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치 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치 롤은 항공기의 불안정한 운동 형태로, 항공기가 롤링과 요잉을 반복하며 마치 춤을 추는 듯한 현상을 말한다. 주로 후퇴익 항공기에서 발생하며, 요잉 동작으로 시작하여 날개의 양력 불균형을 유발하여 롤링으로 이어진다. 이는 방향 안정성과 수평 안정성의 불균형, 후퇴익의 영향, 에일러론 또는 러더의 사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더치 롤은 설계적 고려, 요 댐퍼 장착 등을 통해 방지할 수 있으며, 조종사는 러더를 사용하여 대응할 수 있다. "더치 롤"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피겨 스케이팅 용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과거 보잉 707 시험 비행,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미 공군 KC-135R 공중 분해 사고 등 여러 항공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더치 롤은 조종사 훈련에서 사용되는 조정 기동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더치 롤 | |
|---|---|
| 개요 | |
| 종류 | 항공 역학 |
| 관련 현상 | 롤링 요잉 |
| 원인 | 안정성 부족 조종면 결함 바람의 영향 |
| 특징 | 주기적인 좌우 흔들림 고도 및 방향 유지 어려움 |
| 방지 대책 | 자동 조종 장치 수동 조종 기술 향상 항공기 설계 개선 |
| 정의 | |
| 설명 | 더치 롤은 항공기가 한쪽 날개를 내리고 기수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는 움직임이 반복되는 복잡한 항공 역학적 현상이다. 이는 요(yaw)와 롤(roll)이 결합된 진동으로 나타나며, 항공기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
| 진동 형태 | 항공기가 좌우로 흔들리면서 기수가 좌우로 움직이는 형태 |
| 원인 | |
| 안정성 문제 | 항공기의 방향 안정성이 부족하거나, 롤 안정성이 과도할 경우 발생 가능 |
| 요잉 모멘트 | 옆바람 또는 조종면의 결함으로 인해 요잉 모멘트가 발생하여 유발될 수 있음 |
| 롤링 모멘트 | 요잉으로 인해 발생하는 롤링 모멘트가 요잉을 더욱 증폭시키는 현상 |
| 영향 | |
| 조종 어려움 | 조종사가 항공기 제어에 어려움을 겪게 됨 |
| 승차감 저하 | 승객에게 불쾌감을 유발 |
| 구조적 부담 | 항공기 구조에 반복적인 스트레스를 가하여 피로 파괴를 가속화할 수 있음 |
| 해결 방법 | |
| 자동 조종 장치 | 요 댐퍼(yaw damper)와 같은 자동 조종 장치를 사용하여 더치 롤 현상을 억제 |
| 조종 기술 | 숙련된 조종사는 적절한 조종 기술을 통해 더치 롤 현상을 제어 가능 |
| 항공기 설계 | 항공기 설계 단계에서 방향 안정성과 롤 안정성을 균형 있게 조정하여 더치 롤 발생 가능성을 줄임 |
| 발생 빈도 | |
| 현대 항공기 | 현대 항공기에서는 자동 조종 장치 덕분에 더치 롤 현상이 드물게 발생 |
| 과거 항공기 | 과거 항공기, 특히 날개 후퇴각이 큰 항공기에서 자주 발생 |
| 기타 | |
| 관련 용어 | 요 댐퍼 항공기 안정성 항공 역학 |
2. 발생 원인 및 메커니즘
더치 롤은 주로 항공기의 요잉(yawing) 동작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후퇴익 항공기가 요잉을 하면, 양 날개의 후퇴각이 달라지면서 양력 불균형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항공기가 오른쪽으로 요잉하면 왼쪽 날개는 덜 후퇴하고 오른쪽 날개는 더 후퇴하여, 왼쪽 날개에서 더 많은 양력이 발생해 항공기가 오른쪽으로 롤링하게 된다.[2]
이러한 롤링은 항공기의 요 각도가 수직 안정판에 의해 다시 반전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후 반대 방향으로 요잉과 롤링이 반복되면서 더치 롤이 발생한다. 텍스 존스턴은 이를 "후퇴익 항공기의 고유한 특성"이라 설명하며, 요잉에 따른 날개 위 기류 변화와 양력 요소 변경이 원인이라고 말한다.[2]
