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버스 A31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어버스 A310은 에어버스에서 제작한 중장거리 쌍발 제트 여객기이다. A300의 파생 기종으로 개발되었으며, A300과 동체 단면을 공유하지만 동체 길이를 줄여 최대 275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1983년부터 1998년까지 총 255대가 생산되었으며, A310-200, A310-200C, A310-300 등의 기종이 있다. A310은 여객기 외에도 화물기, 정부 전용기, 군용기로 개조되어 사용되었으며, 2024년 현재 일부 항공사에서 운용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업용 항공기 - 비즈니스 제트기
비즈니스 제트기는 기업 임원, 자산가, 정부 등의 효율적인 이동을 위한 항공기로, 1964년 리어제트 23 양산 이후 터보프롭, 터보제트, 터보팬 엔진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기종이 개발되며 시장이 성장했으나, 최근에는 경제 상황과 환경 규제가 새로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 상업용 항공기 - 에어버스 A340
에어버스 A340은 에어버스가 개발한 4개의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장거리용 광동체 여객기로, A330과 부품을 공유하며, 1987년에 처음 출시되어 377대가 생산되었으나 낮은 연료 효율성으로 2011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 에어버스 항공기 - 에어버스 A340
에어버스 A340은 에어버스가 개발한 4개의 터보팬 엔진을 장착한 장거리용 광동체 여객기로, A330과 부품을 공유하며, 1987년에 처음 출시되어 377대가 생산되었으나 낮은 연료 효율성으로 2011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 에어버스 항공기 - 에어버스 A330neo
에어버스 A330neo는 에어버스의 차세대 광동체 여객기로, 연료 효율을 개선하고 A320neo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A330-800과 A330-900 두 가지 파생 모델이 있고 롤스로이스 트렌트 7000 엔진을 장착한다. - 여객기 - 보잉 767
보잉 767은 1970년대 후반 항공 시장의 운영 비용 절감 요구에 맞춰 개발된 중형 광폭 동체 여객기로, 연료 효율적인 설계, 2인승 조종석, 첨단 항공 전자 장비, 다양한 모델 및 군용 파생형을 특징으로 하며 2027년 말까지 생산될 예정이다. - 여객기 - 포커 100
포커 100은 포커 F28의 후속 기종으로 개발된 107석 규모의 지역 여객기로, 동체와 날개 연장, 롤스로이스 테이 엔진 및 자동화된 조종석을 장착하여 연료 효율성과 조종 편의성을 개선하였으나, 포커 사의 경영 악화로 생산이 중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여러 항공사에서 운용 중이며 다양한 파생 모델이 존재한다.
에어버스 A310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어버스 A310 |
![]() | |
기종 | 광폭동체 항공기 |
제조사 | 에어버스 |
상태 | 제한적 운항 |
주요 사용자 | 마한 항공 |
기타 사용자 | ULS 항공 카고 이란 항공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
생산 대수 | 255대 |
생산 시기 | 1981–1998 |
첫 비행 | 1982년 4월 3일 |
도입 | 1983년 4월 스위스 항공 |
개발 기반 | 에어버스 A300 |
파생형 | 에어버스 A310 MRTT 에어버스 CC-150 폴라리스 |
제원 | |
길이 | 6.95m |
날개 면적 | 260 ~ 219m² |
항속 거리 | 5150 nmi |
추가 정보 | |
기타 운용사 | 이란 에어투어 로열 요르단 항공 (화물) 테헤란 항공 |
2. 개발
에어버스 A310의 개발은 1967년 영국, 프랑스, 서독 정부가 300석 규모의 에어버스 A300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하면서 시작되었다.[1][2][3] A300 개발 중, 더 작은 항공기에 대한 시장 수요가 확인되어 A300B2의 단축형 개발이 모색되었다.[10]
1970년 12월, 유럽 항공기 제조사들은 보잉과 맥도넬 더글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에어버스 인더스트리"를 설립하고 A300을 개발했다. A300의 동체 단축형인 A300B10은 시장 예측과 일치하여 개발이 결정되었고, 주익과 시스템을 A300과 공유하여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자 했다. 그러나 767과의 경쟁을 위해 신기술을 도입하고, 조종사 2명으로 운항 가능한 설계를 채택했다. 이 기체는 A300에서 동체를 10프레임 줄여 A310으로 명명되었다.
1978년 7월 7일, 에어버스는 A310 개발을 공식 결정했고,[17] 프랑스와 서독 정부는 7월 13일 사업을 승인했다. 영국 정부는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BAe) 설립 후 1979년 1월 에어버스 컨소시엄에 합류했다. 초기 설계는 "A300B10MC"로 불렸으며, 220석 규모로 설계되었으나, 작은 동체에 비해 큰 날개와 착륙장치로 인해 불필요한 연료 소모가 예상되었다.[11] 1978년 판보로 에어쇼에서 영국항공(BAe)의 에어버스 인더스트리 재가입 및 A310 개발 참여가 발표되었다.[13]
1978년 4월 하노버 항공쇼에서 에어버스는 A310의 모델을 전시했다. 1978년 3월 15일, 스위스에어가 10대 확보 및 10대 옵션으로 확정 주문을 한 최초의 항공사가 되었고, 루프트한자는 2.4억달러 규모의 10대 항공기 주문을 했다.[13] 당초 에어버스는 지역 항공용 A310-100과 대륙 횡단용 A310-200의 두 가지 버전을 계획했으나, A310-100에 대한 수요 부족으로 더 낮은 총중량 모델 제공을 중단했다.[14]
1982년 4월 3일, A310-200 시제기가 초도 비행을 실시했고,[17] 1983년 4월, 스위스항공이 A310의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 이후 항속거리를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수평 안정판 내부에 연료 탱크를 설치하여 연료 적재량을 늘린 A310-300을 개발했다. A310-300은 1985년 7월 8일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다.
1990년대 초, 에어버스 A330의 도입으로 A310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여 1998년 6월 15일, 마지막 A310이 인도되었다.[18] A310은 A330-200으로 대체되었으며, 1983년부터 1998년 마지막 항공기 생산까지 총 255대의 A310이 인도되었다.[33]
2. 1. 배경
1967년 9월 26일, 프랑스, 서독, 영국 정부는 300석 규모의 에어버스 A300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에 서명했다.[1][2][3] 1969년 4월 10일 영국이 프로젝트에서 철수했지만, 프랑스와 서독은 1969년 5월 29일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이 협력을 통해 '에어버스 A300'이 탄생했는데, 이는 세계 최초의 쌍발 엔진 광폭 동체 여객기였다.[4][5][6][7] A300은 복합재료를 사용하는 등 혁신적인 설계로, 높은 성능과 안전 기준을 인정받아 최초의 ETOPS 준수 항공기가 되었다.[8]A300 개발 과정에서 더 작은 항공기에 대한 시장 수요가 확인되었다. 일부 항공사는 큰 A300을 운용할 만큼 충분한 수요가 없었고, 스위스항공과 루프트한자 등은 더 높은 운항 빈도나 낮은 항공기-거리 비용을 원했다.[10] 이에 에어버스는 A300B2의 단축형 개발을 모색했다.
1970년 12월, 유럽 항공기 제조사들은 보잉과 맥도넬 더글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기업 연합 "에어버스 인더스트리"를 설립하고 A300을 개발했다. 초기에는 판매가 부진했지만, 1977년 40대 주문을 받으며 상황이 호전되었고, 이스트른 항공으로부터 수주를 받으며 미국 시장 진출에도 성공했다.
A300의 동체 단축형인 A300B10은 시장 예측과 일치했다. 동체 연장형에 비해 단축형의 성공 사례는 적었지만, 에어버스는 시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을 결정했다. A300B10은 개발 비용 절감을 위해 주익과 시스템을 A300과 공유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767과의 경쟁을 위해 신기술을 도입하고, 조종사 2명으로 운항 가능한 설계를 채택했다. 이 기체는 A300에서 동체를 10프레임 줄여 A310으로 명명되었다.
