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염고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염고래는 이빨이 없고 수염판을 가진 고래류의 아목으로, 이빨고래와 구분된다. 수염고래는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수염판을 이용해 플랑크톤과 작은 물고기를 걸러 먹으며, 일반적으로 이빨고래보다 몸집이 크고 두 개의 분기공을 가지고 있다. 저주파음을 내어 원거리 지형을 파악하며, 뇌에 후구와 후세포가 존재하여 후각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수염고래는 고래류에 속하며, 긴수염고래과, 수염고래과, 귀신고래과, 꼬마긴수염고래과 등의 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종은 고위도 해역에서 먹이를 섭취하고, 겨울에는 번식을 위해 따뜻한 해역으로 이동하는 장거리 회유를 한다. 인간과의 관계에서 수염고래는 포경의 대상이었으며,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이 많아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염고래류 - 꼬마긴수염고래
꼬마긴수염고래는 수염고래목에 속하는 가장 작은 종으로, 남반구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크릴과 요각류를 먹고, 긴수염고래과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우며, 해양 오염 및 기후 변화가 잠재적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수염고래류 - 귀신고래
귀신고래는 수염고래과에 속하며 회색빛을 띠는 해양 포유류로, 해저 무척추동물을 먹고 얕은 바다에서 생활하며, 북태평양에 두 개의 개체군이 존재하고 인간과의 관계는 고래 관광 및 문화적 상징으로 나타난다.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분류군 - 곡경아목
곡경아목은 머리를 옆으로 구부려 껍질 속으로 넣는 특징을 가지며, 잠경아목과 구분되고, 경추 구조, 두개골 절흔, 껍질의 각질판 배열 등에서도 차이를 보이며, 남미늪거북과를 포함한 일부 종은 흡입 섭식을 하고, 주로 강, 호수, 늪 등에 서식하며,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명명한 분류군 - 옛도마뱀과
옛도마뱀과는 뱀목과 자매군 관계에 있는 인룡상목의 도마뱀 분류군으로, 다양한 도마뱀 분류군과의 계통 발생적 관계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수염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수염고래류 |
| 학명 | Mysticeti |
| 명명자 | J. Gray(1864) |
| 동의어 | Mystacoceti |
| 다양성 | 16 종 |
| 다양성 링크 | 고래 목록#Mysticeti: 수염고래 |
|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 아목 | 경하마형아목 |
| 하목 | 고래하목 |
| 소목 | 수염고래소목 |
| 상과 및 과 | 긴수염고래과 수염고래과 귀신고래과 꼬마긴수염고래과 †보레알로돈 †코로노돈 †랴노케티다에 †맘말로돈티다에 키네토멘타 †에티오케티다에 케오미스티케티 †에오미스티케티다에 †펠로케티다에 코끼리고래과 정향고래과 귀신고래과 |
| 하위 분류 | †보레알로돈 †코로노돈 †랴노케티다에 †맘말로돈티다에 키네토멘타 †에티오케티다에 케오미스티케티 †에오미스티케티다에 †펠로케티다에 코끼리고래과 정향고래과 귀신고래과 |
| 생물학적 특징 | |
| 특징 | 수염을 사용하여 물에서 먹이를 걸러서 섭취 |
| 크기 | 약 6 미터에서 31 미터 |
| 무게 | 약 3,000 kg 에서 190 톤 |
| 속도 | 10 m/s (36 km/h) |
| 이미지 | |
![]() | |
![]() | |
![]() | |
| 화석 기록 | |
| 화석 범위 | 올리고세 전기부터 현세까지 |
| 출현 시기 | 신생대 고제3기 점신세 초기 |
| 현재 | 제4기 완신세 메갈라야세 (현세) |
2. 특성
수염고래는 이빨고래소목와 달리 이빨이 없고, 위턱에 '수염판' 또는 '수염'이라 불리는 기관이 발달해 있다.[137] 이 수염은 케라틴성 판으로, 석회화된 단단한 α-케라틴 물질로 만들어졌으며, 중간 필라멘트(단백질)로 만들어진 섬유 강화 구조이다.[48] 수염고래는 이 수염을 이용하여 크릴, 요각류 등 플랑크톤과 정어리같은 작은 물고기 등을 대량으로 걸러 먹는다.[137]
수염고래는 고래류에 속하며, 아목인 수염고래아목(Mysticeti)으로 분류되며, 네 개의 현존하는 과가 있다.