더치 롤 모드는 에일러론이나 러더로 유발할 수 있지만, 비행 테스트에서는 주로 러더를 짧고 날카롭게 움직이는 방식으로 유발한다. 일부 대형 항공기는 에일러론 입력으로 더 잘 유발된다. 더치 롤 주기는 경량 항공기에서는 몇 초, 여객기에서는 1분 이상까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더치 롤 반주기의 평균 지속 시간은 2~3초이다.[2]
더치 롤 동영상
2. 1. 안정성 불균형
항공기 설계에서 더치 롤은 방향 안정성이 수평 안정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항공기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회전 방향으로 측면 미끄러짐이 상대 풍에 도입된다(날개가 수평이 아닐 때 날개의 수평 성분으로 인해). 강한 수평 안정성은 항공기를 수평 비행 상태로 되돌리려 하고, 약한 방향 안정성은 측면 미끄러짐을 수정하려 한다. 특정 항공기의 경우 방향 안정성이 수평 안정성보다 약하기 때문에 복원 요잉 운동은 복원 롤 운동보다 상당히 늦게 나타난다. 항공기는 요잉 운동이 원래 롤 방향으로 계속 진행되는 동안 수평 비행 상태를 통과하며, 이 시점에서 측면 미끄러짐이 반대 방향으로 도입되고 과정이 반전된다.[1]방향 안정성과 수평 안정성 사이에는 상충 관계가 있는데, 수평 안정성이 클수록 스파이럴 안정성이 커지고 진동 안정성은 낮아진다. 반면 방향 안정성이 클수록 스파이럴 불안정성이 커지지만 진동 안정성은 커진다.[1]
항공기가 횡활주를 하면, 안팎 날개의 받음각 차이로 강한 반대 방향의 롤링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횡활주의 원인이 된 기울기는 해소되지만, 여세가 몰려 반대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기울기도 반복되어 좌우로 롤링하는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불안정한 비행 상태를 '''''더치 롤'''''이라고 부른다. 요 안정성에 비해 롤 안정성이 너무 높을 경우, 항공기에서 더치 롤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안정성이 부족한 경우(예: 속도 부족, 고고도에서의 공기 밀도 저하, 항공기 손상) 더치 롤이 현저해질 수 있다. 요 댐퍼를 장착하면 더치 롤에 대한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대로 주익의 부착 위치가 무게 중심보다 높거나 주익의 상반각이 너무 크면 롤 방향의 복원력이 과도해져 더치 롤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고익기 배치 항공기 중에는 롤 안정성이 과잉되지 않도록 주익에 하반각을 부착한 경우도 있다.
후퇴각 날개의 경우, 옆미끄럼을 할 때 옆미끄럼 방향 날개의 기류에 대한 후퇴각이 줄고 반대쪽 날개의 후퇴각이 증가하여, 옆미끄럼 쪽 날개의 양력이 커진다. 이는 상반각과 같은 효과를 내므로, 수직 미익의 면적이 부족하면 더치 롤의 위험성이 있다.
2. 2. 후퇴익의 영향
후퇴익 항공기에서 요잉(yawing)이 발생하면, 한쪽 날개의 후퇴각은 감소하고 반대쪽 날개의 후퇴각은 증가한다. 예를 들어, 항공기가 오른쪽으로 요잉하면, 왼쪽 날개는 상대 풍에 비해 덜 후퇴하게 되고, 오른쪽 날개는 더 후퇴하게 된다.[2]이 때문에 왼쪽 날개는 오른쪽 날개보다 더 많은 양력을 발생시켜 항공기가 오른쪽으로 롤링하게 된다. 이 움직임은 항공기의 요 각도가 수직 안정판이 효과적으로 풍향계 역할을 하여 요잉 동작을 반전시키는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후 항공기가 다시 왼쪽으로 요잉하면, 이번에는 오른쪽 날개가 덜 후퇴하여 더 많은 양력을 발생시키고, 항공기는 왼쪽으로 롤링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더치 롤이 발생한다. 더치 롤 반주기의 평균 지속 시간은 2~3초이다.[2]