A310은 루프트한자 50대, 스위스 국제항공 20대 등 수주를 확보했다. 에어버스는 1978년 7월 7일 A310 개발을 공식 결정했고, 프랑스와 서독 정부는 7월 13일 사업을 승인했다. 이는 767 개발 결정 하루 전이었다.
영국 정부는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BAe) 설립 후 1979년 1월 에어버스 컨소시엄에 합류했다.
2. 2. 설계
에어버스 A310의 초기 설계는 "A300B10MC"로 불렸으며, 이는 개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안된 에어버스 A300의 동체 단축형이었다. A300B10MC는 당시 많은 항공사들이 원했던 220석 규모로 설계되었으나, 작은 동체에 비해 큰 날개와 착륙장치로 인해 불필요한 연료 소모가 예상되었다.[11]1978년 판보로 에어쇼에서 영국 산업부 장관은 영국항공(BAe)이 에어버스 인더스트리에 재가입하여 A310 개발에 참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협상된 합의에 따라 BAe는 에어버스 인더스트리 지분의 20%를 배정받고 "A310의 개발 및 제조에 완전하게 참여"하게 되었다.[13]
영국과의 협상이 장기화되면서, 프랑스 아에로스파시알, 독일 메서슈미트-뵐코우-블롬(MBB), 네덜란드-독일 합작 회사 VFW-폭커도 독자적으로 날개 설계를 연구했다.
2. 3. 프로그램 출시
1978년 4월 하노버 항공쇼에서 에어버스는 A310의 모델을 전시했다. 여객기 객실은 에어버스 A300보다 12프레임 짧았다. 1978년 6월 9일, 스위스에어와 루프트한자는 항공기에 대한 공동 사양을 개발했고, 한 달 안에 발주를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1978년 3월 15일, 스위스에어는 유럽 내 주요 노선에서 맥도넬 더글러스 DC-9을 대체하기 위해 10대의 항공기를 확보하고 추가로 10대를 옵션으로 확보하는 등 해당 기종에 대한 확정 주문을 한 최초의 항공사가 되었다. 루프트한자는 곧 2.4억달러 규모의 10대 항공기 주문을 했으며, 에어프랑스와 이베리아의 추가 주문이 이어졌다.[13]1978년 7월 7일, 에어버스는 A310 생산을 결정했다.[17] 같은 해 후반, 레이커 항공이 A300 10대를 주문하여 에어버스의 영국 주문 요건을 충족했다.[6]
당초 에어버스는 지역 항공용 A310-100과 대륙 횡단용 A310-200의 두 가지 버전을 계획했다. 그러나 1979년, A310-100에 대한 수요 부족에 대응하여 에어버스는 더 낮은 총중량 모델의 제공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결과적으로 이 모델은 한 대도 생산되지 않았다.[14]
2. 4. 운항 시작 및 확대
1982년 4월 3일, A310-200 시제기가 초도 비행을 실시했다.[17] 이 기종은 이미 전 세계 15개 항공사로부터 181대의 주문과 옵션을 확보한 상태였다. 1983년 4월, 스위스항공이 A310의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17] 루프트한자는 1983년 4월 10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슈투트가르트 및 런던을 잇는 2개 노선에 A310을 취항시켰다.[66] 스위스항공도 같은 달 21일에 A310의 상업 운항을 시작하여 취리히와 제네바에서 런던, 파리, 프랑크푸르트를 잇는 각 노선에 취항했다.A310은 루프트한자와 스위스 항공 외에도 KLM, 사베나 항공, 에어프랑스 등 유럽 항공사에서 채용되어 유럽 내 노선뿐만 아니라 유럽과 북아프리카, 중동을 잇는 노선에도 취항했다. 유럽 외 지역에서는 쿠웨이트 항공이 처음으로 A310을 도입했으며, 1983년 9월 첫 인도가 이루어졌다. 이후 키프로스 항공, 알제리 항공, Nigeria Airways|나이지리아 항공영어 등에서도 도입되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항공이 처음으로 A310을 도입하여 아시아 노선을 중심으로 운항했고, 이어 중국민용항공국에도 인도되었다.
1985년 5월, 팬암이 미국 항공사로는 처음으로 A310을 도입했다.
2. 5. 발전형 A310-300 개발
이중 엔진 항공기의 운항 경로 제한 완화가 검토되고, 항공사들이 항속거리를 중시하는 경향에 따라 에어버스는 A310-300을 개발했다. A310-300은 수평 안정판 내부에 연료 탱크를 설치하여 연료 적재량을 늘렸다. 또한, 수직 꼬리날개와 주익의 연료 탱크 사이에서 연료를 이동시켜 기체의 무게중심 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탑재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기체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트림 저항을 최소화하여 운항 경제성을 향상시켰다. 연료를 이동하여 트림 조정을 하는 기술은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Concorde)에서 개척된 것으로, 수평꼬리날개 안에 연료 탱크를 설치하여 무게중심을 제어한 여객기는 A310-300이 처음이었다.
A310-300은 기체 크기는 A310-200과 동일하며, 항속거리를 늘리기 위해 수평 안정판 내부에도 연료 탱크를 설치하여 연료 적재량을 늘렸다. 또한, 수직 꼬리날개와 주익의 연료 탱크 사이에서 연료를 이동시켜 기체의 무게중심 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탑재되었다. 이 시스템을 통해 기체의 자세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한 트림 저항을 최소화하여 운항 경제성을 향상시켰다. 연료를 이동하여 트림 조정을 하는 기술은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에서 개척된 것으로, 수평꼬리날개 안에 연료 탱크를 설치하여 무게중심을 제어한 여객기는 A310-300이 처음이었다. 더불어 연료 적재량을 늘리는 옵션으로 LD-3 화물 컨테이너 2개 분의 크기로 화물칸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계된 보조 중앙 탱크(Auxiliary Center Tanks, 이하 ACT)가 준비되었다.
A310-200에서는 2차 구조 부재로 사용되었던 복합 재료의 적용 범위가 A310-300에서는 더욱 확대되어, 양산 여객기로는 처음으로 수직 안정판의 1차 구조 부재에도 CFRP가 사용되어 기체의 경량화가 이루어졌다. 그 외 A310-300에는 주익의 날개 끝 소용돌이를 억제하여 양항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날개 끝에 화살촉 모양의 판인 윙팁 펜스가 추가되었고, 이후 A310-200에도 윙팁 펜스 추가 개조가 이루어졌다. 엔진은 A310-200과 마찬가지로 롤스로이스(Rolls-Royce), 프랫 앤 휘트니(P&W), 제너럴 일렉트릭(GE)사의 제품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지만, 롤스로이스 엔진을 선택한 주문은 없었다.
A310-300 1호기는 JT9D 엔진 장착 사양으로 1985년 7월 8일에 초도 비행을 실시했다. 같은 해 12월 5일에 A310-300으로서 최초의 형식 인증을 취득하고, 17일에는 스위스 항공에 최초로 인도되어 상업 운항이 시작되었다. 또한 A310-300에는 P&W사의 신형 엔진인 PW4000 시리즈를 장착한 모델도 등장하여 1987년 5월 27일에 형식 인증을 취득했다.
A310-300 개발과 같은 시기에 규제 당국, 항공기 제작사, 항공사 등에 의해 이중 엔진 항공기의 장거리 운항을 허용하는 조건이 정리되어 1985년에 ETOPS라는 규격이 제정되었다.[69] 당시 ETOPS 인증을 받으려면 일정 시간 이상의 비행 실적이 필요했고, 1986년 4월 10일에 A310으로 최초의 120분 ETOPS(운항 경로 중 120분 이내에 착륙 가능한 공항이 있으면 된다)가 인정되었다. 항속거리가 늘어난 것과 ETOPS 요건을 충족함으로써 A310은 대서양 횡단 노선과 같은 장거리 해상 노선이나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대륙 횡단 노선에도 취항할 수 있게 되었다. 팬 아메리칸 항공(Pan American World Airways)과 오스트리아 항공은 유럽과 미국을 잇는 북대서양 횡단 항로에 A310을 투입했다. 또한, 터키 항공과 오스트리아 항공은 각각 터키, 오스트리아와 일본을 잇는 장거리 국제선에도 A310-300을 취항시켰다.
