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스마토수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스마토수쿠스는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4.5~5m 크기의 대형 파충류로, 어깨에 가시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갑옷으로 덮여 있었으며, 뭉툭한 이빨과 삽 모양의 주둥이를 통해 부드러운 식물을 섭취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텍사스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무리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분류군 - 수염고래
    수염고래는 이빨 대신 케라틴 수염판을 가진 고래류 아목으로, 플랑크톤 등을 걸러 먹고, 저주파음을 내며 장거리 회유를 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분류군 - 곡경아목
    곡경아목은 머리를 옆으로 구부려 껍질 속으로 넣는 특징을 가지며, 잠경아목과 구분되고, 경추 구조, 두개골 절흔, 껍질의 각질판 배열 등에서도 차이를 보이며, 남미늪거북과를 포함한 일부 종은 흡입 섭식을 하고, 주로 강, 호수, 늪 등에 서식하며,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북아메리카의 고대 파충류 - 프테라노돈
    프테라노돈은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한 이빨 없는 익룡 속으로, 날개폭이 최대 9미터에 달하며 수컷은 큰 머리 볏을 가지고 있고 주로 물고기를 잡아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북아메리카의 고대 파충류 - 캄프소사우루스
    캄프소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부터 팔레오세에 북아메리카와 유럽에 서식한 코리스토데라목 파충류로, 긴 주둥이와 유선형 몸체를 가진 수생 생물이며 1877년 코프에 의해 발견되었고 7종이 알려져 있다.
데스마토수쿠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데스마토수쿠스
애리조나주화석의 숲 국립공원 소장 데스마토수쿠스
학명Desmatosuchus
명명자Case, 1920
모식종Desmatosuchus spurensis
모식종 명명자Case, 1921
이명Episcoposaurus haplocerus Cope, 1892
Desmatosuchus chamaensis
생물학적 분류
데스마토수쿠스속
파충강
†견석목
†스타고놀렙시스과
아과†데스마토수쿠스아과
하위 종D. spurensis Case, 1921(모식종)
D. smalli Parker, 2005
지질학적 정보
화석 범위후기 트라이아스기,
시대카니안절 - 노리안절,

2. 형태

사람과 비교한 ''D. spurensis''


''D. spurensis'' 두개골 모형


''데스마토수쿠스''(Desmatosuchus)는 몸길이가 4.5m에서 5m 이상, 무게가 약 280-300kg에 달하는 큰 네 발로 걷는 파충류였다.[2][3][4][5] 척주는 양쪽이 오목한 중심과 3개의 천추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아르코사우루스류의 가장 두드러진 해부학적 특징은 "어깨 가시"라고 불리는 큰 견봉 돌기를 가진 어깨뼈였다.[2] 앞다리는 뒷다리보다 훨씬 짧았으며, 상완골은 넙다리뼈의 길이의 3분의 2보다 짧았다.[6] 골반은 가운데에 강한 결합이 있는 긴 두덩뼈, 판 모양의 궁둥뼈, 심하게 굽은 엉덩뼈, 깊고 구멍이 없는 비구로 구성되었다.[6] 넙다리뼈는 비교적 길고 곧았으며, 발목은 경골과 종골 뼈가 교차하여 굽은 발목을 가지고 있었으며, 큰 뒤꿈치를 가지고 있었다.[6]

두개골은 비교적 작았으며, 평균적으로 길이가 약 37cm, 너비가 18cm, 높이가 15cm였다. 뇌두개는 두개골 지붕과 입천장에 매우 단단하게 융합되어 있었다. 가늘고 갈라진 전상악골을 가지고 있었으며, 앞쪽으로 굽어지고 확장되어 삽 모양의 구조를 형성했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종이 전상악골에 이빨이 없는 유일한 아에토사우루스라는 점에서 아에토사우루스 중에서 독특하다.[2] 전상악골은 상악골과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어 관절의 유연성을 나타냈다.[2] 상악골에는 10~12개의 이빨이 있었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또한 서골이 매우 얇아 내부 콧구멍의 안쪽을 경계 지었다.[2] 이러한 내부 콧구멍은 비교적 컸으며, 전체 입천장 길이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2] 하악에는 일반적으로 5~6개의 이빨이 있었고, 끝부분에 이빨이 없는 부리가 있었다.[2] 치골은 하악의 길이의 약 절반이었으며, 앞부분은 이빨이 없고 각질의 덮개로 덮여 있었다.[2] 치골 뒤에는 중간 크기의 하악 창이 있었다.