텍스 존스턴은 더치 롤을 "후퇴익 항공기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설명하며, 요잉이 시작되면 날개 위 기류 경로가 변경되어 양력 요소가 변한다고 설명한다. 왼쪽으로 요잉하면 왼쪽 날개의 양력이 감소하고, 오른쪽 날개의 양력이 증가하여 왼쪽으로 롤링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요잉하면 오른쪽으로 롤링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동이 발생한다.[2]
횡활주를 할 때도 큰 받음각 차이로 인해 강한 반대 방향의 롤링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좌우로 롤링하는 진동이 반복되는 불안정한 비행 상태인 더치 롤이 발생할 수 있다. 요 안정성에 비해 롤 안정성이 너무 높을 경우, 항공기에서 더치 롤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2. 3. 기타 요인
통상적인 항공기는 뚜렷한 더치 롤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속도 부족, 고고도에서의 공기 밀도 저하, 또는 항공기 손상으로 인해 안정성이 부족한 경우에 현저해질 수 있다. 더치 롤에 대한 안정성은 요 댐퍼를 장착함으로써 개선되며, 반대로 주익의 부착 위치가 무게 중심보다 높은 경우나 주익의 상반각이 너무 큰 경우에는 롤 방향의 복원력이 과잉이 되어 더치 롤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고익기 배치 항공기 중에는 롤 안정성이 과잉이 되지 않도록 주익에 하반각을 부착한 것도 있다.후퇴각 날개의 경우도, 옆미끄럼을 할 때는 옆미끄럼 방향의 한쪽 날개의 기류에 대한 후퇴각이 줄어들고, 반대쪽 날개의 후퇴각이 증가하는 결과가 되므로, 옆미끄럼 쪽 날개의 양력이 커지기 때문에, 상반각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수직 미익의 면적이 부족한 경우에는 더치 롤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3. 방지 및 대응
더치 롤은 항공기 설계에서 방향 안정성이 수평 안정성에 비해 약할 때 발생한다. 항공기가 회전하면 회전 방향으로 측면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강한 수평 안정성은 항공기를 수평으로 되돌리려 하지만 약한 방향 안정성은 이를 늦춘다. 이로 인해 항공기는 요잉 운동이 롤 방향으로 진행되는 동안 수평 비행 상태를 지나치며, 반대 방향으로 측면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과정이 반복된다.[1]
방향 안정성과 수평 안정성은 서로 상충 관계에 있다. 수평 안정성이 크면 스파이럴 안정성은 커지지만 진동 안정성은 낮아지고, 방향 안정성이 크면 스파이럴 불안정성은 커지지만 진동 안정성은 커진다.[1]
일반적인 항공기는 더치 롤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지만, 속도 부족, 고고도에서의 공기 밀도 저하, 항공기 손상 등으로 인해 안정성이 부족해지면 더치 롤이 발생할 수 있다. 요 댐퍼를 장착하면 더치 롤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주익의 부착 위치가 무게 중심보다 높거나 주익의 상반각이 크면 롤 방향 복원력이 과도해져 더치 롤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고익기 항공기 중에는 주익에 하반각을 부착하여 롤 안정성을 조절하기도 한다.
후퇴각 날개는 옆미끄럼 시 한쪽 날개의 후퇴각이 줄고 반대쪽 날개의 후퇴각이 증가하여 양력 차이를 발생시켜 상반각과 같은 효과를 낸다. 따라서 수직 미익 면적이 부족하면 더치 롤 위험이 있다.
조종사는 훈련을 통해 더치 롤을 인지하고 대응해야 한다. 더치 롤은 에일러론이나 러더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비행 테스트 시에는 주로 러더를 조작한다. 러더를 짧게 움직여 특정 각도로 이동 후 중앙으로 되돌리거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반복한다. 일부 대형 항공기는 에일러론 입력이 더 효과적이다. 더치 롤 주기는 경량 항공기는 몇 초, 여객기는 1분 이상까지 다양하다.