2. 6. 이후의 전개
1990년대 초, A310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당시 더 새롭고 발전된 에어버스 A330이 도입되면서 1990년대 후반에는 새로운 A310 여객기 주문이 없었다. 1998년 6월 15일, 마지막 A310(제작번호 706, 등록번호 UK-31003)이 우즈베키스탄항공에 인도되었다.[18] A310은 A300과 함께 2007년 7월 공식적으로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이라크항공의 A310 5대 주문은 2008년 7월까지 남아 있었다. 남은 화물기 판매는 새로운 A330-200F로 대체되었다.[19]A310은 개발도상국 항공사들이 광동체 항공기를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이 여객기는 에어버스의 A330-200으로 대체되었는데, 이 기종은 동체 단면을 공유한다. 1983년부터 1998년 마지막 항공기 생산까지 총 255대의 A310이 인도되었다.[33] A300과 A310은 에어버스를 보잉의 경쟁자로 자리매김하게 했으며, A320, A330/A340 계열 개발을 가능하게 했다.
현재, 37대의 A310이 상업 운항 중이다. 주요 운영업체는 각각 9대의 항공기를 보유한 에어 트랜삿과 마한항공, 페덱스 익스프레스(6대)이며, 나머지 7개 항공사가 13대의 항공기를 운영하고 있다.[20]
캐나다 왕립 공군(RCAF)은 현재 5대의 에어버스 CC-150 폴라리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항공기는 원래 워데어 소유였고, 이후 항공사 합병 후 캐나다 항공이 소유했던 민간 에어버스 A310-300을 캐나다 정부에 매각하여 장거리 수송기로 개조한 것이다.
3. 디자인
에어버스 A310은 중장거리 쌍발 엔진 광폭동체 제트 여객기였다. 초기에는 A300의 파생 기종으로, 'A300B10'으로 지정되었다. 동체는 A300과 동일한 단면을 가졌지만, A300보다 짧아 일반적으로 최대 20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 후방 동체는 재설계되어 개선된 테이퍼링을 특징으로 했고, 추가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후방 격벽을 뒤로 이동시켰다.[24] A310은 앞쪽 두 개, 뒤쪽 두 개의 주출입문과 날개 위에 두 개의 작은 문으로 구성된 다른 비상구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A310의 날개는 재설계되어 날개폭과 날개 면적이 줄어들었고,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가 설계한 단일 슬롯 플라워 플랩을 통합했다.[24] 1985년부터 A310-300은 익단 펜스를 도입하여 와류 항력을 줄이고 순항 연료 소비량을 1.5% 이상 개선했다.[21]
A310에는 표준으로 2인 조종 유리 조종석 구성이 장착되어 항공기술사가 필요 없었다. 에어버스는 이 개념을 "전방 조종석"이라고 불렀다.[6] 기존의 아날로그 계기 대신 6개의 컴퓨터 기반 브라운관(CRT) 디스플레이를 장착했다.
A310은 처음에 제너럴 일렉트릭 CF6-80A1, 프랫 앤 휘트니 JT9D-7R4D1, 롤스로이스 RB211-524의 세 가지 엔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22] 이후에는 53500lbf CF6-80C2A2 또는 52000lbf PW4152가 사용 가능해졌고, 1991년 후반부터는 더 높은 추력의 59000lbf CF6-80C2A8 또는 56000lbf PW4156A가 사용 가능해졌다.[23]
A310의 동체 단면은 A300과 공통이므로, 객실 내의 폭, 높이, 그리고 좌석 배치 등도 기본적으로 변함없고, LD-3 항공 화물 컨테이너를 횡으로 2열로 수납 가능한 바닥 아래의 화물실도 계승되었다.
4. 기체의 특징
에어버스 A310은 중장거리 쌍발 엔진 광폭동체 제트 여객기이다. 초기에는 A300의 파생 기종으로 'A300B10'으로 지정되었다. A310은 A300보다 짧은 동체를 가졌지만,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최대 20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 후방 동체는 재설계되어 테이퍼링이 개선되었고, 후방 격벽을 뒤로 이동시켜 추가 용량을 확보했다. 이러한 설계 변경은 이후 A300-600 및 A330/A340 동체에도 적용되었다.[24] A310은 앞쪽 두 개, 뒤쪽 두 개의 주출입문과 날개 위에 두 개의 작은 비상구를 가진다.
A310의 날개는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가 설계한 단일 슬롯 플라워 플랩을 통합하여 재설계되었으며, 날개폭과 날개 면적이 줄어들었다.[24] 또한, 바깥쪽 에일러론이 제거되고 전기 작동식 스포일러가 추가되었다. 날개는 모든 유형의 엔진을 지원할 수 있는 공통 파일런을 특징으로 한다.[24] 1985년부터 A310-300은 익단 펜스를 도입하여 와류 항력을 줄이고 순항 연료 소비량을 1.5% 이상 개선했다.[21] 수평꼬리면 크기도 줄어들었다.[24]
A310에는 표준으로 2인 조종 유리 조종석 구성이 장착되어 항공기술사가 필요 없었다. 에어버스는 이 개념을 "전방 조종석"이라고 불렀다.[6] 조종석에는 6개의 컴퓨터 기반 브라운관(CRT)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중앙 집중식 항법, 경고, 모니터링 및 일반 비행 정보를 제공했다. 이는 다양한 현대 전자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었다.[6] 동일한 조종석이 A300-600에 통합되어 두 유형 간의 공통성을 높였다. 조종석 내에는 3, 4번째 승무원 좌석을 마련할 수 있었다.[6]
A310은 처음에 제너럴 일렉트릭 CF6-80A1, 프랫 앤 휘트니 JT9D-7R4D1, 롤스로이스 RB211-524의 세 가지 엔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22] 이후 53500lbf CF6-80C2A2 또는 52000lbf PW4152가 사용 가능해졌고, 1991년 후반부터는 더 높은 추력의 59000lbf CF6-80C2A8 또는 56000lbf PW4156A가 사용 가능해졌다.[23]
A310에는 A300에서 파생된 수정된 랜딩 기어와 표준으로 장착된 탄소 브레이크가 장착되었다.[24] 항공기 구조는 이전 A300보다 높은 수준의 복합재료를 사용했고, 통합 구동 전기 발전기와 개선된 보조 동력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24]
A310 시리즈는 여객기인 A310-200, 겸용기인 A310-200C, 장거리형인 A310-300 순서로 개발되었다. 또한, 화물 전용기 개조기 외에 정부 또는 군용으로 다목적 수송기, 다목적 공중급유기 등도 제작되었다.
A310의 기종명은 탑재 엔진에 따라 아래 두 자리가 세분화되어 있다. 롤스로이스 엔진 사양은 계획되었지만, 실제로는 생산되지 않았다.