''데스마토수쿠스'' 개체는 심하게 갑옷으로 덮여 있었다. 등갑은 두 줄의 중앙 골편과 그 주위를 둘러싼 두 줄의 측면 골편으로 구성되었다. 측면 골편은 옆으로 그리고 뒤쪽으로 향하는 잘 발달된 가시 모양의 돌기를 가지고 있었다.[7] 일반적으로 5줄의 가시가 있었고 앞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졌다. 앞쪽 가시는 훨씬 컸으며 약 28cm 길이였고 휘어져 있었다. 네 번째 가시는 각 표본마다 길이가 다르지만, 모든 표본에서 다섯 번째 가시보다 짧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이러한 가시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아에토사우르이다.[7]

2. 1. 골격

''데스마토수쿠스''(Desmatosuchus)는 몸길이가 4.5m에서 5m 이상, 무게가 약 280-300kg에 달하는 큰 네 발로 걷는 파충류였다.[2][3][4][5] 척주는 양쪽이 오목한 중심과 3개의 천추로 이루어져 있었다.[16] 이 아르코사우루스의 가장 두드러진 해부학적 특징은 "어깨 가시"라고 불리는 큰 견봉 돌기를 가진 어깨뼈였다.[2] 앞다리는 뒷다리보다 훨씬 짧았으며, 상완골은 넙다리뼈의 길이의 3분의 2보다 짧았다.[6] 골반은 가운데에 강한 결합이 있는 긴 두덩뼈, 판 모양의 궁둥뼈, 심하게 굽은 엉덩뼈, 깊고 구멍이 없는 비구로 구성되었다.[6] 넙다리뼈는 비교적 길고 곧았으며, 발목은 경골과 종골 뼈가 교차하여 굽은 발목을 가지고 있었으며, 큰 뒤꿈치를 가지고 있었다.[6]

두개골은 비교적 작았으며, 평균적으로 길이가 약 37cm, 너비가 18cm, 높이가 15cm였다. 뇌두개는 두개골 지붕과 입천장에 매우 단단하게 융합되어 있었다. 가늘고 갈라진 전상악골을 가지고 있었으며, 앞쪽으로 굽어지고 확장되어 삽 모양의 구조를 형성했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종이 전상악골에 이빨이 없는 유일한 아에토사우르라는 점에서 아에토사우르 중에서 독특하다.[2] 전상악골은 상악골과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어 관절의 유연성을 나타냈다.[2] 상악골에는 10~12개의 이빨이 있었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또한 서골이 매우 얇아 내부 콧구멍의 안쪽을 경계 지었다.[2] 이러한 내부 콧구멍은 비교적 컸으며, 전체 입천장 길이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2] 하악에는 일반적으로 5~6개의 이빨이 있었고, 끝부분에 이빨이 없는 부리가 있었다.[2] 치골은 하악의 길이의 약 절반이었으며, 앞부분은 이빨이 없고 각질의 덮개로 덮여 있었다.[2] 치골 뒤에는 중간 크기의 하악 창이 있었다.

''데스마토수쿠스'' 개체는 심하게 갑옷으로 덮여 있었다. 등갑은 두 줄의 중앙 골편과 그 주위를 둘러싼 두 줄의 측면 골편으로 구성되었다. 측면 골편은 옆으로 그리고 뒤쪽으로 향하는 잘 발달된 가시 모양의 돌기를 가지고 있었다.[7] 일반적으로 5줄의 가시가 있었고 앞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졌다. 앞쪽 가시는 훨씬 컸으며 약 28cm 길이였고 휘어져 있었다. 네 번째 가시는 각 표본마다 길이가 다르지만, 모든 표본에서 다섯 번째 가시보다 짧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이러한 가시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아에토사우르이다.[7]

2. 2. 두개골

데스마토수쿠스의 두개골은 몸 크기에 비해 비교적 작아서, 평균 길이는 약 37cm, 너비는 18cm, 높이는 15cm였다. 뇌두개는 두개골 지붕과 입천장에 매우 단단하게 융합되어 있었다.[2] 가늘고 갈라진 전상악골은 앞쪽으로 굽어지고 확장되어 삽 모양의 구조를 형성했다.[2][16] 데스마토수쿠스는 전상악골에 이빨이 없는 유일한 아에토사우루스라는 점에서 독특하다.[2][16] 전상악골은 상악골과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어 관절의 유연성을 나타냈다.[2] 상악골에는 10~12개의 이빨이 있었다.[2][16]