수염고래는 일반적으로 이빨고래보다 몸집이 크며, 두 개의 분기공(콧구멍)을 가지고 있다.[138] 분기공은 두개골 꼭대기에 위치하며, 세로로 긴 틈으로 앞쪽은 합쳐지고 뒤쪽은 넓어져 V자 모양의 분출을 일으킨다.[49] 목에는 주름이 많고,[138] 머리가 크고 목이 짧다.[138] 현생 동물 중 가장 큰 종인 흰긴수염고래를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몸집이 큰 편이다.[138]
수염고래는 멜론이 없고, 소리를 내는 기관인 발성순이 없어 고주파 에코로케이션 능력이 부족하다.[139] 대신 저주파음을 내고, 그 반향을 통해 원거리 지형을 파악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39] 두개골 형태는 좌우 대칭이다(이빨고래는 좌우 비대칭).[138]

후각은 퇴화했지만,[142] 뇌에 후구(olfactory bulb)가 존재하며, 후상피에 후세포가 존재하여 먹이를 찾는 데 후각을 이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142] 제코비 기관(vomeronasal organ)은 작지만 기능적이며, 이를 통해 먹이가 방출하는 화학 물질과 페로몬을 감지할 수 있다.[63]
수염고래의 독특한 폐는 압력에 찌부러지도록 만들어져 폐 손상을 방지한다.[51] 고래의 폐는 공기 중 산소를 매우 효율적으로 추출하는데, 일반적으로 80%를 추출한다.[51]
수염고래의 귀는 수중 청각에 적응되어 있으며, 7 헤르츠(Hz)에서 22 킬로헤르츠(kHz)에 이르는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 들을 수 있다.[60]
3. 분류
참고래과(대왕고래류), 긴수염고래과(혹등고래류), 귀신고래과(귀신고래) 및 밍크고래과(작은참돌고래)가 있다. 참고래과는 커다란 머리와 두꺼운 피하지방으로 구분된다.[3][4] 혹등고래류와 귀신고래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머리, 긴 목주름이 있으며, 참고래과보다 유선형이다. 혹등고래류는 또한 참고래과보다 더 긴 경향이 있다.[5] 고래류(고래, 돌고래, 돌고래과 동물)와 우제류는 이제 경우제류목으로 분류되며, 종종 여전히 우제류목(Artiodactyla)으로 불린다(고래류가 우제류와 깊이 겹쳐 있기 때문이다). 수염고래와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친척은 모두 하목 고래류인 이빨고래이다.[6]
2019년 McGowen과 동료들의 분석[7]에 따른 수염고래 계통 발생도는 다음과 같다. 브라이드고래 복합체는 Rosel 등(2021)[8]을 따라 확장되었다.














긴수염고래과는 두 속, ''Eubalaena''(긴수염고래류)와 ''Balaena''(북극고래, ''B. mysticetus'')로 구성된다. 2000년대 초 연구에 따르면 북극고래와 긴수염고래는 형태학적으로(두개골 형태가 다름)와 계통 발생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한 속으로만 구성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H. C. Rosenbaum과 동료들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북태평양( ''E. japonica'')과 남방긴수염고래( ''E. australis'')는 북대서양긴수염고래( ''E. glacialis'')보다 서로 더 가까운 관계에 있다.[9]
혹등고래과는 난쟁이긴수염고래( ''Caperea marginata'') 한 종만 살아남았다. 최초 기술은 18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긴수염고래의 축소판과 같은 뼈와 수염판을 묘사했고, ''Balaena marginata''로 명명되었다. 1864년 다른 표본의 두개골이 발견된 후 ''Caperea'' 속으로 옮겨졌다. 6년 후, 난쟁이긴수염고래는 Neobalaenidae과로 분류되었다.[10] 이름과는 달리, 난쟁이긴수염고래는 유전적으로 긴수염고래류와 회색고래와 더 가깝다. 2012년에 발표된 골격 구조에 기반한 연구에 따르면, 난쟁이긴수염고래는 Neobalaenidae과에서 혹등고래과로 옮겨져 살아있는 화석이 되었다. Neobalaenidae는 Neobalaeninae 아과로 강등되었다.[11]
긴수염고래류는 세 속( ''Balaenoptera,'' ''Megaptera,'' 및 ''Eschrichtius'')와 11종으로 구성된다: 긴수염고래( ''B. physalus''), 쇠돌고래( ''B. borealis''), 브라이드고래( ''B. brydei''), 에덴참고래( ''B. edeni''), 라이스참고래( ''B. ricei''), 흰긴수염고래( ''B. musculus''), 밍크고래( ''B. acutorostrata''), 남방밍크고래( ''B. bonaerensis''), 오무라참고래( ''B. omurai''), 혹등고래( ''M. novaeangliae''), 그리고 회색고래( ''E. robustus''). 2012년 고래류 분류학 검토에서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Alexandre Hassanin과 동료들은 계통 발생 기준에 따라 현존하는 긴수염고래류가 4속이라고 제안했다. 그들은 ''Balaenoptera'' 속을 긴수염고래로 제한하고, 밍크고래는 ''Pterobalaena'' 속에, ''Rorqualus'' 속에는 쇠돌고래, 브라이드고래, 에덴참고래(그리고 라이스트참고래), 흰긴수염고래, 오무라참고래를 포함시키는 것을 권장했다.[12] 회색고래는 이전에는 자체 과로 분류되었다. 오호츠크해와 일본해에 서식하는 개체군과 동태평양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유전적으로나 생리적으로 다르다고 생각된다.[13] 그러나 회색고래를 자체 과로 분류해야 하는지, 아니면 긴수염고래류로 분류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후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4][15][16][17]
현생종은 60종 이상의 이빨고래류에 비해 수염고래류는 14종(아종 제외)으로 상당히 적다. 일본 주변에서는 그 중 10종이 기록되어 있다. 2003년 11월에는 와다 시로(和田志郎) 등에 의해 신종 밍크고래(ツノシマクジラ) (오무라 고래/''Balaenoptera omurai''영어)가 발견되었다.[149] 또한, 브라이드고래(ニタリクジラ)에는 여러 종이 포함되어 있다고 여겨지며, ''Balaenoptera edeni''(カツオクジラ)로 분리되었다.
3. 1. 하위 분류
수염고래는 고래류에 속하며, 아목인 수염고래아목(Mysticeti)으로 분류되며, 네 개의 현존하는 과가 있다.