기종 | 엔진 | 형식 증명 취득 | 120분 ETOPS†1 | 180분 ETOPS†1 |
---|---|---|---|---|
A310-203 | GE CF6-80A3 | 1983년 3월 11일 | 1986년 4월 10일 | 1990년 7월 27일 |
A310-203C | GE CF6-80A3 | 1984년 11월 27일 | N/A | N/A |
A310-204 | GE CF6-80C2A2 | 1986년 4월 23일 | 1987년 9월 14일 | 1990년 7월 27일 |
A310-221 | P&W JT9D-7R4D1 | 1983년 3월 11일 | 1986년 4월 10일 | 1990년 7월 27일 |
A310-222 | P&W JT9D-7R4E1 | 1983년 9월 22일 | 1986년 4월 10일 | 1990년 7월 27일 |
A310-304 | GE CF6-80C2A2 | 1986년 3월 11일 | 1987년 9월 14일 | 1990년 7월 27일 |
A310-308 | GE CF6-80C2A8 또는 GE CF6-80C2A2 | 1991년 6월 5일 | N/A | 1991년 9월 3일†2 |
A310-322 | P&W JT9D-7R4E1 | 1985년 12월 5일 | 1986년 4월 10일 | 1990년 7월 27일 |
A310-324 | P&W PW4152 | 1987년 5월 27일 | 1989년 10월 30일 | 1991년 9월 3일 |
A310-325 | P&W PW4156A | 1992년 3월 6일 | N/A | 1992년 3월 11일 |
colspan=5 style="text-align:left; font-size:90%;" | |
4. 1. 형상 및 구조
A310은 후퇴각이 있는 주 날개를 저익으로 배치한 단엽기이다. 좌우 주 날개 하부에 고바이패스비 터보팬 엔진을 각각 1기씩 장착하며, 수평미익과 수직미익은 동체 후부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수직미익은 A300에서 계승되었지만, 수평미익은 재설계되어 날개폭이 4%, 면적이 8% 감소했다. 동체는 A300과 동일한 단면을 사용하며, 총 13개 프레임만큼 단축되어 전장은 46.66m이다. 착륙장치는 전륜식 배치이며,[71] 전방에 바퀴 2개, 주 차륜에 바퀴 4개가 있다.[72]


A310의 주 날개 에어포일은 A300의 리어 로딩 에어포일을 개량하여 충격파 발생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 날개 후반부에서 얻는 양력이 커졌다. 익형비는 날개뿌리에서 가장 크고 날개 끝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복잡한 표면 형상이다. A300과 날개폭은 비슷하지만, 종횡비가 크고 가늘고 긴 날개이다. 고양력장치는 전연에 슬랫과 크루거 플랩, 후연에 외익부 1매식 파울러 플랩, 내익부 베인이 있는 더블 슬롯 플랩을 갖추고 있으며, 플랩 작동 트랙 레일의 페어링은 4개이다. 후연 플랩 사이 전속도 에일러론, 날개 하나당 7개의 스포일러가 있다. 스포일러는 에어브레이크와 그라운드 스포일러 역할을 하며, 바깥쪽 3개는 롤 조종에도 사용된다. A310-300은 날개 끝 와류 제어를 위해 윙팁 펜스라는 화살촉 모양의 작은 판이 날개 끝에 추가되었고, A310-200에서도 추가 개조된 기체가 등장했다.
A310은 2차 구조 부재로 CFRP, GFRP, 아라미드 섬유(케블라) 강화 복합 플라스틱(AFRP)이 사용된다. CFRP는 방향타, 승강타, 착륙장치 수납문, 캐빈 바닥 지지재, GFRP는 수직 안정판 전연과 후연, 수평 안정판 날개 끝 부분, 기수 레이돔, AFRP는 주익 트랙 페어링이나 파이론 커버 일부 등에 사용된다. A310-300부터 수직미익 1차 구조 부재로도 CFRP가 채택되었다. 주익 연료 탱크 액세스 패널[73], 엔진 고온 공기 통과 덕트에는 티타늄 합금이 사용된다.

A310 조종실은 CRT 디스플레이에 계기 정보를 표시하는 글래스 칵핏(유리 조종석)이다. 시스템 일부가 디지털화되어 컴퓨터로 작업이 부분 자동화되었고, CRT 디스플레이로 정보 표시와 입력 인터페이스가 통합·단순화되어 승무원 작업 부담을 줄이고 기장, 부기장 2명 운항이 가능하다. A300-600은 A310과 거의 동일한 조종석을 가지며, 조종사 자격도 양 기종 공통이다.
조종석 CRT 디스플레이는 좌우 조종석에 각각 2면, 중앙 2면, 총 6면 배치되어 조종석 측 디스플레이에 비행·항법 정보, 중앙 디스플레이에 연료, 유압, 공조 등 모니터링 정보가 표시된다. 엔진 관련 계기는 당시 법규 준수를 위해 전면 콘솔 중앙에 기존 다이얼식 계기가 남아있다.
주익 동익(슬랫, 플랩, 스포일러) 조종에는 전기 신호로 명령을 전달하는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fly-by-wire)이 도입되어 좌우 날개에서 별도 전개 가능한 스포일러는 롤 운동 제어에도 사용된다. 경고 시스템에는 전자식 중앙화 항공기 모니터가 채택되어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A310 객실은 A300과 거의 같은 너비와 높이로, 통로가 두 개 있으며, 일반 이코노미석은 2-4-2의 8어브레스트 배열이다. 캐빈 길이는 33.24m이며, 에어버스는 표준 좌석 수를 2클래스 구성 시 205~234석, 퍼스트클래스 포함 3클래스 구성 시 187석을 제시했다. 3-3-3의 9어브레스트 배열도 가능하며, 단일 클래스로 좌석 간 간격을 줄이면 약 280석까지 설치할 수 있다. 머리 위 수하물칸은 창가 쪽과 중앙 좌석 블록에 설치되어 있다. 수하물칸 하단에는 홈 모양 손잡이가 설치되어 통로 이동 승객이 다른 사람 좌석 등받이를 잡지 않고도 몸을 지탱할 수 있다. 객실 문은 한쪽에 3곳씩 설치되어 객실 앞뒤에 승하차용 문, 주익 위쪽에 비상구가 있다.

동체 하부에는 LD-3 항공화물 컨테이너 2개 탑재 가능 화물칸이 설치, 후미에는 벌크 화물 탑재 공간이 있다. 화물칸은 주익 부착부를 사이 전방·후방으로 나뉘며, 전방에 컨테이너 8개, 후방에 6개까지 탑재 가능. 벌크 화물 공간에 컨테이너 1개 탑재 옵션도 제공되었다. 컨테이너용 화물 문은 우현 하부 전방·후방에 설치, 후방에 벌크 화물용 문도 있다.
4. 2. 비행 시스템
A310의 조종실은 계기 정보를 컬러 CRT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유리 조종석이다.[59] A310의 시스템은 일부 디지털화되어 컴퓨터에 의해 작업이 부분적으로 자동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CRT 디스플레이에 의한 통합적인 정보 표시와 입력 인터페이스의 통합·단순화에 따라 승무원의 작업 부담을 줄이고 기장과 부기장 2명으로 운항이 가능하다.[6] A310에 이어 개발된 A300-600은 A310과 거의 동일한 조종석을 가지고 있으며, 조종사의 조종 자격도 양 기종에서 공통화되어 있다.조종석의 CRT 디스플레이는 좌우 조종석에 각각 2개, 중앙에 2개로 총 6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조종석 측 디스플레이에는 비행 정보와 항법 정보가 표시되고, 중앙 디스플레이에는 연료, 유압, 공조 등의 모니터링 정보가 표시된다.[6] 엔진 관련 계기는 당시 법규 준수를 위해 전면 콘솔 중앙에 기존의 다이얼식 계기가 남아있다.[6]
슬랫, 플랩, 스포일러와 같은 주익 동익의 조종에는 전기 신호로 명령을 전달하는 전자식 비행 제어 시스템(fly-by-wire)이 도입되어 좌우 날개에서 별도로 전개 가능한 스포일러는 롤 운동 제어에도 사용된다.[59]
경고 시스템에는 전자식 중앙화 항공기 모니터를 채택하여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해졌다.