데스마토수쿠스는 서골이 매우 얇아 내부 콧구멍의 안쪽을 경계 지었다.[2] 이러한 내부 콧구멍은 비교적 컸으며, 전체 입천장 길이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2][16] 하악에는 일반적으로 5~6개의 이빨이 있었고, 끝부분에 이빨이 없는 부리가 있었다.[2][16] 치골은 하악의 길이의 약 절반이었으며, 앞부분은 이빨이 없고 각질의 덮개로 덮여 있었다.[2] 치골 뒤에는 중간 크기의 하악 창이 있었다.[2]

2. 3. 갑피

데스마토수쿠스는 몸에 갑피가 발달되어 있었다. 등갑은 두 줄의 중앙 골편과 그 주위를 둘러싼 두 줄의 측면 골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7][18] 측면 골편은 옆으로 그리고 뒤쪽으로 향하는 가시 모양의 돌기를 가지고 있었는데,[7] 일반적으로 5줄의 가시가 있었고 앞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커졌다. 앞쪽 가시는 약 28cm 길이로 휘어져 있었으며, 네 번째 가시는 표본마다 길이가 달랐지만 모든 표본에서 다섯 번째 가시보다 짧았다.[2][16] 데스마토수쿠스는 이러한 가시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아에토사우르이다.[7][18]

3. 발견과 분류

19세기 말, E.D. 코프가 미국 텍사스주의 도컴 그룹에서 발견된 갑옷을 새로운 종인 ''에피스코포사우루스 하플로케루스/Episcoposaurus haplocerus영어''로 분류하면서 최초의 ''데스마토수쿠스''가 발견되었다.[8] 이후, 케이스는 테코바스 층에서 발견된 부분 골격을 ''데스마토수쿠스 스푸렌시스/Desmatosuchus spurensis영어''로 분류했다.[9] 코프와 케이스의 발견 지점이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두 분류군은 ''데스마토수쿠스 하플로케루스/Desmatosuchus haplocerus영어''로 동종 이명 처리되었고, 이 종이 속의 최초 모식종이 되었다.[8]

파커(2008)는 ''데스마토수쿠스''를 재검토하여 ''에피스코포사우루스 하플로케루스/Episcoposaurus haplocerus영어''의 모식표본이 ''데스마토수쿠스''에 속하지만 종 수준에서는 불확정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E. 하플로케루스/E. haplocerus영어''는 ''무효명''으로 간주되었고, ''D. 스푸렌시스/D. spurensis영어''가 속의 모식종으로 명명되었다. 유효한 종으로 ''D. 스푸렌시스/D. spurensis영어''와 이 속 연구에 기여한 브라이언 J. 스몰의 이름을 딴 ''D. 스말리/D. smalli영어'' 두 종이 인정되었다.[10] ''데스마토수쿠스 카마엔시스/Desmatosuchus chamaensis영어''는 별개의 속으로 인정되지만, ''Heliocanthus'' 또는 ''Rioarribasuchus''라는 이름이 적용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8]

다음 분기도는 줄리아 B. 데소조, 마틴 D. 에즈쿠라, 에디오 E. 키슐라트(2012)가 제시한 분석을 단순화한 것이다.[11]

미시간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의 ''데스마토수쿠스'' 골격

3. 1. 계통 분류

19세기 말, E.D. 코프가 미국 텍사스주의 도컴 그룹에서 발견된 갑옷을 새로운 종인 ''Episcoposaurus haplocerus''로 분류하면서 최초의 ''데스마토수쿠스''가 발견되었다.[8] 이후, 케이스는 테코바스 층에서 발견된 부분 골격을 ''Desmatosuchus spurensis''로 분류했다.[9] 코프와 케이스의 발견 지점이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두 분류군은 ''Desmatosuchus haplocerus''로 동종 이명 처리되었고, 이 종이 속의 최초 모식종이 되었다.[8]