참고래과(대왕고래류), 긴수염고래과(혹등고래류), 귀신고래과(귀신고래) 및 밍크고래과(작은참돌고래)가 있다. 참고래과는 커다란 머리와 두꺼운 피하지방으로 구분된다.[3][4] 혹등고래류와 귀신고래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머리, 긴 목주름이 있으며, 참고래과보다 유선형이다. 혹등고래류는 또한 참고래과보다 더 긴 경향이 있다.[5] 고래류(고래, 돌고래, 돌고래과 동물)와 우제류는 이제 경우제류목으로 분류되며, 종종 여전히 우제류목(Artiodactyla)으로 불린다(고래류가 우제류와 깊이 겹쳐 있기 때문이다). 수염고래와 가장 가까운 현존하는 친척은 모두 하목 고래류인 이빨고래이다.[6]
2019년 McGowen과 동료들의 분석[7]에 따른 수염고래 계통 발생도는 다음과 같다. 브라이드고래 복합체는 Rosel 등(2021)[8]을 따라 확장되었다.
긴수염고래과는 두 속, ''Eubalaena''(긴수염고래류)와 ''Balaena''(북극고래, ''B. mysticetus'')로 구성된다. 2000년대 초 연구에 따르면 북극고래와 긴수염고래는 형태학적으로(두개골 형태가 다름)와 계통 발생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한 속으로만 구성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H. C. Rosenbaum과 동료들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북태평양( ''E. japonica'')과 남방긴수염고래( ''E. australis'')는 북대서양긴수염고래( ''E. glacialis'')보다 서로 더 가까운 관계에 있다.[9]
혹등고래과는 난쟁이긴수염고래( ''Caperea marginata'') 한 종만 살아남았다. 최초 기술은 18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긴수염고래의 축소판과 같은 뼈와 수염판을 묘사했고, ''Balaena marginata''로 명명되었다. 1864년 다른 표본의 두개골이 발견된 후 ''Caperea'' 속으로 옮겨졌다. 6년 후, 난쟁이긴수염고래는 Neobalaenidae과로 분류되었다.[10] 이름과는 달리, 난쟁이긴수염고래는 유전적으로 긴수염고래류와 회색고래와 더 가깝다. 2012년에 발표된 골격 구조에 기반한 연구에 따르면, 난쟁이긴수염고래는 Neobalaenidae과에서 혹등고래과로 옮겨져 살아있는 화석이 되었다. Neobalaenidae는 Neobalaeninae 아과로 강등되었다.[11]
긴수염고래류는 세 속( ''Balaenoptera,'' ''Megaptera,'' 및 ''Eschrichtius'')와 11종으로 구성된다: 긴수염고래( ''B. physalus''), 쇠돌고래( ''B. borealis''), 브라이드고래( ''B. brydei''), 에덴참고래( ''B. edeni''), 라이스참고래( ''B. ricei''), 흰긴수염고래( ''B. musculus''), 밍크고래( ''B. acutorostrata''), 남방밍크고래( ''B. bonaerensis''), 오무라참고래( ''B. omurai''), 혹등고래( ''M. novaeangliae''), 그리고 회색고래( ''E. robustus''). 2012년 고래류 분류학 검토에서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Alexandre Hassanin과 동료들은 계통 발생 기준에 따라 현존하는 긴수염고래류가 4속이라고 제안했다. 그들은 ''Balaenoptera'' 속을 긴수염고래로 제한하고, 밍크고래는 ''Pterobalaena'' 속에, ''Rorqualus'' 속에는 쇠돌고래, 브라이드고래, 에덴참고래(그리고 라이스트참고래), 흰긴수염고래, 오무라참고래를 포함시키는 것을 권장했다.[12] 회색고래는 이전에는 자체 과로 분류되었다. 오호츠크해와 일본해에 서식하는 개체군과 동태평양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유전적으로나 생리적으로 다르다고 생각된다.[13] 그러나 회색고래를 자체 과로 분류해야 하는지, 아니면 긴수염고래류로 분류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후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4][15][16][17]
3. 1. 1. 현생
2019년 McGowen과 동료들의 분석[7]에 따른 수염고래 계통 발생도는 다음과 같다. 브라이드고래 복합체는 Rosel 등(2021)[8]을 따라 확장되었다.