4. 3. 객실 및 화물실
A310의 객실은 동체 단면을 공유하는 A300과 거의 같은 너비와 높이를 가지며, 통로가 두 개 있다. 일반적인 이코노미석은 2-4-2의 8열 배열이다.[74] 객실 길이는 33.24미터이며, 에어버스가 제시한 표준 좌석 수는 2클래스 구성 시 205~234석, 퍼스트클래스를 포함하는 3클래스 구성 시 187석이다.[74] 3-3-3의 9열 배열도 가능하며, 단일 클래스로 좌석 간 간격을 줄이면 약 280석까지 설치할 수 있다.[74]머리 위 수하물칸은 창가 쪽과 중앙 각 좌석 블록에 설치되어 있다. 수하물칸 하단에는 홈 모양의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통로를 이동하는 승객이 다른 사람의 좌석 등받이를 잡지 않고도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객실 문은 한쪽에 3곳씩 설치되어 있으며, 객실 가장 앞과 뒤에 승하차용 문, 주익 위쪽에 비상구가 있다.
동체 하부에는 LD-3 항공화물 컨테이너를 2개 나란히 탑재할 수 있는 화물칸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미에는 벌크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74] 화물칸은 주익 부착부를 사이에 두고 전방과 후방으로 나뉘어 있으며, 전방 화물칸에는 컨테이너를 8개, 후방 화물칸에는 6개까지 탑재할 수 있다.[74] 또한, 벌크 화물 공간에 컨테이너를 1개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도 제공되었다. 컨테이너용 화물 문은 우현 하부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후방에 벌크 화물용 문도 설치되어 있다.
5. 시리즈 구성
A310은 중장거리 쌍발 엔진 광폭동체 제트 여객기로, 초기에는 A300의 파생 기종 (A300B10)이었다. 동체는 A300보다 짧아져 최대 200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었고, 후방 동체는 재설계되어 개선된 테이퍼링을 갖추고 추가 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후방 격벽을 뒤로 이동시켰다. 이러한 설계 변경은 이후 A300-600 및 A330/A340 동체에도 적용되었다.[24] 비상구는 앞쪽 두 개, 뒤쪽 두 개의 주출입문과 날개 위에 두 개의 작은 문으로 구성되었다.
A310의 날개는 브리티시 에어로스페이스가 설계한 단일 슬롯 플라워 플랩을 통합하여 재설계되었고, 날개폭과 날개 면적이 줄어들었다.[24] 바깥쪽 에일러론 제거, 전기 작동식 스포일러 추가, 모든 유형의 엔진을 지원할 수 있는 공통 파일런을 특징으로 했다.[24] 1985년부터 A310-300은 익단 펜스를 도입하여 와류 항력을 줄이고 순항 연료 소비량을 1.5% 이상 개선했다.[21]
A310에는 2인 조종 유리 조종석 구성이 표준으로 장착되어 항공기술사가 필요 없었다. 에어버스는 이 개념을 "전방 조종석"이라고 불렀다.[6] 6개의 컴퓨터 기반 브라운관(CRT) 디스플레이를 통해 중앙 집중식 항법, 경고, 모니터링 및 일반 비행 정보를 제공했다.[6] 동일한 조종석이 A300-600에 통합되어 두 유형 간의 공통성을 높였으며, 이는 나중에 많은 에어버스 항공기에 사용되었다. 조종석 내에는 3, 4번째 승무원 좌석도 마련되었다.[6]
A310은 처음에 제너럴 일렉트릭 CF6-80A1, 프랫 앤 휘트니 JT9D-7R4D1, 롤스로이스 RB211-524의 세 가지 엔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22] 이후 53500lbf CF6-80C2A2 또는 52000lbf PW4152가 사용 가능해졌고, 1991년 후반부터는 더 높은 추력의 59000lbf CF6-80C2A8 또는 56000lbf PW4156A가 사용 가능해졌다.[23]
A310에는 A300에서 파생된 수정된 랜딩 기어와 탄소 브레이크가 장착되었다.[24] 또한, 이전 A300보다 높은 수준의 복합재료를 사용했고, 개선된 보조 동력 장치가 장착되었다.[24]
A310은 중거리형 -200과 장거리형 -300의 두 가지 기본 모델로 제공된다. 처음 개발된 모델은 -200이었지만, 이후 -300이 표준 생산 모델이 되었다. 단거리형 -100 모델은 수요 부족으로 개발되지 않았다. A310-300F는 A310의 화물기 버전으로, 페덱스와 같은 운영업체들은 대개 -300 버전을 기반으로 개조된 기존 여객기 A310을 도입했다. A310-300F는 새로 생산된 화물기는 없었다.
5. 1. A310-200
A310 시리즈에서 처음 개발된 모델로, 루프트한자와 스위스 항공에 의해 1983년 4월에 첫 취항했다[70] . 엔진은 GE사의 CF6 시리즈 또는 P&W사의 JT9D 시리즈를 장착한다. A310-200은 단거리 및 중거리 노선용으로 개발되었으며, 취항 초기에는 유럽 각국을 잇는 노선이나 유럽과 중동·북아프리카를 잇는 노선 등에 사용되었다. 이후 아시아 및 미국 등의 항공사에서도 도입되었고, ETOPS 인증 발급과 더불어 장거리 해상 노선 취항 사례도 나타나게 되었다.[70]

생산 라인에서 162번째로 제작된 최초의 A310은 1982년 4월 3일 프랫 앤드 휘트니 JT9D-7R4D1 엔진을 장착하고 첫 비행을 했다. -200 기종은 1년 후 스위스 항공과 루프트한자에 취항했다. 후기형 -200 기종에는 -300 기종과 동일한 날개 펜스가 장착되었다. 처음 세 대의 A310에는 처음에는 외측 에일러론이 장착되었지만, 테스트 결과 불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어 나중에 제거되었다.[25] A310-200의 생산은 1988년에 종료되었다.
5. 2. A310-200C
A310-200C는 주 갑판에 여객과 화물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여객/화물 겸용 항공기이다. 동체 좌측 전방 승객 탑승구와 주 날개 사이에 대형 화물 문이 있다.[26] 마르티나이르 항공(Martinair)의 주문으로 생산되었으며, 1984년 11월 27일에 형식 인증을 받았다.[26] 처음부터 겸용기로 제작된 것은 1대뿐이지만, 여객기에서 개조된 기체도 있다.[26]
5. 3. A310-300
A310-200과 크기는 동일하지만 항속거리를 연장한 발전형으로, 1985년 12월 스위스 항공이 처음으로 운항을 시작했다.[24] 수평 안정판 내부에 연료 탱크를 설치하고, 주익 탱크와 연료를 이동시켜 항공기 중심 위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여객기로서는 처음으로 채택했다. 익단 펜스를 도입하여 와류 항력을 줄이고 순항 연료 소비량을 1.5% 이상 개선했다.[21] 엔진은 GE사의 CF6 시리즈 또는 프랫 & 휘트니사의 JT9D 시리즈를 장착했고, P&W사의 PW4000 시리즈 장착 사양도 개발되었다.[22][23]
1985년 7월 8일에 첫 비행을 한 A310-300은 −200과 크기가 동일하지만, 중앙 및 수평 안정판(트림 탱크) 연료 탱크 추가로 최대 이륙 중량(MTOW)과 항속거리가 증가되었다. 이 모델은 공기역학적 효율을 향상시키는 날개 끝 펜스를 도입했으며, 이 기능은 이후 일부 −200에도 추가되었다. 1986년 스위스 항공에서 운항을 시작했다. A310-300에는 비행 중에 항공기를 트림할 수 있는 컴퓨터 제어 연료 분배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으며, 중력 중심 제어 컴퓨터(Centre of Gravity Control Computer)에 의해 제어되는 최대 5000kg의 연료를 수평 안정판 탱크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최적화한다.