파커(2008)는 ''데스마토수쿠스''를 재검토하여 ''Episcoposaurus haplocerus''의 모식표본이 ''데스마토수쿠스''에 속하지만 종 수준에서는 불확정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E. haplocerus''는 ''무효명''으로 간주되었고, ''D. spurensis''가 속의 모식종으로 명명되었다. 유효한 종으로 ''D. spurensis''와 이 속 연구에 기여한 브라이언 J. 스몰의 이름을 딴 ''D. smalli'' 두 종이 인정되었다.[10] ''Desmatosuchus chamaensis''는 별개의 속으로 인정되지만, ''Heliocanthus'' 또는 ''Rioarribasuchus''라는 이름이 적용되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8]

다음 분기도는 줄리아 B. 데소조, 마틴 D. 에즈쿠라, 에디오 E. 키슐라트(2012)가 제시한 분석을 단순화한 것이다.[11]

```

{| class="wikitable"

|-

|'''아에토사우리아'''

|-

|

{| class="wikitable"

|-

|''Aetosauroides scagliai''

|-

|'''Stagonolepididae'''

|-

|

{| class="wikitable"

|-

|''Aetosaurus ferratus''

|-

|''Coahomasuchus kahleorum''

|-

|

{| class="wikitable"

|-

|''Neoaetosauroides engaeus''

|-

|

{| class="wikitable"

|-

|''Calyptosuchus wellesi''

|-

|''Stagonolepis robertsoni''

|-

|

{| class="wikitable"

|-

|''Aetobarbakinoides brasiliensis''

|-

|

{| class="wikitable"

|-

|'''Typothoracisinae'''

|-

|

{| class="wikitable"

|-

|

Typothorax
Redondasuchus



|-

|'''Paratypothoracisini'''

|-

|

{| class="wikitable"

|-

|''Tecovasuchus chatterjeei''

|-

|

Rioarribasuchus chamaensis
Paratypothorax andressorum



|}

|}

|-

|'''Desmatosuchinae'''

|-

|

{| class="wikitable"

|-

|''Sierritasuchus macalpini''

|-

|

{| class="wikitable"

|-

|''Longosuchus meadei''

|-

|

{| class="wikitable"

|-

|''Lucasuchus hunti''

|-

|

{| class="wikitable"

|-

|''Acaenasuchus geoffreyi''

|-

|'''''Desmatosuchus'''''

|-

|

'Desmatosuchus haplocerus'
'Desmatosuchus smalli'



|}

|}

|}

|}

|}

|}

|}

|}

|}

|}

|}

4. 고생물학

텍사스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D. haplocerus''


포스토수쿠스와 데스마토수쿠스


데스마토수쿠스의 뼈와 갑옷 조각들은 도컴 지층, 친르 지층, 포스트 채석장에서 풍부하게 발견되며, 이는 후기 트라이아스기 동안 광범위하고 풍부했음을 나타낸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무리 또는 가족 단위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비교적 작은 지역에서 여러 ''데스마토수쿠스'' 골격이 발견된 여러 증거에 의해 입증된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뭉툭하고 둥글며 약간 안쪽으로 굽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동형치아 치열을 가졌을 것으로 여겨진다.[2] 이는 삽과 같은 주둥이와 결합하여 ''데스마토수쿠스''가 부드러운 식물을 파서 먹었음을 나타낸다.[7] 이러한 먹이 섭취 방식은 이빨이 없는 전상악골과 치골 끝에 뿔 모양의 외피로 덮여 있다는 사실로 더욱 입증된다. 이 외피는 뼈를 보호하고 물체를 자르거나 잡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12] ''데스마토수쿠스''가 도컴 지역에 호수와 강이 풍부하고, ''데스마토수쿠스''의 골판이 수로를 따라 먹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파충류의 부위에서 자주 발견된다는 사실을 근거로, 물가 근처의 부드러운 진흙에서 먹이를 파먹었을 것으로 여겨진다.[2] ''데스마토수쿠스''가 이빨을 교체했는지, 그렇다면 어떻게 교체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발견된 ''데스마토수쿠스'' 이빨 수가 적다는 것은 이들이 연조직 연결로만 유지되었음을 나타낸다.[2] 턱 관절점은 이빨 선 아래에 있어, 조반목 공룡을 연상시키는 방식으로 물어뜯을 때 위쪽과 아래쪽 이빨 줄을 평행하게 유지한다.[12]