긴수염고래과는 두 속, ''Eubalaena''(긴수염고래류)와 ''Balaena''(북극고래, ''B. mysticetus'')로 구성된다. 2000년대 초 연구에 따르면 북극고래와 긴수염고래는 형태학적으로(두개골 형태가 다름)와 계통 발생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한 속으로만 구성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H. C. Rosenbaum과 동료들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북태평양( ''E. japonica'')과 남방긴수염고래( ''E. australis'')는 북대서양긴수염고래( ''E. glacialis'')보다 서로 더 가까운 관계에 있다.[9]
혹등고래과는 난쟁이긴수염고래( ''Caperea marginata'') 한 종만 살아남았다. 최초 기술은 184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긴수염고래의 축소판과 같은 뼈와 수염판을 묘사했고, ''Balaena marginata''로 명명되었다. 1864년 다른 표본의 두개골이 발견된 후 ''Caperea'' 속으로 옮겨졌다. 6년 후, 난쟁이긴수염고래는 Neobalaenidae과로 분류되었다.[10] 이름과는 달리, 난쟁이긴수염고래는 유전적으로 긴수염고래류와 회색고래와 더 가깝다. 2012년에 발표된 골격 구조에 기반한 연구에 따르면, 난쟁이긴수염고래는 Neobalaenidae과에서 혹등고래과로 옮겨져 살아있는 화석이 되었다. Neobalaenidae는 Neobalaeninae 아과로 강등되었다.[11]
긴수염고래류는 세 속( ''Balaenoptera,'' ''Megaptera,'' 및 ''Eschrichtius'')와 11종으로 구성된다: 긴수염고래( ''B. physalus''), 쇠돌고래( ''B. borealis''), 브라이드고래( ''B. brydei''), 에덴참고래( ''B. edeni''), 라이스참고래( ''B. ricei''), 흰긴수염고래( ''B. musculus''), 밍크고래( ''B. acutorostrata''), 남방밍크고래( ''B. bonaerensis''), 오무라참고래( ''B. omurai''), 혹등고래( ''M. novaeangliae''), 그리고 회색고래( ''E. robustus''). 2012년 고래류 분류학 검토에서 프랑스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Alexandre Hassanin과 동료들은 계통 발생 기준에 따라 현존하는 긴수염고래류가 4속이라고 제안했다. 그들은 ''Balaenoptera'' 속을 긴수염고래로 제한하고, 밍크고래는 ''Pterobalaena'' 속에, ''Rorqualus'' 속에는 쇠돌고래, 브라이드고래, 에덴참고래(그리고 라이스트참고래), 흰긴수염고래, 오무라참고래를 포함시키는 것을 권장했다.[12] 회색고래는 이전에는 자체 과로 분류되었다. 오호츠크해와 일본해에 서식하는 개체군과 동태평양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유전적으로나 생리적으로 다르다고 생각된다.[13] 그러나 회색고래를 자체 과로 분류해야 하는지, 아니면 긴수염고래류로 분류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후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14][15][16][17]
3. 1. 2. 멸종
에티오케투스 상과, 에오미스티케투스 상과, 케토테리움과는 모두 멸종되었다.
4. 생태
대부분의 수염고래 종은 봄과 여름철에는 고위도 해역에서 먹이를 섭취하고, 겨울철에는 번식을 위해 더 따뜻한 열대 해역으로 이동하는 장거리 회유를 매년 반복한다.[81] 이러한 회유는 새끼 고래의 생존과 범고래의 포식 위험 감소에 유리하다.[65] 회색고래는 포유류 중 가장 긴 이동 거리를 기록하며, 오호츠크해에서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까지 14,000 마일(22,530km)을 이동한 경우가 있다.[64]
수염고래는 수염을 이용하여 작은 물고기, 크릴, 요각류, 동물 플랑크톤 등을 바닷물에서 걸러 먹는 여과 섭식자이다.[39] 이들은 먹이 종류와 양에 따라 표면 섭식과 돌진 섭식 방식을 모두 사용한다.[39] 돌진 섭식은 수염고래과(rorquals) 고래들이 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턱의 부피를 크게 확장하여 먹이를 섭취한다.[45] 북방긴수염고래, 회색고래, 난쟁이긴수염고래 등은 표면 섭식자이며, 입을 벌리고 헤엄쳐 물과 먹이를 함께 입 안에 채운다.[39] 회색고래는 주로 바다 바닥의 저서 생물을 먹는다.
수염고래는 먹이 밀도가 높은 곳을 찾아 섭식하며, 돌진 섭식의 효율은 먹이 밀도에 크게 의존한다.[71][72][73][66]
대부분의 수염고래는 겨울에 따뜻한 바다에서 짝짓기를 하고, 거의 1년 후에 새끼를 낳는다.[81] 7~11개월의 수유 기간과 1년간의 휴식기를 거쳐 다시 짝짓기를 시작한다. 수염고래는 K 전략가로,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키우고 수명이 길며 유아 사망률이 낮다.[88] 수염고래는 난교성이며,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과 짝짓기를 하는 일부다처제이다.[90][91]
밍크고래와 꼬마긴수염고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수염고래는 고위도 해역의 먹이 섭취 지역과 저위도 해역의 번식 지역 사이를 대규모로 회유하며, 적도를 넘는 경우는 드물다.[143] 북극고래는 소규모 회유를 하며, 북극권을 벗어나지 않는다.[143]
5. 진화
수염고래류는 약 3,390만 년 전 올리고세 전기에 이빨고래류와 분기되었다.[144] 초기 수염고래류는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염은 이후에 진화하였다.[30]
가장 오래된 수염고래인 에티오케투스는 44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형치열(heterodonty)을 보였다.[144] 이빨을 가진 수염고래 그룹은 에티오케투스상과로 분류된다.[145] 이들은 현생 바다표범처럼 이빨을 트랩으로 한 여과 섭식을 했다는 설도 있지만, 트랩으로 기능할 수 없는 형태의 이빨을 가진 종도 있어 결론은 나지 않았다.[144]
이후 이빨을 잃고 수염을 가진 그룹이 나타났으며, 올리고세 후기에는 현생 수염고래와 유사한 형태가 출현하였다.[146] 이빨이 없는 최초의 수염고래 조상은 후기 올리고세의 첫 번째 방산 이전에 나타났다.[34] 에오미스티세투스와 같은 종들은 두개골에 반향 위치 능력의 증거를 보이지 않아 주로 시력에 의존하여 항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2][35]
현생 수염고래는 꼬마긴수염고래과, 귀신고래과, 긴수염고래과, 혹등고래과로 분화하였다.[153] 협의의 케토테리움과는 긴수염고래상과에 포함되었지만, 현생 계통에서 가장 먼저 분기한 것은 혹등고래과이다.[146] 다음으로 나타난 것이 귀신고래과인데, 분자 연구 결과 별개의 계통으로 결론지어졌다.[147]