텍스 존스턴은 더치 롤이 후퇴익 항공기의 고유한 특성이며, 요잉으로 시작되어 35도 후퇴익 항공기에서는 요잉 방향으로 롤링을 동반한다고 설명한다. 롤링은 날개 위 기류 경로 변화로 양력 요소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왼쪽으로 요잉하면 왼쪽 날개의 양력이 감소하고 오른쪽 날개의 양력이 증가하여 왼쪽 롤링이 발생하며, 오른쪽 요잉은 반대 현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동이 발생한다.[2]
3. 1. 설계적 고려
항공기 설계에서 더치 롤은 방향 안정성이 수평 안정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항공기가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회전 운동 방향으로 측면 미끄러짐이 상대 풍에 도입된다. 강한 수평 안정성은 항공기를 수평 비행 상태로 되돌리려고 하는 반면, 다소 약한 방향 안정성은 측면 미끄러짐을 수정하려 한다. 특정 항공기의 경우 방향 안정성이 수평 안정성보다 약하기 때문에 복원 요잉 운동은 복원 롤 운동보다 상당히 늦게 나타난다. 항공기는 요잉 운동이 원래 롤 방향으로 계속 진행되는 동안 수평 비행 상태를 통과하며, 이 시점에서 측면 미끄러짐이 반대 방향으로 도입되고 프로세스가 반전된다.[1]방향 안정성과 수평 안정성 사이에는 상충 관계가 존재한다. 수평 안정성이 클수록 스파이럴 안정성은 커지지만 진동 안정성은 낮아진다. 반대로 방향 안정성이 클수록 스파이럴 불안정성은 커지지만 진동 안정성은 커진다.[1]
일반적인 항공기는 뚜렷한 더치 롤을 일으키지 않도록 설계되지만, 속도 부족, 고고도에서의 공기 밀도 저하, 또는 항공기 손상으로 인해 안정성이 부족한 경우에 현저해질 수 있다. 더치 롤에 대한 안정성은 요 댐퍼를 장착함으로써 개선할 수 있다. 반대로 주익의 부착 위치가 무게 중심보다 높거나 주익의 상반각이 너무 큰 경우에는 롤 방향의 복원력이 과잉이 되어 더치 롤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고익기 배치 항공기 중에는 롤 안정성이 과잉이 되지 않도록 주익에 하반각을 부착한 것도 있다.
후퇴각 날개의 경우, 옆미끄럼을 할 때 옆미끄럼 방향의 한쪽 날개의 기류에 대한 후퇴각이 줄어들고, 반대쪽 날개의 후퇴각이 증가하여 옆미끄럼 쪽 날개의 양력이 커지기 때문에 상반각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수직 미익의 면적이 부족한 경우에는 더치 롤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3. 2. 조종사의 대처
조종사는 훈련을 통해 더치 롤 현상을 인지하고 대응해야 한다. 더치 롤은 에일러론이나 러더를 사용하여 발생시킬 수 있지만, 비행 테스트를 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러더를 조작한다. 러더를 짧고 날카롭게 움직여 지정된 각도로 이동시킨 후 중앙 위치로 되돌리는 단일 입력 방식, 또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한 쌍으로 하는 이중 입력 방식을 사용한다. 일부 대형 항공기는 에일러론 입력을 통해 더 효과적으로 더치 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치 롤 주기는 경량 항공기의 경우 몇 초, 여객기의 경우 1분 이상까지 다양하다.텍스 존스턴은 더치 롤을 "후퇴익 항공기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설명하면서, 더치 롤이 요잉으로 시작되며, 35도 후퇴익 항공기에서 요잉은 요잉 방향으로의 동시 롤링을 동반한다고 설명한다. 롤링은 날개 위 기류 경로가 바뀌면서 양력 요소가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예를 들어, 왼쪽으로 요잉하면 왼쪽 날개가 뒤로 이동하여 기류가 에어포일 단면 위로의 정상적인 앞뒤 경로에서 벗어나 날개폭 방향으로 바뀐다. 그러면 양력이 감소한다. 동시에 전진하는 오른쪽 날개는 더 많은 코드 방향 흐름을 얻어 양력이 증가한다. 이 두 가지 조건이 결합되어 왼쪽 롤링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으로 요잉하면 오른쪽으로 롤링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동이 발생한다.[2]
4. 명칭의 유래
'더치 롤'이라는 명칭의 정확한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 용어는 비행기의 좌우 비대칭 운동을 묘사하며, 피겨 스케이팅에서 유사한 움직임을 가리키는 데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916년 항공 엔지니어 제롬 C. 훈사커는 "더치 롤 - [비행기의] [수평] 운동의 세 번째 요소는 좌우로 요잉이 결합된 롤링이다. 이 운동은 7~12초 주기로 진동하며, 감쇠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피겨 스케이팅의 '더치 롤' 또는 '아웃 에지'와 유사하다는 것은 분명하다."라고 발표했다.[3]
1916년에 더치 롤은 스케이트의 바깥쪽 날로 반복적으로 좌우로 스케이팅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였다(비행기에 묘사된 움직임과 유사). 1916년까지 이 용어는 스케이팅에서 항공 공학으로 유입되었으며, 아마도 훈사커 본인에 의해서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916년은 G. H. 브라이언이 1911년에 비행기의 수평 운동에 대한 첫 번째 수학적 분석을 수행한 지 불과 5년 후였다.[4]
5. 주요 사고 사례
다음은 더치 롤과 관련된 주요 사고 사례들이다.