''포스토수쿠스''와 ''데스마토수쿠스''


''데스마토수쿠스''의 갑옷과 가시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측면 가시 줄은 개체 간에 크기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두 번째 앞쪽 가시에서 두드러졌다. 이 가시는 항상 앞쪽의 가시보다 짧았지만, 그 정도는 매우 다양했다. 이러한 변이는 성적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7] 또한 성적 과시의 한 형태로 가설이 세워지기도 했다.[2] 이 갑옷 외에는 ''데스마토수쿠스''는 육식 동물의 공격에 무방비 상태였다. 여러 ''데스마토수쿠스'' 뼈가 ''포스토수쿠스''의 골격과 함께 발견되어, ''포스토수쿠스''의 포식을 나타낸다.[2] ''데스마토수쿠스''의 무리 생활은 포식자를 억제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포스토수쿠스''를 비롯한 여러 후기 트라이아스기 육식 동물도 무리 생활을 했다.[2]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대부분의 테코돈트는 깊은 비구나 비구 위의 능선과 같은 이동에 도움이 되는 특정 골반 특징이 부족했다. 이는 그들의 직립 자세에도 불구하고, 웅크린 파충류보다 약간 더 이동성이 높게 만들었다.[13] ''데스마토수쿠스''는 이러한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고, 긴 대퇴골과 길쭉한 치골과 함께 당시 대부분의 테코돈트보다 더 이동성이 높았다.[13] 이러한 이동성, 크기, 풍부함, 전문화된 부리는 그것을 도컴 지역의 주요 초식 동물로 만들었다.[2]

''데스마토수쿠스''가 잡식성이거나 곤충을 먹었을 수도 있다는 제안도 있었다. 이는 ''데스마토수쿠스''와 아르마딜로 사이의 여러 유사점 때문이다.[14] 예를 들어, 두 그룹 모두 갑옷을 입고 있다. 그들은 끝에 이빨이 없는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후기 트라이아스기에는 벌, 말벌, 흰개미의 증거가 있어, ''데스마토수쿠스''가 아르마딜로가 잡아먹는 곤충에 접근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5] 이빨의 모양도 다소 비슷하지만, 아르마딜로는 더 못과 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5] ''데스마토수쿠스''와 아르마딜로 모두 전형적으로 치골에 약 6개의 이빨을 가지고 다닌다. 아르마딜로와 ''데스마토수쿠스'' 모두 사지 뼈에 비대해진 돌기가 있어, 큰 사지 근육을 나타낸다.[5] 그러나 이러한 연결은 더 미약하다. ''데스마토수쿠스''는 뒷다리에는 능선이 있지만 앞다리에는 능선이 없어, 아르마딜로처럼 앞다리로 땅을 파는 근육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합의는 여전히 ''데스마토수쿠스''가 초식 동물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이다.[2][13]

4. 1. 서식지와 분포



''데스마토수쿠스''의 뼈와 갑옷 조각들은 도컴 지층, 친르 지층, 포스트 채석장에서 풍부하게 발견되며, 이는 후기 트라이아스기 동안 광범위하고 풍부했음을 나타낸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무리 또는 가족 단위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비교적 작은 지역에서 여러 ''데스마토수쿠스'' 골격이 발견된 여러 증거에 의해 입증된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뭉툭하고 둥글며 약간 안쪽으로 굽은 동형치아 치열을 가졌을 것으로 여겨진다.[2] 이는 삽과 같은 주둥이와 결합하여 ''데스마토수쿠스''가 부드러운 식물을 파서 먹었음을 나타낸다.[7] 이러한 먹이 섭취 방식은 이빨이 없는 전상악골과 치골 끝에 뿔 모양의 외피로 덮여 있다는 사실로 더욱 입증된다.[12] 이 외피는 뼈를 보호하고 물체를 자르거나 잡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12] ''데스마토수쿠스''가 도컴 지역에 호수와 강이 풍부하고, ''데스마토수쿠스''의 골판이 수로를 따라 먹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파충류의 부위에서 자주 발견된다는 사실을 근거로, 물가 근처의 부드러운 진흙에서 먹이를 파먹었을 것으로 여겨진다.[2] ''데스마토수쿠스''가 이빨을 교체했는지, 그렇다면 어떻게 교체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발견된 ''데스마토수쿠스'' 이빨 수가 적다는 것은 이들이 연조직 연결로만 유지되었음을 나타낸다.[2] 턱 관절점은 이빨 선 아래에 있어, 조반목 공룡을 연상시키는 방식으로 물어뜯을 때 위쪽과 아래쪽 이빨 줄을 평행하게 유지한다.[12]

