가상 적 부대로 부대 훈련 평가대 예하의 평가 지원대를 보유하고 있다.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은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KCTC)에 가상의 조선인민군 육군 임무를 수행하는 전문대항군 연대를 운용하고 있다.5. 2. 미국
미국 육군에서는 냉전 시기부터 소련을 상정한 대규모 OPFOR를 설치해 왔다.[5] 소련의 붕괴 이후 대상이 확대되었으며, 최근에는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과 같은 국가를 상정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5]미국 육군의 주요 OPFOR 거점은 다음과 같다.
- 캘리포니아주포트 어윈 국립훈련센터(National Training Center, NTC) - 제11기갑기병연대(11th Armored Cavalry Regiment)
- 루이지애나주포트 폴크 통합 즉응 훈련 센터(Joint Readiness Training Center, JRTC) - 제509낙하산보병연대 제1대대
- 독일·호엔펠스 통합 다국적 즉응 센터(Joint Multinational Readiness Center, JMRC)[5] - 제4보병연대 제1대대
NTC 및 JMRC 부대는 소련군의 자동차화 소총병을 모방하고 있으며, 많은 가상 적 개조를 거친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NTC에서는 T-80 전차풍으로 개조된 M551 셔리던 경전차를 2003년까지 사용했다.[5]

1990년대 중반, JMRC에서는 유고슬라비아에서의 평화 유지 활동에 대비하여 저강도 분쟁을 상정한 훈련이 실시되었다.[5] 2004년 초, NTC에서는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에서의 시가전을 상정한 훈련이 시작되었다. 훈련장 내에 대규모의 중동풍 복잡한 도시가 재현되었으며, 아랍어나 쿠르드어를 구사하는 OPFOR 대원이 아프간·이라크풍 의상을 입고 시민 및 민병을 연기했다.[5]
5. 3. 영국
영국 육군은 가상 적 부대로 영국 육군 서필드 훈련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 부대는 서필드 훈련부대의 기갑연대 혹은 보병대대로 매년 구성된다.5. 4. 기타 국가
- 대한민국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KCTC) 전문대항군 연대
- 미국 포트 어윈 국립훈련센터(NTC) 미 육군 제11기갑기병연대
- 미국 포트 포크 통합대응훈련센터(JRTC) 미 육군 제509낙하산보병연대 제1대대
- 독일 호헨휄즈 나토군 통합다국적대응센터(JMRC) 미 육군 제4보병연대 제1대대
- 영국 육군 서필드 훈련부대의 기갑연대 혹은 보병대대로 매년 구성되는 대항군 부대
영국 육군은 가상 적 부대로 영국 육군 서필드 훈련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 육군은 과학화전투훈련단에 가상의 조선인민군 육군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가 있다.
일본에서도, 과거의 대일본제국 해군에서는 1933년도 이후의 해군 대연습의 함대 대항 연습에 즈음하여, 가상 적 부대(미국 해군을 상정)로서 제4함대를 임시 편성했다. 육상자위대는 유일한 전문 가상 적 부대로 부대 훈련 평가대 예하의 평가 지원대를 보유하고 있다.
6. 논란 및 비판
6. 1. 정치적 민감성
6. 2. 훈련 효과
7. 결론
참조
[1]
서적
FM 30-101 Aggressor The Maneuver Enemy 9-23-1959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the Army
1959
[2]
서적
FM 30-101 Aggressor: the Maneuver Enemy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the Army
2021-08-05
[3]
서적
FM 30-101 Aggressor The Maneuver Enemy 9-23-1959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the Army
2021-08-05
[4]
서적
FM 30-101 Aggressor: the Maneuver Enemy
https://archive.org/[...]
Department of the Army
2021-08-05
[5]
웹사이트
Army.mil
http://www.hohenfe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