- '''보잉 707 시험 비행 중 사고 (1959년)''': 보잉 707 시험 비행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1985년)''': 보잉 747SR 기종이 수직 안정판 손실 등으로 인해 더치 롤 현상을 겪은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 '''에어 트랜셋 961편 사고 (2005년)''': 에어버스 A310 기종이 방향타 구조적 결함으로 더치 롤 현상을 겪은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 '''미 공군 KC-135R 공중 분해 사고 (2013년)''': KC-135R 기종이 방향타 동력 제어 장치 고장으로 더치 롤 현상을 겪은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 '''아구스타웨스트랜드 AW609 추락 사고 (2015년)''': AW609 시제기가 고속 시험 비행 중 더치 롤로 추락한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 '''사우스웨스트 항공 746편 사고 (2024년)''': 보잉 737 MAX 8 기종이 더치 롤 현상을 겪은 사고에 대한 상세 정보는 해당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5. 1. 보잉 707 시험 비행 중 사고 (1959년)
1959년 10월 19일, 보잉 707 시험 비행 중 요 댐퍼를 끈 상태에서 훈련 조종사의 조작 실수로 더치 롤이 심하게 악화되었다. 이로 인해 엔진 4개 중 3개가 날개에서 떨어져 나갔다. 브래니프 항공(Braniff)에 인도될 예정이었던 신형 707-227 ''N7071''기는 워싱턴주 알링턴 북쪽 강바닥에 추락했으며, 탑승자 8명 중 4명이 사망했다.[5][6][19][20]5. 2.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 (1985년)
일본항공 123편 추락 사고는 1985년 8월 12일, 일본항공 123편(보잉 747SR)이 수직 안정판 손실과 유압 장치 손실, 그리고 금속 피로로 인해 제대로 수리되지 않은 후방 압력 격벽 파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다. 이로 인해 더치 롤 현상과 푸고이드 사이클이 결합되어 나타났다.[5] 사고기는 수직 꼬리 날개를 잃어 요 안정성이 손상되었기 때문에 심한 더치 롤에 시달렸으며, 이는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단일 항공기 사고로 기록되었다.5. 3. 에어 트랜셋 961편 사고 (2005년)
2005년 3월 6일, 쿠바 바라데로의 후안 구알베르토 고메스 공항에서 이륙한 에어 트랜셋 961편 (에어버스 A310)은 순항 고도에서 방향타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더치 롤 현상을 겪었다. 항공기는 심각한 구조적 손상을 입었으나, 공항으로 비상 착륙하여 승무원 1명이 경미한 부상을 입는 데 그쳤다.[5]5. 4. 미 공군 KC-135R 공중 분해 사고 (2013년)
2013년 5월 3일, 캔자스주 맥코넬 공군 기지 (미 공군) 소속 KC-135R ''63-8877'' 기종이 워싱턴주 페어차일드 공군 기지 비행 승무원에 의해 조종되다가, 키르기스스탄 마나스 공군 기지에서 이륙한 지 약 11분 만에 공중 분해되어 승무원 3명 전원이 사망했다.[7][8] 이 사고는 방향타 동력 제어 장치 고장으로 인해 더치 롤 진동 불안정성이 발생한 것이 원인이었다. 승무원들은 더치 롤 현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방향타를 사용하여 항로를 유지하려 했고, 이는 오히려 불안정성을 악화시켜 회복 불가능한 비행 상태를 초래했다.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은 꼬리 부분이 분리되었고, 그 직후 나머지 항공기도 산산조각 났다. 항공기는 비슈케크 서쪽 약 200km 지점의 순항 고도에서 키르기스스탄과 카자흐스탄 국경 근처 초르골루 마을 인근 산악 지역에 추락했다.[9][10][11][12]5. 5. 아구스타웨스트랜드 AW609 추락 사고 (2015년)
레오나르도-핀메카니카(Leonardo-Finmeccanica)-헬리콥터 부서(구 아구스타웨스트랜드) AW609 시제기가 2015년 10월 30일 이탈리아에서 시험 비행 중 추락하여 조종사 2명이 사망했다.[13][14] 이탈리아 국립 항공 안전국(Agenzia Nazionale per la Sicurezza del Volo, ANSV)은 고속 시험 비행 중 발생한 더치 롤이 사고의 유력한 원인이라고 밝혔다.[13][14]5. 6. 사우스웨스트 항공 746편 사고 (2024년)
2024년 5월 25일, 피닉스 스카이 하버 국제공항에서 샌프란시스코 베이 오클랜드 국제공항으로 비행하던 사우스웨스트 항공 746편(보잉 737 MAX 8, 등록 번호 N8825Q)이 더치 롤 현상을 겪었다.[15][16][17][18] 비행 후 검사에서 대기 전원 제어 장치(PCU) 손상이 발견되었지만, 승객 175명과 승무원 6명 중 부상자는 없었다.[15][16][17][18]6. 조정 기동