''데스마토수쿠스''의 갑옷과 가시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측면 가시 줄은 개체 간에 크기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두 번째 앞쪽 가시에서 두드러졌다. 이 가시는 항상 앞쪽의 가시보다 짧았지만, 그 정도는 매우 다양했다. 이러한 변이는 성적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7] 또한 성적 과시의 한 형태로 가설이 세워지기도 했다.[2] 이 갑옷 외에는 ''데스마토수쿠스''는 육식 동물의 공격에 무방비 상태였다. 여러 ''데스마토수쿠스'' 뼈가 ''포스토수쿠스''의 골격과 함께 발견되어, ''포스토수쿠스''의 포식을 나타낸다.[2] ''데스마토수쿠스''의 무리 생활은 포식자를 억제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포스토수쿠스''를 비롯한 여러 후기 트라이아스기 육식 동물도 무리 생활을 했다.[2]

후기 트라이아스기의 대부분의 테코돈트는 깊은 비구나 비구 위의 능선과 같은 이동에 도움이 되는 특정 골반 특징이 부족했다. 이는 그들의 직립 자세에도 불구하고, 웅크린 파충류보다 약간 더 이동성이 높게 만들었다.[13] ''데스마토수쿠스''는 이러한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고, 긴 대퇴골과 길쭉한 치골과 함께 당시 대부분의 테코돈트보다 더 이동성이 높았다.[13] 이러한 이동성, 크기, 풍부함, 전문화된 부리는 그것을 도컴 지역의 주요 초식 동물로 만들었다.[2]

''데스마토수쿠스''가 잡식성이거나 곤충을 먹었을 수도 있다는 제안도 있었다. 이는 ''데스마토수쿠스''와 아르마딜로 사이의 여러 유사점 때문이다.[14] 예를 들어, 두 그룹 모두 갑옷을 입고 있다. 그들은 끝에 이빨이 없는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후기 트라이아스기에는 벌, 말벌, 흰개미의 증거가 있어, ''데스마토수쿠스''가 아르마딜로가 잡아먹는 곤충에 접근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5] 이빨의 모양도 다소 비슷하지만, 아르마딜로는 더 못과 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5] ''데스마토수쿠스''와 아르마딜로 모두 전형적으로 치골에 약 6개의 이빨을 가지고 다닌다. 아르마딜로와 ''데스마토수쿠스'' 모두 사지 뼈에 비대해진 돌기가 있어, 큰 사지 근육을 나타낸다.[5] 그러나 이러한 연결은 더 미약하다. ''데스마토수쿠스''는 뒷다리에는 능선이 있지만 앞다리에는 능선이 없어, 아르마딜로처럼 앞다리로 땅을 파는 근육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합의는 여전히 ''데스마토수쿠스''가 초식 동물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이다.[2][13]

4. 2. 식성



''데스마토수쿠스''는 뭉툭하고 둥글며 약간 안쪽으로 굽은 동형치아 치열을 가졌을 것으로 여겨진다.[2] 삽과 같은 주둥이와 결합하여 ''데스마토수쿠스''가 부드러운 식물을 파서 먹었음을 나타낸다.[7] 이빨이 없는 전상악골과 치골 끝에 뿔 모양의 외피로 덮여 있다는 사실은 이러한 먹이 섭취 방식을 뒷받침한다.[12] 이 외피는 뼈를 보호하고 물체를 자르거나 잡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12] ''데스마토수쿠스''는 도컴 지역에 호수와 강이 풍부하고, ''데스마토수쿠스''의 골판이 수로를 따라 먹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파충류의 부위에서 자주 발견된다는 사실을 근거로, 물가 근처의 부드러운 진흙에서 먹이를 파먹었을 것으로 여겨진다.[2]

턱 관절점은 이빨 선 아래에 있어, 조반목 공룡을 연상시키는 방식으로 물어뜯을 때 위쪽과 아래쪽 이빨 줄을 평행하게 유지한다.[12] ''데스마토수쿠스''가 이빨을 교체했는지, 그렇다면 어떻게 교체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발견된 ''데스마토수쿠스'' 이빨 수가 적다는 것은 이들이 연조직 연결로만 유지되었음을 나타낸다.[2]

''데스마토수쿠스''가 잡식성이거나 곤충을 먹었을 수도 있다는 제안도 있었다. 이는 ''데스마토수쿠스''와 아르마딜로 사이의 여러 유사점 때문이다.[14] 예를 들어, 두 그룹 모두 갑옷을 입고 있고, 끝에 이빨이 없는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후기 트라이아스기에는 벌, 말벌, 흰개미의 증거가 있어, ''데스마토수쿠스''가 아르마딜로가 잡아먹는 곤충에 접근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5] 이빨의 모양도 다소 비슷하지만, 아르마딜로는 더 못과 같은 이빨을 가지고 있다.[5] ''데스마토수쿠스''와 아르마딜로 모두 전형적으로 치골에 약 6개의 이빨을 가지고 다닌다. 아르마딜로와 ''데스마토수쿠스'' 모두 사지 뼈에 비대해진 돌기가 있어, 큰 사지 근육을 나타낸다.[5] 그러나 ''데스마토수쿠스''는 뒷다리에는 능선이 있지만 앞다리에는 능선이 없어, 아르마딜로처럼 앞다리로 땅을 파는 근육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보다는 초식 동물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2][13]