6. 인간과의 관계
6. 1. 포경 역사
인간의 수염고래 포경은 구석기 시대부터 존재해 왔다.[96] 고대에는 노르웨이와 일본 등지에서 고래 사냥이 시작되었으며,[97] 주로 고기와 기름을 얻기 위해, 수염은 바구니나 지붕 재료로, 뼈는 도구와 가면 제작에 사용되었다.[97] 이누이트는 북극해에서 고래 사냥을 한다.[97] 바스크인들은 11세기 초부터 포경을 시작하여 16세기에는 뉴펀들랜드까지 항해하여 북극고래를 찾았다.[98][99]18세기와 19세기 포경꾼들은 주로 등유와 윤활유로 사용되는 기름과 코르셋과 치마 받침과 같은 물품에 사용되는 수염판(혹은 경골)을 얻기 위해 고래를 사냥했다.[97] 이 시대 가장 성공적인 포경 국가는 네덜란드, 일본, 미국이었다.[100] 상업 포경은 19세기와 20세기 내내 중요한 산업이었으며, 영국, 프랑스, 스페인, 덴마크, 네덜란드, 독일, 미국(호주)등 여러나라에서 이루어졌다.[101] 특히 1790년대 초, 영국(호주)과 미국 포경꾼들은 남태평양에 주력하기 시작했고, 1900년대 중반에는 5만 마리가 넘는 혹등고래가 남태평양에서 잡혔다.[102] 1880년대 전성기에는 미국의 이익이 미국 달러 1,000만 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2000년 기준으로 2억 2,500만 달러에 해당한다. 뉴베드퍼드와 같은 주요 포경 항구 근처에 있었던 회색고래, 북극고래, 북극긴수염고래와 같은 북극 고래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종이었다. 이러한 개체군이 고갈된 후에는 거의 모든 포경 단체가 남태평양의 수염고래류를 표적으로 삼았지만, 이들은 종종 포경선보다 더 빨리 헤엄쳤다. 1860년대 후반 포경포가 발명될 때까지 수염고래류 포경은 효과적이지 않았다.[103]
상업적 규모로 수확할 수 없을 정도로 모든 종의 개체 수가 고갈되자 포경은 기본적으로 중단되었다.[104] 1982년 국제포경위원회(IWC)는 종의 멸종을 막기 위해 어획 한도를 설정하는 모라토리엄을 시행하고 결국 금지함으로써 포경이 통제되었다.[105]
6. 2. 보전 및 관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2021년 기준으로 15종의 수염고래를 인정하고 있으며, 이들의 보전 상태를 평가하고 있다.[106] 북대서양긴수염고래(약 366마리)와 라이스 고래(100마리 미만)는 위급으로, 북태평양긴수염고래, 대왕고래, 참고래는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다.[106] 특히 극지에 서식하는 수염고래 종들은 기후 변화, 해빙 감소, 해양 산성화와 같은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107]

고래 관광 산업과 반포경 옹호자들은 포경이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고 주장하며, 특히 아이슬란드와 같이 고래 관광이 발달한 국가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108] 브라질,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은 고래 관광이 상업 포경보다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한다고 주장하며, 페루, 우루과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는 남반구에서의 포경을 영구적으로 금지하는 제안을 지지한다.[108][109]
상업 포경은 1988년 국제포경위원회의 모라토리엄 발표 이후 사실상 중단되었으며, 상업적으로 포획되던 여러 종의 개체 수가 회복되었다.[104] 회색고래는 포경 이전 수준으로 개체 수가 증가하여 멸종위기종 목록에서 제외되었고,[111] 남방긴수염고래는 1970년 이후 매년 7%씩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다.[112] 반면, 북대서양긴수염고래 동부 개체군은 기능적으로 멸종된 것으로 여겨진다.[104][113]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일본은 여전히 수염고래를 포획하고 있다.[114]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는 모라토리엄을 거부하고 상업 포경을 계속하고 있으며,[114] 일본은 과학 연구 목적으로 고래를 포획한다고 주장한다.[115] 일본은 두 가지 주요 연구 프로그램(JARPA, JARPN)을 운영하며, 그린피스[117]와 같은 단체는 일본의 과학 포경을 상업 포경의 대체 수단이라고 비판한다.[118] 2014년 국제사법재판소는 남극해 고래 보호구역에서의 포경을 금지했지만, 일본은 포경을 계속하고 있다.[119][120]

수염고래는 선박 충돌, 해양 소음, 독성 물질 중독, 기름 유출, 혼획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특히 북대서양긴수염고래는 선박과의 충돌이 가장 큰 위협이며,[121] 로이드 미러 효과로 인해 수면 근처에서 저주파 프로펠러 소리가 식별되지 않아 사고가 발생한다.[121] 2014년 연구에 따르면 선박 속도가 느릴수록 충돌률이 감소한다.[122] 해양 소음은 고래의 의사소통을 방해하며,[123][124] 폴리염화비페닐(PCB)과 같은 독성 물질은 수염고래에게 낮은 수준의 중독을 일으킨다.[125] 딥워터 호라이즌 원유 유출과 같은 기름 유출은 특히 소규모 개체군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다.[126] 긴수염고래는 입을 크게 벌리고 먹이를 먹는 습성 때문에 밧줄이나 그물에 얽히는 혼획의 위험이 크다.[127][128]
6. 3. 사육
수염고래는 수족관에서 사육된 경우가 거의 없다. 거대한 크기와 식욕 때문에 유지 비용이 많이 들고, 적절한 크기의 수조를 건설하는 것 또한 매우 비싸기 때문이다.[129] 예를 들어, 회색고래 새끼 한 마리는 하루에 약 215 kg의 물고기를 먹어야 하며, 수조는 4 m 크기의 새끼가 충분히 헤엄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해야 한다.[129]1년 이상 수족관에서 생존한 고래는 회색고래뿐이다.[129] 1965년 바하칼리포르니아수르주의 스캐먼스 라군(Scammon's Lagoon)에서 포획된 첫 번째 회색고래 지지(Gigi)는 감염으로 인해 두 달 만에 죽었다.[130] 1971년 같은 라군에서 포획된 두 번째 회색고래 지지 2세(Gigi II)는 너무 커져서 1년 후 방류되었다.[131] 캘리포니아주 마리나 델 레이(Marina del Rey, California)에서 해변에 올라온 J.J.는 씨월드 샌디에이고(SeaWorld San Diego)로 긴급히 이송되었으나, 14개월 후 너무 커져서 관리할 수 없게 되자 방류되었다.[132] J.J.는 8,700 kg의 몸무게와 9.4 m의 크기에 달해 수족관에서 사육된 가장 큰 생물이었다.[132]
일본 누마즈시의 미토 수족관(Mito Aquarium)은 인근 만에 설치한 그물로 세 마리의 밍크고래를 사육한 적이 있다. 한 마리는 세 달 동안, 다른 한 마리(새끼)는 2주 동안 생존했고, 또 다른 한 마리는 한 달 이상 사육되다가 그물을 뚫고 빠져나갔다.[133]