더치 롤은 조종사 훈련에서 "방위를 유지하면서 롤링(rolling on a heading)"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 기동은 에일러론 조작 시 발생하는 반대 방향 에일러론 요를 수정하고, 에일러론과 방향타를 조화롭게 사용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조정 기술은 항공기 코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으면서(또는 요잉) 정확한 방위를 유지하도록 항공기를 롤링하는 방식이다. 요잉 모션은 에일러론 항력으로 인해 에일러론만 사용하여 유도된다. 이때, 양력을 받는 날개(에일러론 다운)는 하강하는 날개(에일러론 업)보다 더 많은 일을 하고 더 많은 항력을 생성하여 양력을 받는 날개를 뒤로 밀어 항공기를 그쪽으로 요잉한다. 롤링 동작에 의해 생성된 이 요잉 효과는 반대 방향 요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에일러론 제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방향타를 적용하여 정확하게 대응해야 한다(왼쪽 스틱, 왼쪽 방향타 - 오른쪽 스틱, 오른쪽 방향타). 이것은 제대로 수행되면 동기화된 제어라고 알려져 있으며, 배우고 잘 적용하기 어렵다. 에일러론과 함께 적용해야 하는 정확한 방향타의 양은 각 항공기마다 다르다.
참조
[1]
서적
Handling the Big Jets: An Explanation of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ying Qualities Between Jet Transport Aeroplanes and Piston Engined Transport Aeroplanes, Together with Some Other Aspects of Jet Transport Handling
https://archive.org/[...]
Air Registration Board
1971
[2]
서적
Tex Johnston: Jet-Age Test Pilot
https://archive.org/[...]
Bantam
1992
[3]
간행물
Dynamical Stability of Aeroplan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4]
서적
Stability in Aviation
https://archive.org/[...]
[5]
ASN accident
[6]
웹인용
Boeing 707 jetliner crashes in Snohomish County, October 19, 1959.
https://www.historyl[...]
HistoryLink
2017-07-23
[7]
ASN accident
63-8877
2014-10-21
[8]
뉴스
Cellphone video may have captured deadly KC-135 crash
http://www.kxly.com/[...]
2013-06-20
[9]
뉴스
Investigation board determines cause of KC-135 crash in May
http://www.af.mil/Ne[...]
2014-03-14
[10]
뉴스
Malfunction, pilot error caused May KC-135 crash
http://www.airforcet[...]
2014-03-13
[11]
뉴스
Tanker's tail separated in flight before Kyrgyzstan crash
http://www.spokesman[...]
2014-03-13
[12]
간행물
U.S. Air Force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Board Report; KC-135R, T/N 63-8877; 22nd Air Refueling Wing McConnell AFB, Kansas; Location: 6 miles S. of Chaldovar, Kyrgyz Republic
http://media.spokesm[...]
2013-12-31
[13]
웹사이트
AgustaWestland: AW609 was performing high-speed tests on day of crash
https://www.vertical[...]
2019-12-28
[14]
문서
Interim Report
http://www.ansv.it/c[...]
[15]
웹사이트
FAA Accident and Incident Notification(s): Notice(s) Created 12-JUN-24
https://www.asias.fa[...]
FAA
2024-06-12
[16]
뉴스
The FAA and NTSB are investigating an unusual rolling motion of a Southwest Airlines Boeing 737 Max
https://apnews.com/a[...]
AP News
2024-06-13
[17]
웹사이트
Accident: Southwest B38M enroute on May 25th 2024, Dutch Roll
https://avherald.com[...]
The Aviation Herald
2024-06-12
[18]
웹사이트
Aviation Investigation Preliminary Report - DCA24LA206
https://data.ntsb.go[...]
NTSB
2024-11-22
[19]
웹사이트
Boeing 707 jetliner crashes near Oso in Snohomish County, killing four crew members and injuring four passengers, on October 19, 1959.
https://historylink.[...]
2019-12-17
[20]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Boeing 707-227 N7071 Arlington, WA
https://aviation-saf[...]
2019-1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