4. 3. 방어 기제

''데스마토수쿠스''의 뼈와 갑옷 조각들은 도컴 지층, 친르 지층, 포스트 채석장에서 풍부하게 발견되며, 이는 후기 트라이아스기 동안 광범위하고 풍부했음을 나타낸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무리 또는 가족 단위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비교적 작은 지역에서 여러 ''데스마토수쿠스'' 골격이 발견된 여러 증거에 의해 입증된다.[2]

''데스마토수쿠스''는 뭉툭하고 둥글며 약간 안쪽으로 굽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동형치아 치열을 가졌을 것으로 여겨진다.[2] 이는 삽과 같은 주둥이와 결합하여 ''데스마토수쿠스''가 부드러운 식물을 파서 먹었음을 나타낸다.[7] 이러한 먹이 섭취 방식은 이빨이 없는 전상악골과 치골 끝에 뿔 모양의 외피로 덮여 있다는 사실로 더욱 입증된다. 이 외피는 뼈를 보호하고 물체를 자르거나 잡는 데 사용될 수 있었다.[12] ''데스마토수쿠스''가 도컴 지역에 호수와 강이 풍부하고, ''데스마토수쿠스''의 골판이 수로를 따라 먹이를 먹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파충류의 부위에서 자주 발견된다는 사실을 근거로, 물가 근처의 부드러운 진흙에서 먹이를 파먹었을 것으로 여겨진다.[2]

''데스마토수쿠스''의 갑옷과 가시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측면 가시 줄은 개체 간에 크기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두 번째 앞쪽 가시에서 두드러졌다. 이 가시는 항상 앞쪽의 가시보다 짧았지만, 그 정도는 매우 다양했다. 이러한 변이는 성적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7] 또한 성적 과시의 한 형태로 가설이 세워지기도 했다.[2] 이 갑옷 외에는 ''데스마토수쿠스''는 육식 동물의 공격에 무방비 상태였다. 여러 ''데스마토수쿠스'' 뼈가 ''포스토수쿠스''의 골격과 함께 발견되어, ''포스토수쿠스''의 포식을 나타낸다.[2] ''데스마토수쿠스''의 무리 생활은 포식자를 억제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포스토수쿠스''를 비롯한 여러 후기 트라이아스기 육식 동물도 무리 생활을 했다.[2]

''데스마토수쿠스''가 잡식성이거나 곤충을 먹었을 수도 있다는 제안도 있었다. 이는 ''데스마토수쿠스''와 아르마딜로 사이의 여러 유사점 때문이다.[14] 예를 들어, 두 그룹 모두 갑옷을 입고 있으며, 끝에 이빨이 없는 긴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후기 트라이아스기에는 벌, 말벌, 흰개미의 증거가 있어, ''데스마토수쿠스''가 아르마딜로가 잡아먹는 곤충에 접근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5]

4. 4. 이동 방식



데스마토수쿠스는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번성했으며, 무리나 가족 단위로 이동했을 가능성이 있다.[16] 이는 비교적 좁은 지역에서 여러 데스마토수쿠스의 뼈가 발견되었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16]

트라이아스기 후기의 대부분의 테코돈트는 깊은 관골구나 관골구 주변의 융기와 같은 보행을 돕는 골반 구조가 없어서, 직립 자세에서도 기어다니는 파충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가동성을 보였다.[24] 반면 데스마토수쿠스는 길쭉한 대퇴골과 가늘고 긴 치골과 함께 이러한 특징을 갖추고 있어, 동시대의 많은 테코돈트보다 활발하게 이동할 수 있었다.[16] 이러한 높은 이동성은 데스마토수쿠스가 도크럼 지역의 주요 초식 동물이 된 요인이 되었다.[16]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가시 돋친 외모와 초식이라는 식성의 차이 때문인지, 공룡 이외의 고생물 중에서는 비교적 미디어 출연이 잦은 편이다. 『공룡 재생』, 『공룡 vs 포유류』, 『다이노 2』, 토코로 쥬조(작)의 『공룡 이야기』 등에 출연했다.

참조

[1] 논문 A new species of the Late Triassic aetosaur ''Desmatosuchus'' (Archosauria: Pseudosuchia) 2005-06
[2] 학위논문 The Triassic thecodontian reptile Desmatosuchus: osteology and relationships Texas Tech University 1985-12
[3] 간행물 New digital braincase endocasts of two species of Desmatosuchus and neurocranial diversity within Aetosauria (Archosauria: Pseudosuchia) https://www.research[...] The Anatomical Record 2021