5. 4. A310-200F/-300F
메인 데크에 화물을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된 화물 전용기이다. 에어버스는 A310 화물 전용기 생산을 준비했지만, 처음부터 화물기로 주문·생산된 기체는 없고, 현재 운용되고 있는 화물기는 여객기 개조기이다.[28] 형식명 A310-200F, -300F는 개조 원형이 된 여객기 형식명의 끝에 각각 "F"를 붙인 것이다. A310-200C와 마찬가지로 좌현 앞쪽에 대형 화물 문이 설치되었고, 메인 데크 바닥 등이 강화되었으며 연기 감지 및 화재 감지 장치가 추가되었다. 또한, 이 형식에서는 대부분의 객실 창문이 막혀 있고, 후방 승강문도 폐쇄되어 있다. 화물칸 사양은 A310-200F와 -300F가 거의 동일하며, 메인 데크 화물칸에는 2.23m×3.17m의 화물 팔레트 또는 컨테이너를 16개 탑재할 수 있다. 화물기 개조 사업은 DASA사가 담당했으며, 1994년 7월에 A310-200에서 개조된 최초의 A310-200F가 페덱스에 인도되었다. A310-300F도 페덱스의 주문에 따라 개조되었으며, 기본 여객기의 성능을 계승하여 A310-200F보다 최대 이륙 중량과 항속 거리가 크다.
A310-200F 화물기는 39ton의 화물을 5950km까지 운송할 수 있다.[27]
5. 5. 정부 전용기, 군용기, 과학 실험기
A310은 정부 전용기나 군용기 등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조되어 활용되었다. VIP 수송, 병력 및 물자·장비 수송, 의료 구조 등 다목적 임무를 수행했으며, 공중급유 설비를 추가한 다목적 공중급유기 A310 MRTT도 개발되었다.
'''A310 MRTT'''는 여객기를 개조한 기체로, 정부 및 군 VIP 수송, 병력 및 물자·장비 수송, 의료 구조, 공중급유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메인 데크에는 대형 화물 문 등 군용 물자 및 장비 탑재 설비를 갖추고 있다. 전후방 바닥 아래 화물칸에는 연료 탱크를 추가하여 다른 기체에 급유하거나 자체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공중급유용 암(arm)이 달린 급유구는 좌우 주익 하부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급유 시스템 조종석은 조종석 뒤에 위치한다. A310 MRTT 개조는 에어버스 자회사인 EADS EFW사와 루프트한자 항공의 자회사인 루프트한자 테크닉사의 공동 사업으로 진행되었다. A310 여객기에서 개조된 최초의 기체는 2004년 3월 시험 비행을 거쳐, 같은 해 9월 독일 공군과 캐나다 공군에 각각 최초로 인도되었다.
'''A310 ZERO-G'''는 포물선 비행을 통해 미소 중력 환경을 조성하는 과학 실험기이다.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 센터 산하 노바스페이스(Novespace)사가 운용하며, 정부 전용기로 운용되던 A310-300을 기반으로 한다. 2014년 6월 노바스페이스가 구입하여 루프트한자 테크닉사에서 개조 작업을 진행했으며, 2015년 5월 8일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6. 운용의 특징
A310은 총 255대가 제작되어 인도되었다.[33] 과거 A310은 유럽, 미국, 중동의 항공사를 중심으로 도입되었으며, 신규 항공기를 10대 이상 도입한 항공사는 싱가포르항공(23대), 루프트한자(20대), 팬암(18대), 터키항공(14대), 워데어(12대), 에어프랑스(11대), 쿠웨이트항공(11대), KLM(10대)이었다. 스위스항공은 A310-200과 A310-300의 론치 고객이었지만, 1996년 사베나 항공과의 제휴 이후 경영 악화로 2001년에 경영 파탄을 맞았다.[77][78] 이로 인해 A310 도입 대수는 총 9대에 그쳤다. 페덱스는 중고 A310을 대량 구매하여 2008년부터 2009년에 걸쳐 운용 대수가 70대(A310-200F 49대, A310-300F 17대, 여객기 A310-300 4대)에 달하며 최대 운용사가 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A310을 주문하는 항공사가 없었다. A310이 개발될 당시, 직접적인 경쟁 기종인 767이 개발되었고, 767은 등장 직후인 1980년대 초부터 일본에서 빠르게 도입되었다.[79] 당시 도입 기종 후보에 A310도 포함되었지만, 일본 항공사가 767을 선택한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일본 항공 산업계가 767의 개발 및 제작에 참여했기 때문이다.[79][80]
2018년 7월 기준, 31대의 A310이 운용 중이다. 운용 대수가 가장 많은 여객 항공사는 이란의 마한항공(9대)이며, 다음으로 캐나다의 에어 트랜삿(7대)이다. 현재 운용 중인 여객기는 A310-300뿐이다. A310-200 여객기는 2013년 시점에서 마지막 1대가 요르단 항공에서 운용되었지만, 2014년에 퇴역했다. 화물 항공사에서는 페덱스 익스프레스가 4대를 운용하고 있다.
2018년 말 기준, 정부 전용기/군용기로 A310의 파생형을 운용하고 있는 국가는 프랑스 공군, 독일 공군, 캐나다 공군이다. 이 중 독일 공군의 4대와 캐나다 공군의 2대는 MRTT이고, 나머지는 수송기 사양(VIP 수송, 병력/장비 수송 등)이다. 특히 캐나다 공군의 A310은 CC-150 폴라리스로 명명되어 있다.
7. 주요 제원
A310-200 | A310-200F | A310-300 | A310-300F | |
---|---|---|---|---|
운항 승무원 수 | 2명 | |||
표준 좌석 수 (2클래스) | 220석 | N/A | 220석 | N/A |
표준 좌석 수 (1클래스) | 237석 | N/A | 243석 | N/A |
착륙장치 휠베이스 | 15.22m | |||
동체 길이 | 46.66m | |||
동체 너비 | 43.9m | |||
동체 높이 | 15.81m | |||
주익 면적 | 219m2 | |||
동체 직경 | 5.64m | |||
화물칸 용적 | 112.2m3 | |||
객실 너비 | 5.29m | N/A | 5.29m | N/A |
객실 길이 | 33.25m | N/A | 33.25m | N/A |
자체중량 (ZFW) | 108500kg - 112000kg | 113000kg - 116500kg | ||
최대이륙중량 (MTOW) | 125000kg - 144000kg | 134000kg - 164000kg | ||
이륙 활주거리 | 2410m | |||
최대 순항 속도 | 마하 0.84 | |||
항속거리 | 6940km | 5735km | 9600km | 8050km |
엔진 (x2) | 제너럴 일렉트릭 CF6-80A3, 제너럴 일렉트릭 CF6-80C2, 프랫 & 휘트니 JT9D-7R4D1, 프랫 & 휘트니 JT9D-7R4E1 | 제너럴 일렉트릭 CF6-80C2, 프랫 & 휘트니 JT9D-7R4E1, 프랫 & 휘트니 PW4000 | ||
추력 (x2) | 214kN - 233kN | 233kN - 257kN | ||
colspan=5 style="text-align:left; font-size:90%;" | |
8. 세부 기종
- '''A310-100''' : 단거리 형식으로 계획되었으나 개발이 취소되었다.
- '''A310-200''' : 초기 양산형으로, 최대 항속 거리는 6800km이다.

1982년 4월 3일 첫 비행을 했고, 1년 후 스위스항공과 루프트한자에 취항했다. 후기형 -200 기종에는 -300 기종과 동일한 날개 펜스가 장착되었다. 처음 세 대의 A310에는 외측 에일러론이 있었으나, 테스트 결과 불필요하여 제거되었다.[25] 1988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 '''A310-200C''' : 화물 여객 혼재 및 전환형으로, 좌석을 제거하고 주갑판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1984년 11월 29일 마르티나이르 항공(Martinair)에서 운항을 시작했다.[26]
- '''A310-200F''' : 순수 화물형으로, 39톤의 화물을 5950km까지 운송할 수 있다.[27] 신규 제작은 없었고, 여객 형태에서 개조되었다. 1994년 페덱스 익스프레스에서 운항을 시작했다.[28]

- '''A310-300''' : 장거리 형식으로, -200과 크기는 같지만 중앙 및 수평 안정판 연료 탱크 추가로 최대 이륙 중량과 항속 거리가 증가되었다. 최대 항속 거리는 9600km이다. 1985년 7월 8일에 첫 비행을 했고, 1986년 스위스항공에서 운항을 시작했다. 날개 끝 펜스를 도입하여 공기역학적 효율을 높였으며, 이 기능은 일부 -200에도 추가되었다. 비행 중 항공기를 트림할 수 있는 컴퓨터 제어 연료 분배 시스템이 통합되어, 중력 중심 제어 컴퓨터에 의해 최대 5000kg의 연료를 수평 안정판 탱크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이동하여 무게 중심을 최적화한다.