참조
[1]
서적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10-25
[2]
서적
Wild Blue: A Natural History of the World's Largest Animal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8-10-14
[3]
학술지
Morphological specializations of baleen whales associated with hydrodynamic performance and ecological niche
2006-11
[4]
웹사이트
''Eubalaena glacialis'': North Atlantic right whale: Information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16-01-25
[5]
서적
The World's Whales: The Complete Illustrated Guide
The Smithsonian Institution
1984
[6]
학술지
More DNA support for a Cetacea/Hippopotamidae clade: the blood-clotting protein gene gamma-fibrinogen
1997
[7]
서적
The Bowhead Whale
2021
[8]
학술지
A new species of baleen whale (''Balaenoptera'') from the Gulf of Mexico, with a review of its geographic distribution
2021
[9]
학술지
World-wide genetic differentiation of ''Eubalaena'': Questioning the number of right whale species
2000
[10]
서적
Whales
H.N. Abrams
1986
[11]
학술지
The pygmy right whale ''Caperea marginata'': the last of the cetotheres
2012
[12]
학술지
Histoire évolutive des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racontée par l'analyse des génomes mitochondriaux
https://comptes-rend[...]
2012
[13]
학술지
https://www.jstage.j[...]
2014
[14]
학술지
The More the Merrier? A Large Cladistic Analysis of Mysticetes, and Comments on the Transition from Teeth to Baleen
2010
[15]
학술지
Baleen Whale Phylogeny and a Past Extensive Radiation Event Revealed by SINE Insertion Analysis
2006
[16]
학술지
Mitochondrial Phylogenetics and Evolution of Mysticete Whales
2005
[17]
학술지
Whole-genome sequencing of the blue whale and other rorquals finds signatures for introgressive gene flow
2018
[18]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9]
서적
Leviathan: The History of Whaling in America
https://books.google[...]
W.W. Norton & Co.
2007
[20]
학술지
Passive versus active engulfment: verdict from trajectory simulations of lunge-feeding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2009
[21]
학술지
Body weights of some species of large whales
1976
[22]
서적
The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Elsevier Science
1984
[23]
학술지
The More the Merrier? A Large Cladistic Analysis of Mysticetes, and Comments on the Transition from Teeth to Baleen
2011
[24]
학술지
A new Early Oligocene toothed 'baleen' whale (Mysticeti: Aetiocetidae) from western North America: one of the oldest and the smallest
2015
[25]
학술지
The extinct baleen whale fauna from the Miocene–Pliocene of Belgium and the diagnostic cetacean ear bones
2010
[26]
서적
Reproductive Biology and Phylogeny of Cetacea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6-04-19
[27]
학술지
The morphology and systematics of ''Mammalodon colliveri'' (Cetacea: Mysticeti), a toothed mysticete from the Oligocene of Australia
2010
[28]
학술지
Gigantism precedes filter feeding in baleen whale evolution
2018
[29]
학술지
Morphological and Molecular Evidence for a Stepwise Evolutionary Transition from Teeth to Baleen in Mysticete Whales
2007-09
[30]
서적
Mammalogy
https://books.googl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11
[31]
학술지
Tooth Loss Precedes the Origin of Baleen in Whales
2018
[32]
Harvnb
[33]
학술지
Archaeocete-like jaws in a baleen whale
2012
[34]
서적
Cenozoic Mammals of Land and Sea: Tributes to the Career of Clayton E. Ray
https://www.biodiver[...]
2002
[35]
학술지
A bizarre new toothed mysticete (Cetacea) from Australia and the early evolution of baleen whales
2006
[36]
논문
Radiation of Extant Cetaceans Driven by Restructuring of the Oceans
2009
[37]
논문
The taxonomic and evolutionary history of fossil and modern balaenopteroid mysticetes
https://www.research[...]