[4] 서적 Anatomy, Phylogeny and Palaeobiology of Early Archosaurs and Their Kin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2013
[5] 논문 Incongruent ontogenetic maturity indicators in a Late Triassic archosaur (Aetosauria: Typothorax coccinarum ) https://anatomypubs.[...] 2023-11-08
[6] 서적 Studies in Vertebrate Evolution Oliver and Boyd 1972
[7] 백과사전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1999
[8] 논문 Reassessment of the aetosaur ''"Desmatosuchus" chamaensis'' with a reanalysis of the phylogeny of the Aetosauria (Archosauria: Pseudosuchia) 2007-03
[9] 논문 Typothorax and Desmatosuchus http://peabody.yale.[...] Yale Peabody Museum 1953-06-03
[10] 논문 Description of new material of the aetosaur ''Desmatosuchus spurensis'' (Archosauria: Suchia) from the Chinle Formation of Arizona and a revision of the genus ''Desmatosuchus''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08-05-12
[11] 논문 A new aetosaur genus (Archosauria: Pseudosuchia) from the early Late Triassic of southern Brazil http://www.mapress.c[...]
[12] 논문 Triassic reptiles from the Elgin area: ''Stagonolepis'', ''Dasygnathus'' and their allies 1961-08-31
[13] 논문 Dinosaur physiology and the origin of mammals 1971-12
[14] 논문 Cranial anatomy of ''Desmatosuchus haplocerus'' (Reptilia: Archosauria: Stagonolepididae) 2002-09
[15] 논문 A new species of the Late Triassic aetosaur ''Desmatosuchus'' (Archosauria: Pseudosuchia) 2005-06
[16] 학위논문 The Triassic thecodontian reptile Desmatosuchus: osteology and relationships Texas Tech University 1985-12
[17] 서적 Studies in Vertebrate Evolution Oliver and Boyd 1972
[18] 백과사전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1999
[19] 논문 Reassessment of the aetosaur ''"Desmatosuchus" chamaensis'' with a reanalysis of the phylogeny of the Aetosauria (Archosauria: Pseudosuchia) 2007-03
[20] 논문 Typothorax and Desmatosuchus http://peabody.yale.[...] Yale Peabody Museum 1953-06-03
[21] 논문 Description of new material of the aetosaur ''Desmatosuchus spurensis'' (Archosauria: Suchia) from the Chinle Formation of Arizona and a revision of the genus ''Desmatosuchus'' http://www.ucmp.berk[...] University of California Museum of Paleontology 2008-05-12
[22] 논문 A new aetosaur genus (Archosauria: Pseudosuchia) from the early Late Triassic of southern Brazil http://www.mapress.c[...]
[23] 논문 Triassic reptiles from the Elgin area: ''Stagonolepis'', ''Dasygnathus'' and their allies 1961-08-31
[24] 논문 Dinosaur physiology and the origin of mammals 1971-12
[25] 논문 Cranial anatomy of ''Desmatosuchus haplocerus'' (Reptilia: Archosauria: Stagonolepididae) 20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