- '''A310-300F''' : A310-300의 화물기 버전이다. 페덱스와 같은 운영업체들은 대개 -300 버전을 기반으로 개조된 기존 여객기 A310을 도입했다. 신규 생산된 화물기는 없었다.
- '''A310 MRTT''' : 군용 다목적 공중 급유기이다. EADS에서 제안되었으며, 캐나다 공군과 독일 공군이 보유하고 있다. 순수 수송기인 A310-300 MRT 다목적 수송기에서 여러 대가 개조되어 공중 급유 능력을 제공한다. 최소 6대가 완료되었으며, 독일 공군 4대와 캐나다 왕립 공군 2대이다. 인도는 2004년에 시작되었다.
9. 보유 항공사
에어버스 A310은 여러 항공사에서 사용하고 있다.
항공사 | 구분 |
---|---|
마한 항공[46][48] | 여객 |
아리아나 아프간 항공 | 여객 |
아조레스 항공 | 여객 |
예메니아 항공 | 여객 |
이란 항공 | 여객 |
타반 항공 | 여객 |
터키항공 카고[27][28] | 화물 |
독일 공군[44] | 정부 |
프랑스 공군[44] | 정부 |
스페인 공군[44] | 정부 |
캐나다 공군 (CC-150 폴라리스로 지정)[44] | 정부 |
태국 공군[44] | 정부 |
9. 1. 여객 항공사
9. 2. 화물 항공사
9. 3. 정부 항공사
10. 이전 보유 항공사
- 나이지리아 항공 소속 A310-222 기체 '5N-AUG'는 벨기에 샤를루아 공항에서 남쪽으로 5km 떨어진 질리(Gilly, Belgium)에 위치한 이탈리아 레스토랑 'All Italia'로 개조되어 사용되었으나, 2020년 11월 17일 화재로 소실되었다.[49]
11. 사양 (A310-300 기종)
항목 | 내용 |
---|---|
조종석 승무원 | 2명 |
2등급 | 220명 (20석(일등석) + 200석(이코노미석))[51] |
1등급 | 243석(8열) / 265석(9열) |
최대 탑승객 수 | 275명[54] |
하부 갑판 | 14개의 LD3 컨테이너 |
길이 | 46.66m |
높이 | 15.8m 동체 |
날개 | 43.9m 폭, 219m2 면적, 28° 후퇴각[52] |
단면적 | 5.64m |
최대 탑재량 | 37293kg |
최대 이륙 중량 | 164000kg |
운용 공차 중량 | JT9D: 77.4ton PW4000/CF6-80: 79.2ton |
최대 연료량 | 47,940 kg |
엔진 | JT9D-7R4E1 / PW4000 / CF6-80C2 |
추력 (×2) | 203.8kN - 257.4kN[54] |
속도 | 순항 속도: 마하 0.8[53] MMO: 마하 0.84[54] |
고도 | 약 12527.28m[54] |
항속거리 | 5150nmi (ISA, LRC, 240 passengers) |
항목 | A310-300 |
---|---|
운항 승무원 수 | 2명 |
표준 좌석 수 (2클래스) | 220석 |
표준 좌석 수 (1클래스) | 243석 |
착륙장치 휠베이스 | 15.22 m |
동체 길이 | 46.66 m |
동체 너비 | 43.90 m |
동체 높이 | 15.81 m |
주익 면적 | 219 m2 |
동체 직경 | 5.64 m |
화물칸 용적 | 112.2 m3 |
객실 너비 | 5.29 m |
객실 길이 | 33.25 m |
자체중량 (ZFW) | 113,000 - 116,500 kg |
최대이륙중량 (MTOW) | 134,000 - 164,000 kg |
이륙 활주거리 | 2,410 m |
최대 순항 속도 | 마하 0.84 |
항속거리 | 9,600 km |
엔진 (x2) | GE CF6-80C2, P&W JT9D-7R4E1, P&W PW4000 |
추력 (x2) | 233 kN - 257 kN |
colspan=2 style="text-align:left; font-size:90%;" | |
12. 사고
2015년 9월 기준으로 A310 기종과 관련된 기체 손실 사고는 총 12건이며, 이 사고로 총 825명이 사망했다. 납치 사건은 9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총 5명이 사망했다.[34] A310과 관련된 주요 사고는 다음과 같다.
- 1992년 7월 31일: 타이항공 311편(A310-304)이 카트만두 트리부반 국제공항 착륙 접근 중 추락하여 탑승자 113명 전원이 사망했다.
- 1994년 3월 23일: 아에로플로트 593편(A310-304)이 시베리아 상공에서 추락했다. 조종사가 아들에게 조종간을 맡겼고 자동조종장치가 부분적으로 작동을 멈춘 것이 원인이었다. 탑승자 75명 전원이 사망했다.
- 1995년 3월 31일: 타롬 항공 371편(A310-324)이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오토페니 국제공항 근처에서 추락했다. 오른쪽 엔진 스로틀 고장, 조종사들의 대처 미숙, 기장의 의료 위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 원인이었다. 탑승자 60명 전원이 사망했다.
- 1998년 12월 11일: 타이 국제항공 261편이 태국 수랏타니 공항 근처에서 추락하여 101명이 사망하고 45명이 중상을 입었다.
- 2000년 1월 30일: 케냐 항공 431편(A310-300)이 코트디부아르 아비장에서 이륙 직후 대서양에 추락하여 승객과 승무원 169명이 사망하고 10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 사고는 A310 기종 관련 사고 중 가장 많은 인명 피해를 냈다.[35]
- 2006년 7월 9일: S7 항공 778편(A310-324)이 모스크바에서 출발하여 이르쿠츠크에서 활주로를 이탈, 콘크리트 장벽을 뚫고 건물에 충돌하여 화재가 발생했다. 탑승자 204명 중 70명이 생존했고 12명이 실종되었다.[36]
- 2008년 6월 10일: 수단 항공 109편(A310-324)이 요르단 암만에서 출발하여 악천후 속에 하르툼 국제공항에 착륙 중 활주로를 이탈했다. 항공기 오른쪽 날개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총 30명이 사망했다.[38]
- 2009년 6월 30일: 예멘 항공 626편(A310-324)이 예멘 사나에서 코모로 모로니로 향하던 중 인도양에 추락했다. 승객과 승무원 153명 중 14세 소녀 1명만 생존했다.[39][40]
- 2014년 6월 24일: 파키스탄 국제항공 756편(A310-324ET)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파키스탄 페샤와르로 향하던 중 지상에서 발사된 총격을 받아 여성 1명이 사망하고 승무원 2명이 부상을 입었다.[41][42]
- 2015년 12월 24일: 서비스 에어가 운항하는 A310-304F 화물기가 콩고 민주 공화국 음부지마이 공항에 착륙 중 활주로를 이탈하여 주택가에 추락, 8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을 입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웹사이트
Airbus at thirty – family planning
https://www.flightgl[...]
2001-01-02
[5]
서적
[6]
웹사이트
Technology leaders (1977–1979)
http://www.airbus.co[...]
Airbus
[7]
서적
[8]
서적
[9]
웹사이트
Airbus – Historical Orders and Deliveries
http://www.airbus.co[...]
Airbus S.A.S.
2008-01-01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간행물
Flight International
1979-10-27
[15]
문서
Airclaims Jet Programs
[16]
서적
[17]
서적
Airbus
https://archive.org/[...]
MBI Publishing
[18]
웹사이트
Mahan Air EP-MED (Airbus A310 – MSN 706) (Ex EY-704 UK31003 ) | Airfleets aviation
https://www.airfleet[...]