2005
[38]
논문
Independent evolution of baleen whale gigantism linked to Plio-Pleistocene ocean dynamics
2017-05-31
[39]
논문
How Baleen Whales Feed: The Biomechanics of Engulfment and Filtration
2017-01-03
[40]
논문
The Ecological Rise of Whales Chronicled by the Fossil Record
2017
[41]
논문
Independent evolution of baleen whale gigantism linked to Plio-Pleistocene ocean dynamics
2017
[42]
논문
Upwelling Intensification As Part of the Pliocene-Pleistocene Climate Transition
2000-12-22
[43]
논문
Sexual selection targets cetacean pelvic bone
[44]
논문
Propulsion of a fin whale (''Balenoptera physalus'') : why the fin whale is a fast swimmer
[45]
논문
Stretchy nerves are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extreme feeding mechanism of rorqual whales
[46]
논문
The Ultimate Mouthful: Lunge Feeding in Rorqual Whales
March–April 2010
[47]
논문
Discovery of a sensory organ that coordinates lunge-feeding in rorqual whales
[48]
논문
Calcification provides mechanical reinforcement to whale baleen α-keratin
[49]
논문
Morphology and Development of Blue Whale Baleen: An Annotated Translation of Tycho Tullberg's Classic 1883 Paper
http://aquaticmammal[...]
[50]
논문
How deep can baleen whales dive?
https://www.int-res.[...]
[51]
서적
Diving Physiology of Marine Mammals and Seabir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논문
Body size and skeletal muscle myoglobin of cetaceans: adaptations for maximizing dive duration
[53]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books.google[...]
Worth Publishers
[54]
서적
Physiology
https://archive.org/[...]
Elsevier Mosby
[55]
서적
Clinical Hematology: Theory and Procedure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6]
서적
The Natural Law of Cycles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57]
뉴스
Sleeping Humpback Whale Captured In Rare Footage
http://www.huffingto[...]
2016-01-23
[58]
논문
Discovery of a low frequency sound source in Mysticeti (baleen whales): anatomical establishment of a vocal fold homolog
[59]
논문
Evolutionary novelties underlie sound production in baleen whales
[60]
웹사이트
Appendix H: Marine Mammal Hearing and Sensitivity to Acoustic Impacts
https://www.cbd.int/[...]
[61]
논문
Hearing from the ocean and into the river: the evolution of the inner ear of Platanistoidea (Cetacea: Odontoceti)
https://zenodo.org/r[...]
2021
[62]
논문
The Auditory Anatomy of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A Potential Fatty Sound Reception Pathway in a Baleen Whale
[63]
논문
Massive losses of taste receptor genes in toothed and baleen whales
[64]
뉴스
A Gray Whale Breaks The Record For Longest Mammal Migration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6-01-23
[65]
논문
Marine Mammals
https://books.google[...]
[66]
논문
From wind to whales:: trophic links in a coastal upwelling system
2005
[67]
논문
Baleen whales host a unique gut microbiome with similarities to both carnivores and herbivores
[68]
논문
Scaling of lunge feeding in rorqual whales: An integrated model of engulfment duration
[69]
논문
Role of the bowhead whale as a predator in West Greenland
2007
[70]
서적
Marine Food Chain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1]
논문
Oral cavity hydrodynamics and drag production in Balaenid whale suspension feeding
2017-04-11
[72]
논문
Estimation of Prey Densities Required by Western North Atlantic Right Whales
1986-01-01
[73]
논문
Role of the bowhead whale as a predator in West Greenland
2007-09-27
[74]
논문
Prey items and predation behavior of killer whales (''Orcinus orca'') in Nunavut, Canada based on Inuit hunter interviews
[75]
논문
Fight or flight: antipredator strategies of baleen whales
[76]
논문
First observations of dusky sharks (''Carcharhinus obscurus'') attacking a humpback whale (''Megaptera novaeangliae'') calf
[77]
웹사이트
Squaliformes Dogfish Sharks
http://www.elasmo-re[...]
2016-01-24
[78]
논문
Larval development and settlement of a whale barnacle
[79]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https://books.google[...]
Orca Book Publishing
[80]
논문
Epibiotic macrofauna on common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épède, 1804, in Icelandic waters
[81]
서적
Animal Migration
CUP Archive
[82]
논문
Synopsis of biological data on the sei whale and Bryde's whale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83]
논문
Growth, physical maturity, and mortality of fin whales (''Balaenoptera physalus'') inhabiting the temperate waters of the northeast Atlantic
[84]
논문
Bryde's whales in the pelagic whaling ground of the North Pacific
[85]
서적
Biology and Exploitation of the Minke Whale
https://books.google[...]
CRC Press
[86]
논문
Growth and rapid early development of North Atlantic right whales (''Eubalaena glacialis'')
[87]
논문
Reproduction in North Atlantic right whales (''Eubalaena glacialis'')
[88]
서적
Concepts in Toxicology
https://books.google[...]
Royal Society of Chemistry
[89]
뉴스
Patented harpoon pins down whale age
https://www.nature.c[...]
Nature (journal)
2016-01-06
[90]
서적
Return to the Sea: The Life and Evolutionary Times of Marine Mammal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1]
서적
Marine Mammals: Biology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Plenum Publishers
[92]
서적
Longest animal penis
https://archive.org/[...]
Guinness World Records
2015-09-01
[93]
웹사이트
The Largest Penis in the World – Both for humans and animals, size does matter
http://news.softpedi[...]
