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이모스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모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공포의 신으로,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이자 포보스의 형제이다. 그는 주로 아버지 아레스의 조력자로서 전투에 참여하며, 군대에 혼란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1877년 아사프 홀에 의해 발견된 화성의 두 위성 중 하나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로디테의 자식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아프로디테의 자식 - 하르모니아
    하르모니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조화와 화합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카드모스의 아내이자 저주받은 목걸이와 관련된 비극적인 이야기를 가진 인물이다.
  • 아레스의 자식 - 오이노마오스
    오이노마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딸 히포다메이아의 구혼자들에게 전차 경주에서 이기면 결혼을 허락하고 패배하면 살해하는 잔혹한 왕이었으며, 펠롭스에게 죽임을 당한다.
  • 아레스의 자식 - 히폴리테
    그리스 신화 속 아마존 여왕 히폴리테는 헤라클레스의 과업과 테세우스와의 관계로 알려져 있으며, 황금 허리띠, 납치 또는 아테네 공격 등의 다양한 이야기와 함께 문학 작품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다채롭게 묘사된다.
  • 그리스의 남신 - 아폴론
    아폴론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 빛, 음악, 예술, 치유, 궁술, 예언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중요한 신으로, 제우스와 레토의 아들이며 포이보스라고도 불린다.
  • 그리스의 남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데이모스 (신화)
기본 정보
유형그리스 신화의 신
역할공포의 신
로마자 표기Deimos
가족 관계
부모아레스아프로디테
형제자매포보스, 하르모니아

2. 어원 및 가계

헤시오도스의 ''테오고니아''에 따르면, 데이모스는 아레스와 키테레이아(아프로디테)의 아들이며, 포보스와 하르모니아의 형제이다.[3] 그리스의 고대 연구가 세무스 오브 델로스에 따르면, 데이모스는 괴물 스킬라의 아버지이다.[4]

2. 1. 어원

헤시오도스의 ''테오고니아''에 따르면, 데이모스는 아레스와 키테레이아(아프로디테)의 아들이며, 포보스와 하르모니아의 형제이다.[3] 그리스의 고대 연구가 세무스 오브 델로스에 따르면, 데이모스는 괴물 스킬라의 아버지이다.[4]

2. 2. 가계

헤시오도스의 ''테오고니아''에 따르면, 데이모스는 아레스와 키테레이아(아프로디테)의 아들이며, 포보스와 하르모니아의 형제이다.[3] 그리스의 고대 연구가 세무스 오브 델로스에 따르면, 데이모스는 괴물 스킬라의 아버지이다.[4]

3. 신화

데이모스는 주로 군대에 혼란을 일으키는 아레스의 조력자로 등장한다. 일리아스에서 불화의 여신 에리스와 그의 형제 포보스(공포)와 함께 아버지 아레스와 함께 전투에 참여했다.[5] 헤라클레스의 방패에서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아레스를 따라 전투에 참여하여 헤라클레스가 그를 부상시키자 전장에서 그를 데리고 나왔다.[6]

안티마코스는 호메로스의 이야기를 잘못 해석하여 데이모스와 포보스를 아레스의 말로 묘사했다.[7]

3. 1. 일리아스와 헤라클레스의 방패

데이모스는 주로 군대에 혼란을 일으키는 아버지 아레스의 조력자 역할로 등장한다. 일리아스에서 불화의 여신 에리스와 그의 형제 포보스(공포)와 함께 아버지 아레스와 함께 전투에 참여했다.[5] 헤라클레스의 방패에서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아레스를 따라 전투에 참여하여 헤라클레스가 그를 부상시키자 전장에서 그를 데리고 나왔다.[6] 안티마코스는 호메로스의 이야기를 잘못 해석하여 데이모스와 포보스를 아레스의 말로 묘사했다.[7] 논노스의 ''디오니시아카''에서 제우스는 포보스에게 번개를, 데이모스에게는 천둥을 주어 티폰을 겁먹게 했다.[8] 그 후 이 작품에서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아레스의 전차병 역할을 하며, 디오니소스가 인도와 전쟁을 벌일 때 그와 싸웠다.[9]

3. 2. 디오니시아카

논노스의 ''디오니시아카''에서 제우스는 포보스에게 번개를, 데이모스에게는 천둥을 주어 티폰을 겁먹게 했다.[8] 이후 이 작품에서 포보스와 데이모스는 아레스의 전차병 역할을 하며, 디오니소스가 인도와 전쟁을 벌일 때 그와 싸웠다.[9]

4. 천문학

1877년, 미국의 천문학자 아사프 홀화성의 두 위성을 발견하고 포보스데이모스라고 이름지었다.[10]

4. 1. 화성의 위성

미국의 천문학자 아사프 홀은 1877년에 화성의 두 위성을 발견했다. 홀은 두 위성의 이름을 포보스데이모스라고 이름지었다. 데이모스는 두 위성 중 더 작은 위성이다.[10]

참조

[1] 서적 Beekes, s.v. δεῖμα
[2] 간행물 Brill's New Pauly
[3] 논문 Gantz https://www.perseus.[...]
[4] 간행물 Brill's New Pauly
[5] 논문 Homer, Iliad https://www.perseus.[...]
[6] 논문 Hesiod, Shield of Heracles https://www.perseus.[...]
[7] 서적 Matthews
[8] 논문 Nonnus, Dionysiaca
[9] 논문 Nonnus, Dionysiaca
[10] 학술지 Names of the Satellites of Mars https://zenodo.org/r[...] 18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