2023-03-11
[19]
웹사이트
Airbus aims to fill freighter void with A330 derivative
http://www.flightglo[...]
2006-03-14
[20]
웹사이트
World Census 2017
https://www.flightgl[...]
2018-06-28
[21]
서적
Airbus The European Triumph
[22]
서적
Airbus The European Triumph
[23]
서적
Jane's All The World's Aircraft 1992-93
[24]
간행물
A310 Europe builds on Airbus success
1982-02-27
[25]
학술지
A310 keeps beating its targets
https://www.flightgl[...]
1982-07-03
[26]
웹사이트
AIRBUS A310
https://janes.migavi[...]
[27]
웹사이트
A310-200F freight version
http://www.aerospace[...]
Verdict Media Limited
2011-11-06
[28]
웹사이트
Airbus A310-200F
https://www.aerospac[...]
[29]
웹사이트
Zero-G flying means high stress for an old A310
https://www.flightgl[...]
2015-03-23
[30]
웹사이트
Tom Cruise en apesanteur dans l'A310 ZERO-G de Novespace
http://www.aeronewst[...]
2018-03-10
[31]
웹사이트
Orders & Deliveries
https://www.airbus.c[...]
2023-04-12
[32]
학술지
Global Airline Guide 2019 (part one)
2019-10-01
[33]
웹사이트
Airbus – Historical Orders and Deliveries
http://www.airbus.co[...]
Airbus SAS
2007-01-01
[34]
웹사이트
Airbus A310
http://aviation-safe[...]
2015-09-30
[35]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304 5Y-BEN Abidjan-Felix Houphouet Boigny Airport (ABJ)
http://www.aviation-[...]
2019-03-20
[36]
뉴스
Russian plane's 'brakes failed'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7-09
[37]
뉴스
Russian plane lost control upon landin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7-10
[38]
뉴스
30 people killed in Sudan Airways crash – statement
http://www.sudantrib[...]
Sudan Tribune
2008-06-11
[39]
뉴스
Yemenia Airbus black box found
https://archive.toda[...]
stuff.co
[40]
뉴스
Yemeni plane crashes in Comoros, 150 on board
https://www.reuters.[...]
Reuters
2009-06-29
[41]
웹사이트
UI Airbus A310-324ET AP-BGN
https://aviation-saf[...]
2024-05-26
[42]
웹사이트
Flights resume after deadly attack on Peshawar airport
http://www.dawn.com/[...]
DAWN.COM
2024-05-26
[43]
웹사이트
VN850
# ASN accident id를 U[...]
2018-06-03
[44]
웹사이트
Flight 595 at the Aviation Safety Network
http://aviation-safe[...]
2011-07-08
[45]
웹사이트
INCIDENT TAROM
http://ufcna.com/DOS[...]
UFCNA.com
2010-07-05
[46]
웹사이트
Report on the serious incident to Airbus A310-304, registration F-OJHI, on approach to Birmingham International Airport on 23 February 2006
http://www.aaib.dft.[...]
UK AAIB
2007-12-28
[47]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325 S2-ADE Dubai Airport (DXB)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1-11-06
[48]
웹사이트
Accident: Mahan A313 at Istanbul on Dec 24th 2015, failed to stop at stand
https://avherald.com[...]
Aviation Herald
2022-09-01
[49]
웹사이트
Famous Airbus A310, located on a terrain in Gilly, Belgium, burns down
https://www.aviation[...]
Aviation24.be
2024-03-07
[50]
웹사이트
A310 Airplane Characteristics for Airport Planning
https://www.airbus.c[...]
Airbus
2009-12
[51]
웹사이트
Out-of-production / A310
https://www.airbus.c[...]
Airbus
[52]
웹사이트
Airbus Aircraft Data File
http://booksite.else[...]
Elsevier
1999-07
[53]
웹사이트
A310
http://www.airliners[...]
Airliners.net
[54]
웹사이트
Type Certificate Data Sheet
https://www.easa.eur[...]
EASA
2017-09-21
[55]
웹사이트
Orders & Deliveries
https://www.airbus.c[...]
2021-07-09
[56]
서적
飛行機の百科事典
2009-12
[57]
웹사이트
航空実用事典 翼型と翼
http://www.jal.com/j[...]
日本航空
2014-11-29
[58]
서적
カラー図解でわかるジェット旅客機の秘密
ソフトバンククリエイティブ
2010-01-25
[59]
간행물
Pioneering FBW controls
http://www.flightglo[...]
2014-05-20
[60]
간행물
航空機用アルミニウム鋳物の動向
神戸製鋼所
2005-12
[61]
서적
飛行機の百科事典
2009-12
[62]
서적
炭素繊維の応用と市場
2008-06
[63]
웹사이트
航空実用事典 機体全般
http://www.jal.com/j[...]
日本航空
2014-06-13
[64]
서적
炭素繊維及びその複合材料の品質保証に関する研究
東京大学
1991-03-15
[65]
간행물
A310 on time
http://www.flightglo[...]
2014-05-18
[66]
간행물
Lufthansa succeeds in '82
http://www.flightglo[...]
2014-05-18
[67]
표준
# Cite jis 내용 부족으로 제목 추출 불가
1991
[68]
서적
# harvnb 내용 부족으로 제목 추출 불가
2009
[69]
보고서
Extended Operations (ETOPS and Polar Operations)
[70]
간행물
Pan Am goes firm on 28 Airbuses
http://www.flightglo[...]
2014-06-03
[71]
문서
null
[72]
서적
null
2009
[73]
문서
null
[74]
간행물
Directory: world airliners
http://www.flightglo[...]
2014-06-22
[75]
간행물
MRTT delivery milestone fuels Airbus ambitions
http://www.flightglo[...]
2014-06-24
[76]
웹사이트
Raytheon E-Systems A310 AEW
http://fas.org/man/d[...]
[77]
뉴스
Brussels Sues Swissair In Move to Aid Sabena
https://www.nytimes.[...]
2014-06-22
[78]
서적
リージョナル・ジェットが日本の航空を変える
成山堂書店
2011-06-18
[79]
서적
ハイテク・ツイン・ジェット Boeing757&767
イカロス出版
[80]
웹사이트
Airbus woos Japan
http://www.flightglo[...]
2014-06-18
[81]
웹사이트
MINDEF - History - 1991 - SQ 117 Rescue (Volume 3 Issue 3)
http://www.mindef.go[...]
シンガポール政府
2014-06-24
[82]
간행물
Conclusions from report on CFIT accident near Kathmandu
http://www.icao.int/[...]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4-05-14
[83]
뉴스
75 Dead in a Crash Of a Russian Airbus On Hong Kong Ru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04-14
[84]
간행물
Transcript reveals cockpit anarchy
http://www.flightglo[...]
2015-12-30
[85]
사고보고서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304 F-OGQS Mezhduretshensk
2014-04-14
[86]
사고보고서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324 YR-LCC Bucharest-Otopeni International Airport (OTP)
2014-04-14
[87]
사고보고서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204 HS-TIA Surat Thani Airport (URT)
2014-04-14
[88]
사고보고서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304 5Y-BEN Abidjan-Felix Houphouet Boigny Airport (ABJ)
2014-05-15
[89]
웹사이트
Aviation Safety Network > ASN Aviation Safety Database > Aircraft type index > Airbus A310 > Airbus A310 Statistics
http://aviation-safe[...]
2019-02-09
[90]
사고보고서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324 F-OGYP Irkutsk Airport (IKT)
2014-04-14
[91]
사고보고서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324 ST-ATN Khartoum-Civil Airport (KRT)
2014-04-14
[92]
뉴스
スーダン旅客機炎上、死者30人に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4-05-14
[93]
사고보고서
ASN Aircraft accident Airbus A310-324 7O-ADJ Mitsamiouli
2014-04-14
[94]
뉴스
イエメン航空機墜落事故、少女は10時間以上漂流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4-05-14
[95]
웹사이트
null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