Softpedia
2016-03-15
[94]
서적
Wild mammals of North America : biology, management,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95]
논문
Total number and volume of Von Economo neurons in the cerebral cortex of cetaceans
[96]
뉴스그룹
Rock art hints at whaling origins
http://news.bbc.co.u[...]
2016-01-25
[97]
웹사이트
Big Fish: A Brief History of Whaling
https://education.na[...]
National Geographic
2016-01-25
[98]
뉴스
A Savage History: Whaling in the South Pacific and Southern Oceans
http://www.themonthl[...]
2016-04-21
[99]
서적
Basque whaling in Labrador in the 16th century
National Historic Sites, Parks Service, Environment Canada
[100]
웹사이트
Whale products
https://www.whalingm[...]
New Bedford Whaling Museum
2016-01-25
[101]
웹사이트
British Arctic whaling: an overview
https://www.hull.ac.[...]
University of Hull
2016-01-25
[102]
서적
The History of Modern Whaling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3]
서적
Something New Under the Sun: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20th Century
https://archive.org/[...]
W. W. Norton and Company, Inc.
[104]
서적
Marine Environmental Biology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Jones and Bartlett Learning
[105]
간행물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Schedule, paragraph 10(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106]
웹사이트
Keyword search: Baleen whales
http://www.iucnredli[...]
IUCN
2013-07-17
[107]
서적
Whales in Hot Water?
https://www.wwfblogs[...]
World Wildlife Fund
[108]
뉴스
Whale watching 'worth billions'
http://news.bbc.co.u[...]
2016-01-27
[109]
논문
Lamakera, Solor. Ethnographic Notes on a Muslim Whaling Village of Eastern Indonesia
[110]
보고서
Whale Watching Worldwide: tourism numbers, expenditures and expanding economic benefits
http://www.ifaw.org/[...]
International Fund for Animal Welfare
2016-11-15
[111]
뉴스
Gray Whale Removed From Endangered List
https://www.latimes.[...]
2016-01-27
[112]
서적
Defying Extinction – Partnerships to Safeguard Global Biodiversity
Earth in Focus
[113]
웹사이트
IUCN Species of the Day: North Atlantic Right Whale
http://www.bushwarri[...]
Bush Warriors
2016-01-27
[114]
웹사이트
Commercial Whaling
https://iwc.int/comm[...]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16-01-30
[115]
웹사이트
Scientific Permit Whaling
https://iwc.int/perm[...]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16-01-29
[116]
서적
Limits of Maritime Jurisdiction
Brill
[117]
웹사이트
Japan and whaling
http://www.greenpeac[...]
Greenpeace International
2016-01-29
[118]
논문
Japan's whaling plan under scrutiny
https://digitalcommo[...]
[119]
뉴스
U.N. Court Orders Japan to Halt Whaling Off Antarctica
https://www.nytimes.[...]
2016-01-29
[120]
뉴스
Japan to resume whaling in Antarctic despite court ruling
https://www.bbc.com/[...]
Associated Press
2016-01-29
[121]
논문
Vessel Collisions with Whales: The Probability of Lethal Injury Based on Vessel Speed
[122]
논문
Compliance with vessel speed restrictions to protect North Atlantic right whales
[123]
논문
Blue Whales Respond to Anthropogenic Noise
[124]
서적
Recovery plan for the blue whale (Balaenoptera musculus)
https://www.nmfs.no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125]
논문
Organochlorine and metal contaminants in baleen whales: a review and evaluation of conservation implications
[126]
웹사이트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Balaenoptera edeni Gulf of Mexico subpopulation
https://www.iucnredl[...]
2021-01-22
[127]
웹사이트
North Atlantic Right Whale (''Eubalaena glacialis'')
http://www.nmfs.noaa[...]
NOAA Fisheries
2016-12-15
[128]
보고서
Entanglement of Marine Species in Marine Debris with an Emphasis on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NOAA Marine Debris Report
[129]
뉴스
J.J. The Gray Whale Going To Sea – Rescued Orphan Calf Will Be Freed This Week
https://archive.seat[...]
2016-01-29
[130]
논문
The California gray whale: papers presented at the California Gray Whale Workshop,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https://archive.org/[...]
[131]
논문
Growth of two captive gray whale calves
http://www.aquaticma[...]
2016-03-14
[132]
뉴스
Rescued Whale J.J. Begins Long Journey Home
https://www.latimes.[...]
2016-01-29
[133]
논문
Note on a minke whale kept alive in aquarium
[134]
서적
Taxonomy of Australian Mammals
CSIRO Publishing
[135]
간행물
哺乳類の高次分類群および分類階級の日本語名称の提案について
日本哺乳類学会
[136]
서적
鯨類学
[137]
서적
哺乳類の進化
[138]
서적
絶滅哺乳類図鑑
[139]
서적
鯨類学
[140]
서적
鯨類学
[141]
서적
鯨類学
[142]
서적
鯨類学
[143]
서적
クジラ・ウォッチング
平凡社
[144]
일반
[145]
서적
鯨類学
[146]
서적
鯨類学
[147]
서적
鯨類学
[148]
서적
鯨類学
[149]
웹사이트
ツノシマクジラ 日本で発見された新種のヒゲクジラ
http://svrsh2.kahaku[...]
[150]
서적
鯨類学
[151]
웹사이트
哺乳類の系統分類
http://epp.eps.nagoy[...]
[152]
데이터베이스
MSW3 Cetacea
[153]
논문
A phylogenetic blueprint for a modern whale
https://www.montclai[...]
201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